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luconacetobacter sp. JH232의 Bacterial Cellulose 생성 특성연구

        안영희(Yeonghee Ahn),박재효(Jai-Hyo Park),고상희(Sang-Hee Go),전홍기(Hong-Ki Jun)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11

        균주 JH232가 생성한 bacterial cellulose (BC)는 이온교환막 생산을 위한 환경친화적 재료로서 잠재능이 있다는 것이 전 연구(J. of Chem. Technol. Biotechnol. 2004, 79, 79-84)를 통해 보고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JH232를 동정하였으며 BC 생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16S rRNA 유전자의 비교분석을 통해 JH232는 Gluconacetobacter sp.인 것을 밝혀냈다. 플라스크 실험 결과 이 균주는 초기 pH 5.5로 조절된 CSL 배지에서 온도가 30℃인 조건하에 배양하였을 때 BC 생성량이 최대를 나타내었다. 발효조 실험을 통해서 회분식 배양보다 유가배양에 의해 JH232의 BC 생성량이 1.56배 더 높게 나타났다. Previous study (J. of Chem. Technol. Biotechnol. 2004, 79, 79-84) showed that bacterial cellulose (BC) produced by a bacterial strain JH232 has potential as a source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ion exchange membranes. In this study, strain JH232 was investigated for phylogenetic classified and characterized for BC production. Comparative analysis of 16S rRNA gene revealed that the strain belongs to the genus Gluconacetobacter. Maximum production of BC was observed when JH232 was cultured in CSL medium (pH 5.5) at 30℃ as determined by flask experiment. When batch and fed-batch cultures of JH232 were performed in the fermenter experiment to compare BC productivity of the strain, BC productivity of fed-batch culture was 1.56 times higher than that of batch culture.

      • KCI등재

        내염성 퍼클로레이트 분해 농화배양 내 미생물 군집 분석

        안영희 ( Yeonghee Ahn ),김영화 ( Young-hwa Kim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6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7 No.6

        신규 오염물인 퍼클로레이트는 갑상선에 요오드가 흡수되는 것을 방해하여 갑상선 호르몬 생산을 저하시킨다. 이전 연구1)를 통해 5%의 염이 있는 조건에서 황을 산화하여 퍼클로레이트를 환원할 수 있는 농화배양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 농화배양 내의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이 내염성 농화배양 내의 세균과 고세균의 16S rRNA 유전자를 정량 real-time PCR (qPCR)로 정량한 결과 고세균에 비해 세균의 16S rRNA 유전자 copy수(/ng DNA)가 약 2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이 농화배양 내에는 고세균보다 세균이 우세하였다. 가장 우점한 세균의 16S rRNA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Thioalbus denitrificans Su4와 가장 유사(99%)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통수에서 이 우점종은 기존에 보고된 퍼클로레이트 환원 균주들과는 다른 계통군으로 나타났다. 내염성 농화배양 내의 고세균 군집을 PCR-DGGE로 분석한 결과 Methanobacteria 강에 해당하는 2 밴드들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내염성 농화배양 미생물을 이용한 퍼클로레이트 처리 공정의 제어 및 효율 증진을 위한 모니터링 기법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Perchlorate is an emerging contaminant that inhibits iodine uptake into the thyroid gland and subsequently decreases thyroid hormone production. Previously enriched perchlorate- reducing microbial culture1) was used for microbial analysis in this study. The enrichment culture reduced perchlorate through sulfur oxidation in the presence of 5% NaCl.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 revealed that the copy number (/ng DNA) of bacterial 16S rRNA genes was approximately 26 times higher than that of archaeal ones, suggesting bacteria were dominant in the culture. The most dominant bacterial population in the culture was most closely related (99% sequence similarity) with Thioalbus denitrificans Su4 as determined by 16S rRNA gene cloning and analysis. A phylogenetic tree showed the dominant population belonged to a different clade from known perchlorate-reducing bacteria. PCR-DGGE analysis of archaeal 16S rRNA genes revealed that nucleotide sequences of most dominant 2 DGGE bands were affiliated with the class Methanobacteria. Taken together, this study provides microbial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develop monitoring technology to control and enhance perchlorate-removal efficiency of the process that employs the enrichment culture.

      • KCI등재

        포화층 토양에 도입된 하천수내의 대장균 제거 : 실험실 규모 컬럼 실험

        안영희 ( Yeonghee Ahn ),박정용 ( Jungyong Park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6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7 No.6

        대수층 저장 이동 회수(Aquifer storage transfer and recovery, ASTR)은 깨끗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공정에서 강물을 대수층에 주입하여 저장하고 필요할 때 양수하여 상수원수로 사용할 수 있다. ASTR 기술에서 수질 개선이 일어나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이공정의 보다 나은 성능을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주입하는 물에 있는 병원성 미생물의 모델로서 항생제 nalidixic acid에 저항성인 Escherichia coli CN13 (Nal<sup>r</sup>) 균주와 실험실 규모 토양 반응기를 사용하여 대수층에서 이 균주의 저감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수층을 모사하기 위해 포화층 토양으로 충진된 이 반응기에는 낙동강물을 주입하였다. 주입된 강물에는 최근 낙동강 하류에서 검출된 대장균군의 농도와 비슷한 농도의 CN13 균주를 인위적으로 식종하였다. 반응기 운전기간인 71일(약 11 HRT; 1 HRT = 157.1 h) 동안 유출수에서 균주 CN13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해 반응기로 도입된 강물에 있는 대장균이 반응기의 포화층 토양에서 자연 저감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Aquifer storage transfer and recovery (ASTR) is a technology used to ensure a stable supply of clean water. River water is injected into an aquifer and stored in ASTR. The stored water can be then recovered when needed to produce drinking water. Understanding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ASTR is essential for better performance of the process. In this regard, Escherichia coli CN13 (nalidixic acid resistant) was employed as a model pathogenic microorganism in the injected water and its attenuation in aquifer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using a laboratory-scale column soil reactor simulating ASTR. The reactor was introduced with the Nakdong River water that was inoculated with the strain CN13 at a concentration similar to that of coliform bacteria detected recently in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Strain CN13 was not detected in the effluent from the reactor throughout the 71 days (approximately 11 HRT; 1 HRT = 157 h) of the reactor operation.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E. coli strain in the river water was attenuated in saturated-zone soil in the reactor.

      • KCI등재

        영가철과 활성슬러지를 이용한 독립영양방식의 퍼클로레이트 제거 : 회분배양연구

        Yeonghee Ahn(안영희),Myoung Gyu Ha(하명규)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3

        퍼클로레이트(ClO₄<SUP>-</SUP>)는 지표수 및 토양/지하수에서 검출되는 오염물이다. 독립영양방식의 퍼클로레이트-환원세균(PRB)은 기체 수소(H₂)를 전자공여체로 사용하여 ClO₄<SUP>-</SUP>를 제거한다. 철이 부식되면 H₂를 생성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활성슬러지를 식종하여 영가철(ZVI)을 이용한 독립 영양방식의 ClO₄<SUP>-</SUP> 제거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회분반응실험을 통해 활성슬러지미생물이 ZVI가 존재할 때 ClO₄<SUP>-</SUP>를 분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이러한 ClO₄<SUP>-</SUP>의 생분해는 ClO₄<SUP>-</SUP>가 분해됨에 따라 생성되는 Cl<SUP>-</SUP>의 몰 농도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독립영양방식의 ClO₄<SUP>-</SUP> 제거공정에 사용된 철 입자의 표면에 간균형태의 미생물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래서 철 입자가 생물막을 형성하기 위한 담체로서도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ZVI가 첨가된 ClO₄<SUP>-</SUP> 분해성 농화배양으로부터 채취한 생물막의 미생물군집조성은 접종균으로 사용된 활성슬러지의 그것과는 다름이 DGGE 분석 결과 나타났다. DGGE band 중에서 생물막의 주요밴드는 Clostridia 강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erchlorate (ClO₄<SUP>-</SUP>) is a contaminant found in surface water and soil/ground water. Autotrophic perchlorate-reducing bacteria (PRB) use hydrogen gas (H₂) as an electron donor to remove perchlorate. Since iron corrosion can produce H₂, feasibility of autotrophic perchlorate-removal using zero-valent iron (ZVI) was examined in this study using activated sludge that is easily available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Batch test showed that activated sludge microorganisms could successfully degrade perchlorate in the presence of ZVI. The perchlorate biodegradation was confirmed by molar yield of Cl<SUP>-</SUP> as perchlorate was degrad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vealed that rod-shaped microorganisms on the surface of iron particles used for the autotrophic perchlorate-removal, suggesting that iron particles could serve as supporting media for the formation of biofilm as well. DGGE analyses revealed that microbial profile of the inoculum (activated sludge) was different from that of biofilm sample obtained from the ZVI-added enrichment culture used for ClO₄ <SUP>-</SUP>-degradation. A major band of the biofilm sample was most closely related to the class Clostridia.

      • KCI등재

        미생물을 이용한 염수의 퍼클로레이트 제거

        안영희(Yeonghee Ahn)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11

        퍼클로레이트는 물에 용해도가 높고 안정되어 잔류하는 음이온성 오염물이다. 이 오염물은 토양/지하수는 물론 지표수, 먹는물, 식품, 어류, 농작물에도 검출이 되었다. 퍼클로레이트는 갑상선에 요오드가 흡수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대사조절에 중요한 갑상선 호르몬 생산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염된 환경으로부터 퍼클로레이트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미생물에 의한 생분해가 가장 환경 친화적이고 경제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염수와 같은 염이 있는 환경에서의 퍼클로레이트 생분해에 대한 정보는 비교적 제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한 염수의 퍼클로레이트 제거와 이와 관련된 미생물에 대해 기술하였다. 대부분 염수의 퍼클로레이트 생분해 연구는 acetate와 같은 유기물을 전자공여체로 사용하는 종속영양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폐재생액(염수) 내의 퍼클로레이트 처리에 중점을 두었다. 폐재생액은 퍼클로레이트로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이온교환법에서 발생한다. 내염성 미생물을 농화배양하여 식종한 생물반응기를 통해 최고 10% NaCl 농도에서도 퍼클로레이트의 연속제거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제거는 제시되지 않았다. 염수 내의 퍼클로레이트 제거에 사용된 생물반응기에는 주로 β- 와 γ-Proteobacteria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기술한 이러한 정보는 생물공학기술 개발을 위해 염수의 퍼클로레이트 생분해에 대한 이해를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Perchlorate is an anionic pollutant that is very soluble and stable in water. It has been detected not only in soil/ground water but also in surface water, drinking water, food, fish, and crops. Perchlorate inhibits iodine uptake by the thyroid gland and reduces production of thyroid hormones that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regulation of metabolism. Although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remove perchlorate from the environment, biodegradation is the method of choice since it is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However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on perchlorate biodegradation in salt environment such as salt water. Therefore this paper reviews biodegradation of perchlorate in salt water and related microorganisms. Most biodegradation research has employed heterotrophic perchlorate removal using organic compounds such as acetate as electron donors. Biodegradation research has focused on perchlorate removal from spent brine generated by ion exchange technology that is primarily employed to clean up perchlorate-contaminated ground water. Continuous removal of perchlorate at up to 10% NaCl was shown when bioreactors were inoculated with enriched salt-tolerant perchlorate-reducing bacteria. However the reactors did not show long-term stable removal of perchlorate. Microorganisms belonging to β- and γ-Proteobacteria were dominant in bioreactors used to remove perchlorate from salt water. This review will help our understanding of perchlorate removal from salt water to develop a decent biotechnology for the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디젤오염지역에서 분리한 세균 Sphingomonas sp. 3Y의 석유계 탄화수소분해특성

        안영희(Yeonghee Ahn),정병길(Byung-Gil Jung),성낙창(Nak-Chang Sung),이영옥(Young-Ok Lee)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5

        장기간 경유로 오염된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세균 3Y는 석유계 탄화수소를 구성하는 다양한 화합물을 유일 탄소원으로하여 성장하였다. Sphingomonas sp. 3Y는 지방족 화합물은 물론이고 방향족 화합물을 이용해서 성장할 수 있었다. 지방족 화합물로서는 hexane과 hexadecane을 이용하여 성장하였고, 한편 방향족 화합물로서는 BTEX는 물론이고 phenol, biphenyl, 또는 phenanthrene을 유일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성장하였다. 본 균주는 indole과 catechol을 이용한 실험결과 방향족 탄화수소의 생분해 과정에서 맨 첫 단계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인 aromatic ring dioxygenase 활성과 benzene 환을깨는 효소인 meta-cleavage dioxygen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Sphingomonas sp. 3Y의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과계통수 작성 결과 본 균주는 α-Proteobacteria인 Sphingomonas속에 해당하였으며 지금까지 잘 알려진 석유계 탄화수소를 분해하는 Sphingomonas sp. 균주들과는 다른 cluster를 형성하였다. 다양한 석유계 탄화수소 성분을 이용하여 성장하는 Sphingomonas sp. 3Y는 유류로 오염된 토양의 복원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여겨지며 이 균주의 최적 분해 조건을 조사한다면 그 결과는 이 균주가 분리된 오염지역의 생물학적 분해를 최적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Bacterial stain 3Y was isolated from a site that was contaminated with diesel for more than 15 years. The strain could grow on various petroleum using hydrocarbons as the sole carbon source. The strain grew not only on aliphatic hydrocarbons but also on aromatic hydrocarbons. 3Y grew on aliphatic petroleum hydrocarbons hexane or hexadecane, and aromatic petroleum hydrocarbons BTEX, phenol, biphenyl, or phenanthrene. The strain showed aromatic ring dioxygenase and meta-cleavage dioxygenase activities as determined by tests using indole and catechol. Aromatic ring dioxygenase is involved in the initial step of biodegrad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while meta-cleavage dioxygenase catalyzes the cleavage of the benzene ring. Based on a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its 16S rRNA gene, 3Y belongs to the genus Sphingomonas. A phylogenetic tress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s of closest relatives of 3Y and petroleum hydrocarbon degrading sphingomonads. 3Y was in a cluster that was different from the cluster that contained well-known sphingomona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3Y has the potential to cleanup oil-contaminated sites. Further investigation is warranted to optimize conditions to degrade petroleum hydrocarbons by the strain to develop a better bioremediation strategy.

      • KCI등재

        원소 황 입자와 활성슬러지를 이용한 퍼클로레이트 제거특성

        한경림(Kyoung-Rim Han),안영희(Yeonghee Ahn)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5

        퍼클로레이트(ClO<sub>4</sub><sup>-</sup>)는 지표수 및 토양/지하수에서 검출되는 신규 오염물이다. 퍼클로레이트 환원세균(PRB)은 ClO<sub>4</sub><sup>-</sup>를 무해한 최종산물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ClO<sub>4</sub><sup>-</sup> 제거는 미생물을 이용한 방법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전 연구[3]를 통해 원소 황 입자와 활성슬러지를 이용하여 독립영양방식의 ClO<sub>4</sub><sup>-</sup> 제거가 가능하다는 실험적 증거가 제시되었다. 입자상 황은 비교적 값이 저렴하고, 활성슬러지는 하수처리장으로부터 쉽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원소 황을 전자공여체로 사용하였을 때 여러 환경요인이 활성슬러지 미생물의 ClO<sub>4</sub><sup>-</sup>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회분반응으로 조사하였다. 이 회분반응의 결과를 통해 활성슬러지 미생물에 의한 독립영양방식의 ClO<sub>4</sub><sup>-</sup> 분해를 위한 최적조건을 도출하였다. 또한 활성슬러지로부터 농화배양된 황산화 PRB는 활성슬러지보다 ClO<sub>4</sub><sup>-</sup> 제거능이 우수한 것으로 회분반응 결과 나타났다. 그래서 본 연구결과는 최적조건 적용 및 농화배양된 접종균을 통해 원소 황과 활성슬러지를 이용한 독립영양방식의 ClO<sub>4</sub><sup>-</sup> 제거를 향상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Perchlorate (ClO<sub>4</sub><sup>-</sup>) is an emerging contaminant found in surface water and soil/groundwater. Microbial removal of perchlorate is the method of choice since perchlorate-reducing bacteria (PRB) can reduce perchlorate to harmless end-products. A previous study [3] showed experimental evidence of autotrophic perchlorate removal using elemental sulfur granules and activated sludge. The granular sulfur is a relatively inexpensive electron donor, and activated sludge is easily available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A batch test was performed in this study to further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environmental parameters on the perchlorate degradation by sludge microorganisms when elemental sulfur was used as electron donor. Results of the batch test suggest optimum conditions for autotrophic perchlorate degradation by sludge microorganisms. The results also show that sulfur-oxidizing PRB enriched from activated sludge removed perchlorate better than activated sludge.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autotrophic perchlorate removal using elemental sulfur and activated sludge can be improved by employing optimized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enrichment culture.

      • KCI등재

        대수층 지하수 미생물의 생태

        김영화(Young-Hwa Kim),안영희(Yeonghee Ahn)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9

        기후변화로 인한 지표수 자원의 손실에 대비하기 위해 지하수 자원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지하수 오염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뿐 아니라 지하수 자원 관리를 위해 대수층 미생물 군집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대수층에서 미생물은 지하수에 부유하는 것보다 대부분이 대수층 퇴적토 입자 표면에 부착해서 서식한다. 하지만 대수층 퇴적토 시료 채취가 쉽지 않으므로 대부분의 대수층 미생물 군집 연구는 관정으로부터 채취한 지하수 시료의 부유 세포를 이용하였다. 오염된 대수층에서 미생물 군집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으나, 오염되지 않은 대수층에서의 미생물 다양성과 수질개선을 위한 그들의 역할에 대한 정보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수층 지하수 내에 존재하는 세균의 생태와 군집 구조에 관해 기술하였다. 지금까지 보고된 연구에 의하면 오염되지 않은 대수층 지하수 미생물 군집은 대부분 Proteobacteria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대수층 내의 기질(광물, 유기물 등)의 농도나 분포, 지하수의 성상, 인간의 활동 등에 영향을 받는다. 오염되지 않은 대수층 지하수 미생물 군집에 관한 연구는 지하수의 수질 개선에 관련된 생지화학적 과정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중요하며, 또한 대수층 오염에 따른 군집 변화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groundwater resources to overcome the loss of surface water resources due to climate change. An understanding of the microbial community of aquifers is essential for monitoring and evaluating groundwater contamination, as well as groundwater management. Most microorganisms that inhabit aquifer ecosystems are attached to sediment particles rather than planktonic, as is the case in groundwater. Since sampling aquifer sediment is not easy, groundwater, which contains planktonic microorganisms, is generally sampled in microbial community research. Although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microbial communities in contaminated aquifers, there are only a few reports of microbial communities in uncontaminated or pristine aquifers, resulting in limited information on aquifer microbial diversity. Such information is needed for groundwater quality improvement. This paper describes the ecology and community structure of groundwater bacteria in uncontaminated aquifers. The diversity and structures of microbial communities in these aquifers were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substrates (e.g., minerals, organic matter, etc), in addition to groundwater characteristics and human activities. Most of the microbial communities in these uncontaminated aquifers were dominated by Proteobacteria. Studies of microbial communities in uncontaminated aquifers are important to better understand the biogeochemical processes associated with groundwater quality improvement.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microbial communities of aquifers can be used as a basis to monitor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due to contamination.

      • KCI등재

        포화층 토양미생물에 의한 하천수의 nitrate 제거: 실험실규모 컬럼 실험

        박정용(Jungyong Park),안영희(Yeonghee Ahn)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5

        대수층 함양 및 회수(Aquifer recharge and recovery)기술은 안정적으로 안전한 상수원수를 확보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술의 하나이다. 이 기술을 통해 대수층에 하천수를 인위적으로 주입하여 저장하고 필요할 때 퍼 올려 상수 원수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기술에서 주입된 물이 저장되는 동안 대수층의 토착미생물에 의해 수질이 개선되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규모의 컬럼 반응기를 이용하여 대수층을 모사한 포화층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한 NO₃- 제거를 조사하였다. NO₃-는 낙동강의 대표적인 무기 오염물 중의 하나이다. 낙동강 하류에서 최근 2년간 측정된 NO₃- 농도 범위를 고려해서 NO₃- 농도를 달리한 하천수를 반응기에 주입하였다: 5.07, 6.81, 8.27, 그리고 11.07 mg NO₃-/l.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다양한 NO₃-농도에 상관없이 유입수가 반응기에 체류하는 동안 NO₃-는 농도가 감소되어 유출수는 1.49 mg NO₃-/l이하로 측정되었으며 본 실험기간 동안 평균 pH 7.98을 유지하였다. 한편 abiotic control 반응기에서는 유입수에 포함된 NO₃- 농도와 유출수의 NO₃-농도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그래서 본 실험조건하에서 반응기로 도입된 하천수의 NO₃-이 포화층의 미생물에 의해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대수층 함양 및 회수기술에서 대수층의 미생물에 의해 수질이 개선되는 것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Aquifer recharge and recovery is a technology used to ensure a stable supply of clean water. During the process, river water is injected into a soil aquifer and stored. The stored water is then recovered and used to produce drinking water.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quality improvement of the injected water while it is stored in the aquifer. In the present study, a lab-scale column reactor containing saturated-zone soil was employed to mimic an aquifer. The reactor was used to investigate microbial removal of nitrate that is a major inorganic contaminant detected in the Nakdong River. The reactor was introduced with river water that contained nitrate at concentrations (5.07, 6.81, 8.27, and 11.07 mg NO₃-/l) detected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in the past 2 years. The nitrate concentrations decreased during the introduced water is retained in the reactor. Effluent from the reactor contained 1.49 mg NO₃-/l or less and had an average pH of 7.98 regardless of the nitrate concentrations of the influent. However abiotic control reactor showed similar nitrate-concentrations in its influent and effluent. Considering the result of abiotic control, the decreased nitrate concentration observed in the test column suggested that microorganisms in saturated-zone soil removed nitrate in the river water introduced into the reactor.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better understand microbial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aquifer recharge and recovery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