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화 만발발자 유적을 통해 본 고구려 토기의 기원과 형성

        양시은(Yang Sieun)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1

        만발발자 유적은 고조선에서 고구려로 이어지는 문화적 계통 관계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글에서는 만발발자유적 출토 토기를 중심으로 고구려 토기의 기원과 형성 과정의 단서를 살펴보았다. 고구려 건국 직전 시점인 제4기 초기철기시대로 편년되는 토기를 검토한 결과 기본적으로는 청동기시대의 토기 전통을 계승하면서 저부의 굽과 파수 같은 일부 요소에서는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제4기의 적석계 무덤에는 묘제의 유형이 다름에도 유사한 형태의 토기가 공통적으로 부장되고 있다. 이는 지상에 매장주체부를 갖춘 무단석광적석묘에서도 마찬가지였는데, 이를 통해 토기의 재지적 전통이 고구려 건국 이후까지도 계속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다만 유적에서 고구려 시기의 유구와 유물의 비중이 현저히 낮아 만발발자 일대에 거주하였던 집단은 고구려 건국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이 글에서는 고구려 건국의 핵심 유적인 환인 오녀산성의 제3기 문화층과 망강루고분군을 비롯한 주변의 여러 유적 자료를 만발발자 유적과 비교하여 고구려 토기의 형성 과정을 검토해보았다. 고구려 생활유적에서 주로 출토되는 종방향 대상파수 부착 심발은 초기철기시대의 토기 제작 전통과 직접적인 연결 고리를 찾기 어려웠다. 그리고 철기문화의 도입과 함께 니질화된 태토, 타날기법, 가마의 사용 등과 같은 토기 제작의 새로운 기술적 요소 또한 잔석립이 혼입된 태토로 제작한 고구려 초기 토기에서는 발견되지 않아, 이 또한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상정하기 어려웠다. 반면 망강루고분군을 비롯한 혼강 유역의 적석계 무덤에서는 청동기시대 후기와 초기철기시대의 전통을 계승한 토기가 고구려 초기까지도 일정 부분 이어지고 있었다. 물론 토기를 포함한 망강루고분군의 여러 유물은 부여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해석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혼강과 압록강 중상류 일대에 거주하고 있던 집단이 청동기시대 후기부터 이어지던 토기 제작 전통을 일부 계승하고, 부여를 비롯한 외부의 영향을 받아 고구려 토기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구려 문화의 계통 문제는 토기뿐만 아니라 묘제와 금속기 등 다양한 물질 자료를 종합적으로 다뤄야 하므로, 앞으로도 꾸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examine the origin and formation process of Goguryeo pottery, focusing on the Wanfabozi Site in Tonghua city of Jilin Province, China. That site is the important historical site for the 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Gojoseon and Goguryeo.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ottery from the Early Iron Age of Wanfabozi Site, it was found that some elements such as the mounted base and the handles were changing while inheriting the tradition of pottery from the Bronze Age. In the stone-typed tombs of the 4th period, similar types of pottery were commonly buried despite the different types of tombs. This burial pattern of pottery was also found in the Stone Mound Tomb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Goguryeo Kingdom. So, it was possible to guess that the historical tradition of pottery continued until after Goguryeo. However, it seems that the group that lived in the Wanfabozi Site did no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unding process of Goguryeo due to the lower proportion of remains in Goguryeo period. Meanwhile, this paper examined various pottery from the time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Goguryeo, including the Wunü Mountain Fortress and the Wangjianlou Site, which are the core site of Goguryeo, to clarify the origins of Goguryeo pottery. As a result, the deep bowl with vertical band shaped handle was difficult to find a direct link with the tradition of pottery in the early Iron Age.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some of the pottery from the stone-typed tombs, including the Wangjianlou Site, continued to the traditions of the late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until the early Goguryeo period. However, it is necessary to be careful as various relics of Wangjianlou Site, including pottery, are closely related to Buyeo. In conclusion, Goguryeo pottery appears to have been influenced by external influences including Buyeo, although the group that lived in the Hun River basin and the upper middle of Yalu River inherited some of the pottery production tradition from the late Bronze Age. Of courese, the issue of the origin and formation of Goguryeo culture should be comprehensively dealt with not only pottery but also various archaeological records such as tombs and metalwares.

      • 고구려의 한강유역 진출과 경영

        양시은 ( Yang Sieun ) 국립중앙박물관 2023 고고학지 Vol.29 No.-

        고구려의 한강유역 진출은 광개토왕대와 장수왕대에 각각 이루어졌다. 특히 장수왕대인 475년 고구려는 백제의 한성을 점령하고 이후 웅진이 위치한 금강유역의 북쪽 지역까지 진출하였다. 이는 남한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여러 고구려의 유적과 유물을 통해서도 입증된다. 물론 몽촌토성을 전면적으로 개축한 시점이나 아차산 보루군이 축조된 시점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나, 출토 토기로 볼 때 몽촌토성의 개축 시점과 아차산 보루군의 조영 연대에는 분명 시간 차이가 존재한다. 백제의 왕성이었던 몽촌토성에서는 한성백제기 문화층 위로 고구려의 문화층이 조성되었는데, 발굴조사 결과 고구려가 한성 점령 이후 토성 내부를 대대적으로 개축하여 사용하였음이 밝혀졌다. 몽촌토성에서 확인되는 고구려 유구와 유물의 양상은 고구려가 몽촌토성을 일시적으로 점유하였던 것이 아니라 장기간 활용했으며, 남진사령부의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보여준다. 문헌에 따르면 백제는 무령왕대에 이르러 국력을 어느 정도 회복하였다. 그럼에도 웅진기 및 사비기의 백제 유적은 경기 이남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고구려는 6세기 들어 한강 이북에 아차산 보루군을 축조하여 백제의 북진에 대비하였다. 아차산 일원의 능선을 따라 축조된 보루군은 각 보루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단순 성격의 군사적인 관방 시설로만 보기 어렵다. 특히 연화 문와당을 비롯한 다량의 기와가 출토된 홍련봉 1보루에는 대민 기능을 하는 행정 관청이 들어서 있었다. 문헌 및 고고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볼 때, 신라와 백제의 연합군의 북상으로 551년에 임진강 유역으로 퇴각하기 전까지 고구려는 한강유역을 안정적으로 다스렸던 것으로 보인다. Koguryo's expansion into the Han River basin occurred during the reigns of King Gwanggaeto and King Jangsu. In particular, in 475 during King Jangsu's reign, Koguryo occupied the capital of Baekje and subsequently extended its influence northward to the area around the Geum River, where Woongjin was located. This is corroborated by various Koguryo remains and artifacts distributed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ile additional discussion is needed regarding the reconstruction of Mongchon Earthenwall or the construction of Acha Mountain fortresses, there is evidently a time gap based on the excavated pottery. Notably, at Mongchon Earthenwall, the former capital of Baekje, Koguryo's cultural layer was established over the Baekje cultural layer, indicating that Koguryo extensively reconstructed and utilized after occupying the capital. The artifacts and remains found at Mongchon Earthenwall su0ggest a prolonged period of Koguryo's presence, highlighting its role as the headquarters for the southern command.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Baekje had somewhat recovered its national strength by the time of King Muryeong's reign.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of Baekje relics in the Gyeonggi and southern regions, such as Woongjin and Sabi period. In response to Baekje's northern expansion, Koguryo constructed Acha Mountain fortresses north of the Han River in the 6th century. The fortresses, built along the ridges of Acha Mountain, were not merely a military facility but a complex administrative center, as evidenced by the discovery of numerous roof tiles, including those of Hongnyeon-1 fort, which housed administrative office. Based on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evidences, it appears that Koguryo effectively controlled the Han River basin until their retreat to the Imjin River basin in 551 in response to the joint northern advance of Silla and Baekje forces.

      • KCI등재

        문화정책에 따른 중국 동북지역 박물관의 역할과 특징

        양시은(Yang Sieun) 동북아역사재단 202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9

        중국 문화산업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국가적 이데올로기를 홍보하고 강화하는 수단으로의 문화사업과 소비 중심의 문화산업이 공존한다는 것이다. 문화정책의 수립과 집행은 중앙정부의 주도로 이루어지는데, 중국 정부는 제12차 5개년 규획 시기를 전후한 2010년부터 문화산업을 중국 경제의 기간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관련 정책을 시행해오고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중국 동북지역을 대표하는 랴오닝성박물관, 지린성박물원, 헤이룽장성박물관의 사례를 통해 중국 문화정책에 따른 박물관의 역할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중국에서 박물관은 사회주의 핵심 가치관을 최우선으로 둔 애국주의와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데 적극적으로 이용되어왔으며, 애국주의 교육기지로써 중화민족의 우수한 역사문화와 혁명전통을 보여주는 전시나 사회교육을 통한 적극적 홍보 방식으로 국민들의 애국심을 고취시키고 있다. 중국 동북지역 박물관의 여러 활동에서도 동북공정 이후 한층 강화된 중화민족주의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중국 정부는 공공문화 서비스 강화를 위해 2008년부터 박물관을 무료로 개방하고 있다. 무료 개관에 맞춰 전시와 홍보, 교육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자국민에게는 국가에 대한 자긍심을, 외국인 관광객에게는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홍보하는 창구로 박물관을 활용하는 것이다. 또한 박물관 등급제를 전격적으로 실시하여 5,350여 개가 넘는 박물관 중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850여 개 박물관의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문화 분야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10년 이상 지속하면서 중국박물관은 전례 없는 발전을 이루었다. 무료 개관, 박물관 수의 폭발적인 증가, 다양한 전시회 개최 및 청소년 교육을 위시한 각종 사회교육 활동은 관람객의 증대로 이어졌다. 또한 근래 중국에서 유행하고 있는 애국주의 기반의 홍색관광에서도 박물관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is the coexistence of cultural business and consumption-oriented cultural industry as a means of promoting and strengthening national ideology. The establishment and execution of cultural policies is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Since 2010, around the time of the 12th Five-Year Plan for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he Chinese government has set a goal of fostering the cultural industry as a key industry for the Chinese economy. In this paper, I took the example of Liaoning Province Museum, Jilin Province Museum and Heilongjiang Province Museum to look at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 in Chinese cultural industry policy. In the 21st century, the Chinese government began to discuss cultural industry policies. In particular, museums in charge of public cultural services have become a main target of the policy. The museum has been actively used by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o emphasize patriotism and nationalism, with the core values of socialism as a top priority. In China, the museum is a patriotic educational base, and it promotes patriotism to teenagers and visitors through exhibitions and social education of the excellent historical culture and revolutionary tradition of the Chinese people. In addition,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a policy to open museums free of charge since 2008 to strengthen public cultural services. And the government has made the museum’s exhibition, publicity, and education functions even stronger. So, the government has made the Chinese people feel proud of the country and the foreign tourists understand the history and culture of China through the museum. In addition, the rating system is implemented to manage the quality of museums by classifying from national first-class museums to national third-class museums. The government’s full support policy, which lasted more than 10 years, has brought about the unprecedented development of Chinese museums. Free opening, explosive increase in the number of museums, various exhibitions, and various social education activities such as youth education led to the increase of visitors to the museum. It is also confirmed that museum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red tourism based on patriotism.

      • KCI등재

        고구려 평양도성의 경관 변화와 그 의미

        김현봉(Kim, Hyunbong),양시은(Yang, Sieun) 고구려발해학회 2021 고구려발해연구 Vol.70 No.-

        본 연구는 평양이라는 고구려의 지방도시가 도읍으로 선택되고 오랜 기간 국가의 최고 행정중심지로써 경영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도시경관의 모습과 변화를 427년 평양 천도와 586년 장안성 이도를 기준으로 3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평양지역이 고구려의 주요 지방도시로 기능하던 1기의 경관은 낙랑구역의 재편과 대성구역의 신도시 조성이라는 큰 경관적 변화로 요약된다. 낙랑의 전통에 고구려의 문화 요소가 덧입혀지는 낙랑구역과는 달리 대성구역은 국내도성과 유사한 분위기의 신도시로 개발되었다. 2기는 평양지역이 고구려의 수도로 그 지위가 격상된 시기로, 대성구역이 왕도의 핵심이었다. 당시의 왕성은 대성산성, 궁성은 청암동토성이었다. 1기와는 달리 봉토석실분으로 묘제가 일원화되었는데, 왕릉급 고분은 초대형 기단봉토석실분이었다. 국내도성기와는 달리 도성의 외곽에 산재 분포하고 있는 이들 왕릉은 상징적 경관으로 기능하였다. 사찰은 주민의 결속 외에도 불국토 연출과 함께 왕권의 강화를 위한 것으로, 청암동 토성 내에 사찰이 조영된 것도 비슷한 이유였을 것이다. 이 밖에도 천도로 인한 인구유입으로 낙랑구역 또한 그 범위가 확대되었다. 3기는 중구역에 새로 축조된 장안성이 도성으로 기능하였다. 왕성과 궁성으로 이루어진 평양 2기와는 달리 격자형 도로를 이용하여 도성민의 거주 구역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면서도 이를 둘레가 16㎞에 달하는 거대한 성벽으로 감싸 보호하는 새로운 경관이 형성되었다. 대성구역과 낙랑구역은 인구의 유출로 도시가 축소되었고, 그 결과 낙랑구역은 사냥터로 전락하게 되었다. 왕릉은 전면에 사신이 등장하는 벽화가 그려진 석실분으로, 여전히 도성 외곽에 분포한다. 다만 진파리 고분군과 강서삼묘 등에서 확인되는 삼각형 배치는 가족 관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d the appearance and changes on the archaeological landscape of Pyongyang which was the capital city of Koguryo. The first period of Pyongyang, which served as a major local city of Koguryo, was summarized as a major landscape change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Nakrang District and the creation of a new city in the Daeseong District. Unlike the Nakrang District, where Koguryo’s cultural elements are added to the tradition of Lelang, Daeseong District was developed as a new city with a similar landscape to the Guknae capital city. In the second phase, the Pyongyang was elevated to the capital of Koguryo, and the Daeseong District, where Daesung Mountain Fortress as and Cheongam-Dong Earthen Wall are located as the royal palaces, became the key area. Unlike the first period, the tombs were unified with the stone-chamber tomb, and the royal tombs were the extra-large stone-chamber tomb with stone platform. These royal tombs which were scattered around the outskirts of the capital functioned as symbolic landscapes. The temple was intended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 residents and the royal authority, and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in Cheongam-Dong Earthen Wall may have been a similar reason. In addition, due to the influx of population from the capital city, the scope of the Nakrang District has also been expanded. In the 3rd period, the newly built Jangan Castle in Jung District functioned as a capital city. A new landscape was formed that effectively controlled the residential area of the capital residents by using a grid-type road and protected it by enclosing it with a 16km-wide stone walls. Daesung and Nakrang District were reduced due to the outflow of population, Consequently, the Nakrang area was reduced to a hunting ground. The royal tombs are stone-chamber tombs with mural painting of four deities, and are still distributed outside the capital. However, the triangular arrangement found in the Jinpari Tombs and Gangseo Tombs seems to be related to the family relationship.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폰 유형에 따른 문자 입력 시 뇌파 및 아래팔 근활성도 비교

        이형수 ( Hyoungsoo Lee ),고경진 ( Gyeongjin Go ),김진원 ( Jinwon Kim ),박송이 ( Songyi Park ),박지선 ( Jiseon Park ),박진리 ( Jinri Park ),석혜리 ( Hyeri Seok ),구름 ( Gureum Yang ),양시은 ( Sieun Yang ),윤광오 ( Gwangoh Yun ) 대한통합의학회 2014 대한통합의학회지 Vol.2 No.2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nd compare muscle activity of the forearms and brain wave depend on the type of smartphone when inputting text messages. Method: We used an EMG to measure the change in muscle activity by attaching pads to the four muscles in both forearms of all 16 participants. We simultaneously conducted EEG measurements by observing the changes in alpha and beta waves recorded from electrode attached to both ears and the forehead of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had to input a given text using three different types of smartphones for ten minutes each. Result: The comparison of the EMG when inputting text involved a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Pad3 was highest for muscle activity followed by GALAXY Note2 and iPhone4. For EEG measurement, a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was also used and the results showed iPhone4 was higest followed by GALAXY Note2 and finally iPad3 for EEG stress score. Conclusion: The results are thought to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smart phone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