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able Plate를 이용한 대퇴골 인공 삽입물 주위 골절의 치료

        안형선 ( Hyung Sun Ahn ),이기원 ( Ki Won Lee ),김정환 ( Chung Hwan Kim ),이재헌 ( Jae Hun Lee ),전주식 ( Ju Sik Jeon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1

        목적: 인공 고관절 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골 삽입물 주위 골절에서 Cable plate를 이용한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1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인공 고관절 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골 삽입물 주위 골절 환자 10예를 대상으로 평균 1년 8개월간 추 시하였다. 골절의 형태는 Vancouver 분류기준에 따라, B1형이 7예, B3형이 1예, C형이 2예였다. 결과 판정은 평균 골유합 기간, 합병증, Harris 고관절 점수를 통해 시행하였다. 결과: B1형 골절 환자의 평균 골유합 시기는 4.8개월, B3형 골절과 C형 골절의 평균 골유합 기간은 각각 6개월과 8개월이었으며, 합병증으로 2예에서 재골절, 1예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였다. 평균 Harris 고관절 점수는 B1형 골절에서 골절 전 93.2점에서 수술 후 91.5점, B3형 골절은 각각 90점과 85점, C형 골절에서는 92.3점과 72.5점이었다. 결론: Cable plate를 이용한 대퇴골 인공 삽입물 주위 골절의 치료는 많은 장점을 가지나, 골막 혈행의 차단, 재골절 및 금속 부전증의 위험이 있어 골절의 형태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신중한 선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Cable plate fixation for the treatment of periprosthetic femoral fracture after hip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10 cases of periprosthetic femoral fractures after hip arthroplasty between Nov. 2002 and May 2004. The mean follow up periods were 20 months. The fractur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Vancouver classification. Seven cases of type B1, one case of type B3 and two cases of type C were treated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Cable plate. Evaluation of results was based on mean union tim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Harris hip score. Results: The mean time for bony union was 4.8 months in type B1, 6 months in type B3 and 8 months in type C fracture. As for complications, there were refracture, metal breakage and nonunion. The postoperative mean Harris hip score was 91.5 points for type B1, 85 points for type B3 and 72.5 points for type C fracure. Conclusion: Cable plate can be useful for treatment of periprosthetic femoral fractures after hip arthroplasty, but the selection of treatment methods should be cautiously made according to the type of fracture and status of patients.

      • KCI등재
      • 연하장애환자에서 구강훈련이 구강기의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안형선(Hyung Sun An),정원미(Won Mee Jeong),안시내(Si Nae Ahn) 한국인지운동치료연구회 2013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5 No.1

        본 연구는 삼킴관련 장애를 가지고 있는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한 인지운동치료가 구강 감각과 운동기능 그리고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67세 남자로 양쪽 소뇌 경색과 왼바닥 핵 및 시상의 경색으로 사지마비가 되었으며 저하된 구강운동 기능과 감각의 손상을 갖고 있다. 이 연구에서 한 대상에게 인지운동 프로그램을 8주간 적용 하였다. 삼킴 기능의 전후 비교를 MASA, GUSS를 사용하였고 삶의 질의 변화를 SWAL-QOL로 측정하였다. 결과: MASA 점수는 치료 전의 항목들의 총점은 108점 이었으며 치료 후의 총점은 160점으로 향상 되었다(p<.05). GUSS 점수는 치료 전의 항목들의 총점은 1점 이었으며 치료 후의 총점은 4점으로 향상 되었다(p<.05). 또한 삶의 질을 측정하는 SWAL-QOL 점수는 치료 전의 항목들의 총점은 82점 이었으며 치료 후의 총점은 114점으로 향상 되었다 (p<.05). 결론? 인지운동치료가 삼킴 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에게 유익한 효과를 보였고 특히 구강준비단계와 구강단계에 효과를 보였다. This cas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CTE) on oral sensory, motor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poststroke. Methods: Subject was a 67 year-old male with quadriplegia, poor oral motor function and sensory impairment due to both cerebellum infarction, cerebral infarction of the left Basal ganglia and right thalamus. This study was CTE programs were applied in single subject for 8weeks. To compare swallowing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each MASA, GUSS used. also, the change of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with a SWAL-QOL. Data analysis were used to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and univariate ANOVA. Results: Subject was significantly to MASS score(p<.05), GUSS score(p<.05). Also, he was signifi-cantly to SWAL-QOL(P<.05).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e that the cte therapy are beneficial in improving the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J Korean Society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2013;5:55-65)

      • KCI등재

        외상에 의한 상완골 간부골절의 전향적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김유진 ( Eu Gene Kim ),안형선 ( Hyung Sun Ahn ),최영준 ( Young Joon Choi ),김정환 ( Chung Hwan Kim ),황재광 ( Jae Kwang Hwang ),이종하 ( Jong Ha Lee ) 대한외상학회 2005 大韓外傷學會誌 Vol.18 No.1

        Background: We evaluated the clinical and the radiological results of treatment for humeral shaft fractures by using an antegrade intramedullary nail. Methods: Thirty-nine (39) cases of humeral shaft fractures treated with antegrade intramedullary nail were evaluated. Bone union was evaluated with simple radiographic findings, and a functional evaluation was done using th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Results: The average duration until union was 14.1 weeks. On the functional evaluation using the ASES score, 15 cases were excellent, 19 cases good, 3 cases fair, and 2 cases poor. Conclusion: We conclude that antegrade intramedullary nailing has a goo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 for treatment of humeral shaft fractures.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 통증

        조우신(Woo-Shin Cho),안형선(Hyung-Sun Ahn),김민영(Min-Young Kim),설의상(Eui-Sang Seol),이성우(Sung-Woo Lee),최지원(Ji-Wo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1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슬관절 통증의 연관인자, 양상, 통증의 정도와 지속 기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69명을 대상으로 전향적인 방법을 통하여 술 후 1년 간의 슬관절 통증을 분석하였다. 일상에서 느끼는 통증의 정도와 활동양상에 따른 통증의 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이용하여, 수술 후 6주, 3개월, 6개월, 12개월에 외래방문 시 조사하였다. 수술 전 HSS 점수, 관절 변형 및 슬관절 운동범위와 수술시 치환물의 종류 및 수술과정, 술 후 1년에 HSS 점수, 슬관절 운동범위를 분석하여, 통증의 지속기간, 통증의 양상과 연관성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HSS 점수는 평균 61.4점에서 수술 6개월 후 평균 90.2점, 수술 1년 후 94.6점으로 향상되었다. 환자의 키, 체중, 체질량지수, 슬관절 변형정도, 수술 전후 슬관절 운동범위, 치환물의 종류 및 수술법 등은 통증의 변화정도와 연관성이 없었다. 통증의 정도는 visual analoge scale상 수술 후 6주에는 모두에서 조금이라도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이들의 VAS 점수는 4.3±1.0점, 3개월째는 58명으로 이들의 평균 접수는 2.7±0.9점, 6개월째는 9명으로 1.6±0.4점, 1년에는 5명으로 l.3±0.4점이었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하는 통증은 대부분 수술 후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드나, 술 후 1년까지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pain, the pattern of pain, as well as the intensity and duration after a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As a prospective study, 69 osteoarthritic knee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from Jan. 2004 to Nov. 2004, were examin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in order to determine the pain intensity, duration, pain character and pattern at 6 weeks,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after surgery. We checked for possible factors such as height,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HSS score, deformity, range of motion preoperatively, prosthesis type and operation procedure intraoperatively, the HSS score and range of motion at postoperative one year. The Pearson correlation test and Kruskal-Wallis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mean preoperative and 1-year postoperative HSS score was 61.4 and 94.6, respectively. The height,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HSS score, deformity, range of motion, prosthesis type and surgical procedure were not related to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the pain. The mean postoperative VAS score at 6 weeks and 3, 6 and 12 months was 4.3±1.0, 2.7±0.9, 1.6±0.4, 1.3±0.4, respectively. Five patients had mild pain until postoperative one year. Conclusion: The pai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disappeared with time. However, mild knee pain sometimes remained even 1 year after surgery.

      • KCI등재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에 속발된 관절의 변화와 전방십자인대 기능 소실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최영준 ( Young Joon Choi ),안형선 ( Hyung Sun Ahn ),김정환 ( Chung Hwan Kim ),황재광 ( Jae Kwang Hwang ),이기원 ( Ki Won Lee ),최지호 ( Ji Ho Choi ),한희돈 ( Hee Don Han ),이선우 ( Sun Woo Lee ) 대한슬관절학회 2008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0 No.2

        목적: 슬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에 속발된 관절의 변화와 전방십자인대 기능 소실과의 연관성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8년 1월까지 슬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받은 815예를 대상으로 하여 굴곡 구축, 대퇴-경골간 각, 경골극의 전위 및 후내측 경골 고평부 마모를 측정하여 이 소견들과 전방십자인대 기능소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방십자인대가 비정상인 환자군과 정상인 환자군의 굴곡구축의 평균은 각각 10.7°, 8.8°로 전방십자인대 소실 유무에 따른 굴곡 구축의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대퇴 경골간 각은 전방십자인대가 비정상인 환자군과 정상인 환자군의 평균이 각각 내반 7.97°, 4.38°로 기능 소실 유무에 따른 내반 변형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0.000) 15° 이상의 내반을 보이는 예에서는 77.6%에서 전방십자인대의 기능이 소실되어 있었다. 경골극 전위는 전방십자인대 소실 유무를 예견할 수는 없었다. 후내측 경골 고평부 마모는 전방십자인대가 비정상인 군에서 유의하게 높아서 골 마모와 인대의 소실과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p=0.000) 마모가 있는 군의 85%에서 전방십자인대가 소실되어 있었다. 결론: 15° 이상의 내반 변형과 후내측 경골 고평부의 마모는 전방십자인대의 소실을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hritic changes and a deficiency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 osteoarthritic kne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3 and January 2008, 815 cases of total knee arthroplasty that were due to degenerative osteoarthritis of the kne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lexion contracture, the tibia-femoral angle, translocation of the tibial spine and erosion on the posteromedial tibial plateau were assessed and we tri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indings and an ACL-deficiency. Results: The mean flexion contracture in the knees with a deficient ACL was 10.7° and this was 8.8° in the knees with an intact ACL,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The tibia-femoral angle of the patients with an ACL-deficiency was 7.97° varus on average, and that for patients with an intact ACL was 4.38° varus, and the difference was found to be highly dependent upon the ACL`s integrity (p=0.000). 77.6% of the knees with varus deformity exceeding 15° showed an abnormal ACL. Translocation of the tibial spine doesn`t predict ACL integrity. Bone erosion on the posteromedial tibial plateau was significantly frequent in patients with ACL-deficient knees (p=0.000). For the knees with erosion on the posteromedial tibial plateau, 85% of these knees showed an ACL deficiency. Conclusion: Varus deformity exceeding 15° and erosion on the posteromedial tibial plateau can reflect ACL deficiency.

      • KCI등재

        대퇴사두근-보존형 최소 침습 슬관절 전치환술의 초기 결과

        최영준(Young-Joon Choi),안형선(Hyung-Sun Ahn),김정환(Chung-Hwan Kim),황재광(Jae-Kwang Hwang),이기원(Ki-Won Lee),전주식(Ju-Sik Jeon),이재헌(Jae-Heon Lee),하정기(Jung-Ki Ha)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1

        목적: 최소 침습 슬관절 전치환술의 초기 임상 결과와 방사선 결과를 평가하고 고식적인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와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8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한쪽은 대퇴사두근-보존형 최소 침습 수술을, 한쪽은 고식적인 방법으로 수술을 시행한 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임상적인 결과의 비교는 운동 범위의 측정과 슬관절 학회 점수(Knee Society Score)를 사용하였으며, 방사선적 평가는 술 전과 술 후 2주, 6주, 3개월, 1년에 기립상 전후면, 앙와위 측면 및 Merchant 방식 단순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통계적 검증은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결과: 슬관절 운동 범위는 최소 침습 군이 고식 군에 비하여 모든 기간에서 좋았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 3개월 및 1년에 비교한 슬관절 학회 점수도 양 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양군 모두 삽입물의 정렬이 만족스러웠으며 Merchant 방식에서 측정한 슬개 정렬은 모든 기간에서 최소 침습 군이 고식군에 비해 양호하였다. 결론: 최소 침습 군과 고식 군은 1년 추시에서 임상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방사선 검사 상 술 후 1년 추시까지 대퇴사두근-보존형 최소 침습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군에서 고식적인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군보다 양호한 슬개 정렬을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assessed the early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Quadriceps sparing total knee arthroplasty (MIS-QS TKA), and compared these results with those of conventional TK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ugust 2004 and March 2005, 17 patients with bilateral TKA on their one side using a regular procedure and the other using the MIS-QS technique were evaluated and compared. The clinical assessment was performed by measuring the range of motion, Knee Society Score, and a radiological evaluation by standing anteroposterior, supine lateral, and Merchant view preoperatively, 2 weeks, 6 weeks, 3 months and 1 year after surger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paired t-test. Results: The average range of knee motion was slightly larger in the MIS-QS group at all periods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Knee Society Score was similar at the 3 month and 1 year periods. The alignment of the implants was satisfactory in both groups and postoperative patellar alignment checked in the Merchant view was better in the MIS-QS group at all periods. Conclu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linical aspects at 1 year period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MIS-QS group showed better patellar alignment than the conventional group for up to 1 year.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 이소성 골화로 인하여 발생한 골성 강직 -증례 보고

        최영준 ( Young Joon Choi ),안형선 ( Hyung Sun Ahn ),김정환 ( Chung Hwan Kim ),황재광 ( Jae Kwang Hwang ),이기원 ( Ki Won Lee ),하정기 ( Jung Ki Ha ),김재현 ( Jae Hyoun Kim ),주윤석 ( Youn Suk Joo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4

        슬관절 전치환술 후에 발생한 이소성 골화가 진행하여 골성 강직이 발생한 경우는 매우 드물며, 국내에 보고된 예를 찾을 수 없다. 저자들은 외상성 관절염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48세 여자 환자에서 상기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Bony ankylosis secondary to heterotopic ossification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is extremely rare, an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has been no reported case of this in Korea. We present such a case in a 48 year-old female who underwent primary total knee replacement due to traumatic osteoarthritis.

      • KCI등재

        경피적 추체 성형술을 이용한 골다공증성 추체 압박 골절 치료 (99명, 171추체)

        김정환 ( Chung Hwan Kim ),안형선 ( Hyung Sun Ahn ),황재광 ( Jae Kwang Hwang ),송정석 ( Jung Suk Song ),배의정 ( Eui Jung Bae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골다공증성 추체 압박 골절에 대해 경피적 추체 성형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연속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들의 임상 증상과 방사선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추시기간과 골밀도 측정치에 따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3년 9월까지 골다공증성 추체 압박골절에 대해 경피적 추체 성형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연속 추시가 가능했던 99명, 171추체를 대상으로 추시 기간에 따라 2~3년, 3~4년, 4년 이상의 3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골밀도 측정치에 따라 BMD -3.0 이상, -3.0 이하의 2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의 입상 증상과 방사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임상 증상 분석은 대상 환자를 개체로 하였으며 방사선 결과 분석은 대상 추체를 개체로 하였다. 임상 결과는 우수, 양호, 보통, 저하, 불량으로 나누어 평가하였으며 방사선 결과는 추시 기간에 따른 추체 높이의 변화를 측정하고 회복률과 상실률을 비교 평가하였다. 통계는 Chi-squire test와 Independent-Samples T test들 이용하였다. 결과: 추시 기간에 따른 분류에서 임상 증상은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p>0.05) 추체 높이 회복 상실률은 I군 (2~3년 추시)과 III군 (4년 이상 추시)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p<0.05) 그 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골밀도 측정치에 따른 분류에서는 각 군 간에 임상 증상과 추체 높이 회복 상실률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결론: 골시멘트를 이용한 경피적 추체 성형술은 골다공증성 추체 압박골절 환자의 치료에서 추시 기간이나 골밀도 측정치에 관계없이 만족스러운 임상 결과와 방사선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vertebroplasty among the groups based on follow-up period and BMD.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99 patients (171 vertebral bodies) underwent percutaneous vertebroplasty from January 2001 to September 2003.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by follow-up periods, and also divided into 2 groups by BMD.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radiologic & clinical effects among the groups. Radiologic findings was assessed as vertebral height restoration rate and rate of reduction loss by measurement of the height of vertebral body. The clinical outcomes were graded into 5.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Chi-squire test and Independent-samples T test. Results: Among the groups divided by follow-up perio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clinical & radiologic results except the rate of reduction loss between group I and group III (p>0.05). Between the groups divided by BM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Conclusion: Percutaneous vertebroplasty with bone cement for the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 is an efficient procedure and considered as technique producing pleasurabl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regardless of follow up-period and BMD.

      • KCI등재

        MIPPO 수기를 이용한 원위 경골 골간단 골절의 치료

        이호승,김정재,오세관,안형선,Lee, Ho-Seung,Kim, Jung-Jae,Oh, Se-Kwan,Ahn, Hyung-Su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4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8 No.2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MIPPO (minimal invasive percutaneous plate osteosynthesis) technique for distal tibial metaphyse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It is a retrospective study of 13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MIPPO technique for distal tibial metaphyseal fractures from Jan. 2001 to Jan. 2003. The average age was 46.7 years and mean follow-up period was 13.3 months. According to AO classification, there were 8 cases of A1, 3 cases of A2, 1 case of B1 and 1 case of C2. One case of A1 was a Gustilo-Anderson type I open fracture and fibular fractures were combined in 12 cases. We applied anatomical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the fibular fractures and internal fixation on the medial side of the tibia by MIPPO technique for distal tibial metaphyseal fractures.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radiographic results, Neer score, the starting time of postoperative exercise and clinical complications. Results: According to the Neer score, all cases showed satisfactory results. Active ankle ROM was started at average 2.4 weeks ($2{\sim}4$ weeks) and full weight bearing ambulation at average 5.2 weeks ($4{\sim}8$ weeks) postoperatively. Union of fractures was obtained by average 14.4 weeks ($8{\sim}18$ weeks) postoperatively. Two cases showed $5^{\circ}$ limitation of motion without functional deficits and other cases showed satisfactory ROM results. One case had $6^{\circ}$ valgus deformity without functional deficits. There were not any other complications like soft tissue problems and delayed-or non-union. Conclusion: MIPPO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distal tibial metaphyseal fractures is a feasible technique with a good clinical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