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알모도바르 영화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들>의 여성주체 해석에 대한 연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이태리(Teri Lee),양윤호(Yun-ho Yang) 한국영화학회 2020 영화연구 Vol.- No.86

        본 연구는 알모도바르의 영화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들>을 통해 나타나는 여성주체에 초점을 맞추어 영화 속 주요장면을 텍스트화하고 실제 상영시간을 기준으로 영화 속 대사와 인물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이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들>을 연구하고자 하는 이유는 그의 영화 중, 이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들은 정상적인 인물보다는 스트레스성 혹은 신경쇠약에 걸린 인물로 묘사되는 서사의 특수성 때문이다.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들>의 텍스트 분석에서 중심주제로 삼았던 부분은 주인공 페파가 이반과의 이별을 맞이하면서 극복해야 할 주체적 붕괴와 독립성에 있다. 본 연구는 영화에서의 주요인물과 부차적 인물의 관계를 분석하고 언어의 표현적 특징이 전달하는 의미와 서사를 해명한다. 또한 알모도바르가 서술한 여성주체의 기능을 중심으로 영화에서 일어나고 있는 비주체적 여성들의 유형을 구분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여성인물들을 탈남성적 묘사로 전개하는 여성의 주체, 그 주체의 회복, 혹은 새로운 주체의 모색이라는 흐름까지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problems of the women subject that appears in Almodovar’s <Women on the verge of a nervous breakdown> by texting the main scenes in the movie which is based on actual running time to analyze the lines and characters in the movie. In the textual analysis of <Women on the verge of a nervous breakdown>, the central theme is the main character Peppa is in her self-reliance collapse and independence to overcome as she faces a breakup with Ivan. It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and secondary characters in the film to explain the meaning and narrative in which the expressive features of language are projected into the screen. The reason why this paper wants to pursue <Women on the verge of a nervous breakdown> is that it deals with women subject, can be seen as a pioneering essay that laid the foundation of film theory from the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in the 20th century. Also, the female characters in <Women on the verge of a nervous breakdown> are described as women with stress or nervous breakdown rather than a normal person, is the specificity of the narrative. This study distinguishes the types of non-subjective women in film from the focus of female subjects described by Almodovar.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see the recovery of the subject, the restoration of the subject or even the search for a new subject of a women who develops these into de-maleization depiction.

      • KCI등재

        알모도바르의 영화 〈줄리에타〉의 클로즈업 쇼트 분석에 대한 연구: 내레이션을 중심으로

        이태리(Teri Lee),양윤호(Yun-ho Yang) 한국영화학회 2020 영화연구 Vol.- No.85

        본 연구는 알모도바르의 영화 <줄리에타>의 클로즈업 쇼트와 내레이션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클로즈업은 독특한 영상 화법 중 하나로 <줄리에타>에서 알모도바르의 적극적 표현수단으로 활용되었다고 파악되기 때문이다. 클로즈업 쇼트 분석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위하여 <줄리에타>의 주요 클로즈업 쇼트를 서술적 기능, 심리적 기능, 상징적 기능으로 분리하여 내러티브 서사에서 발휘하는 쇼트의 효과와 결론을 제시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알모도바르의 영화 <줄리에타>의 서사 전개가 능동적 관람자의 활동과 상호작용하는 내러티브 영화로서의 기능을 파악한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다양한 장르별 영화가 쇼트와 내레이션의 분석에 대하여 깊이 있는 후속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close-up shots, expressed in Almodovar’s film 〈Julietta〉. The method of using close-up is one of Almodovar’s unique video narratives, which is understood as a means of active expression. To discuss the close-up shot analysis in detail, main close-up shots in 〈Julietta〉 are distinguished into descriptive, psychological, and symbolic functions which presents the effect and conclusion of the shot in the narratives. Through descriptive close-up, the role of inducing the naturalness of narratives flow and concentrating the audience’s attention is analyzed. The psychological close-up is analyzed as a role that allows the audience to empathize with the character through the descriptions of psychological close-up. In addition, a close-up of symbolic elements of objects or characters is analyzed to maximize tension and induce immersion. It will be the good opportunity to see the effect of a close-up shot that has an important part of the narratives in Almodovar’s film 〈Julietta〉.

      • KCI등재

        한국 오컬트 영화의 서사 관습 변화 분석 - 〈사바하〉와 〈곡성〉을 중심으로

        유지은(Yoo Ji Eun),양윤호(Yang Yun Ho)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2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6 No.-

        서구에서 시작된 오컬트 영화는 보이지 않는 공포를 다룬다. 국내에서는 ‘여귀’를 중심으로 한 한국 공포영화의 관습과 서구 오컬트 영화의 장르 공식이 결합하여 새로운 한국적 오컬트 영화의 서사가 형성되었다. 한국적 오컬트 영화는 여귀가 등장한다는 특징 뿐 아니라, 서구의 사제 대신 샤머니즘의 무당이 등장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샤머니즘의 바탕이 되는 원한과 복수의 패러다임이 등장하는 특징을 보여왔다. 하지만 2010년대에 개봉한 오컬트 영화의 대표작인 〈사바하〉와 〈곡성〉은 기존의 한국적 오컬트 영화의 서사 공식과 관습을 그대로 따르지 않고 변형시키며 전복하는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따라서 이런 변형과 전복의 요소들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영화 〈사바하〉에서는 무속적 요소가 오프닝에 등장하나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여귀 이미지와 복수 메커니즘은 여전히 일부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영화 <곡성>에서는 무속적 요소가 영화 전반에 걸쳐 중요한 소재로 등장하나 주제면에서는 기독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며, 여귀는 변형된 이미지로, 복수 메커니즘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새로운 한국 오컬트 영화의 진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The occult movie, which started in the West, deals with invisible fear. In Korea, a new Korean occult films were formed by combining the customs of horror films centered on "Yeo-Gui" (revengeful female ghost) and the genre formula of occult films. The Korean occult films have not only features Yeo-Gui appearing, but also features a shaman of shamanism instead of a Western priest to solve the problem, and a paradigm of resentment and revenge that is the basis of shamanism. However, the representative works of occult films released in the 2010s, 〈Sbaha〉 and 〈The Walling〉, are characteristic in that they do not follow the existing formula and customs of the Korean occult films’ narrative, but transform and abalone. Therefore, analyzing the elements of these variations and abalones was the subject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movie 〈Sabaha〉, shamanic elements appeared in the opening, but did not affect the problem-solving, and it was found that some of the Yeo-Gui images and revenge mechanisms still exist. In the movie 〈The Wailing〉, shamanic elements appear as important subjects throughout the movie, but in terms of theme, they are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nd the Yeo-Gui is a modified image, and no revenge mechanism appears at al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iscover the evolution of new Korean occult films.

      • KCI등재

        영화 프롤로그와 에필로그 컨벤션 연구: 액자식 구성 영화를 중심으로

        김형종(Hyung Jong, Kim),양윤호(Yun Ho, Yang)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2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6 No.-

        영화의 시작을 알리는 프롤로그와 영화를 마무리하는 에필로그는 장르와 정서를 형성하고,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도 프롤로그와 에필로그의 관련 연구가 부족하여 연구의 필요를 느꼈다. 이를 위해 고전영화를 살펴 프롤로그와 에필로그의 기원을 확인하였다. 영화의 기원은 1895년 뤼미에르 형제의 〈열차의 도착〉이지만, 단일커트의 기록물로 단락을 나눌 수 없다. 1902년 조르주 멜리야스의 〈달세계 여행〉이 커트를 나눈 편집으로 프롤로그와 에필로그가 시작된 최초의 영화임을 확인하였다. 단락이 명확히 구분되는 액자식 구성 영화를 분석하여 현재와 과거로 구분된 시간구성, 현실과 환상으로 구분된 환상구성, 특정 장소와 다른 장소가 구분된 장소구성과 기타구성으로 공통적인 컨벤션-포뮬라(공식)을 포함한다-을 구분하고, 체계화하여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로 액자식 구성 영화뿐만 아니라, 프롤로그와 에필로그의 개념과 차이, 범위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길 바라며, 본 연구의 결과가 시나리오 개발과 제작에 활용되고, 영화의 재미와 감동을 높이는 데 일조하길 기대한다. The prologue and epilogue play a critical role in shaping and determining genre and emotions by marking the beginning and conclusion of films. Nevertheless, I felt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prologue and epilogue due to the lack of related research. To this end, I confirmed the origins of the concepts regarding prologue and epilogue by examining classical films. The provenance of the feature film is the Lumiere Brothers’ “Arrival of Train” in 1895, but it could not categorize as its acts as single-cut records. My study confirmed that Georges Mélias’ “Travel to the Moon” in 1902 was the first film to incorporate a prologue and an epilogue using the cut-off editing technique. By analyzing frame composition films with their acts divided, it was possible to suggest an applicative system incorporating a common conventional formula. The formula integrates the classification of the time composition (divided into the present and the past), the fantasy composition (divided into reality and fantasy), and the place composition (divided into specific and other places). As a follow-up study, I hope to explore the concept, difference, and scope of prologue and epilogue followed by an analysis of frame composition films. The results of this future study, used for scenario development and production, will help augment entertainment and emotional investment in movies.

      • KCI등재

        중국영화의 전통 수묵화 촬영기법 연구 - 장이머우 영화 < 삼국-무영자(Shadow) 2018 > 중심으로

        장서붕 ( Zhang Ruifeng ),양윤호 ( Yang Yun-ho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0 아시아영화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장이머우(張藝謀) 감독의 작품< 삼국-무영자(Shadow, 影), 2018 >에 나타난 중국 전통 수묵화 기법의 대표적인 촬영장면과 영상기법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 영화를 대표 사례로 선정한 이유는 중국에서 색채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감독이라 알려진 장이머우 감독이 시도한 최초의 중국 전통 수묵화 스타일의 영화이기 때문이다. 이는 중국 영화 역사상으로도 주목할 만한 첫 번째 도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이머우 감독의 촬영 스타일에 관한 논문 및 인터뷰 등의 자료들을 바탕으로 중국영화의 전통 수묵화(水墨畵) 촬영기법 분석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먼저 회화기법과 중국영화, 장이머우 감독 영상의 특징을 고찰하고 중국 전통 수묵화 기법의 특징을 여백(餘白)과 색채, 구도로 구분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영화 <삼국-무영자>에서 활용된 중국 전통 수묵화 촬영기법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국의 대표적인 감독인 장이머우의 중국 전통 수묵화 기법의 운용과 효과에 대한 분석은 향후 중국영화 촬영연구에 있어 새로운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First of all, this paper aims to confirm the utilization of Chinese traditional Ink-and-Wash painting skil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ilming skills of director Zhang Yi-mou's film Shadow(影, 2018). Specifically, it will be the work of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Ink-and-Wash painting skill of Shadow shooting skills through composition, color, etc. These traditional Chinese Ink-and-Wash painting skills are currently used in Chinese film making. While verifying how it is utilized, director Zhang Yi-mou of filming is aimed at verifying the practice of traditional Chinese Ink-and-Wash painting skills. Zhang Yi-mou's film features a Chinese-style not only in narrative, but also in screen composition. It is clear that Zhang Yi-mou represents a generation in the Chinese film industry, so the author hopes this article will provide a point of view that can be applied in the application of Chinese-style filming skills in Chinese film. The method and procedure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and foremost, analyze the Zhang Yi-Mou's film Shadow by referring to the papers and interviews of filming style. In his film, traditional Chinese Ink-and-Wash painting skills are realized in any way, and the reason why chose this film because that was the Chinese commercial film which first made by Chinese Ink-and-Wash painting skills. Next, in the main part, director Zhang Yi-Mou, who naturally applies Ink-and-wash painting skills in the screen,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combination of Ink-and-Wash Painting skills and shooting through the composition, space, movement, color, and costume of a specific scene. Finally, the author plans to derive how to use the unique skills contained in traditional culture in the film making proce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