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성의 고용상황과 결혼형성

        안태현(Taehyun Ahn) 한국노동연구원 2010 노동정책연구 Vol.10 No.3

        본 논문에서는 경제사회적 상황이 남성의 결혼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나타난 고용상태 및 혼인상태 변수를 분석하여 남성 청년층의 고용상태 변화가 혼인율 감소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분석하고,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의 고용상황 및 실직이 미혼남성의 결혼진입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경활 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 취업 및 고용형태의 변화는 최근 20~30대 남성 미혼율 증가의 상당 부분을 설명하며, 이 중 대부분은 이들의 취업률 감소(미취업률 증가)에 의한 것임을 보았다. 이와 더불어, 노동패널 분석을 통한 미혼 남성의 결혼 진입 분석 결과, 미취업이 결혼진입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크고, 미취업의 큰 부분은 이들이 재학 중인 데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 고용형태는 결혼 진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근 지속되어 온 혼인율 감소 및 혼인연령의 증가는 미취업 및 재학률 증가로 반영되는 청년층의 노동시장 정착의 감소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실업 및 실직이 결혼진입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이들이 결혼진입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는 상당히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직을 경험한 미혼남성은 실직 1년 전후로 결혼진입확률이 5.4%p 감소하는데, 이는 표본 미혼남성 평균(5.8%)의 90%를 넘는 수치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ole of economic and social status of men on their marriage decisions. In order to estimate the extent to which the changes in men's employment status can explain the decline in marriage rate, I examine the information on employment and marital status using data from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for the recent decade. In addition, I use data from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urvey to estimate the impact of an individual employment status on the marriage entry deci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changes in employment status explain a large part of the rise in the share of unmarried men among 20s and 30s. In particular, I find that non-employment, which is a major contributor of delaying marriage, is from the increase in enrollment in formal school. The results from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urvey shows that unemployment significantly decreases the chances marriage of men. To illustrate, the job displacement decreases the marriage entry probability by 90% when compared to the average marriage entry rate.

      • KCI등재

        한국에서의 부녀의 세대 간 소득 이동성: 선별적 결혼의 역할

        최기림 ( Kilim Choi ),안태현 ( Taehyun Ahn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5 여성경제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를 사용하여 딸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을 추정하고 세대 간 소득이동성에서 선별적 결혼의 역할이 유효한가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결과 딸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은 0.172였고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아들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 추정치와 비교해 보았을 때, 딸의 세대 간 소득이동성이 아들에 비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혼인 딸을 표본으로 분석한 결과, 남편의 소득과 장인어른의 소득사이에 상당한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선별적 결혼의 경향이 부모세대와 자녀세대간의 경제력대물림을 더 확대시키는 경로가 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또한, 부녀간 간 소득 이동성에부부간의 유사학력에 따른 선별적 결혼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stimates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among daughters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and investigates the role of marital sorting. The estimated intergenerational income elasticity among daughters was 0.172 which is larger than that of sons. We also find tha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income of father-in-law and that of son-in-law, and that marital sort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marital sorting by education level can be a key factor of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 식품 중 다이옥신 분야 국가표준실험실 구축을 위한 측정불확도 추정

        정은아 ( Eun A Chong ),안태현 ( Taehyun Ahn ),신용운 ( Yong Woon Shin ),권진욱 ( Jin-wook Kwon ),이지은 ( Ji-eun Lee ),서수진 ( Sujin Seo ),고미선 ( Misun Go ),구용의 ( Yong Eui Koo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식품 중 다이옥신 분야 국가표준실험실 구축을 위해, 시험과정 중의 분석오차 발생인자를 파악하고 시험결과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산출하여 ISO/IEC 17025의 기본 요소인 불확도 산출과 그 인자들을 최소화하여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측정불확도는 측정대상으로부터 합리적으로 추정된 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값들의 분포특성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로 정의되며, 시험의 전(全) 과정 중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각 단계별 불확도를 계산 후 전(全) 과정의 불확도로 산출한다. 검증된 공인 시험법의 적용이라 하더라도 시험 환경, 조건, 시험자 등에 따라 분석결과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므로 식품 중 다이옥신 시험결과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표준용액 및 시료의 조제과정, 분석기기, 시험환경, 시험자, 시험 결과의 재현성, 반복성 등 전(全) 과정을 통해 불확도를 추정하였다. 시험은 축산물 중 17종의 dioxins을 대상으로 한 식품공전의 다이옥신 시험법으로 하였으며, 전처리 및 기기분석을 통한 정량과정에 대해 측정 모델식을 만들었다. 상대표준불확도는 모델식의 각 항을 얻는 과정에서 발생 할 수 있는 각 요인별로 추정하였고, 정밀도: u<sub>r</sub> (P), 정확도 : u<sub>r</sub> (Bias), 검정곡선: u<sub>r</sub> (Cal), 시료 반복측정: u<sub>r</sub> (GC-HRMS), 표준물질: u<sub>r</sub> (STD), 내부표준물질: u<sub>r</sub> (IS), 시료추출부피: u<sub>r</sub> (V), 시료무게 측정: u<sub>r</sub> (W) 등의 인자로 합성표준불확도(combined uncertainty)를 추정하였으며, 각 불확도 요인별 기여량과 자유도를 산출하였다.

      • SCOPUSKCI등재

        식육 및 그 가공품의 중금속 모니터링

        황태익(Taeik Hwang),안태현(Taehyun Ahn),김은정(Eun Jung Kim),이정아(Jung Ah Lee),강명희(Myoung Hee Kang),장영미(Young Mi Jang),김미혜(Meehye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5

        본 연구에서는 식육의 중금속 기준규격 설정을 위하여 다소비 식품인 소, 돼지, 닭, 오리, 햄 및 소시지에 대하여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였다. 국내 유통 중 식육 및 식육 가공품 총 466건을 2008년 5월부터 11월까지 구입하고 납, 카드뮴, 비소 및 수은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시료의 분해를 위해 관련 전처리 방법을 비교하여 검증된 중금속 분석법을 찾고자 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소, 돼지, 닭, 오리, 햄 및 소시지 6종류의 시료에 대하여 납, 카드뮴, 비소 및 수은을 모니터링하고 안전성 평가를 위해, 수집된 자료와 식이섭취량으로 JECFA의 주간잠정섭취허용량와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처리법으로 비교한 습식 분해법과 마이크로웨이브법은 회수율이 모두 80% 이상이며 재현성(RSD)은 10% 미만으로 나타났으나 전처리 시간과 조작의 편리성에서 마이크로웨이브법이 나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납, 카드뮴, 비소의 경우 산 혼합액을 사용한 마이크로웨이브법으로 시료를 전처리하여 ICP-MS로 분석하였고, 수은은 수은분석기를 사용하여 직접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낮게 검출된 원소는 카드뮴과 수은이었으며, 납과 비소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납의 경우 평균함량이 식육은 0.006-0.010 mg/kg이었고, 식육가공품은 0.005-0.009 mg/kg이었다. 카드뮴의 경우 평균함량이 식육은 0.000-0.001 mg/kg이었고, 식육가공품은 0.001-0.002 mg/kg이었다. 비소의 경우 평균함량이 식육은 0.004-0.021 mg/kg이었고, 식육가공품은 0.014-0.018 mg/kg이었다. 그리고 수은 함량은 식육에서 0.710-0.902 μg/kg이었고, 식육가공품은 1.052-1.141 μg/kg이었다. 안전성 평가를 위해 본 연구에서 측정된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JECFA(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의 주간잠정섭취허용량(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 PTWI)와 비교하여 노출량을 평가한 결과, 본 사업에서 검출된 중금속 함량은 비교적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ntents of lead (Pb), cadmium (Cd), arsenic (As), and mercury (Hg) in meat and meat products in Korea. The contents of Pb, Cd, As, and Hg in 466 samples of beef, pork, chicken, duck, ham, and sausage were measured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or a mercury analyzer. Wet ashing and microwave method were compared, and the recovery and reproducibility of the microwave method were better than those of wet ashing for meat and meat products. The recovery of the microwave method was 98.1% for Pb, 104.6% for Cd, and 103.4% for As, respectively. The best result was obtained through digestion using an acid mixture (HNO<sub>3</sub>/H<sub>2</sub>O<sub>2</sub>, 6:2). Hg content was measured using a mercury analyzer. As a result, the contents of Hg and Cd in samples were lower than those of Pb and As. The average contents of Pb were 0.009 mg/kg in beef, 0.010 mg/kg in pork, 0.006 mg/kg in chicken, 0.007 mg/kg in duck, 0.005 mg/kg in ham, and 0.009 mg/kg in sausage. The average Cd contents were 0.0004 mg/ kg in beef, 0.0004 mg/kg in pork, 0.0005 mg/kg in chicken, 0.0012 mg/kg in duck, 0.0015 mg/kg in ham, and 0.0019 mg/kg in sausage. The average As contents were 0.016 mg/kg in beef, 0.004 mg/kg in pork, 0.021 mg/kg in chicken, 0.010 mg/kg in duck, 0.014 mg/kg in ham, and 0.018 mg/kg in sausage. The average Hg contents were 0.713 μg/kg in beef, 0.902 μg/kg in pork, 0.710 μg/kg in chicken, 0.796 μg/kg in duck, 1.141 μg/kg in ham, and 1.052 μg/kg in saus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5, the levels of dietary exposure to heavy metal contaminants in meat and meat products were compared with the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PTWI) establish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The average dietary exposure of the general population from meat and meat products was 0.03-0.2% of PTWI for Pb, Cd, As, and Hg, which indicates a safe level for public health at presen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손자녀 양육이 고령자의 건강에 미치는 효과 : 도구변수 분석법을 활용하여

        최경덕 ( Kyong Duk Choi ),안태현 ( Taehyun Ahn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16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KLoSA) 2차-5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에서의 손자녀 양육이 고령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에 있어서 손자녀 양육과 고령자의 건강상태 간 인과관계를 밝혀내기 위해 도구변수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손자녀 양육은 고령자들의 심리적, 신체적 건강상태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관적 건강상태,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삶의 질 만족도 등의 심리적 건강과 인지기능을 개선시켰으며 우울감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65세 이상의 고령자, 자녀와 동거를 하지 않는 경우,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이들이 다른 그룹에 비해 손자녀 양육으로 인한 신체적 부담이 크며 손자녀 양육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여러 건강상태들 중 인지기능은 장기적으로도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양육 여부(extensive margin)가 아닌 양육 시간 (intensive margin)에 따른 추가적 건강개선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고령자의 손자녀 양육이 맞벌이 부부 자녀의 양육 부담 완화와 더불어 고령자의 건강상태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We analyzed the impact of grandchildren caregiving on the health of grandparents using data from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In the analysis, we implement instrumental variable fixed effect (IV-FE) models to account for endogeneity of caregiving decisions. The results show that grandparents`caregiving improved their mental and physical health. Grandparents`caregiving particularly increased grandparents`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of life and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It, however, have little influence on depressive symptoms. These positive impacts do not equally apply to grandparents who are older than 65, not co-residing with their children, and having a limitation with I/ADL.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ositive impacts of caregiving on cognitive ability persist in the long run. This paper sheds light on childcare policies that uses grandchildren care as a complimentary option that helps reduce burdens of childcare for dual-career families.

      • KCI등재

        식품 중 다이옥신(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분석 시 측정불확도 추정

        박찬종(Chan Jong Park),김한솔(Han Sol Kim),안태현(Taehyun Ahn),정은아(Eun A Chong),이지은(Ji Eun Lee),서수진(Sujin Seo),구용의(Yong Eui K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8

        본 연구에서는 식품 중 다이옥신 분야 ISO/IEC 17025 인정획득을 통한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품질보증체계를 마련하기 위하여 식품 중 다이옥신(2,3,7,8-TCDD)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불확도 요인들(실험실 내 정밀도, 정확도, 검량선, 시료의 반복 측정, 표준물질, 내부표준물질의 농도, 시험용액의 부피, 시료의 무게 측정) 8가지를 선정하고 그 측정 결과에 대한 불확도를 추정하였다. 불확도 측정에 대한 지침서(GUM) 및 Eurachem 가이드라인에 근거하여 불확추정 모델 관계식을 C=ASTD×CIS/AIS×RR×V/W·fP·fREC·fSTD 로 설정하였다. 요인 각각에 대한 불확도를 구한 후 2,3,7,8-TCDD농도에 대한 합성표준불확도를 산출한 결과, 1.9 pg/g으로 나타났으며 확장불확도는 3.8 pg/g으로 산출되었다. 불확도를 고려하여 표현된 최종 2,3,7,8-TCDD 농도는 12.0±3.8pg/g이다. 또한 불확도 요인별 기여율은 시험의 정확도(41%)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실험실 내 정밀도(22%), 표준물질(13%), 시료의 반복 측정(12%), 시험용액의 부피(6%), 검량선(3%), 내부표준물질(3%)의 순서로 나타났고, 시료의 무게 측정(0%)은 영향을 주지 않았다. In this study, the quality assurance system was established in lin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by acquiring ISO/IEC 17025 accreditation for dioxin analysis in food. In order to strengthen the reliability and public credibility of the results, ISO/IEC 17025 recommends to provide information on ‘measurement uncertainty’ along with the measured values. Based on the ‘Guide to the Estimat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GUM) and the ‘EURACHEM/CITAC guide’, a model relational equation for estimating the uncertainty of the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2,3,7,8- TCDD) analysis in food was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2,3,7,8-TCDD concentration in food, the measurement uncertainty was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important uncertainty factors that may exist. The combined uncertainty was calculated by using the eight uncertainty factors (precision, recovery, calibration curve, repeat measurement of sample, standard, internal standard, volume of sample, and weight of sample). The biggest factor influencing the uncertainty was the recovery. 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the expanded uncertainty was calculated as 3.8 pg/g using k-value (2). The final expression can be stated as 12.0±3.8 pg/g (confidence interval 95%, k=2). Through the measurement uncertainty estimation, the factors that cause analysis errors during the analytical procedure of dioxin were identified and the degree of their influence on the results was calculated.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 wa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uncertainty, which is the basic element of ISO/IEC 17025 and minimizing the uncertainty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