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도시 이미지와 공공청사 표피디자인에 관한 연구

        안진근 ( Jin Keun Ah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7 No.-

        현대 건축은 복잡하고 이질적인 경향들과 요소들의 공존 안에서 발전해 오고 있는데, 비 물질화와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만남으로 인해 현대 건축에서는 피막으로서 표피에 관심이 더욱 집중되고 있고, 표피디자인에 관한 다양한 시도들이 진행되면서 건축표피 디자인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공공건축 디자인이 도시 이미지나 생활공간의 질, 나아가 도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인식해 관련법을 정비하고 새롭게 만드는데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범주 안에 공공청사의 표피디자인도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이미지 향상에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고 있는 공공청사의 표피디자인에 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로 이루어지며, 특히 사례조사에서 분석방법을 건축 표피디자인의 구성요소인 형태, 장식, 재료, 패턴, 색채 5가지로 나누어 특성을 분석하고 경향별로 세분화 하여 표피디자인 구성요소를 분석 하였다. 공공청사 사례분석 결과 표피디자인은 도시와 건축, 도시민과 소통의 매개체로서 도시의 이미지와 브랜드를 형성하고,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When it comes to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which is being developed by the co-existence of all those complex, different trends and elements, this harmony of de-materialization and digital media technology has been leading the surface as a way to coat a building to the even greater popularity. A variety of attempts regarding the surface design are being made, and the relevant field is getting more interested in the surface design of a building. Today, all of the local governments understand how they deal with designs of their office buildings could improve not only images of their cities but also qualities of residential areas as they are well aware of how such designs can help them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ir cities. That being the case, the local governments have been very much passionately making up for any relevant regulations as adding new ones if necessary, and what they have been working on so far is considered also to include the surface design of the public office buildings. In the light of that, this study looked into the surface designs of the office buildings, and these designs are, now, being evaluated as some significant factor to improve images of a city.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s,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ase investigation were adopted and in particular, during the case investigation, the study categorized the analysis method into those five components, the form, the decoration, the material, the pattern and the color, and these five components were considered to complete the surface design of a building. The study, then, processed the features of the five components, departmentalizing them by trend to analyze the components which complete the surface desig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s a bridge for the communication among cities, buildings and urban residents, the surface design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nd enhancing images and brands of the cit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문화도시 이미지와 박물관 외관 디자인에 관한 연구

        안진근 ( Jin Keun Ah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8 No.-

        최근 국가와 도시들은 박물관 건축디자인이 도시 이미지 향상이나 생활공간의 질, 나아가 도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인식해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여기에 외관디자인도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현대에 이르러 박물관 건물 자체가 하나의 예술로 인정받으며 독특하고 개성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문화도시에서 박물관의 외관 디자인은 그 자체가 단순히 전시공간으로서의 기능만 따르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향상을 위한 특성을 가진다. 특히 문화도시에서 박물관의 활성화는 전시 주제의 인지도 확립이나 수익창출에 의한 지역경제의 활성화로도 직결되지만, 무엇보다도 박물관에 의한 지방자치단체의 가치 창출로 해당지역의 이미지 향상이 이루어진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화도시의 박물관 디자인에 관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외관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내, 외 문화도시의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이미지와 외관디자인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사례조사에서 분석방법을 박물관 외관디자인의 구성요소인 상징성, 조형성, 정체성, 심미성, 지속성, 5가지로 나누어 특성을 분석하고, 경향별로 세분화 하여 외관디자인을 분석 하였다. 박물관 외관디자인 사례분석 결과 외관디자인은 공간과 문화, 도시민과 소통의 매개체로서 문화도시의 이미지와 브랜드를 형성하고,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These days, many countries and cities have seen architectural design of museums as an important element to improve the image of a city, the quality of a living space, and to increase city competitiveness. As a result, they have made a lot of efforts including an effort to improve an exterior design. But in the modern times, the building of a museum has been recognized as an art itself, and presents a unique and individual style. In a cultural city, the exterior design of a museum does not simply follow the function as an exhibition space, but has the characteristic to improve an image. In particular, in a cultural city, activating a museum directly leads into establishing recognition of an exhibition theme, or into promoting local economy based on profit creation, but what matters most is that value creation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museums results in an improvement in the image of a relevant region. As a study method, this researcher conducted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design of museums in cultural citie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xterior design, and studied correlations between urban image and exterior design on the basis of the case study of domestic and foreign museums in cultural cities. In the case study, the museums were first divided in the five categories as components of the exterior design of museum, which are symbolization, formativeness, identity, aesthetics, and continuity, and then were specified by tendency to analyze the exterior design of each one. According to the case study analysis, the exterior design served a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space and culture, and urban residents, and played a critical role in creating and improving an image and a brand of a cultural city.

      • KCI등재

        역사도시 정체성 형성을 위한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관한 연구

        안진근 ( Jin Keun Ah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3

        글로벌리즘(Globalism)과 로컬리즘(Localism)이 공존하는 시대에 역사와 전통은 그 도시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오천년 유구한 역사를 지닌 우리나라의 문화는 독창성과 조형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그 중심에 있었던 몇몇 오래된 도시들은 대표 이미지로 역사도시로 인식되기에 부족함이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역사도시의 정체성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문화적인 요소와 사회적인 요소에 전통성에 대한 가치관이 반영된 것이며, 역사성과 전통미의 장점이 연장되어 현재에 표출되거나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것을 말한다. 최근 각 도시들은 공공디자인이 도시 이미지나 생활공간의 질, 나아가 문화도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인식해 관련 부서를 신설하는 등 공공디자인 개발과 정책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에도 많은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도시의 정체성을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반영시키려면 역사와 전통의 1차적인 형상의 계승이 아니라 정신을 현대화한 것, 즉 다른 역사도시들과 차별화되는 그 도시만의 고유화된 조형과 정신 모든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한다. 역사도시의 공공시설물 디자인은 공공디자인의 한 분야로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공공간과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디자인 되고 배치 되어야 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그 도시의 정체성을 반영한 디자인을 해야 한다. In the coexisting world of Globalism and Localism the history and tradition are important factor to establish a cultural identity of cities. Koren culture`s originality and plasticity are recognized with 5000-year long history, and the several old cities in the middle of history are enough to be recognized as the historical cities. Identity of the historical cities reflects the value of tradition with cultural factor and social factor, and with expression and reinterpretation of historical merits. Recently, recognizing that public design is the importantfactor in enhancing the urban image or quality of life space and, by extent, the competitiveness of the cultural city, each city is putting a lot of interest and efforts in the development and policy of public design, which includes new set-up of related departments, etc., and developing the support and evaluation system for public design. To reflect the historical cities` identity to public facilities design, modernized spirit which means cities` unique but sympathized form are required, not simple succession of history and tradition. Public facilities design of historical city is one important area of public design. It should be designed and arranged with considering the close relationship with public space and, especially, reflection of city`s identity.

      • KCI등재후보

        기독교박물관의 전시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안진근 ( Jin Keun Ah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5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2 No.-

        기독교박물관은 기독교적인 의미와 가치를 표현하는 동시에 현대사회의 종교문화를 주도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전시공간이다. 또한 한국기독교의 역사와 문화 그 속에 존재하는 기독교정신인 공동체, 신앙 활동 등 한국의 기독교문화 전반의 모든 요소들을 수집. 보존하여 연구함으로써 이를 전시하는 중요한 문화공간이기도 하다. 기독교박물관을 찾는 관람객들이 모두 하나님을 믿는 기독교인들은 아니다. 이러한 관람객들에게 감동과 즐거움, 그리고 기독교 전문지식을 함께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전시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시형태 또한 눈으로 보는 전시에만 만족하지 않고,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체험하는 전시연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기독교박물관의 전시공간 특성에 관해 연구하고 분석하여, 기독교박물관의 효율적인 전시공간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박물관의 전시공간을 파악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기독교박물관의 전시연출계획과 그에 따른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여 기독교박물관 고유의 기능과 특징을 살릴 수 있는 전시연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한국의 기독교사 관련 문화재 및 자료를 수집·전시하는 기독교박물관의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범위를 선정하여 전시공간을 대상으로 전시연출 특성에 관해 연구를 진행하려고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기독교박물관과 관련한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한 기독교박물관의 개념과 특성을 정리하고, 한국의 기독교박물관을 대표할 수 있는 여섯 곳의 기독교박물관 전시공간을 방문하여 전시연출 사례연구를 통해 기독교박물관의 특성을 살린 효과적인 전시방법을 제시한다. Christian museums usually provide an exhibition space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leading the religious culture of modern society, as well as expressing the meaning and values of Christianity. And also, it is a very important cultural space where overall factors of Korean Christianity, such as spiritual and religious activities of Christian communities, are preserved and exhibited after those factors that have existed in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n Christianity are collected and studied. Not all the people visiting a Christian museum are Christians who believe in God. So, it is required to prepare an exhibition space based on a new concept, which may provide the visitors with impression and pleasure, including specialized knowledge about Christianity.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organize an exhibition presentation in which visitors may participate and experience with a positive attitude, as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form of exhibition where they can do nothing but watc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exhibition spaces in Korean Christian museums and propose a rational approach to an efficient exhibition space of Christian museum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 of exhibition presentation that helps improve the function and promote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museum by analyzing the plans for exhibition presentation and characteristic features of Christian museums, including the case studies. The scope of this study is centered around the exhibition space of Christian museums where they collect and display the cultural assets and data related to the history of Korean Christianity, so that the features of exhibition presentation in exhibition space can be studied. The study method is focused on summarizing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Christian museums through reviewing the precedent studies and carrying out a literature search, and visiting the exhibition space of six museums, which may represent the Korean Christian museums, so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present an effective exhibition method that enables us to make the most of museum``s characteristics through case studies on exhibition presentation.

      • KCI등재후보

        인간감성과 파사드 디자인에 관한 연구

        안진근 ( Jin Keun Ah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5 No.-

        최근 디자인의 중요한 주제의 하나로 감성 디자인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21세기를 맞이하여 과학과 신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인해 현대는 전자정보 사회로 변화하고 있고 신매체의 등장으로 대뇌적 문화에서 감각 위주의 시각언어 시대로 바뀌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건축 공간의 다양한 파사드 연출은 디지털 환경과 미디어, 유비쿼터스 등의 정보기술과 투명성 등을 활용한 건축적 조형언어로 작용되며 의장적인 다양함과 변화, 공간의 풍부함을 느끼게 하는 가장 현대적인 도시환경의 패러다임으로 주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건축공간에서의 적극적인 미디어와 디지털 정보기술의 접목은 공간의 시각적인 인터페이스 기능을 더욱 발전시키고 가속화 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나아가 건물의 파사드가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도시환경과의 상호작용의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며 건축공간을 체험의 대상으로 규정하여 감성적 가치를 부여하게 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파사드 디자인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불투명한 재료보다는 투명도가 있는 재료가 인간과 건축공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조절하면서 감성을 상승시키고, 단순한 연출보다는 입체적이며 조형적인 파사드 디자인이 신선한 감성을 자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cently, the sensitive design has come to the fore as one of the important themes of design. That is because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new technologies has changed the modern society into an electronic information society, entering the 21st century, and also the emergence of new media has been changing the cerebral culture into the era of sensitivity-oriented visual language. The diversity of facade expressions in the modern architecture is based on the formative language of architecture, in which various information technology and transparency such as the digital environment, media and ubiquitous, and it is regarded as the most modernized paradigm of urban environment which enables us to feel the aesthetical diversity and spatial affluence. In short, the grafting active median onto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in an architectural space has been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and acceleration of the visual interface function of space. Furthermore, it may be said that the architectural facade plays a role as media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igital technology and urban environment., and also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giving the sensitive value by defining architectural space as an object of experie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we may know that the transparent materials has raised the sensitivity higher than opaque materials by adjusting th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and architectural space, and also the three dimensional and formative facade design can stimulate the fresh sensitivity more than a simple presentation.

      • KCI등재후보

        문화도시의 정체성과 공간유형에 관한 연구

        안진근 ( Jin Keun Ah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2 No.-

        문화도시는 다양한 출현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의미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유럽 문화도시처럼 문화를 주제로 선포한 도시를 의미하기도 하며, 문화시설이 잘 갖추어지고, 문화예술에 관한 정책지원이 풍부한 도시를 뜻하기도 한다. 보다 확장된 개념으로 살기 좋은 도시, 살고 싶은 도시를 의미하기도 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삶이 문화가 되는 도시, 나아가 시민들의 삶의 질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도시를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현대사회와 현대도시의 당면 과제로 대두된 지속가능성에 대한 문제해결의 방안으로서 제시되기도 한다. 이는 도시의 시간적 배경과 공간적 여건 속에서 만들어진 문화적 기반과 환경을 토대로 도시와 도시민의 삶을 스스로 성장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문화도시의 기본속성으로 보는 견해에서 비롯된다. 문화도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요소로는 정책을 비롯한 합리성, 공공성, 장소성, 상징성, 경제성 등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문화도시의 유형을 도시상징중심, 역사전통중심, 문화산업중심, 친환경중심, 스마트중심으로 나누어 정리하였으며, 문화도시의 정체성 형성을 위해서는 이 다섯 가지의 유형과 공공디자인 지원 요소들이 적절히 어우러져 조화를 이룰 때 가장 바람직한 문화도시의 정체성이 형성 된다고 할 수 있다. A cultural city has a variety of emergence backgrounds and its meaning is also signified variously. It sometimes means the city which declared culture as the theme like the European cultural cities and sometimes the city which has well-equipped cultural facilities and rich policy evaluation on culture and arts. As a further expanded concept, it sometimes means the livable city, the city in which people want to live and, in this respect, sometimes the city where life becomes culture and, by extension, the city that the quality of citizen`s life takes top priority. And, it is often suggested as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ver sustainability which was emerged as an urgent problem of the modern society and modern city. This starts from the point of view that it is the basic property of a cultural city to develop the city and the life of the citizens by itself based on the cultural foundation and environment created in the temporal background and spatial conditions. Among the factors that form the identity of a cultural city are rationality, publicity, sense of place, symbolism and economic feasibility including policy. In this study, the cultural cities have been arranged as the city`s symbol oriented, history and tradition oriented, culture and industry oriented, eco-friendly and smart types through a variety of studies, and for the formation of a cultural city, it can be said that the most desirable identity of a cultural city is formed when these five types and support elements of public design appropriately mingle and harmonize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