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직업윤리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포토보이스(Photovoice)를 활용하여

        안윤정(An, YoonJung),오현주(Oh, Hyu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1

        직업윤리의 중요성이 요구되는 우리 사회에 직업인으로서 준비가 필요한 대학생 들을 대상으로 한 직업윤리에 대한 연구와 논의는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경험한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을 탐색적으로 알아봄으로써 대학사회에서 진로교육이 직업윤리를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담아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연구참여자의 자발적 참여와 실행 과정에서 교육적 효과가 높은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활용하였고,A대학교 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 다. 참여 학생들의 마인드맵기법을 통해 표현된 직업윤리의 키워드는 차별과 평등, 기업윤리와 경영윤리, 도덕성과 인성 등의 각 영역에서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포토 보이스를 통해 분석된 직업윤리의 의미는 사회적 역할과 소명을 다하는 것, 도덕성과 양심을 지키는 것, 편견을 갖지 않는 것, 오랜 시간 만들어지고 발전하는 것 등으로 나타났다. 참여 대학생들이 비윤리적인 상황에서 결정한 행동은 선택을 위한 갈등, 자기성찰과 인내,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소통 등으로 드러났다. 마지막 직업윤리를 지키기 위한 방안으로 공동체로서의 책임감, 윤리적 가치관(직업가치, 신뢰, 양심) 등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직업윤리 교육에 대한 대학사 회의 제언과 한계, 포토보이스 활용 방안의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vocational ethics can b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who need to be prepared as professionals in the age when the importance of vocational ethics is required. This study used the photovoice methodology which has a great educational effect i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xecution proces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participants were eight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The keywords of vocational ethics revealed through the mind map technique of participating students was variously presented in each area such as equality and discrimination, enterprise ethics and management ethics, morality and personality, etc. The meaning of vocational ethics analyzed through photovoice was found to be fulfilling social roles and calling, maintaining morality and conscience, not having prejudice, and being made and developed for a long time. The behaviors determined by unethical situations of participating university students were revealed as conflict, self‐reflection and perseverance for choice, and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of the other party. As a way to protect last vocational ethics, responsibility as a community and ethical values (job value, trust, conscience)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practical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ollege society about vocational ethics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utilizing photovoice.

      • KCI등재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학생 인식과 진로교육의 방향모색

        안윤정(An, YoonJung),임윤서(Iem, Yun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진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의 4년제 D대학교 501명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빈도분석,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워드 크라우드 기법 등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키워드는 기술, 미래, 교육, 산업, 직업 국가, 문화 영역 순이었고, 관련 형용사는 긍정적 인식이 매우 높게 드러났다. 둘째,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형용사 분석에서 성별에 따라 긍정적 혹은 부정적 인식 차이는 검증되지 않았다. 하지만 성별에 따른 전공과 진로연관성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전공에 따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차이는 검증되었고, 전공과 진로연관성의 차이도 유의미 했다. 넷째, 필요한 직무능력으로는 기술적 능력, 복합문제해결 능력, 콘텐츠 능력 순이었다. 다섯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교육으로 기술, 융합, 인성, 진로교육의 영역 순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인식을 토대로 진로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eek direction for pursuing care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501 students attending D university in Seoul were surveyed from May 1 to May 14, 2017 over two wee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eyword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found in technology, future, education, industrial, occupational and cultural domains. Also, positive recognition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expressed highly. Secon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concern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not verified by gender. However, in relation to their majors and career, 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hird, according to the major,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their major and career rel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proved significantly. Fourth, the job abilities required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highly evaluated in terms of technical capabilities,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contents capabilities. Fifth, the education need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exposed to the areas of technological, fusion, personality and career education. The research indicates the necessity of finding directions for future career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initial situation where the empirical studie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lacking.

      • KCI등재

        경력단절여성의 경력이음사례관리서비스를 위한 초기상담 매뉴얼 개발

        안윤정 ( Yoonjung An ),김기령 ( Kiryung Kim ),강미경 ( Mikyung K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경력이음사례관리서비스에서 구직자의 유형분류에 기초한 초기상담 매뉴얼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ADDIE 모형을 바탕으로 경력단절여성에 대한 환경분석 및 문헌분석과 직업상담 현장 및 전문가 집단의 요구분석을 실시, 초기상담 매뉴얼 모듈을 설계하여 개발한 후 사업운영총괄기관 및 실무자들의 실행 및 평가단계 절차를 따랐다. 연구 결과 첫째, ‘경력이음서비스의 이해’에는 서비스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및 경력단절여성의 특성에 기반하여 여성주의상담, 직업상담, 사례관리 등을 통합한 상담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경력이음서비스 초기상담 프로세스’에는 접수상담, 내담자 구직유형 분류 및 심층상담을 통한 취업활동계획(IAP) 수립과정을 확립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직업복귀 및 적응에 성공한 사례들을 분석하여 경력단절여성에 특화된 직업복귀상담모형 구축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itial stage counseling manual based on the job seekers classification in the ‘career linking case management services’ conducted by the women’s re-employment center. The research method conducted that being executed analyzing of environment and literature about career-interrupted women, and required analysis of expert groups working as vocational counseling sites. Then it designed and developed the initial stage counseling manual module, after then followed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teps by center’s officers, and all of the process is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understanding of career linking service’, it is suggested the necessity and expected effect of service, and a counseling model that integrates feminist counseling, vocational counseling and case managem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areer-interrupted women. Second, in the 'process of initial stage counseling for career linking service', it is doing intake interview, classification job seeking of clients, doing in-depth counseling and then establishing the individual action plan. Based on this study, it suggested to establish a return-to-work counseling model specialized for career-interrupted women by analyzing successful cases of return to work and adaptation.

      • KCI등재

        포토보이스를 통해 본 대학생의 신직업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안윤정(An YoonJung),임윤서(Iem, Yun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신직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청년대상 신직업 관련 정책과 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연구 참여자의 자발적 참여와 실행 과정 자체가 교육효과를 주는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활용하였고, D대학교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7월부터 8월까지 두 달 동안 진행하였다. 포토보이스를 통해 분석된 인식은 크게 신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 대한 것과 신직업 자체에 대한 것으로 나누어졌다. 첫째, 신직업인 인식은 신직업인의 이미지, 마인드, 역량, 전략 등 4개 범주와 20개 주제로 드러났다. 신직업 인식은 신직업 이미지, 관심 분야, 잠재력, 성공요인, 장벽, 지원방안, 신직업에 대한 기대와 미래제언 등 7개 범주와 32개 주제로 드러났다. 분석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대상의 신직업 관련 정책의 확산과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to young people s new occupations-related policies and education through the perception of new occupations by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the photovoice methodology, which gives the educational effect to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xecution proces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it was targeted at 10 students of D University for two months from July to August 2018. The perceptions analyzed through photovoice were largely divided into workers engaged in new occupations and new occupations themselves. First, the perception of new professions was revealed in 20 subjects of four categories: image, mind, competencies, and strategies of new professions. The perception of new occupations was revealed in 32 subjects of seven categories: new occupations image, field of interest, potential, success factors, barriers, support measures, expectations for new occupations and futur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presented the spread of new occupation-related policies and educational directions for the young.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과 진로미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김미경(Kim MiKyoung),안윤정(An YoonJung),김경아(Kim Kyoung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정서조절이 진로미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진로 정서조절과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남 등 4년제 대학교 530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22일까지 3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9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성별에 따라 진로정서조절의 자기 명료화와 진로주의집중 및 실천, 진로탄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제적 수준에 따라 진로정서조절의 직업 환경 불확실성 감소, 자기명료화, 긍정심리증진, 진로 미래의 부정적 진로전망, 일과 삶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 진로탄력성, 진로미래의 상관관계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하위변인 간에도 전반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나머지 요인들과 회피와 부정적 진로전망 변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은 진로미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과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진로정서 조절이 진로미래를 높이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고, 대학생들의 긍정적 진로미래를 위한 정서조절능력과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로교육과 상담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emotion regulation on CFI-R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CFI-R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530 students at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yonggi and Chungnam, from June 18 to June 22, 2018 and finally 494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clarity, the concentration and practice of career emotional regulation, career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gen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conomic standard, the decrease in the uncertainty of job environment, self-clarity, improving positive psychology of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the negative career outlook, the work and life balances of CFI-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career emotion regulation, career resilience and CFI-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in all variables. There was a general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sub-variables, but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emaining factors and the avoidance and negative career outlook variables was negative. Third, the career emotion reg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FI-R. Fourth, the career resilience prov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CFI-R of university students. We confirmed that the career emotion reg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s a predictor to increase the CFI-R,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to improve the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resilience for the positive CFI-R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직업훈련생의 진로정서조절, 결과기대, 진로통찰력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

        김성우 ( Sungwoo Kim ),안윤정 ( Yoonjung 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직업훈련생의 진로통찰력, 진로정서조절과 결과기대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5개 직업훈련기관 훈련생 54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모형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령에 따라 진로정서조절의 진로주의집중 및 실천과 회피, 진로통찰력, 결과기대 등에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둘째, 진로정서조절 하위변인과 진로통찰력, 결과기대 간에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셋째, 진로정서조절 중 인지적 수용과 자기명료화가 진로통찰력에, 인지적 수용이 결과기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보여주었다. 넷째 직업훈련생의 진로정서조절, 진로통찰력, 결과기대 간의 구조모형은 변인 간 구조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해당 직종의 직업훈련뿐만 아니라 관련 직업상담과 프로그램의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emotion regulation (CER) and outcome expectation, career insight of vocational trainees. To this end, 542 trainees from fiv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located in Gyonggi-do collected data and conducted a structural model analysis using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centration and practice of career and avoidance in CER, career insight, and outcome expectation according to age. Second, the correlation among sub-variables of CER, career insight, outcome expectation was confirmed. Third, CE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insight and career expectation. Fourth, the fitness of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CER, career insight, and outcome expectation of vocational trainees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predic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사정을 위한 모바일 직업카드검사개발 연구

        조재한(Cho, JaeHan),안윤정(An, Yoo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대학의 진로교육이 집단상담과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되는 환경에서 모바일 직업카드검사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관련 직업상담 전문가의 요구도 분석을 토대로 모바일 직업카드검사 앱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전문가 10명을 일대일로 인터뷰하여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 방법론의 순차적 모델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생명주기 모델을 기반으로 5단계 과정을 거쳐 모바일 직업카드 검사를 개발하였다. 첫째, 분석 단계는 전문가 그룹을 통해 직업카드 활용의 어려움 및 개선사항 등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고 개발 구현에 필요한 기능을 결정하였다. 둘째, 설계 단계는 직업카드를 선정하고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기획, DB 및 알고리즘 개발, UI/UX 상호작용 기능을 설계하였다. 셋째, 구현 단계는 모바일 직업카드검사를 개발하고 실시간 검사결과가 반영되도록 구현하였다. 넷째, 평가 단계는 모바일 직업카드검사 앱에 대한 기능개선 및 사용성을 분석하고 모바일 휴리스틱 도구 기반으로 평가하였다. 다섯째, 보완 및 수정 단계는 평가에서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분류과정에서의 기능 및 UI/UX 등을 전면 개선하고 재반영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직업카드검사 개발함으로써 모바일 세대에 맞는 진로사정도구의 가능성을 탐색하였으며, 향후 진로교육 및 직업상담 분야에서 다양한 검사들이 모바일 버전으로 개발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bile job card test app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eds of related job counseling experts, raising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mobile job card test in an environment where career education of universities is conducted through group counseling and online classes. For this purpose, the demand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of 10 vocational counseling experts, and a mobile vocational card test was developed through 5steps based on the sequential model of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methodology and the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life cycle model. First, the analysis stage was conducted through the expert group to analyze the needs such as inconveniences and improvements, and determined the functions necessary for development implementation. Second, the design stage was selected by vocational card and the design, DB and algorithm development, and UI/UX interaction function were designed through the analysis of requirements. Third, the implementation stage was to develop a mobile vocational card test and to reflect the results of the real-time test. Fourth, the evaluation stage was analyzed for the improvement and usability of the mobile vocational card test and evaluated based on mobile heuristic tools. Fifth, the supplement and modification phase was fully improved and reflected in the classification process considering the problems in the evalu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explored the possibility of career assessment according to mobile generation by developing the vocational card test as an app, and opened the possibility that various tests can be developed as a mobile version in future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field.

      • KCI등재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진로동기 간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임윤서 ( Iem Yunseo ),안윤정 ( An Yoonj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공감이 진로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D대학생 622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 공감, 진로동기에 대한 측정도구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빈도분석,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동기, 공감,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차이는 진로동기의 진로정체감, 진로통찰력, 진로탄력성,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아이디어 생성, 실행 변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공감, 진로동기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변인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진로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진로동기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공감은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진로동기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대학생들의 진로동기를 높이기 위해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공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의 필요성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진로교육의 내용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mpath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CPS)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motivation. For this purpose, on the subjects of 622 students from D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through measuring tools for CPS, empathy, and career motivation,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career motivation, empathy, and CPS according to gender of university studen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career identity, career insight, career resilience, idea generation and execution factors, etc. Second,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CPS, empathy, and career motiv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in all variables. Third, university students' CPS had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motivation. Fourth, the empathy prov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CPS and career motivation from the result of empathy's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CPS and career motivation. To enhance the career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diverse education that can raise CPS and empathy, and the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necessar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