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젼 카메라와 다중 객체 추적 방법을 이용한 실시간 수질 감시 시스템

        원근,이정호,조익환,진주,정동석,Yang, Won-Keun,Lee, Jung-Ho,Cho, Ik-Hwan,Jin, Ju-Kyong,Jeong, Dong-Seok 한국통신학회 2007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2 No.4C

        본 논문에서는 비젼 카메라와 다중 객체 추적 방법을 이용한 실시간 수질 감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의 센서 방식의 감시 시스템과 달리 비젼 카메라를 이용해 객체를 개별적으로 분석한다. 비젼 카메라를 이용한 시스템은 영상에서 개별 객체를 분리해 내는 방법과, 연속하는 두 프레임간의 상관관계에 의해서 다수의 객체를 추적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실시간 처리를 위해 비모수 예측을 사용하여 배경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해 객체를 추출한다. 비모수 예측을 이용하면 연산량을 줄이는 동시에 비교적 정확하게 객체를 추출 할 수 있다. 다중 객체 추적 방법은 개별 객체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 및 가속도를 이용해 다음 움직임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추적을 수행하였다. 또한 추적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외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한 결과 제안한 시스템은 처리 시간이 짧고 정확하게 다중 객체를 추적할 수 있어 실시간 수질 감시 시스템에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using vision camera and multiple objects tracking method. The proposed system analyzes object individually using vision camera unlike monitoring system using sensor method. The system using vision camera consists of individual object segmentation part and objects tracking part based on interrelation between successive frames. For real-time processing, we make background image using non-parametric estimation and extract objects using background image. If we use non-parametric estimation, objects extraction method can reduce large amount of computation complexity, as well as extract objects more effectively. Multiple objects tracking method predicts next motion using moving direction, velocity and acceleration of individual object then carries out tracking based on the predicted motion. And we apply exception handling algorithms to improve tracking performance. From experiment results under various conditions, it shows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be available for real-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since it has very short processing time and correct multiple objects tracking.

      • KCI등재
      • KCI등재

        일개대학 간호 학생의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과 간호지식 및 실습만족도의 관계

        양진주(Jin-Ju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일개 대학 간호과 3학년 학생의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 중환자 간호지식 및 실습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이다. 자료는 2009년 6월에 85명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 중환자 간호 관련 지식 및 실습만족도에 관한 질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전체 중환자 간호수행 능력 평균 점수는 84.01점이었고, 전체 중환자 간호 관련 지식은 6.99점, 중환자 실습 만족도는 86.88점 이었다.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은 일반적인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이 가장 높았으며 신경계 간호수행력, 순환기계 간호수행력, 호흡기계 간호수행력 순으로 나타났다. 중환자 간호지식은 순환기계 관련 지식이 가장 높았고, 일반적인 중환자 간호 지식, 호흡기계 간호지식, 신경계 간호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중환자 간호수행 능력은 중환자 실습 만족도와 유의한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중환자 간호 관련 지식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의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중환자 실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간호학생의 수행능력이 낮게 나타난 호흡기계 및 순환기계 중환자 간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현장 실습 및 교내 실습교육에 관한 개발이 필요함을 본 연구가 시사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critical care competence, knowledge related to critical care,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from third year college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concerning critical care competence, knowledge related to critical care,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given to 85 nursing students during June 2009. Results: The mean score of total critical care competence was 84.01 (± 14.78). Total knowledge related to critical care was 6.99 (± 1.97). Finally,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was 86.88 (± 9.47). Regarding critical care competence, common critical care competence was highest followed by neurologic care competence, cardiovascular care competence, and finally respiratory care competence. The mean score of knowledge related to cardiovascular care was highest followed by common critical care knowledge, respiratory care knowledge, and neurologic care knowledge for knowledge related to critical care competence. Critical care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but had no correlation with knowledge related to critical care.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veloping educations of clinical practice in hospitals and laboratory practice in colleges for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critical care is necessary to promote critical care competence and satisfy clinical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효과

        양진주(Yang Jin Ju),김효경(Kim Hyo Kung)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대학병원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하는 간호학과 3학년을 대상으로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을 파악하고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임상실습교육의 질적 향상과 다양한 임상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단일군 전 · 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 소재의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29일부터 2021년 11월 19일까지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은 2주간 2회기로 구성되었고, 교육프로그램 시작 전 오리엔테이션, 연구대상자의 특성, 자가 보고식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에 관한 사전조사, 2회기 사례기반 실습교육 적용, 연구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사후조사 단계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program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특성은 빈도를 구하였고, 교육 전과 후의 연구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연구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t=-3.33, p=.003)과 간호전문직관(t=-2.23, p=.035)은 교육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특히 연구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의 하위 영역 중 간호과정, 주요간호중재, 사회심리적 간호, 대상자교육, 관찰과 신체사정의 영역이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기본간호도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연구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하위영역 중 사회적 인식과 간호실무역할이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의 독자성, 간호의 전문성 등은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연구는 임상 실습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다양한 사례기반 실습교육을 개발하여 적용 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연구를 수행하기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to identify the effects of case-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on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n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9th to November 19th, 2021 and 27 Junior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one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The case-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orientation, a pre-survey, a two-section program, and a post-survey.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and frequency and paired t-test were analyzed by SPSS 19.0 program. Compared with before the program,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completion of the case-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t=-3.33, p=.003; t=-2.23, p=.035). Especially compared with before the program, nursing process(t=-3.93, p=.001), major nursing interventions(t=-3.67, p=.001), psycho-social nursing(t=-2.81, p=.009), education for clients(t=-2.17, p=.039), observation and physical examination domains(t=-2.79, p=.010) of clinical competency and social awareness(t=-3.64, p=.001), roles of nursing service(t=-2.60, p=.015) of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clusion, the case-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development of various cased-based education programs is required to enhance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중환자 첫 발열 평가 근거기반 가이드라인에 대한 지식과 수행 정도

        양진주(Jin-Ju Yang),장금성(Keum-Seong Jang),최자윤(Ja-Yun Choi),류세앙(Seang Ryu),김윤희(Yun-He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2

        본 연구는 중환자 첫 발열 평가 가이드라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 정도를 확인하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대상자는 2개 병원 내·외과병동 및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총 145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중환자 첫 발열 평가 가이드라인의 지식과 수행의 평균 평점은 각각 0.70점과 3.08점이다. 가이드라인의 근거수준 1영역은 지식과 수행 상위군에서 하위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행 점수를 나타냈고, 근거수준 3영역은 지식 상위군보다 지식 하위군이 더 높은 수행점수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가이드라인에 대한 지식과 수행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중환자 첫 발열 평가 가이드라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력을 향상시키고 근거기반실무를 개선시킬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rses’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guidelines for evaluation of new fever in critically ill adult pati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evidence. The total participants were 145 nurses working for medical·surgical unit and intensive care unit in two hospitals.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mean scores of guidelines were 0.70±0.09 and 3.08±0.31 respectively. The evidence level 1 of guidelines had the higher performance score in high score group than low score group of knowledge groups(F=3.86, p=.023) and performance groups(F=163.14, p<.001), while the evidence level 3 of guidelines had the higher performance score in low score group than high score group of knowledge groups(F=5.99, p=.003). Knowledge and performance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r=.25, p=.003).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emphasize that clinical professions need to enhance both of knowledge and practice with evidence based guideline of new fever in critically ill patien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양진주(Yang, Jin-Ju) 한국간호교육학회 2012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18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relevant to the care of patients with acute renal failure (ARF) for third-yea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pre-posttest design. Based on the clinical situation scenarios pertaining to patients with ARF, a simulation-based learning module was developed using Human Patient Simulator version 6 (HPS6) manufactured by Medical Education Technologies Inc. The pretest was conducted so 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prior knowledge and clinical competence between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91 students during the 2010 academic year and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94 students during the 2011 academic year.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win 10.1.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knowledge related to care for ARF patients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however, clinical competence improved significant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simulation-based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contributing towards the development of clinical competence. Increased development of clinical competence is vital for today’s clinical environment where nursing professionals need the necessary knowledge, thinking, and performance skills to meet the needs of the hospital and their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