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자간증과 선천성 면역

        안현경 ( Hyun Kyong Ahn ) 대한주산의학회 2011 Perinatology Vol.22 No.2

        Preeclampsia(PE) remains a leading cause of maternal and fetal morbidity and mortality. Despite decades of intense research on the problem, there is no early pregnancy screening test to recognize those at risk. Recently, altered immune responses have been suspected to be involved in preeclampsia pathogenesis, which may concern the inflammatory context in which an immune response is mounted. In this review, the innate immunologic pathogenesis of the preeclampsia is reviewed.

      • KCI등재

        다운증후군의 산전진단을 위한 초음파를 이용한 선별검사

        문명진 ( Myoung Jin Moon ),류현미 ( Hyun Mee Ryu ),정진훈 ( Jin Hoon Chung ),임하정 ( Ha Jung Lim ),최준식 ( June Seek Choi ),김주오 ( Joo Oh Kim ),신중식 ( Joong Sik Shin ),안현경 ( Hyun Kyong Ahn ),한정렬 ( Jung Yul Han ),김문영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8

        목적: 다운증후군으로 진단된 태아 중 임신 중기에 정밀초음파를 시행한 59예의 초음파 소견을 분석하여, 유전학적 초음파 검진의 유용성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단독 유사비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3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성균관대학교 삼성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염색체검사를 통하여 다운증후군으로 진단된 태아 중 본원에서 임신중기 정밀 초음파 (level II sonography)를 시행한 총 59예를 대상으로 임상기록 및 초음파 기록을 Objective: To determine the risk of Down syndrome in fetuses with sonographic markers using the likelihood ratios and individual risk assessment.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midtrimester genetic sonographic features of fetuses with Down synd

      • KCI등재

        자연적으로 임신된 쌍둥이 임신에서 단일융모막성이 주산기 결과에 주는 영향

        신중식 ( Joong Sik Shin ),양재혁 ( Jae Hyug Yang ),류현미 ( Hyun Mee Ryu ),김문영 ( Moon Young Kim ),한정열 ( Jung Yeol Han ),안현경 ( Hyun Kyong Ahn ),정진훈 ( Jin Hoon Chung ),임하정 ( Ha Jung Lim ),김주오 ( Joo Oh Kim ),최준식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적으로 임신된 쌍둥이 임신에서 태반의 단일융모막성이 주산기 결과에 영향을 주는 예후 인자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삼성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된 1145쌍의 쌍둥이 임신의 데이터 베이스를 분석하였고, 이 중 371쌍의 자연 쌍둥이 임신을 연구군으로 정하였으며 임신부와 신생아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융모막성은 분만 후 조직검사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onochorionicity as a risk factor for adverse perinatal outcomes in spontaneously conceived twins. Methods : Using an established database, the study included pregnant women with spontaneously conceive

      • KCI등재

        임신초기 약물노출 후 임신결과; 10년간의 경험 -생식 발생 독성 정보 활용화 방안 연구-

        최준식 ( June Seek Choi ),한정열 ( Jung Yeol Han ),안현경 ( Hyun Kyong Ahn ),이시원 ( Si Won Lee ),김민형 ( Min Hyoung Kim ),정진훈 ( Jin Hoon Chung ),류현미 ( Hyun Mee Ryu ),김문영 ( Moon Young Kim ),양재혁 ( Jae Hyug Yang ),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1

        Purpose: In Korea, pregnancy termination is frequently reported among women who took medications for an acute or chronic disease during pregnancy, for fear of teratogenic risk.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a service providing evidence-based information is helpful for women who week counseling to make a rational decision regarding their pregnanci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whether termination of pregnancy based on such perceptions, is justified using the `DRug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in Moms` (DREAM) registry. Methods: The study included 5,032 consenting pregnant women from the clinic and call center at the Korean Motherisk Program, from November 1999 to October 2008. The DREAM registry recorded the pregnancy outcomes (preterm birth, low birth weight, intrauterine fetal death, and congenital anomaly) of 3,328 women. Results: Among women exposed to medications, time of exposure ranged from 3.5-4.6 weeks of gestation. There were 1,308 different drugs prescribed to these women. The drug most frequently prescribed was acetaminophen followed by chlorpheniramine maleate, and pseudoephedrine. There were 4.7% (n=156/3,328) women who underwent a voluntary abortion for fear of birth defects. We compared frequency of birth defects between exposed women and unexposed pregnant women in our institution during gestation. The frequency of major congenital malformations was 2.5% (n=74/2,977) in exposed group and 2.9% (n=75/2,573) in unexposed group (P=0.3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osed and control group in the rate of preterm births, intrauterine fetal death and low-birth weight babies. Conclusion: We did not observe increased risk of congenital malformations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in a population of pregnant women exposed to a variety of medications. Therefore these medications are not considered teratogen.

      • KCI등재

        임신시기별 임신부의 체중증가율과 신생아 체중과의 연관성

        박혜원 ( Hye Weon Park ),이민영 ( Min Young Lee ),이재라 ( Jea Ra Lee ),한유정 ( You Jung Han ),이시원 ( Si Won Lee ),정진훈 ( Jin Hoon Chung ),안현경 ( Hyun Kyong Ahn ),한정열 ( Jung Yeol Han ),류현미 ( Hyun Mee Ryu ),김문영 ( Mo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10

        목적 임신부의 임신분기별 체중증가율을 조사하여 신생아 체중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제일병원에서 임신 10주 이전에 외래에 등록하여 정기적인 산전진찰을 받고, 만삭의 단태아를 출산한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고, 의무기록을 조사한 후향적 연구이다. 임신 전부터 만성적 내과 질환을 앓고 있었던 산모와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된 산모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산모의 나이, 출산력, 임신 전 체질량지수, 출산주수를 보정한 뒤, 출산력에 따라 임신분기별 체중증가율(kg/wk)과 출생체중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2,105명의 산모가 포함되었으며 미산부가 1,266명, 경산부가 839명이었다. 상관 분석에서, 출산력에 관계 없이 미산부와 경산부 모두에서 임신2분기의 체중증가율이 다른 분기들에 비해 신생아 출생체중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결론 산전진찰 시 적절한 체중의 신생아를 출산하기 위하여 산모의 2분기 체중증가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gestational maternal weight gain during each trimester and neonatal birth weight.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Data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of women who received her first antenatal care before 10 weeks` of gestation and delivered term singleton neonates at Cheil General Hospital. Correlation between rate of maternal weight gain at each trimester (kg/wk) and neonatal birth weight was analyzed according to parity after adjustment for maternal ag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total weight gain, and gestational age at delivery. Results A total of 2,105 pregnant women were included. Of them, 1,266 women were nullipara and 839 women were multipara. In correlation analysis, maternal weight gain at the second trimester was more associated with neonatal birth weight than those of other trimesters, regardless of parity. Conclusion We suggest that obstetricians should be more concerned about maternal weight gain at the second trimester for appropriate neonatal birth weight.

      • KCI등재

        임신중 자궁부속기 종양의 수술적 가치

        김주명 ( Joo Myung Kim ),심규민 ( Kyu Min Shim ),이원식 ( Won Sik Lee ),이금정 ( Keum Jung Lee ),최준식 ( June Seek Choi ),허걸 ( Kuol Hur ),정상희 ( Sang Hee Jung ),신중식 ( Chung Sik Shin ),안현경 ( Hyun Kyong Ahn ),한정렬 ( Ju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9

        목적 : 임신중에 진단된 자궁부속기 종양의 수술적 처치의 안전성과 시기 그리고 수술 후 임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임신중에 진단된 자궁부속기 종양에 대해 수술적 처치를 시행한 171명을 대상으로 그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종양의 성상, 수술 적응증 그리고 수술 시기 등이 임신예후에 미치는 영향들을 진료기록을 검토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예후가 불량한 임신결과는 조기 분만, 자궁내 태아사망, 자연 유산, 주산기 사망으로 정의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PSS에 의한 t-test와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 임신중 수술을 필요로 하였던 자궁부속기 종양의 발생빈도는 292.3분만당 1이였다. 악성이나 경계성 악성종양은 12예로서 7%를 차지하였다. 43예의 응급수술중에서 31예 (72%)가 염전으로 인하여 수술을 시행받았다. 18예의 예후가 불량한 임신결과가 있었으며, 자연유산 3예, 자궁내 태아사망 1예, 조기분만이 14예 이었다. 응급으로 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선택적 수술을 시행한 경우보다도 더 많은 예후불량의 임신 결과를 보였으며 (11/43 [25.6%], 7/118 [5.9%] P=.001), 임신 20주 이후와 20주 이전에 수술이 시행된 경우를 비교해 보았을 때 임신 20주 이후에 수술이 시행된 경우 조산을 비롯한 예후 불량의 임신결과가 더 많았다 (6/16 [37.5%], 12/145 [8.3%] P=.004). 결론 : 임신중 진단된 자궁부속기 종양 중에서 수술의 기준이 되는 경우에는 임신 제2삼분기 초반에 사전 계획된 선택적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향후에 발생할 수 있는 종양의 합병증 (염전, 파열 등)으로 인한 응급수술을 예방하고 악성 종양의 진단이 늦어져서 생길 수 있는 위험성을 감소시켜 산모와 태아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fety and timing of the surgery and fetal outcome of pregnancy complicated by a persistent adnexal mass that was required surgical intervention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71 cases of adnexal masses during pregnancy that were required surgery at Samsung Cheil Hospital & Women`s Healthcare Center between 1996 to 2001. We analysed medical records for characteristics of tumor, indication and timing of surgery and the effect of pregnancy outcome. Adverse pregnancy outcome is defined as preterm delivery, spontaneous abortion, intrauterine fetal death and perinatal death. The obtained data were analysed using t-test and Fisher`s exact test by SPSS. Results : The incidence of adnexal masses during pregnancy that required surgical management was 1 in 292.3 live births. A malignant tumor or a tumor of low malignant potential was found in 7% of cases. A total of 43 patients underwent surgery under emergency condition, 31 (72%) of which were done due to torsion. There were 14 preterm delivery, 3 spontaneous abortion, 1 intrauterine fetal death, 1 perinatal death and 2 artificial abortion in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verse pregnancy outcome between elective and emergency group (7/118 [5.9%] versus 11/43 [25.6%] P=.001), and surgery group that before 20 week`s gestation and those of after 20 week`s gestation (12/145 [8.3%] versus 6/16 [37.5%] P=.004). Conclusion : When necessary and feasible, surgery should be scheduled for the early portion of the second trimester, when organogenesis is complete and most spontaneous abortion have occurred, but before later risks of technical difficulties and premature labor. Also we recommend early diagnostic evaluation and immediate surgical intervention of adnexal masses as problematic adnexal mass diagnosed during pregnancy to prevent the risk of emergency surgery associated with adnexal complication (torsion, rupture and hemorrhage) and the risk of delayed diagnosis of malignancy.

      • KCI등재

        태아의 염색체의 수적 이상을 유발하는 모계 위험인자로서 5, 10-Methylen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 C677T)와 Methionine Synthase Reductase (MTRR A66G) 유전자의 다형성 연구

        김도진(Do Jin Kim),김신영(Shin Young Kim),박소연(So Yeon Park),김진우(Jin Woo Kim),김문영(Moon Young Kim),한정렬(Joung Yeol Han),양재혁(Jae Hyug Yang),안현경(Hyun Kyong Ahn),최준식(Jun Seek Choi),정진훈(Jin Hoon Chung),류현미(Hyun Me 대한의학유전학회 2008 대한의학유전학회지 Vol.5 No.2

        목적: 다운증후군을 비롯한 염색체의 수적이상은 태아의 유산이나 정신박약의 가장 큰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엽산 대사에 관련된 효소의 다형성(MTHFR C677T, MTRR A66G)을 조사하여 태아의 염색체 수적이상과 유전적인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염색체 수적이상이 확인된 태아를 임신한 37명의 산모와 유산이나 비정상적인 임신을 한 경험이 없고 2명 이상의 건강한 아이를 출산한 78명의 여성을 정상군으로 하여 혈액으로부터 DNA를 추출하고 PCR-RFLP를 이용하여 각 지역의 다형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MTHFR C677T 유전자형은 CC, CT, TT에 대해 각각 30.7%, 48.7%, 20.6%였으며, 환자군에서 각각 37.8%, 48.6%, 13.5% 였다. 정상군과 환자군 사이 모든 조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립유전자의 비율 역시 대조군과 환자군에서 각각 44.9%, 37.8%였으며,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MTRR A66G 유전자형은 대조군에서 AA, AG, GG에 대해 각각 50.0%, 46.1%, 3.9%였으며, 환자군에서는 각각 13.5%, 81.1%, 5.4%였다. MTRR의 정상 유전자형인 AA와 이형접합성 변이형인 AG 유전자형을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OR: 6.5, 95% CI: 2.3-18.6, P<0.05), 정상이 아닌 모든 다른 유전자형(AG/GG)과 비교하였을 때에도 역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OR: 6.4, 95% CI: 2.3-18.1, P<0.05). 결론: 본 연구에서는 MTHFR 677번째 염기의 다형성은 염색체 비분리로 인한 태아 염색체의 수적이상과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나, MTRR 66부위의 경우 염기의 다형성이 태아 염색체의 수적이상을 유발하는 유전적 요소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Purpose: Aneuploidy is the cause of diseases such as Down syndrome or Edward syndrome and, more generally, is a major cause of mental retardation and fetal lo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MTHFR (C677T) or MTRR (A66G) polymorphisms and fetal aneuploidy. Materials and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37 women who had a fetus with aneuploidy (cases) and 78 women who had previously delivered at least two healthy children without aneuploidy and did not have a history of miscarriage or abnormal pregnancy (controls). The MTHFR (C677T) or MTRR (A66G) polymorphisms were analyzed by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ssay. Results: The frequencies of the MTHFR 677 CC, CT, and TT genotypes were 30.7%, 48.7%, and 20.6% in the control group and 37.8%, 48.6%, and 13.5% in the case group,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otype frequenci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 MTRR A66G polymorphism, the frequencies of the AA, AG and GG genotypes were 50%, 46.1%, and 3.9% in the control group and 13.5%, 81.1%, and 5.4% in case group,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the MTRR AG muta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ase group, with an odds ratio of 6.5 (95% CI: 2.3-18.6, P<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ther carriers with the MTRR G allele have an increased risk of fetal aneuploidy, while the MTHFR T allele is not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fetal aneuploidy. The MTRR A66G polymorphism may be a risk factor for producing a child with chromosomal aneuploidy.

      • KCI등재

        계류유산 환자에서 자궁 경을 통한 유산아 관찰의 진단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양광문 ( Kwang Moon Yang ),차선화 ( Sun Hwa Cha ),김해숙 ( Hae Suk Kim ),김진영 ( Jin Young Kim ),김혜옥 ( Hye Ok Kim ),안현경 ( Hyun Kyong Ahn ),최준식 ( June Seek Choi ),류현미 ( Hyun Mee Ryu ),강인수 ( In Soo Kang ),궁미경 ( Mi 대한산부인과학회 200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8 No.2

        목적: 임상적으로 인지된 임신의 약 15-20%는 자연유산 되며, 이런 유산의 60-70%는 염색체 이상에 의한다. 하지만 이런 자연유산의 유산산물에 대한 발생학적 관점에서의 연구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계류유산에서 유산아의 해부학적 이상을 검사하는데 있어 자궁 경 검사를 이용한 유산아 관찰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 유산아의 관찰소견과 염색체 검사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3년 8월 1일부터 2003년 Objective: Approximately 15-20% of all clinically recognized pregnancies result in spontaneous abortion and 60-70% of these are attributable to detectable chromosome abnormalities. Although the incidence of first trimester losses is high, spontaneous abor

      • KCI등재

        수유 중 약물 복용에 따른 불안과 수유율

        차선화 ( Sun Hwa Cha ),한정열 ( Jung Yeol Han ),김해숙 ( Hae Suk Kim ),전선영 ( Seon Young Jeon ),허윤희 ( Yoon Hee Huh ),이경자 ( Kyong Ja Lee ),안현경 ( Hyun Kyong Ahn ),최준식 ( June Seek Choi ),김경아 ( Kyung Ah Kim ),신손문 ( 대한주산의학회 2003 Perinatology Vol.14 No.3

        목적: 수유부에서 약물 노출의 종류와 빈도 및 이들 약물에 노출시 수유아에 어느 정도 우려되는 영향을 미치는지 느끼는 정도와 이러한 우려가 모유 수유율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2003년 4월 15일부터 2003년 5월 15일까지 삼성제일병원 산부인과 외래에 출산 후 8주에 내원한 산모 중 설문에 답했던 91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출산력, 분만방법, 모유수유 여부, 약물 노출의 빈도와 종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10cm Visual analogue scale를 이용하여 수유부가 복용했던 약물에 의해 영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31세였으며, 평균 출산 아기 수는 1.3 명이었다. 이들의 출산 후 8주에 수유율은 65.9%(60/91)이었다. 모유수유를 선택하지 않고 분유를 선택한 이유는 젖이 잘 나오지 않아서가 38.7%(12/31)이었으며, 직장 12.9%(4/31), 함몰유두 6.5%(2/31), 약물복용 3.2%(1/31), 유방울혈 3.2%(1/31), 순이었으며, 기타는 35.5%(11/31)이었다. 모유 수유율과 관련된 변수들 중 산모의 나이와 출산아이의 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출산 방법에 따른 모유 수유율은 정상자연분만은 76.9%(30/39), 유도분만에 따른 정상질식분만 70.0%(14/20), 그리고 제왕절개술 50%(16/32)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수유 중 약물 사용율은 50%(30/60)이었으며, 복용한 약물의 종류는 단일 노출로는 한약이 가장 많아 36.7%(11/30)이었으며, 영양제 10%(3/30), 감기약 6.7%(2/30)순이었고, 복합적으로 처방 받은 예를 포함하면 한약은 46.7%에 이른다. 수유 중 약물 노출 후 수유부가 느끼는 영아에 미치는 나쁜 영향의 정도는 약 49%이며, 출산방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면 자연질식분만이 46.5±6.6%, 유도분만 48.9±8.6%, 그리고 제왕절개술 51.2±8.2%으로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분만과정에서 중재가 심할수록 산모가 느끼는 약물이 신생아에 미치는 우려의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결론: 대부분의 수유부는 수유 중 모체의 약물 복용이 수유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실제 이는 모유 수유율을 감소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Objective: To determine the type and frequency of medication taken by breast-feeding women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ternal anxiety related to medication during lactation on the breast-feeding rate. Methods: From April 15 to May 15 2003, we conducted a survey with a prepared questionnaire on ninety-one mothers who visited the obstetric clinics of Samsung Cheil hospital at eight weeks after delivery. The questionnaire contained information about parity, mode of delivery, whether to feed breast-milk, and the type and frequency of medicinal exposure. We also asked the degree of perceived adverse effects on her baby associated with maternal medication using 10cm visual analogue scale. Results: The mean age of respondents was thirty-one years and the mean number of children born to the respondents was 1.3. At the eighth week after delivery the breast-feeding rate was 65.9%. The breast-feeding rate was not related to maternal age or the number of children but rather, the mode of delivery, which was 76.9% in NSVD, 70.0% in vaginal delivery with labor induction and 50% in cesarean delivery(P<0.05). The frequency of maternal medication intake during lactation was 50%. The most frequent type of medicine was herb medicine (36.7%). The average score of perceived adverse effect on a respondent`s baby during breast-feeding was about 49% in total, which was 46.5% in NSVD, 48.9% in vaginal delivery with labor induction, and 51.2% in cesarean delivery. Conclusion: Most nursing mothers think that their medications during lactation affect adversely their babies, who, in turn, may be associated with the decrease of breast-feeding rate.

      • KCI등재

        임신 중절 적응증의 최근 경향 변화 ( 1993 - 2000 )

        김지은(Ji Eun Kim),한정열(Jung Yeol Han),오동출(Dong Chul Oh),김연주(Yon Ju Kim),정영철(Young Chul Chung),정상희(Sang Hee Jung),최준식(June Seek Choi),박소연(So Yeon Park),안현경(Hyun Kyong Ahn),오민정(Min Jeong Oh),류현미(Hyun Mee R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11

        N/A Objective : To evaluate the recent trend of indication for pregnancy termination. Method : From 1993 to 2000, 1,087 cases of termination out of 61,842 cases of deliveries in Samsung cheil hospital were analyzed. W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data-base and charts of delivery, and analyzed the indication for pregnancy termination. Results : Among 61,842 cases of deliveries, indications of pregnancy termination were fetal structure anomalies in 399 cases (0.7%), IUFD in 261 cases (0.4%), PROM in 215 cases (0.4%), chromosomal anomalies in 138 cases (0.2%), anhydroamnios in 32 cases (0.05%), rubella infection of mother or fetus in 24 cases (0.04%), and others in 20 cases (0.03%). Autopsy was performed in 242 cases of fetal anomalies (60.7%), 116 cases of UIFD (44%), and 59 cases of fetal chromosomal abnormalities (43%). The cases of chromosomal anomaly as indication of termination increased and rubella infection of mother or fetus decreased recently, and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r=0.95(P=0.00) and r=-0.73(P=0.04). The fetal weight terminated due to PROM is significantly decreased (Y=517-26 x year P=0.002). Conclusion : The indications of termination for fetal chromosomal abnormalities were increased, but for rubella infections were decreased. In cases of PROM, the terminated fetal weigh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However, no change was observed in cases of fetal anomaly, IUFD,and PR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