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녹차 섭취기간에 따른 질병 발현 연구

        양정례(Jeong-Lye Yang),백송남(Song-Nam Back),진현화(Hyun-Hwa Jin),이현정(Hyun-Jung Lee),김양하(Yang-Ha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5

        본 연구는 녹차의 섭취기간에 따른 질병 발현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경상남도 하동군에 거주하는 주민 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조사대상자들의 녹차 섭취기간에 따라 녹차를 마시지 않는 대조군과 10년 미만 녹차섭취군 및 10년 이상 녹차 섭취군의 3분위로 나누어 녹차의 장기간 섭취가 건강관련 변인과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전체 대상자 중 남자가 41명, 여자가 51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대조군이 62.0세, 2분위 60.1세, 3분위 57.2세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생활습관으로 음주여부는 1분위에서 45.5%, 2분위 36.1%, 3분위 37.5%가 음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녹차를 마시는 집단에서의 음주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마시는 술의 종류로는 소주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음주의 빈도는 1, 3분위에서 주 5~6회 마신다가 50%이상, 2분위는 주 1~2회가 53.8%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흡연여부는 80%정도가 거의 담배를 피우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어 바람직한 흡연행동을 나타내었다. 신체활동정도는 모든 집단이 농사일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왕성한 활동정도를 보였으며, 건강보조식품은 잘 섭취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병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충치는 1분위 9%, 2분위 27%, 3분위 36%가 충치가 없다고 하여 녹차의 장기간 섭취가 충치 예방에 다소간의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감기는 각 분위에서 77%, 87%, 76%로 감기를 잘 앓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골다공증에 관한 문진 결과 29%, 64%, 100%순으로 정상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골다공증 검사율이 저조하여 녹차의 효과를 비교하기는 힘들었다. 식습관 점수는 녹차를 장기간 섭취할수록 유의적으로 좋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녹차를 접할 기회가 많고 주로 질병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마시고 있었기에 녹차의 기능성에 대해서 많은 관심과 기대를 보여주고 있었다. 게다가 본 조사의 결과, 녹차의 장기간 음용이 충치, 골다공증과 같은 질병의 예방 및 식습관 향상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고 나아가 녹차의 섭취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차 이외의 다양한 음식과 생활용품으로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It has been reported in animal and human studies that green tea shows a health prot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disease prevalence according to chronic green tea consumption in 92 subjects (mean age: 59.5±8.9, men: 41, women: 51) living in green tea cultivation village. The consumption of green tea and other life-style characteristics were ascertained by a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period of green tea consumption (0, < 10 year, and ≥ 10 year). For green tea consumption groups, most of the subjects have been drinking green tea in order to protect disease and recognized the effects of green tea as detoxification of alcohol and smoking, protection of cold or release from fatigu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inking and smoking, physical activity, and a cold prevalence among the groups. Green tea consumption was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prevalence of tooth decay as well as the osteoporosis. The score of dietary habits was higher by increasing green tea consumption period (p<0.05). Consequently, chronic green tea consumption can be considerably effective in health promotion.

      • SCOPUSKCI등재

        식이섬유 식이에 적응된 흰쥐에서 고지방식이가 식후 혈장지질농도와 소화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양정례(Jeong-Lye Yang),서명자(Myung-Ja Suh),송영선(Young-Su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1

        식이섬유에 5주간 적응된 흰쥐(S.D., male)를 14시간 절식시킨 뒤 총 에너지의 50%가 되는 고지방식이를 급여하고 4시간 뒤의 혈장 지질 농도와 소화효소활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혈장과 지단백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sodium alginate군에서 가장 낮았다(p<0.05). 혈장 중성지방 함량은 식이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LDL-중성지방은 sodium alginate군에서 가장 낮았다(p<0.05). HDL-중성지방 함량은 식이섬유군에서 높았다(p<0.05). 소장 apolipoprotein B는 무섬유식이군과 cellulose군에 비해 sodium alginate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소장 내용물에서의 amylase 활성은 각 식이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식이섬유 첨가군에서 다소 높았으며, lipase 활성은 무섬유식이군과 cellulose군에 비해 sodium alginate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소장내용물에서 protease 활성과 담즙산 함량은 식이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 함량은 무섬유식이군에 비해 식이섬유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장기간의 식이섬유 섭취는 식이섬유가 배제된 고지방식 후에도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으나, 혈장 중성지방 농도는 식이섬유가 함유된 식이에 비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Rats were adapted to diets containing 10% cellulose, 10% sodium alginate and fiber-free diet for 5 weeks. Following a 14 hour fasting, rats were fed 5g of a test meal that provided 50% energy from fat, then killed at 4 hour postprandially. Plasma and lipoprotein fraction-cholesterol levels were lower in sodium alginate-fed animals than in rats fed other diets. Plasma TG did not differ among diet treatments. Increase in TG content of HDL fraction occurred in dietary fiber groups. Intestinal apolipoprotein B level and lipase activity were lower in sodium alginate-fed group than in other dietary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ronic consumption of sodium alginate affects plasma cholesterol level as in the case of fiber supplemetation, but is less likely to modify the acute plasma TG response to high fat meal than if a fiber supplement is incorporated into the meal.

      • KCI등재

        호르몬과 단쇄지방산이 HepG2 Cell 내에서 CYP7A1발현에 미치는 효과

        양정례(Jeong-Lye Yang),이현정(Hyun-Jung Lee),김양하(Yang-Ha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5

        수용성 식이섬유의 섭취는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있으며, 그 작용기작으로는 수용성 식이섬유의 점성으로 인한 콜레스테롤과 담즙산 흡수저해, 대장내 미생물 발효로 생성된 단쇄지방산에 의한 콜레스테롤 합성률 변경 및 담즙산 합성증가 등으로 설명되어진다. 그러나 명확한 작용기전은 규명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간세포 핵내의 CYP7A1의 발현에 호르몬과 식이섬유의 발효로 생성된 단쇄지방산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사람의 간세포(HepG2 세포)의 배양배지에 insulin, dexamethasone 및 triiodothyronine을 각각 1 μM 투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Semi-quantitative RT-PCR 기법에 의해 CYP7A1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dexamethasone에서 가장 높아 173%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insulin에서 150%, triiodothyronine에서 141%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처럼 transient transfection을 하지 않은 HepG2 세포에서 생리적 조절자로 알려진 insulin, dexamethasone 및 triiodothyronine이 CYP7A1의 발현을 모두 증가시킨다는 결과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규명하며, rat gene and/or human gene 발현이 다르게 조절됨을 제안한다. 단쇄지방산에 의한 HepG2 세포에서의 CYP7A1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actetate, propionate 및 butyrate를 각각 1 mM 농도로 24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모든 단쇄지방산이 CYP7A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Acetate와 propionate는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어 대조군에 비하여 1.8배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butyrate는 1.5배의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수용성 식이섬유 섭취시 나타나는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는 수용성 식이섬유의 대장 발효가 대장을 자극함으로써 내인성 호르몬의 변화를 통해서 나타나거나 대장내 발효산물인 actetate, propionate 및 butyrate등이 흡수되어 간에서의 CYP7A1의 up-regulation에 의한 담즙산 배설증가에 따른 결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단쇄 지방산의 CYP7A1 발현에 미치는 작용은 acetate와 propionate가 butyrate보다 큼을 알 수 있었다. Cholesterol 7α-hydroxylase (CYP7A1) is the rate-limiting enzyme in the conversion of cholesterol to bile acids and plays a central role in regulating cholesterol homeostasis. We previously showed that a fermentable β-glucan ingestion decreased plasma cholesterol levels due to fecal bile acid excretion elevation involved in increase of cholesterol 7α-hydroxylase mRNA expression and activity. It is proposed that short chain fatty acids (SCFA) produced by cecal and colonic fermentation of soluble fiber are associated with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fibe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CYP7A1 expression is up-regulated by short chain fatty acids or by hormones in cultured human hepatoma (HepG2) cells. Confluent HepG2 cell were incubated with acetate, propionate, or butyrate at 1 mM concentration for 24 hrs. Acetate as well as propionate increased to 1.8-fold expression of CYP7A1 mRNA than the control. Butyrate also increased 1.5-fold expression of CYP7A1 mRNA. Our data show for the first time that SCFA increase expression of CYP7A1 mRNA. Adding insulin, dexamethasone and triiodothyronine (1 μM) to HepG2 cell increased the expression of CYP7A1 mRNA to 150%, 173%, 141%,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FA produced by cecal fermentation stimulate enteric nervous system, in which secreted some neuropeptides may be responsible for change in cholesterol and bile acid metabolis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CFA are involved in lowering plasma cholesterol levels due to the up-regulation of CYP7A1 and bile acid synthesis.

      • KCI등재

        자발성 고혈압 흰쥐에서 찐콩과 청국장 분말의 혈압 및 지질대사 개선 효과

        양정례(Jeong-Lye Yang),이숙희(Sook-Hee Lee),송영선(Young-Su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6

        자발성 고혈압 흰쥐(SHR)에서 찐콩과 청국장 분말이 혈압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여 가열처리 및 발효과정을 거친 콩제품의 항동맥경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식이의 단백질 급원으로써 카제인, 찐콩 분말, 그리고 청국 장분말을 단백질 함량으로 각각 18% 되게 첨가한 semi-purified diet를 SHR(n=10, 숫컷)에 6주간 공급한 후 혈압, 혈장과 간의 지질농도, 간의 HMG-CoA reductase 활성 및 분변의 담즙산 배설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카제인 대조군에 비교하여 찐콩과 청국장 섭취군의 체중증가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식이효율은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p<0.05). 찐콩 및 청국장의 장기간 섭취는 자발성 SHR의 가령에 따른 혈압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p<0.05) 청국장은 찐콩보다 우수한 혈압 강하효과를 보였다.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중성지방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찐콩 섭취군에서 다소 낮았으며 청국장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찐콩 및 청국장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항동맥경화인자로 알려진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찐콩과 청국장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청국장군에서 가장 낮은 동맥경화지수를 보였다(p<0.05). 간의 총지질과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찐콩 및 청국장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p<0.05) 혈장에서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간의 HMG-CoA reductase 활성은 찐콩과 청국장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분변 중 총지질량은 세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찐콩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분변으로의 담즙산 배설능은 청국장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는 단백질 급원으로 카제인을 대체한 찐콩과 청국장의 섭취는 동맥경화 위험인자인 혈압과 고지혈증을 개선함으로써 순환기계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effects of cooked soybean and a traditional fermented soy product, chongkukjang, on blood pressure and lipid metabolism were studied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 SHRs were divided into 3 groups (n=10, male), and fed casein, powders of cooked soybean, and chongkukjang as dietary protein sources for 6 weeks. Body weight gain was not different among experimental groups, but food efficiency was increased in groups fed cooked soybean and chongkukjang diets compared to control group. Consumption of cooked soybean and chongkukjang for 6 weeks in SHR significantly suppressed blood pressure rise with aging (p<0.05). Feeding of cooked soybean and chongkukjang to SHR decreased plasma triacylglycerols (p<0.05) by 21.6% and 30.2% and LDL-cholesterol by 30.0% and 27.5%, respectively. Addition of cooked soybean and chongkukjang to the diet resulted in reduction of total lipids and triacylglycerols of liver, while consumption of cooked soybean and chongkukjang resulted in the increase of fecal cholesterol and bile acid excretions, respectively (p<0.05). Cooked soybean and chongkukjang diets down-regulated the activity of hepatic HMG-CoA reductase by 56.4% and 94.5%, compared to control, respectively. From the above-mentioned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con- sumption of cooked soybean and chongkukjang might be helpful in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by suppressing blood pressure rise and hyperlipidemia.

      • SCOPUSKCI등재

        콜레스테롤 투여 흰쥐에 있어서 식이섬유가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영향

        양정례(Jeong-Lye Yang),서명자(Myung-Ja Suh),송영선(Young-Su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5 No.3

        콜레스테롤 투여 흰쥐(Sprague-Dawley, male)에 있어서 sodium alginate와 cellulose가 콜레스테롤대사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혈장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은 fiber-free군과 cellulose군에 비해 sodium alginate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인지질 함량은 fiber-free군과 sodium alginate군에 비해 cellulose군에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간에서의 총 지질함량은 fiber-free군에 비해 cellulose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fiber-free군에 비해 sodium alginate군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중성지방 함량은 fiber-free군과 cellulose군에 비해 sodium alginate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간에서의 HMG-CoA reductase 활성은 fiber-free군에 비해 cellulose군과 sodium alginate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분변으로 배설되는 콜레스테롤과 담즙산의 양 모두 fiber-free군에 비해 식이섬유 첨가군에서 모두 증가했으며(p<0.05), 배설되는 중성지방 함량은 fiber-free군과 cellulose군에 비해 sodium alginate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써 sodium alginate는 콜레스테롤 투여 흰쥐의 혈장과 간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이것은 sodium alginate 식이군에서 분변 중의 담즙성 콜레스테롤, 담즙산 그리고 중성지방의 배설량이 증가하였다는 사실로 설명될 수 있다. Sodium alginate군의 HMG-CoA reductase 활성 증가는 콜레스테롤 pool을 유지하기 위한 생체의 적응기작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odium alginate and cellulose on the cholesterol metabolism in cholesterol-fed rats. Thirt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Rats were fed, ad libitum, diets containing 10% dietary fibers as sodium alginate, cellulose or fiber-free with 1% cholesterol for 4 week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feeding of sodium alginate with 1% cholesterol indu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lasma cholesterol and TG. The feeding of sodium alginate significantly decreased hepatic total lipids and TG levels, whereas the feeding of sodium alginate significantly increased hepatic HMG-CoA reductase activity. The feeding of sodium alginate and cellulose significantly increased fecal cholesterol and bile acid excretion. The excretion of TG in sodium alginate group, however, was two-fold and four-fold increased compared to cellulose and fiber-free group,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ngestion of sodium alginate decreased plasma cholesterol and TG concentrations and liver TG concentration. This may be explained by the facts that fecal cholesterol, bile acid and TG level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sodium alginate group. The increased hepatic HMG-CoA reductase activity by sodium alginate feeding appears to be corresponded to whole-body cholesterol homeostasi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설문조사를 통한 식이섭취 유형과 동맥경화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양정례(Jeong-Lye Yang),전진호(Jin-Ho Chun),이숙희(Sook-Hee Lee),송영옥(Yeong-Ok Song),송영선(Young-Su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1

        건강한 일반성인에서 콩제품의 섭취수준과 동맥경화 위험인자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하루 콩제품섭취수준은 2~261 g으로 이를 4분위로 나누었을 때 1분위, 2분위, 3분위 및 4분위에 해당하는 사람의 평균 콩제품 섭취량이 36 g, 78 g, 112 g, 그리고 182 g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들이 선호하는 콩제품으로는 콩나물, 두부가 우세하였고 다음으로 밥밑콩, 된장, 청국장의 순이었다. 본 조사대상자의 특성 중 하나로 콩제품 섭취량이 많아질수록 열량, 단백질, 지질, 섬유소, 칼슘,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운동, 음주 및 흡연량 역시 많아져 모든 생활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맥경화 위험인자로서 혈중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에 흡연 및 음주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5), 특히 중성지방은 고혈압, BMI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한편 운동정도, 짠맛ㆍ채식ㆍ육류ㆍ어류 선호도 그리고 콩제품 섭취와 동맥경화 위험인자간에는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아 일반 성인의 동맥경화유발에는 식사습관보다는 음주, 흡연 같은 생활습관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콩제품의 항동맥경화효과가 인체에서 나타나기 위해서는 현재의 콩 섭취수준보다 많은 양을 섭취해야 함을 알 수 있었으며 콩제품의 소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저염 발효 콩제품과 콩버거, 콩아이스크림 등과 같은 신세대 콩제품의 개발이 수반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soybean and their products consumption and risk factors for atherosclerosis in the healthy Korean adults. Health behaviors such as smoking, exercise, alcohol consumption and dietary patterns and nutrient intakes of 193 healthy adult subjects aged from 26 to 69 were assessed by using interview an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e BMI, blood pressure and biochemical parameters of blood were examined as well as preferences for taste and family history of disease. Data were expressed as quartile according to soybean and their products consumption. The average daily soybean and their product consumption for 1st, 2nd, 3rd, and 4th percentile group were 36, 78, 112, and 182 g, respectively. The more consumption of soybean and their products, the more intake of energy, protein, lipid, fiber, Ca, cholesterol as well as frequency of exercise, smoking and drinking. Serum TG,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and AI as risk factors of atherosclerosi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moking and drinking (p<0.05). Especially, serum T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ypertension and BMI (p<0.01). But, no correlation between exercise, salty taste, meat preference, soybean products consumption and atherosclerosis risk factors was found, which means that life styles such as smoking and drinking rather than dietary habits might influence atherosclerosis in healthy adults. In conclusion, present soy products consumption should be increased by way of developing new generation soy products in order to exert anti-atherosclerotic effect by soybean in human.

      • KCI등재

        C57BL/6 Mice에서 이소플라본의 지질강하, 항산화, 항염증효과를 통한 항동맥경화 효과

        조혜연,양정례,노경희,김진주,김영화,허경혜,송영선,Cho, Hye-Yeon,Yang, Jeong-Lye,Noh, Kyung-Hee,Kim, Jin-Ju,Kim, Young-Hwa,Huh, Kyung-Hye,Song, Young-S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3

        5주령의 C57BL/6 mice종 암컷 40수를 2주간의 적응기를 거쳐, 평균 체중 $17.9{\pm}0.9\;g$인 실험동물을 완전임의배치로 한 군당 10수씩 4군으로 나누어 실험식이는 동맥경화식이(control)에 이소플라본을 첨가한 실험식이를 각각 8주간 급여하면서 사육하였다. 이소플라본의 첨가량은 식이 100 g 당 10 mg(IF-10)과 40 mg(IF-40) 및 100 mg(IF-100)이 되도록 조정하여 제조하였다. 이소플라본의 섭취는 체중증가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이효율은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소플라본 섭취에 의한 혈장 TG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이소플라본을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총 콜레스테롤 수준은 모든 실험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8주 후의 농도 변화는 대조군에 비해 이소플라본을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세포부착물질인 MCP-1과 지질과산화물인 TBARS의 생성량은 이소플라본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현저하게 감소되는 결과를 보여 농도의존적인 효과를 보였다. 간의 TG와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이소플라본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간의 항산화 영양소인 glutathione 함량은 이소플라본을 100 mg 제공한 IF-100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은 수준을 보였다. 간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이소플라본을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이소플라본 100 mg을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IF-100에서 현저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이소플라본의 섭취가 혈장의 중성지방을 저하하고 항염증, 항산화효과를 보여 동맥경화예방에 효과가 있는 물질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soflavone on the atherogenic effect in C57BL/6 mice. C57BL/6 female mice, 5 weeks of age, were fed on chow diets for 2 weeks during adjustment period. Mice weighing approximately $17.9{\pm}0.9\;g$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were fed on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isoflavone for 8 weeks. Experimental groups were control (atherogenic diet), IF-10 (atherogenic diet with isoflavone 10 mg/100 g diet), IF-40 (atherogenic diet with isoflavone 40 mg/100 g diet) and IF-100 (atherogenic diet with isoflavone 100 mg/100 g diet). Food efficiency ratio was not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Plasma triglyceride (TG) concentrations were lower after 4 weeks in isoflavone supplementation groups than in control group, whereas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levels of plasma were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in the isoflavone supplementation groups in a dose dependent manner. Both hepatic TG and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IF-100 than control. Hepatic glutathione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the IF-100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Hepatic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cluding glutathione-reductase, glutathione-peroxidase, catalase, and Mn-superoxide dismuta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soflavone supplemen-tation groups in a dose dependent manner.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isoflavone may reduce the risk of atherosclerosis via hypolipidemic,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