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농도 불소 지하수 처리를 위한 모듈형 정수시스템의 적용 및 평가

        안주석 ( Jusuk An ),정우식 ( Woosik Jung ),황태문 ( Tae-mun Hwang ),오현제 ( Hyun-je Oh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Modular water purification systems are an important element in isolated place such as small-town, mountainous areas, island etc. For application in water facilities of isolated place, important boundary conditions for modular water purification system include low costs, low maintenance, ease of use, sustainability. Although some low-cost systems are available, their application is limited by time-consuming daily operation and maintenance. On the other hand, membrane systems are attractive since they provide an absolute barrier fo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The costs of membrane have decreased rapidly during the last decades and therefore membrane systems have also become within reach for application in low-cost application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membrane based modular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water supply facility of isolated place, and its applicability was examined. The system consisted of dual media filter unit (DMF), brackish water reverse osmosis membrane unit (BWRO), and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UV). Each unit combination was made to ensure the processing capacity of 100 m3 per day. In addition, it was manufactured using 20ft containers compliant with IOS standards due to limitation of grounds at water supply facility of isolated place. In case of small-town in Korea, underground water is mainly used as intake water source. Therefore, this system was installed and operated at the upper region of the G mountainous area in South Korea. Four items including temperature, pH, conductivity, turbidity were monitored to analyze underground water quality. In particular, underground water in the area was found to contain high concentrations of fluoride, and in this study, it wa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high concentrations of fluoride can be removed. In addition, the water treated by the modular water purification system was analyzed to identify whether it satisfies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 고농도 불소 지하수 처리를 위한 모듈형 정수시스템의 적용 및 평가

        안주석 ( Jusuk An ),정우식 ( Woosik Jung ),황태문 ( Tae-mun Hwang ),오현제 ( Hyun-je Oh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Modular water purification systems are an important element in isolated place such as small-town, mountainous areas, island etc. For application in water facilities of isolated place, important boundary conditions for modular water purification system include low costs, low maintenance, ease of use, sustainability. Although some low-cost systems are available, their application is limited by time-consuming daily operation and maintenance. On the other hand, membrane systems are attractive since they provide an absolute barrier fo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The costs of membrane have decreased rapidly during the last decades and therefore membrane systems have also become within reach for application in low-cost application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membrane based modular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water supply facility of isolated place, and its applicability was examined. The system consisted of dual media filter unit (DMF), brackish water reverse osmosis membrane unit (BWRO), and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UV). Each unit combination was made to ensure the processing capacity of 100 m3 per day. In addition, it was manufactured using 20ft containers compliant with IOS standards due to limitation of grounds at water supply facility of isolated place. In case of small-town in Korea, underground water is mainly used as intake water source. Therefore, this system was installed and operated at the upper region of the G mountainous area in South Korea. Four items including temperature, pH, conductivity, turbidity were monitored to analyze underground water quality. In particular, underground water in the area was found to contain high concentrations of fluoride, and in this study, it wa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high concentrations of fluoride can be removed. In addition, the water treated by the modular water purification system was analyzed to identify whether it satisfies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 고양시 표본지역 하수관로 정밀조사 연구

        안주석 ( Jusuk An ),정우식 ( Woosik Jung ),오현제 ( Hyun-je Oh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상수도 시설의 약 70%를 차지하는 관망 누수율은 전국 평균이 약 13%로서 선진국에 비해 높은 실정이며, 관망 내 수질관리 및 에너지 비효율 문제는 여전히 미해결문제로 남아있는 상황이다. 또한 상수관망은 자연재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지진, 테러 등에 위약하며, 지진의 발생시 대규모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우회 관망을 통해 상수를 공급하는 재해 대응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더불어 하수관망은 도심지 사회기반시설의 정맥의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시설임에도 불구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지하매설물이기 때문에 도로나 교량 등 여타 사회기반시설에 비하여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도심지 내배수침수, 싱크홀(Sinkhole) 현상 등 사회적 이슈에 따른 지하 매설관로의 노후화에 따른 심각도를 인지하게 되었으며 예방적 유지관리의 투자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상·하수관망 관리를 위한 안전관리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의 취득, 관리자의 의사결정 최적화, 안전한 대국민 서비스 지원까지 총망라 할 수 있는 통합화된 관리시스템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경기도 고양시 하수관로 내면의 구조적·운영적 상태평가를 위한 하수관로 내면 판독 및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하수관로 내면 조사영상 취득(고화질 일반 영상, VR 영상, 3D 파노라마 평면전개 사진)을 통한 하수관로 결함 분석 DB 구축 및 하수관로 CCTV 조사영상 분석(결함 판독) 결과를 자산기반 안전관리시스템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경기도 고양시 탄현 및 중산지구 중 대상 연장은 20.0 km로 조사되었다. 하수관로의 내부결함은 구조적 및 운영적 내부결함으로 구분하며, 세부적인 결함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구조적 내부결함 18개 항목, 운영적 내부결함 6개 항목으로 총 24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본 하수관로 조사 영상을 분석한 결과, 구조적 결함은 이음부 이탈 → 이음부 손상 → 이음부 단차 → 연결관 돌출 → 연결관 접합부 → 균열 원주 → 표면손상 순으로 나타났으며, 운영적 결함은 토사퇴적 → 뿌리 침입, 임시장애물 → 내피생성, 침입수, 폐유부착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 연장 20km의 구조적 및 운영적 상태 등급은 1.68과 1.16으로 매우 좋음으로 조사·분석되었다. 매설년수 증가에 따른 하수관로 결함 개소의 증가 및 상태등급 악화로 인해 하수관로 노후화가 진행 중으로 파악되었으며, 구조적/운영적 결함 개소는 평균 4개에서 18개로 증가하였으며, 구조적 상태 등급은 평균 1.27에서 2.15로 운영적 상태등급은 1.02에서 1.14로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반응조의 물리적 인자와 알칼리도가 암모니아 탈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주석(Ju Suk An),임지혜(Ji Hye Lim),백예지(Ye Ji Back),정태영(Tae Young Chung),정형근(Hyung Keun Chung) 大韓環境工學會 201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3 No.8

        공기 폭기법을 통해 암모니아를 제거함에 있어, 반응조의 물리적 인자(폭기 깊이, 공기 방울 크기, 표면적)와 알칼리도가 암모니아의 제거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30 L/min의 공기를 6~53 cm의 폭기 깊이로 실험한 결과, 폭기 깊이는 암모니아 제거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H가 10.0, 온도가 30℃에서 암모니아의 제거 속도 상수와 표준편차는 각각 0.175 h-1, 0.004로 나타났다. 공기 방울의 크기 및 공기상과 접촉하는 수표면의 표면적은 제거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폐수의 알칼리도는 암모니아 제거 속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폭기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수용액에 용존되어 pH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매립지와 하수 종말 처리장에서 채취한 실제 폐수를 대상으로 암모니아 제거 속도를 살펴보았다. 하수 원수(pH=7.1, alkalinity=75 mg/L)의 경우, pH를 9.3으로 조절하여도 암모니아 제거 속도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알칼리도가 높은 침출수 원수(pH=8.0, alkalinity=6,525 mg/L)는 초기 pH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공기 폭기에 따른 pH 상승으로 인해 암모니아 제거 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침출수 원수의 pH를 9.4로 조절한 경우, 하수 원수와 달리 공기 폭기에 따른 pH 저하가 나타나지 않아 암모니아 제거 속도가 유지 되었다. The effect of the physical parameters in the reactor (aeration depth, bubble size, and surface area) and the alkalinity of the solution on the ammonia stripping by bubbling were evaluated. When an airflow of 30 L/min was bubbled below the solution surface in the range 6-53 cm, the ammonia removal rate were observed to be the same regardless of the bubbling depths. At pH 10.0 and a temperature of 30℃, the average rate constant and the standard deviation were 0.178 h-1 and 0.004. No appreciable changes in the ammonia removal rate were also observed with varying the bubble size and the air-contacting surface area. Alkalinity of the solution was found to affect the ammonia removal rate indirectly. This is expected because the pH of the solution would vary with dissolution of gaseous CO₂ by air bubbling. The real wastewaters from landfill site and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plant were tested. In the case of domestic wastewater (pH=7.1, alkalinity=75 mg/L), the ammonia removal rate was poor even with the control of pH to 9.3. The raw landfill leachate (pH=8.0, alkalinity=6,525 mg/L), however, showed the appreciable removal rate with increasing pH during aeration. When the initial pH of the leachate was adjusted 9.4, the removal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out changing the pH during aeration.

      • 고양시 표본지역 하수관로 정밀조사 연구

        안주석 ( Jusuk An ),정우식 ( Woosik Jung ),오현제 ( Hyun-je Oh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상수도 시설의 약 70%를 차지하는 관망 누수율은 전국 평균이 약 13%로서 선진국에 비해 높은 실정이며, 관망 내 수질관리 및 에너지 비효율 문제는 여전히 미해결문제로 남아있는 상황이다. 또한 상수관망은 자연재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지진, 테러 등에 위약하며, 지진의 발생시 대규모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우회 관망을 통해 상수를 공급하는 재해 대응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더불어 하수관망은 도심지 사회기반시설의 정맥의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시설임에도 불구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지하매설물이기 때문에 도로나 교량 등 여타 사회기반시설에 비하여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도심지 내배수침수, 싱크홀(Sinkhole) 현상 등 사회적 이슈에 따른 지하 매설관로의 노후화에 따른 심각도를 인지하게 되었으며 예방적 유지관리의 투자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상·하수관망 관리를 위한 안전관리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의 취득, 관리자의 의사결정 최적화, 안전한 대국민 서비스 지원까지 총망라 할 수 있는 통합화된 관리시스템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경기도 고양시 하수관로 내면의 구조적·운영적 상태평가를 위한 하수관로 내면 판독 및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하수관로 내면 조사영상 취득(고화질 일반 영상, VR 영상, 3D 파노라마 평면전개 사진)을 통한 하수관로 결함 분석 DB 구축 및 하수관로 CCTV 조사영상 분석(결함 판독) 결과를 자산기반 안전관리시스템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경기도 고양시 탄현 및 중산지구 중 대상 연장은 20.0 km로 조사되었다. 하수관로의 내부결함은 구조적 및 운영적 내부결함으로 구분하며, 세부적인 결함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구조적 내부결함 18개 항목, 운영적 내부결함 6개 항목으로 총 24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본 하수관로 조사 영상을 분석한 결과, 구조적 결함은 이음부 이탈 → 이음부 손상 → 이음부 단차 → 연결관 돌출 → 연결관 접합부 → 균열 원주 → 표면손상 순으로 나타났으며, 운영적 결함은 토사퇴적 → 뿌리 침입, 임시장애물 → 내피생성, 침입수, 폐유부착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 연장 20km의 구조적 및 운영적 상태 등급은 1.68과 1.16으로 매우 좋음으로 조사·분석되었다. 매설년수 증가에 따른 하수관로 결함 개소의 증가 및 상태등급 악화로 인해 하수관로 노후화가 진행 중으로 파악되었으며, 구조적/운영적 결함 개소는 평균 4개에서 18개로 증가하였으며, 구조적 상태 등급은 평균 1.27에서 2.15로 운영적 상태등급은 1.02에서 1.14로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고양시 표본지역 하수관로 정밀조사 연구

        안주석 ( Jusuk An ),정우식 ( Woosik Jung ),오현제 ( Hyun-je Oh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상수도 시설의 약 70%를 차지하는 관망 누수율은 전국 평균이 약 13%로서 선진국에 비해 높은 실정이며, 관망 내 수질관리 및 에너지 비효율 문제는 여전히 미해결문제로 남아있는 상황이다. 또한 상수관망은 자연재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지진, 테러 등에 위약하며, 지진의 발생시 대규모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우회 관망을 통해 상수를 공급하는 재해 대응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더불어 하수관망은 도심지 사회기반시설의 정맥의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시설임에도 불구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지하매설물이기 때문에 도로나 교량 등 여타 사회기반시설에 비하여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도심지 내배수침수, 싱크홀(Sinkhole) 현상 등 사회적 이슈에 따른 지하 매설관로의 노후화에 따른 심각도를 인지하게 되었으며 예방적 유지관리의 투자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상·하수관망 관리를 위한 안전관리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의 취득, 관리자의 의사결정 최적화, 안전한 대국민 서비스 지원까지 총망라 할 수 있는 통합화된 관리시스템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경기도 고양시 하수관로 내면의 구조적·운영적 상태평가를 위한 하수관로 내면 판독 및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하수관로 내면 조사영상 취득(고화질 일반 영상, VR 영상, 3D 파노라마 평면전개 사진)을 통한 하수관로 결함 분석 DB 구축 및 하수관로 CCTV 조사영상 분석(결함 판독) 결과를 자산기반 안전관리시스템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경기도 고양시 탄현 및 중산지구 중 대상 연장은 20.0 km로 조사되었다. 하수관로의 내부결함은 구조적 및 운영적 내부결함으로 구분하며, 세부적인 결함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구조적 내부결함 18개 항목, 운영적 내부결함 6개 항목으로 총 24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본 하수관로 조사 영상을 분석한 결과, 구조적 결함은 이음부 이탈 → 이음부 손상 → 이음부 단차 → 연결관 돌출 → 연결관 접합부 → 균열 원주 → 표면손상 순으로 나타났으며, 운영적 결함은 토사퇴적 → 뿌리 침입, 임시장애물 → 내피생성, 침입수, 폐유부착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 연장 20km의 구조적 및 운영적 상태 등급은 1.68과 1.16으로 매우 좋음으로 조사·분석되었다. 매설년수 증가에 따른 하수관로 결함 개소의 증가 및 상태등급 악화로 인해 하수관로 노후화가 진행 중으로 파악되었으며, 구조적/운영적 결함 개소는 평균 4개에서 18개로 증가하였으며, 구조적 상태 등급은 평균 1.27에서 2.15로 운영적 상태등급은 1.02에서 1.14로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