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석탄광산지역에 적용가능한 자생식물종의 중금속 흡수능력 평가

        양금철(Keum Chul Yang) 응용생태공학회 2021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8 No.4

        본 연구는 장기간 중금속 오염에 노출된 폐 석탄매립지의 토양 및 자생식물을 조사하고 온실 재배 실험을 통해 자생식물의 중금속 축적 능력을 평가하여 식물정화 기술 적용 가능성을 위해 수행되었다. 강원도 정선 화절령에 위치한 폐 탄광 주변에서 자생하는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 지역에 생육하는 동일속의 자생식물 2 종 (Carex breviculmis. R. Br.,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과 일반적으로 분포하는 식물 3 종 (Artemisia japonica Thunb.,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및 Saussurea pulchella (Fisch.) Fisch.)을 온실에서 인공적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12 주 동안 재배하였다. 비소와 납으로 오염된 토양은 각각 25, 62.5, 125, 250 mg kg<SUP>-1</SUP>의 비소 농도 구배와 200, 500, 1000, 2000 mg kg<SUP>-1</SUP>의 납 농도 구배로 생성하였다. 실험 결과 비소 고농도 처리 (125 및 250 mg kg<SUP>-1</SUP>)로 5 개 식물이 모두 죽었고, 일부 식물은 2,000 mg kg<SUP>-1</SUP> 납농도 처리토에서 죽었다. 식물 이동계수는 비소 처리에서 H. hakuunensis에서 가장 높았고 납 처리에서는 A. japonica에서 각각 가장 높았다. 생물 축적계수는 비소 처리에서 모든 식물종에서 1 이상이었고 H. hakuunensis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모든 식물종은 납 처리에서 1 미만이었다. 특히 2000 mg kg<SUP>-1</SUP> 농도 납 처리에서 A. japonica는 1000 mg kg<SUP>-1</SUP> 이상의 납을 축적하여 납 과다 축적 물질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결론적으로 A. japonica와 H. hakuunensis는 비소 중금속 축적이 뛰어났고 S. koriyanagi는 납 축적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위의 3 가지 자생식물은 식물정화 기술에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hytoremediation technology by investigating soil and native plants in waste coal landfills exposed to heavy metal contamina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ability of native plants to accumulate heavy metals using greenhouse cultivation experiments was alse evaluated. Plants were investigated at an abandoned coal mine in Hwajeolyeong, Jeongseon, Gangwon-do. Two species of native plants (Carex breviculmis. R. B. and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located in the study area and three Korean native plants (Artemisia japonica Thunb.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and Saussurea pulchella (Fisch.) Fisch.) were cultivated in a greenhouse for 12 weeks in artificially contaminated soil. Soils contaminated with arsenic and lead were generated with arsenic concentration gradients of 25, 62.5, 125, and 250 mg kg<SUP>-1</SUP> and lead concentration gradients of 200, 500, 1000, and 2000 mg kg<SUP>-1</SUP>,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none of the five plants could survive at high arsenic concentration treatment (125 and 250 mg kg<SUP>-1</SUP>) and some plants died in 2000 mg kg<SUP>-1</SUP> lead concentration treatment soil. The plant translocation factor (TF) was highest in H. hakuunensis in arsenic treatments, and A. japonica in lead treatments, respectively. The bioaccumulation factor (BF) of plants was more than 1 in all species in arsenic treatment, whereas it was highest in H. hakuunensis. BF for all species was less than 1 in lead treatment. Particularly, in 2000 mg kg<SUP>-1</SUP> concentration lead treatment, A. japonica accumulated more than 1000 mg kg<SUP>-1</SUP> lead and was expected to be a lead hyperaccumulator. In conclusion, A. japonica and H. hakuunensis were excellent in the accumulation of arsenic heavy metals, and S. koriyanagi was excellent in lead accumulation ability. Therefore, the above mentioned three plants are considered to be strong contenders for application of the phytoremediation technology.

      • KCI등재
      • KCI등재

        불암산 도시자연공원 생태복원지와 식생보전지 수목의 탄소저장량 및 흡수량

        양금철(Keum Chul Yang),김정섭(Jeong Seob Kim) 응용생태공학회 2020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7 No.4

        본 연구는 2013년 7월 부터 2015년 7월 까지 서울시 노원구 불암산 도시자연공원의 잔존림으로 남아있는 식생보전지와 교란 후 복원된 생태복원지에서 수목의 흉고직경을 측정하여 탄소 저장량 및 흡수량을 산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상수리나무군락을 중심으로 한 생태보전지의 수목의 밀도는 약 30 개체/225 m²로 쪽동백나무, 갈참나무, 노린재나무, 물푸레나무, 진달래 등 약 20여종의 수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생태복원지는 대표적으로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등으로 조성되었고, 식재밀도는 각각 8.3, 7.7, 14.3 개체/25 m²로, 신나무, 팥배나무, 생강나무, 진달래 등 약 10여 종의 식생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보전지와 생태복원지에서 식생에 의해 저장되는 전체 탄소량은 각각 250.77, 19.3 ton C ha<SUP>-1</SUP>로, 연간 전체 탄소흡수량은 각각 10.28, 2.33 ton C ha<SUP>-1</SUP> yr<SUP>-1</SUP>로 분석되었다. 이는 도시내 녹지의 탄소흡수능 및 탄소수지 모니터링의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We present a quantitative survey of the carbon storage and absorption capacity of tree species in the vegetation conserv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areas of Bulamsan urban nature park in Nowon-gu, Seoul. The density of the sawtooth oak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in the ecological conservation area is approximately 30 individuals/225 m², while a further 20 species, such as Japanese snowbell (Styrax obassia), galcham oak (Quercus aliena), Asian Sweetleaf (Symplocos chinensis f. pilosa), East Asian ash (Fraxinus rhynchophylla), and Korean rhododendron (Rhododendron mucronulatum) are sparsely distributed. In contrast, the ecological restoration sites typically comprised Mongolian oak (Quercus mongolica), jolcham oak (Quercus serrata), and East Asian ash (Fraxinus rhynchophylla) plantations, with planting densities of 8.3, 7.7, and 14.3 individuals/25 m², respectively. Approximately 10 species, including Amur maple (Acer tataricum subsp. ginnala), Korean mountain ash (Sorbus alnifolia), Japanese spice bush (Lindera obtusiloba), and Korean rhododendron (Rhododendron mucronulatum) were identified in the ecologically restored area. The total amounts of carbon stored by the trees in the vegetation conserv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sites are 250.77 and 19.3 t C ha<SUP>-1</SUP>, respectively, and the total annual carbon uptakes are 10.28 and 2.33 t C ha<SUP>-1</SUP> yr<SUP>-1</SUP>, respectively. The survey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monitoring the carbon absorption capacity and carbon balance of green areas in the city.

      • KCI등재후보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가야산국립공원의 잠재자연식생 추정

        김보묵(Bo-Mook Kim),양금철(Keum-Chul Yang) 응용생태공학회 2017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4 No.2

        본 연구는 가야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지리정보시스템(Geometric Information System, GIS)을 이용 식생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식생분포 확률을 기초로 가야산국립공원의 잠재자연식생을 추정하였다. 가야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조사 결과 128개의 군락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야산국립공원의 고도, 경사, 사면방위, 지형지수, 연평균 온도, 온량지수, 잠재증발산량의 7개 요인을 중심으로 군락별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포확률을 추정하였다. 잠재자연식생의 분포확률이 0.3이상인 군락은 소나무군락의 출현확률이 55.80%로 가장 높았으며, 신갈나무군락이 44.05%, 상수리나무군락이 0.09%, 굴참나무군락이 0.06%로 나타났다. 식생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요인으로 한정할 경우 가야산국립공원의 잠재자연식생은 신갈나무군락(43.1%)과 소나무군락(56.9%)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This study estimate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in Gayasan National Park through the occurrence probability distribution b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 Gayasan National Park.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were analyzed to estimate probability distribution. The presence of the Gaya National Park Vegetation survey results showed that 128 communities were distributed. The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actual vegetation and distribution factors such as elevation, aspect, slope, topographic index, annual mean temperature, warmth index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in Gayasan national park.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communities at least 0.3 odds were the advent of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with the highest 55.80%,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s 44.05%, 0.09% is Quercus acutissima communities, Quercus variabilis communities are found to be 0.06%. If you want to limi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by factor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the Gaya National Park was expected to appear in Quercus mongolica community (43.1%)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56.9%).

      • KCI등재

        환경구배에 따른 Bidens L.속 식물의 성장에 관한 연구

        최상규 ( Sang Kyoo Choi ),양금철 ( Keum Chul Yang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2 No.1

        자생종인 가막사리 (Bidens tripartita), 도깨비바늘 (B. bipinnata), 귀화종인 미국가막사리 (B. frondosa), 흰도깨비바늘(B. pilosa var. minor)의 도깨비바늘속(Bidens) 4분류군의 성장반응과 생태적 지위폭을 비교·분석하기위하여 광도, 토양함수량, 토양무기영양소의 3가지 환경요인별, 구배별 재배실험을 하였다. Phonology는 구배별로 큰 차이가 없으나, 종별로는 차이를 나타내어 귀화종인 2종이 자생종인 2종에 비해 개화 및 결실시기가 늦다. 총건중량은 자생중인 2종에 비해 귀화종인 2종이 대체로 높으며, 구배별로는 광도와 토양합수량이 증가할수록 건중량도 증가하였고, 토양무기영양소 구배에는 반대의 경향이 나타났다. 환경요인별 총건중량은 토양무기영양소, 토양함수량, 광도의 순으로 낮아졌다. NAR은 B. bipinnata와 B. pilosa var. minor에서 광도와 함수량증가에 따른 증가속도가 크며, 반대로 B. tripartita와 B. frodosa는 그 증가속도가 작았다. 그러나 토양무기영양소에 대해서는 영양소 증가에 따라 B. bipinnata와 B. pilosa var. minor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RGR은 광도의 증가에 따라 B. tripartita, B. bipinnata, B. frondosa, B. pilosa var. minor의 순서로 작아졌으며, 토양함수량 구배에서는 B. bipinnata와 B. pilosar, var. minor에서 증가경향이 컸다. 토양 무기영양소 구배에서는 B. piloga와 B. tripartita는 토양무기영양소 증가에 따라 RGR이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Shoot/root ratio는 환경요인별로 종별 변동이 크지 않으나, 자생종인 B. tripartita는 Shoot/root ratio에서 각 환경요인별로 감소 경향이 뚜렷하다. 종별 성장특성의 비교결과 B. pilosa var. minor와 B. tripartita는 양분이 척박한 입지에서 생육이 왕성한 특징을 보이며, B. frondosa는 양분이 풍부한 입지에서 생육이 왕성한 종으로 분석된다. B. tripartita는 광에 대한 형태적 적응이 크고 수분을 좋아하는 특성이 있으며, B. bipinnata는 잎에 대한 형태적 형질은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나 광이 풍부한 입지를 선호한다. Niche breadth는 B. bipinnata가 광도와 토양함수량 구배에서 0.875, 0.845로 가장 넓으며, 토양 무기영양소에서는 B. pilosa var. minor가 0.933으로 넓게 나타났다. B. tripartita는 세 가지 환경요인에서 Niche breadth가 모두 좁았고, B. frondosa는 광도와 토양 무기영양소에서 넓고 토양함수량에서는 가장 좁은 값을 나타냈다. The growth and niche breath of four species, i.e., native plants such as Bidens tripartita and B. bipinnata and naturalized plants such as B. frondosa and B. pilosa var. minor, were studied as related with environmental gradients including light intensity, soil moisture and soil nutri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henology within each environmental gradients while considerable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species; the two naturalized species bloomed and produced fruit later than the two native species. Two naturalized species exhibited relatively higher total dry weight than the two native counterparts within all environmental gradients. Total dry weight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light intensity and soil moisture, and negatively to soil nutrient.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to total dry weight decreased in the order of soil nutrient, soil moisture and light intensity. Both B. bipinnata and B. pilosa var. mino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et assimilation rate (NAR) than other species. Also, NARs of B. bipinnata and B. pilosa var. minor decreased with increasing soil nutrient. Relative growth rate (RGR) decreased in order of B. tripartita, B. bipinnata, B. frondosa and B. pilosa var. minor in response to light intensity. In addition, RGRs of B. bipinnata and B. pilosa var. minor increased in response to soil moisture, while those of B. pilosa var. minor and B. tripartita decreased with increment of soil nutrient. No significant fluctuations of shoot/root ratio were not observed in three species, but a native species, B. tripartita showed a decreased shoot/root ratio in response to soil nutrient. Compari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B. pilosa var. minor and B. tripartita revealed vigorous growth on barren soil. On the other hand, B. frondosa exhibited vigorous growth on fertile soil. Morphologically, B. tripartita adapted to light and required considerable moisture. On the contrary, the leaves of B. bipinnata did not change considerably in their area, although it preferred habitat with abundant light. In terms of niche breadth, B. bipinnata showed the widest ranges of 0.875 and 0.845 for light intensity and soil moisture gradients, respectively. B. pilosa var. minor showed a value of 0.933 for soil nutrient gradient. B. tripartita showed narrow ranges for the three environmental factors, whereas B. frondosa showed wide values for light intensity and soil nutrient, but relatively narrow value for soil moisture.

      • KCI등재

        이원천 수질에 미치는 삼림식생과 토양환경요인

        방제용 ( Je Yong Bang ),양금철 ( Keum Chul Yang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7 No.2

        식생요인, 토양환경요인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1993~1997년의 자료를 토대로 2003~2007년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유역을 11개 소집수역으로 세분하고 하천 유역의 오염원 동태, 식생요인과 하천수질, 토양요인과 하천수질의 상관성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생형은 총 10개 type으로 구분되었으며 식생형별수질과의 상관은 특히, 굴참나무군락에서 용존산소(DO)와 5% 수준(r=0.98)에서, 일본잎갈나무식재림과 T-P는 1% 수준(r=1)에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삼림면적과 총인(Y(T-P)=-0.0017X+0.2215, r=0.16), COD는 Y(COD)=-0.0395X+8.5051 (r=0.47)는 역의 상관을 BOD는 Y(BOD)=0.0098X+3.0381 (r=0.19)로 거의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의 토양형은 서쪽의 토양은 단순하지만 동쪽은 암쇄토를 비롯하여 적황색토, 퇴적토 등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pH는 5.4~6.0의 범위로 나타났는데 전국 토양 pH의 평균치인 5.4~6.9와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TS는 75.8~80.2%, VS는 3.80~5.80%의 범위로 전국의 평균치보다 훨씬 높았다. 표토의 깊이와 유출량과는 Y(run-off)=-1.0088X+35.378 (r=0.68)로 부(-)의 상관이 있는데 상류지역에서는 상관이 낮고, 하류 지역으로 갈수록 높은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상류지역의 경우 평균경사가 높아 표토의 깊이에 관계없이 유출량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상류지역보다는 하류지역의 표토관리를 철저히 해야 유출량이 일정히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토양환경요인과 수질항목 간의 유의성은 토양 pH와 하천수질의 pH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haracterization of the analysis of forest vegetation, soil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water quality were performed from March 2003 to March 2007. The two basins were characterized by cultivated area (Kaesim reservoir) and mountain area (Jangchan reservoir), and divided into eleven small basins, where dynamics of pollutants, forest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surveyed. The vegetation can be divided into 10 types by Z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Pearson coefficients between vegetation type and water quality were correlated with dissolved oxygen (DO) in the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t the 5% level and total phosphorus (T-P) in the Larix leptolepis plantation at the 1% level. Especially total phosphorous and total nitrogen increased in small basins where the proportion of cultivated and residential area increased. The analysis of influences of pollutant discharge on water quality showed that pollutant charge was very low in forest land area (Y(T-P)=-0.0017X+0.2215, r=0.16, Y(COD)=-0.0395X+8.5051 r=0.47). The soil types of western area were comparatively simple, but those of eastern area were complicated with regosols, red-yellow soils, lithosoles, etc. The pH, total solid (TS) and volatile substance (VS) of the forest and agricultural land soils collected in each site were 5.4~6.9, 75.8~80.2%, and 3.80%~5.80%,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 of soil environmental conditions, heavy metal contents fell short to the mean value of natural conditions. Runoff amount (Y) and depth of topsoil (X) were negatively correlated, Yron=-1.0088Xtop+35.378 (r=0.68). The correlation was much lower in up-stream but much higher in down-stream, because permeation into soil particle was larger on down-stream due to its more or less gentle slope. Pearson coefficients between soil pH and water p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1% level.

      • KCI등재

        자연재해 분류 표준안에 관한 고찰

        한승희(Seung-Hee Han),양금철(Keum-Chul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11

        자연재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은 발생한 재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여 방지하거나 저감하는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명확한 자연재해의 범주를 정해야 하고 분류체계를 정비해야 한다. 또한 재해발생 시 신속한 현장조사와 함께 데이터가 구축되어 전문가 차원에서의 원인규명이 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자연재해 분류체계는 자연재해대책법상에 정해져 있다. 그러나 이 분류는 재해의 관리적 차원에서 분류한 것이므로 기술정보의 구축을 위해 전문가적인 입장에서의 재조명이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선진 각국들의 분류사례를 수집분석하고 관련분야의 전문가 의견이 고려된 한국형 분류체계가 필요하다. 자연재해관련 정보의 체계적인 DB가 구축된다면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정보서비스가 가능하며 자연재해로 인한 방재대책을 수립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자연재해의 분류체계를 수집ㆍ분석하여 전문기술분야에 맞는 한국형 자연재해분류체계안과 온톨로지를 제시하였다. Right comprehension of the natural disaster could reduce the damage of human life and property by explaining the cause of the disaster and considering a counterplan to decrease or prevent it. To do this, it should precede to clarify the category of the natural disaster and classification. Also, when the disaster occurs, swift site surve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data by the professionals should be done for clarifying the reason. Our classification of the natural disaster is written on the Law of the Nature Disaster Relief. But, this classification is made for the management of the disaster, so it is required to review the establishment of the technical information by the professionals. Therefore, the Korean type classification is required considered by the professionals who collect and study the information of the natural disaster for the other countries. If the DB of the natural disaster is made, it is able to get various services through the internet virtual space and it will be helpful to prepare the prevent countermeasures against the disaster. In this research, the korean type classification plan of the natural disaster is suggested which is suitable to the professional technology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domestic and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the natural disaster.

      • KCI등재

        산불유형과 회복정도에 따른 낙엽생산량과 임상으로 이입되는 영양염류 함량

        김정섭 ( Jung Sup Kim ),양금철 ( Keum Chul Y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2007년 7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4년 동안 강원도 삼척시에서 산불유형과 산불의 피해로부터 회복정도에 따른 낙엽생산량과 낙엽에 의해 임상으로 이입되는 영양염류 함량을 비교하였다. 산불대조구, 수관화 발생 조사구(C-1, C-3), 지표화 발생 조사구(G-2)에서 4년간 평균 낙엽생산량은 각각 7.74 ± 2.56, 1.17 ± 0.67, 2.97 ± 0.44, 2.92 ± 0.42 ton·ha-1·yr-1로 나타났다. 낙엽 생산을 통해 임상으로 이입되는 4년간 평균 총질소, 총인, 칼륨, 칼슘과 마그네슘의 양은 산불대조구에서 각각 22.20 ± 12.43, 1.16 ± 0.46, 2.68 ± 1.44, 16.22 ± 4.69, 1.36 ± 0.32 kg·ha-1·yr-1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수관화 발생 조사구(C-1)에서는 각각 3.73 ± 2.31, 0.10 ± 0.09, 0.27 ± 0.20, 2.75 ± 2.58, 0.24 ± 0.27 kg·ha-1·yr-1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총질소, 총인,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의 5개의 영양염류를 합산하여 보면 낙엽에 의해 임상으로 이입되는 영양염류의 함량은 산불대조구 > 수관화 발생 조사구(C-3), 지표화 발생 조사구 (G-2) > 수관화 발생 조사구(C-1)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compared the different types of forest fire sites and the unburned site at Samcheuk-si Gangwon-do by assessing the amount of litter production, nutrient concentration returned to forest floor from July 2007 through October 2010.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average amounts of litterfall produced in the unburned site, the crown fire site(C-1), the crown fire site(C-3) and the ground fire site(G-2) were 7.74 ± 2.56, 1.17 ± 0.67, 2.97 ± 0.44 and 2.92 ± 0.42 ton·ha-1·yr-1, respectively. In the unburned site, the average amounts of total nitogen(T-N), total phosphorus(T-P), potassium(K), calcium(Ca) and magnesium(Mg) returned to the forest floor were 22.20 ± 12.43, 1.16 ± 0.46, 2.68 ± 1.44, 16.22 ± 4.69 and 1.36 ± 0.32 kg·ha-1·yr-1, respectively whereas those in the crown fire site(C-1) were 3.73 ± 2.31, 0.10 ± 0.09, 0.27 ± 0.20, 2.75 ± 2.58 and 0.24 ± 0.27 kg·ha-1·yr-1, respectively. This study showed that the nutrient content returned to forest floor was higher in the following order: unburned site(Un) > crown fire site(C-3) > ground fire site(G-2) > crown fire site(C-1).

      • KCI등재

        멀티센서 융합 측위 시스템을 이용한 가로수 탄소저장량 산정 시스템 개발

        김정섭(Jeong-Seob Kim),양금철(Keum-Chul Y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멀티 센서 융합 측위 시스템(Mobile Mapping System, MMS) 기술을 도입하여 가로수의 생육 전 과정에 따른 탄소저장량을 효과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최적화된 가로수 탄소저장량 산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멀티 센서 융합 측위 시스템(MMS)을 이용한 가로수 탄소저장량 산정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메모리, 프로세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신모듈로 구성되어있다. 천안·아산 신도시의(총 거리: 2.1 ㎞, 면적: 283,698 ㎡) 가로수 약 261개를 대상으로 탄소 저장량을 산정을 산정하였다. 평균 현존생물량과 탄소저장량의 경우 메타세콰이어가 각각 34.5 ㎏, 17.3 ㎏ C로 가장 높았고, 이팝나무에서 각각 19.5 ㎏, 9.8 ㎏ C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총 현존생물량과 총 탄소저장량은 은행나무에서 각각 5028.8 ㎏, 2514.4 ㎏ C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팝나무에서 각각 780.7 ㎏, 390.3 ㎏ C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가로수 측정 대상지역 내 가로수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가로수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GIS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가로수 탄소저장량을 구글 형식으로 변환, 3D로 시각화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a new methodology to evaluate the carbon storage using a Mobile Mapping System according to the life cycle of street trees. The system for calculating the carbon storage of a roadside tree using the MMS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a database, memory, processor, user interface, and communication module. The carbon storage was calculated for 261 trees in the Cheonan-Asan New Town (distance: 2.1 ㎞, area: 283,698 ㎡). The average biomass and carbon storage of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were highest at 34.5 ㎏ and 17.3 ㎏ C and Chionanthus retusa were lowest at 19.5 ㎏ and 9.8 ㎏ C, respectively. The total biomass and total carbon storage of Gin㎏o biloba were highest at 5028.8 ㎏ and 17.3 ㎏ C and Chionanthus retusa were lowest at 780.7 ㎏ and 390.3 ㎏ C, respectively. Based on the roadside tree database, the amount of carbon storage in a given area was converted to Google format and visualized in 3D by GIS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