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말기 자간전증 산모와 정상 산모의 태반에서 Superoxide Dismutase활성화 및 Superoxide Dismutase Genetic Polymorphism에 관한 연구

        박미혜 ( Mi Hye Park ),김영주 ( Young Joo Kim ),안정자 ( Jung Ja Ann ),김종일 ( Jong Il Kim ),전선희 ( Sun Hee Chun ) 대한주산의학회 2006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7 No.2

        목적 : 자간전증 산모 및 정상산모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의 민감한 생물학적 표지물질인 소변내 malondialdehyde (MDA)와 태반내의 항산화제인 망간 superoxide dismutase (Mn-SOD) 활성도 및 태반내 Mn-SOD 유전자 다형성증 차이를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방법 : 임신 제3삼분기 산모중 자간전증 산모 20예와 정상 산모 20예를 대상으로 산모의 소변 및 분만후 태반을 채취하였다. 소변내 MDA은 high performance liquid-chromatography (HPLC)에 의하여 측정되었고 태반내의 Mn-SOD 활성도는 Western blotting으로 태반내 Mn-SOD 유전자 다형성증은 RCR-RFLP기법으로 분석되었다. 통계적 분석은 Student`s t-test와 Chi-square가 사용되었다. 결과 : 1) 자간전증 산모의 소변내 MDA 농도(4.43±2.37 ug/g)는 정상 혈압산모의 농도(4.39±1.17 ug/g)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 자간전증산모의 태반내 Mn-SOD 활성도는(1.04±0.04 U/ml protein)는 정상 혈압산모의 활성도(1.44±0.34U/ml protein)에 비해 떨어져 있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태반에서 확인된 Mn-SOD 유전자 다형성 양상은 자간전증산모와 정상 혈압산모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x2=0.06, p>0.05). 결론 : 자간전증 산모 및 정상산모사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의 민감한 생물학적 표지물질인 소변내 malondialdehyde (MDA)와 태반내의 항산화제인 Mn-SOD 활성도 및 태반내의 Mn-SOD의 유전자적 다형성사이의 차이점이 보이지 않아 산소스트레스가 임신중독증의 병태생리에 중심이라는 명확한 증거는 얻지 못했다. 하지만 향후 더 많은 자간전증 산모를 대상으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Our purpose was to investigate urinary malondialdehyde (MDA),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Mn-SOD) activity and polymorphism in placental tissues of women with preeclampsia and to evaluate oxidative stress in the pathophysiology of preeclampsia. Methods: Urins and placental tissues were obtained from 20 normal and 20 preeclamptic women at 3rd trimester. Urinary MDA was assayed by an high performananec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placental Mn-SOD activity was assayed by westen blotting and The placental Mn-SOD genotyping was assayed by PCR-RFLP.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tudent`s t-test and Chi-square test. Results : 1) Urinary concentration of MD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preeclampsia (4.43±2.37 ug/g) as compared with normotensive pregnancy (4.39±1.17 ug/g). 2) Preeclamptic women had similar Mn-SOD activity in placenta (1.04±0.04 U/mL protein) as compared with normotensive pregnancy (1.44±0.34 U/mL protein). 3)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lymorphismthe of Mn-SOD genotype in placenta was observed between preeclampsia and normotensive pregnancy (x2=0.06, p>0.05). Conclusion : The findings in this study do not show that oxidative stress might be a pathogenetically relevent process causally contributing to the disease, and polymorphism in the Mn-SOD genotype in placenta do not seem to be risk factors for preeclampsia.

      • KCI등재

        정상 및 저체중아에서 양수과소증과 출생시 제대정맥혈의 적혈구조혈인자 농도 및 유핵적혈구수와의 관계

        김태은 ( Tae Eun Kim ),박미혜 ( Mi Hye Park ),김영주 ( Young Joo Kim ),안정자 ( Jung Ja Ann ),김종일 ( Jong Il Kim ),전선희 ( Sun Hee Chun ) 대한주산의학회 2005 Perinatology Vol.16 No.2

        목적: 양수과소증과 적혈구조혈인자 및 유핵적혈구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양수과소증과 자궁내 저산소증과의 관련을 밝히고, 정상체중아와 저체중아에서 양수과소증이 자궁내 저산소증에 대한 지표로서 의미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출생 후 즉시 제대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적혈구조혈인자 및 유핵적혈구를 측정한 임신 32~42주의 단태아 2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정상양수양을 가지는 정상체중아 129예는 1군으로 분류하고, 양수과소증이 동반된 정상체중아 15예는 2군, 정상양수양을 가지는 저체중아 57예는 3군, 양수과소증이 동반된 저체중아 11예는 4군으로 분류하여 적혈구조혈인자 농도 및 유핵적혈구수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제대정맥혈 적혈구조혈인자 농도 및 유핵적혈구수가 1군과 비교하여 2군, 3군, 4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Mann-Whitney U-test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적혈구조혈인자와 유핵적혈구와의 상관관계는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같은 방법으로 적혈구조혈인자 및 유핵적혈구와 제대정맥 가스분석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p<0.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았다. 결과: 양수과소증이 동반된 정상체중아(2군)는 정상양수양을 가지는 정상체중아(1군)와 비교하여 제대정맥혈 적혈구조혈인자 농도 및 유핵적혈구수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상양수양을 가지는 저체중아(3군)는 정상양수양을 가지는 정상체중아(1군)와 비교하여 제대정맥혈 적혈구조혈인자 농도는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 유핵적혈구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양수과소증이 동반된 저체중아(4군)는 정상양수양을 가지는 정상체중아(1군)와 비교하여 제대정맥혈 적혈구조혈인자 농도 및 유핵적혈구수가 모두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선형회귀분석 결과 제대정맥혈의 적혈구조혈인자 농도와 유핵적혈구수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제대정맥혈 가스분석치는 적혈구조혈인자보다 유핵적혈구와 더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저체중아에서 양수과소증은 자궁내 저산소증의 지표로서 유의한 의미가 있으나, 정상체중아에서의 양수과소증은 저체중아에 비해 태아상태에 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유핵적혈구는 적혈구조혈인자에 비해 병적인 저산소증과 더 연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ligohydramnios and umbilical venous blood EPO levels and nRBC counts, an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oligohydramnios as intrauterine hypoxic marker in AGA and SGA fetuses. Methods : EPO and nRBC were measured in 217 singletons with a gestational age of 32 to 42 weeks at deliver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group 1 (AGA with normal amniotic fluid volume, n=129), group 2 (AGA with oligohydramnios, n=15), group 3 (SGA with normal amniotic fluid volume, n=57) and group 4 (SGA with oligohydramnios, n=11). EPO levels and nRBC counts in group 2, 3 and 4 were compared to those in group 1 using Mann-Whitney U-test. Relationship between EPO and nRBC was assessed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relationship between results of umbilical venous blood gas analysis and EPO/nRBC was assessed using the same method. P-values less than 0.05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EPO levels and nRBC counts in AGA with oligohydramnios (group 2)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AGA with normal amniotic fluid volume (group 1). EPO levels in SGA with normal amniotic fluid volume (group 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AGA with normal amniotic fluid volume (group 1). EPO levels and nRBC counts in SGA with oligohydramnios (group 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AGA with normal amniotic fluid volume (group 1).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PO and nRBC. Parameters obtained from the umbilical venous blood gas analysis were more related with nRBC than EPO. Conclusion: Oligohydramnios was significant intrauterine hypoxic marker in SGA fetuses.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nfluence of oligohydramnios on antenatal fetal condition might be less severe in AGA fetuses than in SGA fetuses. Moreover, it was likely that nRBC had stronger association with pathologic hypoxia than EPO did.

      • KCI등재

        저체중아의 출생 시 제대혈에서 adiponectin, IGF-I, IGFBP-1, insulin 및 Leptin에 관한 연구

        최노미 ( Noh Mi Choi ),박미혜 ( Mi Hye Park ),김영주 ( Young Joo Kim ),안정자 ( Jung Ja Ann ),전선희 ( Sun Hee Ch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4

        목적: 제대혈액 내 adiponectin, IGF-I, IGFBP-1, insulin, leptin이 태아성장에 관여할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35주 이상의 신생아 분만 시 제대혈에서 호르몬들의 농도를 측정하여, 저체중아와 정상체중아 사이에 당대사에 관련된 호르몬들의 농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각 호르몬간의 상관관계 유무와, 출생체중과 ponderal index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2 Objective: Intrauterine growth is influenced by multiple factors like genetic, nutritional, environmental and hormonal factors. As birth weight is reported to be related to peri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we aimed to compare umbilical cord blood adipone

      • KCI등재

        모체 혈액을 이용한 태아 유핵 적혈구 분리기법에 따른 산전 유전진단

        전여진 ( Yeo Jin Jeon ),권경훈 ( Kyung Hun Kwon ),황효성 ( Hyo Sung Hwang ),이소현 ( So Hyun Lee ),방명걸 ( Myung Geol Pang ),안정자 ( Jung Ja Ann ),전선희 ( Sun Hee Chun ),김영주 ( Young Ju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6

        목적: 태아 유핵 적혈구의 분리를 하여 FISH에 의해 산전 태아의 성과 염색체 이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말초혈액샘플은 임신 11주에서 24주 사이의 37명의 여성으로부터 수집되었다. 모체혈액으로부터 double density gradient와 magnetic activating cell sorting방법을 시행한 후 Kleihaur-Betke 염색을 통해 태아 유핵 적혈구를 형태학적으로 관찰하였다. K-B positive한 유핵 적혈구에 CEP X와 CEP Y probe를 이용한 FISH를 시행하여 유핵 적혈구의 성별 확인을 통해서 태아 기원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 10 ml의 혈액에서 분리한 K-B positive한 유핵 적혈구는 평균 17.3 (±17.2)개였으며, 최대 54개의 유핵 적혈구가 관찰되었다. 이 중 양수검사를 확인한 총 18명의 산모에서 분리한 유핵 적혈구의 67.3%에서 CEP Y probe의 signal을 확인하였다. 결론: 우리는 분리된 태아 유핵 적혈구를 이용해서 FISH 기법을 통해 태아 성별을 판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아의 염색체의 이수성을 진단하는데 있어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리한 유핵 적혈구 중 모체 기원의 유핵적혈구가 포함되어 있어서 추후 이를 선별해 내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identify prenatal fetal sex and chromosomal aneuploidies by FISH using isolation of fetal nucleated RBCs. Methods: peripheral blood samples was collected from 37 women between 11 and 24 weeks of gestation. we tried to enrich nucleated RBCs morphologically by Kleihaur-Betke staining after double gradient centrifugation and magnetic activating cell sorting (MACS) from maternal bloo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analyses with CEP X and CEP Y probes for K-B positive nucleated RBCs were performed to detect whether fetal cells were existed among nucleated RBCs by observation of sex chromosomes. Results: The average number of K-B positive nucleated RBCs separated from 10ml of maternal blood was 17.3 (±17.2) and the maximum number of nucleated RBCs was 54. We observed FISH signals in nucleated RBCs separated from 18 pregnant women, and Y probe signals were observed in 67.3% of nucleated RBCs separated from 10 pregnant women.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separated nucleated fetal RBCs can be used to identify fetal sex and chromosomal aneuploidies by FISH. Since nucleated RBCs from maternal origin were not exclud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