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The Role of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in Rectal Cancer

        안용찬,김재성,윤형근,하성환,박찬일,Ahn, Yong-Chan,Kim, Jae-Sung,Yun, Hyong-Geun,Ha, Sung-Whan,Park, Charn-Il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2

        To evaluate the role of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in rectal cancer,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on 189 patients with modified Astler-Coiler stages B2+3, Cl , and C2+3 who were treated from February 1979 to June 1980. Forty-seven patients were staged as B2+3,17 as Cl, and 125 as C2+3. As a curative resection,41 received low anterior resection,143 received abdomino-perineal resection, and five received pelvic exenteration. The surviva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of the total patients at five year were $45.3\%\;and\;44.1\%$, respectively. The stage was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for survival and disease-free survival: the survival rates at five year were $63.4\%$ in stage B2+3, $62.4\%$ in C1, and $37.2\%$ in C2+3 (p<0.005): the disease-free survival rates at five year were $55.7\%$ in B2+3, $65.7\%$ in C1, and $30.4\%$ in C2+3, respectively (p<0.01). The liver was the most frequently involved organ of recurrence followed by the lung and the perineum. The patients who received low anterior resection achieved better disease-free survival but were more prone to late radiation bowel morbidities than those who received abdominoperineal resection. Post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Proved to be effective in locoregional disease control but did not prevent the appearance of distant metastasis, which was of major concern in advanced stages. Patterns of treatment failure, and factros relating to radiation morbidity are discussed, and therapeutic options for better results are proposed. 직장암의 치료에 있어서 골반부위에 대한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검중하기 위하여 1979년 2월부터 1980년 6월사이에 치료를 닫은 modified Astler-Coiler병기 B2+3, C1, 및 C2+3의 직장암 환자189명에 대한후향적 분석조사를 시행하였다. B2+3병기의 환자는 47명이었으며, Cl 병기는 17명, 그리고 C2+3병기는 125명이었다. 근치적 수술로 41명이 전방절제술을, 143명이 복부회음절제술을, 그리고 5명은 골반장기적출술을 시행받았다. 전체환자군의 5년 생존율 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45.3\%$ 및 $44.1\%$였다. 각 병기별 5년 생존율은 B2+3에서 $63.4\%$, Cl에서 $62.4\%$, C2+3에서 $37.2\%$로서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05), 5년 무병생존율은 B2+3에서 $55.7\%$, Cl에서 $65.7\%$, C2+3에서 $36.4\%$로서 이것도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p<0.01) 병기가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에 있어 중요한 예후인자임을 알 수 있다. 재발시 가장 많이 침범되는 장기는 간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폐 및 회음부였다. 전방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군에서 복부회음절제술을 시 행받은 환자군보다 보다 좋은 무병생존율을 보였고 방사선에 의한 장합병증의 위험 이 더 높았다. 수술후 방사선치료로 국소재발억제에는 좋은 효과가 있었으나 진행된 병기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원격전이의 발생은 예방하지 못하였다.

      • SCOPUSKCI등재

        Beam Shaping by Independent Jaw Closure in Steveotactic Radiotherapy

        안용찬,조병철,최동락,김대용,허승재,오도훈,배훈식,여인환,고영은,Ahn Yong Chan,Cho Byung Chul,Choi Dong Rock,Kim Dae Yong,Huh Seung Jae,Oh Do Hoon,Bae Hoonsik,Yeo In Hwan,Ko Young Eu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서론 :정위방사선치료는 높은 정밀도로 크기가 작고 구형인 병변에 국한하여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병변의 모양이 구형이 아닌 경우에는 병변 주변의 정상조직에 고선량의 방사선이 조사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독립턱을 부분적으로 폐쇄하여 방사선량 분포를 개선하는 방법, 선량계산과 선량분포의 도시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정위방사선치료 시의 호의 궤적상 병변은 방사선조사영역 내에 포함하면서 주변 정상조직을 최대한 차폐하도록 원형 콜리메이터와 독립턱 부분페쇄를 적절히 조합하였다. 물 펜톰과 마이크로 전리함을 이용하여 출력인자와 조직최대선량비를 측정하여 이론적 계산치와 비교하였다. 필름선량측정계를 이용하여 5 cm 깊이에서의 심부선량분포를 측정하여 계산치와 비교하였다. 이와 같은 측정자료를 자가 개발한 치료계획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뇌전이 환자의 정위 방사선치료 선량계산과 도시에 적용하여 원형 콜리메이터만을 이용하였을 경우와 독립턱 부분폐쇄를 추가하였을 경우의 병변과 정상 뇌의 선량체적표를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 : 5.0 cm 직경의 원형 콜리메이터를 사용하고 한 쪽 독립턱을 중심축으로부터 30 mm, 15.5 mm, 8.6 mm, 0 mm 까지 열었을 때 측정한 출력인자와 조직최대선량비는 계산치와 각각 0.5%와 0.3%의 오차범위로 잘 부합하였다. 필름선량계로 얻은 5 cm 깊이의 심부선량분포도 역시 계산치와 잘 부합하였다. 자가 개발한 치료계획 프로그램으로 병변과 정상 뇌의 선량체적표를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독립턱 부분폐쇄를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 보다 개선된 선량분포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 정위방사선치료에 있어서 독립턱의 부분폐쇄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선량분포계획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적용하여 비교적 크기가 크고 모양이 불규칙한 병변에 대하여도 정위방사선치료를 확대 적용할 수 있겠다. Purpose :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SRT) can deliver highly focused radiation to a small and spherical target lesion with very high degree of mechanical accuracy. For non-spherical and large lesions, however, inclusion of the neighboring normal structures within the high dose radiation volume is inevitable in SRT This is to report the beam shaping using the partial closure of the independent jaw in SRT and the verification of dose calculation and the dose display using a home-made soft ware. Materials and Methods : Authors adopted the idea to partially close one or more independent collimator jaw(5) in addition to the circular collimator cones to shield the neighboring normal structures while keeping the target lesion within the radiation beam field at all angles along the arc trajectory. The output factors (OF's) and the tissue-maximum ratios (TMR's) were measured using the micro ion chamber in the water phantom dosimetry system, and we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calculations. A film dosimetry procedure was peformed to obtain the depth dose profiles at 5 cm, and they were also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calculations, where the radiation dose would depend on the actual area of irradiation. Authors incorporated this algorithm into the home-made SRT software for the isodose calculation and display, and was tried on an example case with single brain metastasis. The dose-volume histograms (DVH's) of the planning target volume (PTV) and the normal brain derived by the control plan were reciprocally compared with those derived by the plan using the same arc arrangement plus the independent collimator jaw closure. Results : When using 5.0 cm diameter collimator, the measurements of the OF's and the TMR's with one independent jaw set at 30 mm (unblocked), 15.5 mm, 8.6 mm, and 0 mm from th central beam axis showed good correlation to the theoretical calculation within 0.5% and 0.3% error range. The dose profiles at 5 cm depth obtained by the film dosimetry also showed very good correlation to the theoretical calculations. The isodose profiles obtained on the home-made software demonstrated a slightly more conformal dose distribution around the target lesion by using the independent jaw closure, where the DVH's of the PTV were almost equivalent on the two plans, while the DVH's for the normal brain showed that less volume of the normal brain receiving high radiation dose by using this modification than the control plan employing the circular collimator cone only. Conclusions : With the beam shaping modification using the independent jaw closure, authors have realized wider clinical application of SRT with more conformal dose planning. Authors believe that SRT, with beam shaping ideas and efforts, should no longer be limited to the small spherical lesions, but be more widely applied to rather irregularly shaped tumors in the intracranial and the head and neck regions.

      • SCOPUSKCI등재

        Radiation Therapy of Early Glottic Cancer

        안용찬,박찬일,김광현,Ahn, Yong-Chan,Park, Charn-Il,Kim, Kwang-Hyu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8 No.1

        1979년 3월부터 1984년 8월 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31명의 TINOMO와 17명의 T2NOMO를 포함하는 48명의 초기성문암 환자에 대한 후향적 조사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들에 대한 추적조사기간의 중간값은 67개월이었으며 (범위 : 34개월$\~$126개월), $85.4\%$의 환자에서 5년이상 추적이 가능하였다. 전체 환자군의 5년 생존율 및 무병 생존율은 각각 $83.2\%$ 및 $69.4\%$였다. T1 병기환자군의 5년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은 각각 $87.1\%$ 및 $76.0\%$였으며, T2 병기 환자군에서는 각각 $76.5\%$ 및 $58.2\%$였다. 초기 성문암의 방사선치료에 있어서의 치료실패의 원인, 선량-반응 관계, 이차성 악성종양의 발현 및 보다 좋은 치료성 적을 얻기 위한 제언 등에 대한 분석 및 토론을 하였다. Retrospective analyses were done of 48 patients with early glottic cancer, 31 with T1NOMO and 17 with T2NOMO, who received radiation therapy from March 1979 to August 1984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the prescribed full dosage.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67 months (range: 34 months$\~$126 months), and the percent follow-up for longer than five years was $85.4\%$ The five-year actuarial overall and recurrence-free survival rates of the whole patient group were $83.2\%\;and\;69.4\%$, respectively. The five-year actuarial overall and recurrence-free survival rates of the T1 group were $87.1\%\;and\;76.0\%$, and those of the T2 group were $76.5\%\;and\;58.2\%$, respectively. Possible causes of the failures to radiation therapy,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association with the second malignant tumors, and some recommendations for better treatment outcome are analyzed and discussed.

      • SCOPUSKCI등재

        악성 기도 폐쇄에 대한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의 단기 임상 경험

        안용찬,임도훈,최동락,김문경,김대용,허승재,김호중,정만표,권오정,이종헌,Ahn Yong Chan,Lim Do Hoon,Choi Dong Rak,Kim Moon Kyung,Kim Dae Yong,Huh Seung Jae,Kim Ho Joong,Chung Man Pyo,Kwon O Jung,Rhee Chong He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4 No.4

        목적 : 주요 기도의 악성 종양으로 인한 호흡기 증상은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때로는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위급한 경우가 있으며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호흡기 증상의 완화를 위하여 적용한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고선량율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차료의 단기 임상 관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2월부터 1996년 3월까지 원발성 또는 전이성 폐암으로 인한 기도폐쇄 와 이로 인한 주요 호흡기 증상이 있는 25명의 환자들에 대하여 고선량율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를 시술하였다. 원발 병소는 비소세포성 폐암이 21례 ($84\%$), 원발성 기관암이 3례($12\%$), 재발된 식도암이 1례였다. 20명의 환자들에 대하여는 외부 조사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였으며, 급성 기도 폐쇄로 위급한 증상을 호소하였던 6명의 환자에 대하여는 응급 기관내 Laser 소작술을 먼저 시행하였다.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는 모든 환자에서 각 3회씩 시행하도록 예정하였으며 모두 70회의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의 전후로 조사한 주요 호흡기 증상은 기침, 호흡곤란, 각혈, 폐쇄성 폐렴이 각각 $88\%$ (22/25), $96\%$ (22/23), $100\%$ (15/15), $100\%$ (9/9)에서 호전되었으며, 환자의 일반 활동도 (ECOG performance score)는 전체 환자의 $56\%$에서 호전되었고 악화된 경우는 없었다. 관찰 기간 동안 15명이 사망하였으며 치료 개시로부터 사망까지 기간의 중앙값은 4개월 (범위: 1개월$\~$17개월) 이었고 10명의 생존자들의 생존 기간의 중앙값은 9개월 (범위: 5개월$\~$19개월)이었다. 치료 후 1년 이상 생존한 환자는 5명이었으며 이들 모두에선 원발 병소의 완전 관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사망자들은 모두 원발 및 전이 병소의 진행으로 인한 경우였다. 대량 각혈로 사망한 경우는 4명이었으며 이 중 3명은 응급 기관내 Laser 소작술을 선행하였던 경우였다. 결론 :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 치료는 기도의 악성 병변시 호흡기 증상 및 환자의 활동도를 호전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저자들의 관찰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는 근치적 방사선치료의 국소 추가 방사선 조사의 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Respiratory symptoms related with malignant airway disease have been the main causes of lowered qualify of life and also sometimes may be life-threatening if not properly managed. The authors report the short-term experiences of endobronchial brachytherapy for symptomatic malignant airway obstruction using high dose rate after-loading brachytherapy unit. Materials and Methdos : Twenty-five Patients with symptomatic malignant airway obstruction were treated with endobronchial brachytherapy between the period of December 1994 and March 1996 at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of Samsung Medical Center Twenty-one ($84\%$) were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three with tracheal malignancies, and one with recurrence of esophageal cancer. Twenty Patients were given elective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while six were given endobronchial laser evaporation therapy on emergency bases in addition to endobronchial brachytherapy. Three procedures for each patient were planned and total of 70 procedures were completed. Results : Improvement rates of major respiratory symptoms after endobronchial brachytherapy procedures were $88\%$(22/25). $96\%$(22/23), $100\%$ (15/15), and $100\%$(9/9) for cough, dyspnea, hemoptysis and obstructive pneumonia, respectively. ECOG performance scores were improved in $56\%$ of total patients group, while there was no case with worsened ECOG score. Fifteen patients died and the median interval from the start of treatment to death was 4 months (range: $1\~17$ months), while that of ten survivors was 9 months (range $5\~19$ months). There were five patients with controlled intrathoracic disease, who have survived over one rear. All deaths were associated with uncontrolled local and/or distant disease. Four Patients died of massive fatal hemoptysis, three of who received emergency endobronchial laser evaporation therapy before the start of endobronchial brachytherapy. Conclusion : Endobronchial brachytherapy has been confirmed as an excellent palliative treatment modality improving respiratory symptoms as well as patients' general performance status. Based on the current observations, use of endobronchial brachytherapy in curative setting as a boost technique may be warranted.

      • SCOPUSKCI등재

        The Role of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in Rectal Cancer

        Yong Chan Ahn(안용찬) , Jae Sung Kim(김재성) , Hyong Geun Yun(윤형근) , Sung Whan Ha(하성환),Charn Il Park(박찬일)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1

        직장암의 치료에 있어서 골반부위에 대한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하여 1979년 2월부터 1986년 6월 사이에 치료를 받은 modified Astler-Coller 병기 B2+3, C1, 및 C2+3의 직정암 환자 189명에 대한 후향적 분석조사를 시행하였다. B2+3 병기의 환자는 47명이었으며, C1 병기는 17명, 그리고 C2+3 병기는 125명이었다. 근치적 수술로 41명이 전방절제술을, 143명이 복부회음절제술을, 그리고 5명은 골반장기적출술을 시행받았다. 전체환자군의 5년 생존율 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45.3% 및 44.1%였다. 각 병기별 5년 생존율은 B2+3에서 63.4%, C1에서 62.4%, C2+3에서 37.2%로서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05), 5년 무병생존율은 B2+3에서 55.7%, C1에서 65.7%, C2+3에서 36.4%로서 이것도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p<0.01) 병기가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에 있어 중요한 예후인자임을 알 수 있다. 재발시 가장 많이 침범되는 장기는 간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폐 및 회음부였다. 전방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군에서 복부회음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군보다 좋은 무병생존율을 보였고 방사선에 의한 장합병증의 위험이 더 높았다. 수술후 방사선치료로 국소재발억제에는 좋은 효과가 있었으나 진행된 병기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원격전이의 발생은 예방하지 못하였다. To evaluate the role of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in rectal cancer,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on 189 patients with modified Astler-Coller stages B2+3, C1, and C2+3 who were treated from February 1979 to June 1986. Forty-seven patients were staged as B2+3, 17 as C1, and 125 as C2+3. As a curative resection, 41 received low anterior resection, 143 received abdomino-perineal resection, and five received pelvic exenteration. The surviva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of the total patients at five year were 45.3% and 44.1%, respectively. The stage was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for survival and disease-free survival : the survival rates at five year were 63.4% in stage B2+3, 62.4% in C1, and 37.2% in C2+3 (p<0.005); the disease-free survival rates at five year were 55.7% in B2+3, 65.7% in C1, and 36.4% in C2+3, respectively (p<0.01). The liver was the most frequently involved organ of recurrence followed by the lung and the perineum. The patients who received low anterior resection achieved better disease-free survival but were more prone to late radiation bowel morbidities than those who received abdomino-perineal resection. Post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proved to be effective in locoregional disease control but did not prevent the appearance of distant metastasis, which was of major concern in advanced stage. Patterns of treatment failure, and factros relating to radiation morbidity are discussed, and therapeutic options for better results are proposed.

      • SCOPUSKCI등재

        Beam Shaping by Independent Jaw Closure in Stereotactic Radiotherapy

        안용찬(Yong Chan Ahn),조병철(Byung Chul Cho),최동락(David R. Choi),김대용(Dae Yong Kim),허승재(Seung Jae Huh),오도훈(Do Hoon Oh),배훈식(Hoonsik Bae),여인환(In Hwan Yeo),고영은(Young Eun K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Introduction: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SRT) can deliver highly focused radiation to a small and spherical target lesion with very high degree of mechanical accuracy. For non-spherical and large lesions, however, inclusion of the neighboring normal structures within the high dose radiation volume is inevitable in SRT. This is to report the beam shaping using the partial closure of the independent jaw in SRT and the verification of dose calculation and the dose display using a home-made soft ware. Materials & Methods: Authors adopted the idea to partially close one or more independent collimator jaw(s) in addition to the circular collimator cones to shield the neighboring normal structures while keeping the target lesion within the radiation beam field at all angles along the arc trajectory. The output factors (OF's) and the tissue-maximum ratios (TMR's) were measured using the micro ion chamber in the water phantom dosimetry system, and we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calculations. A film dosimetry procedure was performed to obtain the depth dose profiles at 5 cm, and they were also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calculations, where the radiation dose would depend on the actual area of irradiation. Authors incorporated this algorithm into the home- made SRT software for the isodose calculation and display, and was tried on an example case with single brain metastasis. The dose-volume histograms (DVH's) of the planning target volum e (PTV) and the normal brain derived by the control plan were reciprocally compared with those derived by the plan using the same arc arrangement plus the independent collimator jaw closure. Results : When using 5.0 cm diameter collimator, the measurements of the OF's and the TMR's with one independent jaw set at 30 mm (unblocked), 15.5 mm, 8.6 mm, and 0 mm from the central beam axis showed good correlation to the theoretical calculation within 0.5% and 0.3% error range. The dose profiles at 5 cm depth obtained by the film dosimetry also showed very good correlation to the theoretical calculations. The isodose profiles obtained on the home-made software demonstrated a slightly more conformal dose distribution around the target lesion by using the independent jaw closure, where the DVH's of the PTV were almost equivalent on the two plans, while the DVH's for the normal brain showed that less volume of the normal brain receiving high radiation dose by using this modification than the control plan employing the circular collimator cone only. Conclusion : With the beam shaping modification using the independent jaw closure, authors have realized wider clinical application of SRT with more conformal dose planning. Authors believe that SRT, with beam shaping ideas and efforts, should no longer be limited to the small spherical lesions, but be more widely applied to rather irregularly shaped tumors in the intracranial and the head and neck regions. 서 론 : 정위방사선치료는 높은 정밀도로 크기가 작고 구형인 병변에 국한하여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병변의 모양이 구형이 아닌 경우에는 병변 주변의 정상조직에 고선량의 방사선이 조사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독립턱을 부분적으로 폐쇄하여 방사선량 분포를 개선하는 방법, 선량계산과 선량분포의 도시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 법 : 정위방사선치료 시의 호의 궤적상 병변은 방사선조사영역 내에 포함하면서 주변 정상조직을 최대한 차폐하도록 원형 콜리메이터와 독립턱 부분폐쇄를 적절히 조합하였다. 물 펜톰과 마이크로 전리함을 이용하여 출력인자와 조직최대선량비를 측정하여 이론적 계산치와 비교하였다. 필름선량측정계를 이용하여 5 cm 깊이에서의 심부선량분포를 측정하여 계산치와 비교하였다. 이와 같은 측정자료를 자가 개발한 치료계획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뇌전이 환자의 정위 방사선치료 선량계산과 도시에 적용하여 원형 콜리메이터만을 이용하였을 경우와 독립턱 부분폐쇄를 추가하였을 경우의 병변과 정상 뇌의 선량체적표를 각각 비교하였다. 결 과 : 5.0 cm 직경의 원형 콜리메이터를 사용하고 한 쪽 독립턱을 중심축으로부터 30 mm, 15.5 mm, 8.6mm, 0 mm 까지 열었을 때 측정한 출력인자와 조직최대선량비는 계산치와 각각 0.5%와 0.3%의 오차범위로 잘 부합하였다. 필름선량계로 얻은 5 cm 깊이의 심부선량분포도 역시 계산치와 잘 부합하였다. 자가 개발한 치료계획 프로그램으로 병변과 정상 뇌의 선량체적표를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독립턱 부분폐쇄를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 보다 개선된 선량분포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 : 정위방사선치료에 있어서 독립턱의 부분폐쇄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선량분포계획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적용하여 비교적 크기가 크고 모양이 불규칙한 병변에 대하여도 정위방사선치료를 확대 적용할 수 있겠다.

      • SCOPUSKCI등재

        소장 용적 측정을 통한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 사용하는 소장 전위 장치(Small Bowel Displacement System : SBDS) 의 효용성 검토

        안용찬(Yong Chan Ahn),임도훈(Do Hoon Lim),김문경(Moon Kyung Kim),우홍균(Hong Gyun Wu),김대용(Dae Yong Kim),허승재(Seung Jae H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1

        목 적 : 본 연구는 치료 선량의 방사선 조사역 내에 포함되는 소장의 용적을 전산화 단층 촬영을 통하여 측정함으로써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 사용하는 소장 전위 장치의 효용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5월에 삼성서울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시작하게 된 10명의 직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소장의 확인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의 치료 시작 전에 환자들에게 Gastrographin 을 마시게 하였으며, 모의치료 시에는 환자들을 복와위로 엎드리게 하여 소장 전위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와 사용한 상태에서 방사선 조사역을 각각 결정하여 후전 및 측방 X-ray 영상을 얻었고, 같은 조건으로 전산화 단층 촬영을 각각 시행하였다.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에서 조영제로 구별이 되는 소장 중에서 치료 선량의 방사선 조사역 내에 포함되는 소장의 용적을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PACS)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소장 전위 장치의 사용 전 및 사용 후의 측정된 소장의 평균 용적은 185.1ml(54.5-434.2ml) 및 176.0ml (5.2-415.6ml) 이었다. 소장 전위 장치의 사용 전과 비교한 사용 후의 소장 용적의 증감은 10% 이상 감소가 3명, 10% 이하의 감소가 2명, 10% 이하의 증가가 3명, 10% 이상의 증가가 2명씩 이었다. 결 론 :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 사용하는 소장 전위 장치의 효용성을 소장 용적의 측정을 통하여 검토하여 본 결과 이 장치의 제작 및 사용에 소요되는 추가적인 시간과 노력을 감안하여 볼때 큰 이득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mall bowel displacement system(SBDS) in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RT) of rectal cancer patients by measurement of small bowel volume included in the radiation fields receiving therapeutic dose. Materials and Method : Ten consecutive new rectal cancer patient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of Samsung Medical Center in May of 1997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were asked to drink Gastrographin before simulation and were laid prone for conventional simulation and CT scans with and without SBDS. The volume of opacified small bowel on CT scans, which was to be included in the radiation fields receiving therapeutic dose, was measured using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PACS). Results : The average small bowel volumes with and without SBDS were 176.0ml(5.2-415.6ml) and 185.1ml(54.5-434.2ml), respectively. The changes of small bowel volume with SBDS compared to those without SBDS were more than 10% decrease in three, less than 10% decreaseintwo, lessthan10% increaseinthree, andmorethan10% increaseintwopatients. Conclusion : No significant advantage of using SBDS in post-operative pelvic RT for rectal cancer patients has been shown by small bowel volume measurement using CT scan considering additional effort and time needed for simulation and treatment setup.

      • SCOPUSKCI등재

        국소 재발 비인강암에 대한 정위적 방사선 분할 치료의 적용

        안용찬(Yong-Chan Ahn),임도훈(Do Hoon Lim),최동락(Dong Rak Choi),김문경(Moon Kyung Kim),김대용(Dae Yong Kim),허승재(Seung Jae Huh),백정환(Chung- Hwan Baek),추광철(Kwang chol Chu),윤성수(Sung Soo Yoon),박근칠(Keunchil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1

        목 적 :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국소 재발된 비인강암의 방사선 재치료의 방법으로서 정위적 방사선 분할치료를 적용하여 그 치료 효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9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삼성 서울 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정위적 방사선 분할치료를 시행받은 3명의 국소 재발 비인강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2명은 정위적 방사선 분할치료의 적용이 세번째의 방사선치료였다. 2명은 방사선 민감제로서 항암치료를 함께 시행하였다. 정위적 방사선 분할치료는 환자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재장착이 용이한 Gill-Thomas - Cosman(GTC) 정위틀의 좌표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XKnife- 3를 이용하여 multiple non- co planar arc therapy의 치료 계획을 수립하여 일회당 2.5Gy씩 모두 45Gy 또는 50Gy를 조사하였다. 결 과 : 3명 모두에서 만족할 만한 자각 증상의 호전을 경험하였으며 치료 종료 후 1개월에 시행한 자기 공명 영상에서 종양 크기의 현저한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방사선으로 인한 뇌신경 장애의 부작용은 없었다. 2명은 정위적 방사선 분할치료의 치료 범위 바깥에서 다시 재발하여 7개월 및 9개월에 사망하였으며 1명은 4개월째 생존해 있다. 결 론 : 정위적 방사선 분할치료는 국소 재발 비인강암의 방사선 재치료의 방법으로서 비교적 안전하고도 효과적인 치료 방법임을 확인하였으며 원격 전이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항암치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Purpose : This study is to report experience with Fractionated Ste reotactic Radiation Therapy(FSRT) for loca lly recurrent nasopha rynx cancer after curative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Three patients with locally recurrent and symptomatic nasopharynx cancer were given FSRT as reirradiation method between the period of September of 1995 and August of 1996. For two patients , application of FSRT is their third radiation therapy directed to the nasopharynx. Two patients were given low dose chemotherapy as radiation sensitizer concurrently with FSRT. Authors used 3- 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by individually made , relocata ble Gill- Thomas- Cosman (GTC) stereotactic frame and multiple non- coplanar arc therapy dose planning was done using XKnife-3. Total of 45 Gy/18 fractions or 50 Gy/20 fractions were given. Results : Authors obse rved satisfactory symptomatic improvement and remarkable objective tumor size decrease by follow-up MR images taken 1 month post- FSRT in all three patients , while no neurologic side effect attributable to reirradiation was noticed. Two died at 7 and 9 months with loco- regional and distant seeding outside FSRT field, while one patient is living for 4 month. Conclusion : Authors experienced satisfactory therapeutic effectiveness and safety of FSRT as reirradiation method for locally recurrent nasopharynx cancer. Deve lopme nt of more effective systemic chemotherapeutic regimen is desired for distant metastasis .

      • 발포 알루미늄 샌드위치 패널의 차음성능

        안용찬(Ahn Yong-Chan),이중혁(Ahn Yong-Chan),변준호(Byeon Jun-Ho),김석현(Kim Seock-Hyun)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17 産業技術硏究 Vol.37 No.1

        Speeding up of railway vehicles requires weight reduction of the vehicle body. However, when the vehicle body is lighter,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for blocking the noise from the outside is reduced. Aluminum is an important material used in the bodywork of transportation vehicles such as railway vehicles, aircraft, and automobiles. In this study, the bending stiffness and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foamed aluminum with sandwich structure a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e transmission loss i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 ASTM E 2249-02. The mass-law deviation is used to evaluate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per weight. In order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foamed aluminum sandwich panel to railway vehicles, the analysis of bending stiffness and an experimental review a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 SCOPUSKCI등재

        Primary Radiation Therapy of Polymorhic Reticulosis

        Jae Sung Kim(김재성) , Yong Chan Ahn(안용찬) , Hyoung Geun Yun(윤형근),Charn Il Park(박찬일)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1

        1979년부터 1987년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상기도에 국한된 다형성 세망중으로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받은 33명의 환자의 치료성적을 분석하였다. 발열, 체중감소, 도한등의 전신적 증상은 대상 환자중 48%에서 나타났으며 침윤병소로는 비강이 85%로 가장 많았고 부비동 및 구개부가 각각 33%와 30%이었다. 전체 환자의 5년 및 10년 생존율은 각각 47%와 40%이었다. 방사선 조사야 내에서 재발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간의 방사선 선량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조사야 경계부위에서 재발한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조사야 면적이 작았다. 추적 관찰 기간중 악성 임파종 4예, 골수 세망증 1예 등의 전신적 전이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다형성 세망증의 국소 치료율은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최소 4,500cGy의 선량과 병소주위의 조직을 충분히 포함하는 조사야를 사용해야 하며 전신적 전이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화학요법 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From 1979 to 1987, 33 patients with polymorphic reticulosis (PMR) limited in the upper airway were treated with primary radiation therapy and the analysis of treatment results was undertaken. Systemic symptoms such as fever, night sweats, and weight loss were noted in 48%. The nasal cavity was most frequently involved (85%), although involvement of PNS (33%) and palate (30%) was not uncommon. The 5 and 10 year actuarial survival rates were 47% and 40%, respectively. The difference in NSD between patients with in-field failure and those without it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Also, field size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patients with marginal failure than those without it. During the follow-up period, systemic failure was found in 5 patients (diffuse histiocytic lymphoma in 4, histiocytic medullary reticulosis in 1). In this study, we can suggest that total radiation dose of at least 4500 cGy with generous treatment volume should be delivered to achieve better local control and that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systemic chemotherapeutic regimen is required to improve the survival after systemic relap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