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14세기말 사대부 교유시(交遊詩)의 한 양상

        안영훈(An Young-Hoon) 국어국문학회 2007 국어국문학 Vol.- No.147

        This paper explores a unique friendship among 14th century aristocratic men of letters. by focusing on the poetic epistles communicated among Lee Saek. Jeong Choo and Han Soo. There are interesting characteristics in their literary friendship. These three aristocratic men of letters passed the National Appointment Examination around the same time. were highly favored by the king himself. and later became successful aristocratic scholars. These facts imply that their friendship was based on their being in the same class of the Examination. but they were also from the same school' Consequently. these men of letters kept a strong and continuous bond among themselves until their later years. These scholars highly praised each other's merits and virtues and felt a unique comradeship among themselves. By respecting and encouraging each other. they established a model of true friendship. which can be defined as "mutual friendship with heart and soul." The poetic epistles communicated among them are a total of about 300. mainly written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One major characteristic of their poetic epistles is that they were mainly created in the form of serial poetic communication among these scholars. This implies their friendship and communication were continuous. The content of these epistles are focused on their shared sentiment and world view: the need to enlighten their world. their aesthetic understanding. and their shared hobbies such as enjoying the landscape of lotus flowers. Through these communications of heart and soul. they built a model of continuous and decent friendship among noble men of letters.

      • KCI등재후보

        한국 동물가전의 양상과 특징

        안영훈 ( An Young-hoon ) 택민국학연구원 2016 국학연구론총 Vol.0 No.18

        이 글은 한국의 動物假傳을 다룬 것이다. 기존에도 동물가전을 번역하고 다룬 글은 있지만 인간과 동물의 관계 속에서 그 인식의 양상과 의미를 논한 경우는 드문 실정이다. 지금까지 전하는 동물가전은 고려시대의 <청강사자현부전>을 비롯하여 조선시대 말까지 모두 8편이다. 동물가전의 수는 많은 편이 아니지만 현전하는 가전 작품 수(50여 편)에 비추어보면 비중이 작지 않다. 그것은 인간의 동물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동물가전의 전개 양상을 살펴본바 그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가전의 구성은 동물의 생태와 인간의 문명사적 지식이 각작품마다 해당 동물에 대한 지식 정보, 인간과의 관계, 당대 인간 사회의 동물인식 등을 잘 보여 준다. 둘째, 동물가전은 동물의 유형에 따라 어족, 모족, 우족 이 셋으로 분류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각각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동물의 유형과 시대의 변천에 따른 형식적 특징도 보이고 있다. 셋째, 동물가전은 단순하고 투식적인 표현으로 이루어진 희필로 치부되는 면도 있는데, 실제로는 시대적 변천과 형식의 변화에 따른 유의미한 동태적 변화 양상도 감지할 수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Korean animal Gajeon. Animal Gajeon is biographical literature that personification of animal. There are some articles that translated existing animal Gajeon and handled, but it is a rare situation when discussing the aspect and meaning of recognition in human-animal relationship. Animal Gajeon has been known until now, including the < Chenggangsajahyunbujeon > of the Goryeo Era, are in 8 volumes by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s we`ve examined the development aspect of animal Gajeon, the features and mean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cology of animals and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are in harmony with each other. Second, depending on the type of animal and the transition of the times, features are classified. Thirdly,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aspect of dynamic change from the work group.

      • KCI등재

        『일사유사(逸士遺事)』의 『호산외기(壺山外記)』·『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 수용 양상

        안영훈 ( An Young-hoo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5 No.4

        이 글은 韋庵 張志淵이 편찬한 『逸士遺事』를 『壺山外記』·『里鄕見聞錄』과 對比하여 그 性格과 位相을 살펴본 것이다. 일사유사는 中人層 文人, 藝術家를 위주로 立傳한 『壺山外記』의 전통을 따르면서도 士族 女性에까지 立傳 對象을 확대하였고, 前代 文獻과는 달리 僧侶層은 완전히 배제하였다. 『일사유사』는 사라지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과 그것을 전하고자 하는 使命感에서 편찬이 이루어졌고, 編纂 動機에서부터 體裁와 構成, 人物 記事에 이르기까지 前代 文獻을 포괄적으로 受容하였다. 『일사유사』는 전체적으로 보아서 새로운 시대의 人間像 提示보다는 傳統時代 價値觀에 바탕을 둔 人間型을 확대 再生産하는 방향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逸士遺事』는 前代의 傳記集 전통을 충실히 따르면서 中人 傳記集 편찬의 外延을 最大値로 확장한 지점에 놓이는 동시에 그 解體 過程을 잘 보여주는 저술이라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explores main literary features and significances of Ilsayusa by Jang, Ji-yoen in comparison with Hosanoegi and Ehyanggyenmunlok, which belong to the same genre of the compiled biographies. Ilsayusa follows its generic tradition that has focused on the biographies of middle-class writers and artists, but it also extends the same genre's dimension by including the lives of women of the aristocratic class. Ilsayusa broadly accepts the tradition of its precedents in the motives of its compilation, in its structure of writing, and in its description of the lives of its heroes and heroines. Its compilation is motivated by a strong sense of mission to relate to later generations the lives and practices that are in danger of being regrettably forgotten. Ilsayusa concentrates its objective on disseminating the ideals of humans complying with the values and ideas of the traditional ages, rather than trying to present types of humans of a new age. Ilsayusa faithfully keeps the tradition of the compiled biographies of the past, but it also extends to the maximum the literary dimension of the genre, the compiled middle-class biographies. But this work also reveals the process of this traditional genre's deconstruction by positioning itself between these two ambivalent strateg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四佳 徐居正 集景詩의 창작 논리와 현재적 의의

        안영훈 ( An Young-hoon )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29

        四佳 徐居正(1420~1488)은 大邱 達城을 대표하는 역사 인물로 문학사와 문화사에 큰 기여를 하였다. 최근 탄생 600주년을 맞아 학계에서 재조명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四佳의 삶과 문학에 대한 새로운 조명이 필요한 시점에서, 본고는 그가 남긴 다수의 집경시 창작에 주목하여 그 창작의 논리와 현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四佳의 詩는 약 6,500여 수로 방대한데, 집경시 또한 가장 많이 창작하였다. 四佳는 고려 이후 집경시 창작의 다양한 양상을 집성하였고 내용에서 풍경과 인간의 결합이 특징적이다. 집경시 창작의 논리를 그의 산문에서 살펴 본 결과, ‘聚遠’과 ‘重新’을 집경시 창작의 논리로 연결지어 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四佳의 다수의 집경시 창작은 기존의 작품을, 지식을, 경관을 한자리로 모으되 거듭 새롭게 하고자 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四佳의 집경시는 문학사적으로 당대까지의 집경시를 집성한 의의를 지닐 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여 다방면의 확산 가능성을 지닌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것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디지털시대에 걸맞은 활용도 이루어지고 있는 데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앞으로 실생활 방면과 문학지리학적 접근 또한 기대된다. Seo Geo-jeong(1420~1488), representing Daegu's Dalseong, was a historical figure who contributed greatly to literary and cultural history. Recently, on the occasion of the 600th anniversary of birth, a reexamination of his work is being undertaken in academia. At a time when a new light on Seo Geo-jeong's life and literature was needed, this paper examined the logic and present-day significance of his work by paying attention to the creation of a number of his poems. Seo Geo-jeong's poems are vast, numbering about 6,500, and are the most in any collection by a single author. Since the Goryeo Dynasty, he has aggregated various aspects of creation in the period of his output, and the combination of scenery and humans is characteristic of this cont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ogic of his poetry collection, as well as his prose, it was judged that collection of landscapes and reconstruction could be connected to his poetry collection. Seo Geo-jeong's collective view poetry has various new significance with respect to present works, knowledge, and scenery. In the historical and traditional sense, Seo Geo-jeong's collective view poetry was found to have not only significance as a collection, but also present-day significance and the ability to influence potential of others.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research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and that it is being made suitable for the digital era. In this regard, it is also expected that in the future there will access to actual geographically based literature.

      • KCI등재

        북한문학사의 고전문학 서술 양상

        안영훈(An Young-Hoon) 한국문학회 2004 韓國文學論叢 Vol.38 No.-

        In this thesis, I studied on The Aspects of Descrip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North Korea, it is common that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written by groups of scholars not by individuals. That's because the policy of the Labor Party has an affect on its writing. The description of the classical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also influenced by the direction of policy. Volumes one to six of The History of Choson Literature published in the 1990's deals with the classical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Choson Literature the objects of describing have been more widened compared to the histories of literature published in an early stage. This is attributed to Kim Jong-Il's The Theory of Chuche Literature insisting on the wide succession to the legacy of national culture. In th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the objects have been depicted more widely. This shows that in North Korea the study on th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advanced well. Also we need correct understanding and analysis about culture differenti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KCI등재

        김광순 소장 필사본 <미인도>를 통해 본 신작 고소설의 가치와 활용

        안영훈 ( An Young-hoon ) 택민국학연구원 2021 국학연구론총 Vol.- No.27

        이 글은 김광순 소장 필사본 <미인도>를 대상으로 이른바 신작 고소설의 가치와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작 고소설은 그동안 애매한 영역에 머물러 있었고 그 가치에 대해서도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기에 새로운 시각에서 다루어볼 필요가 있었다. <미인도>는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에 수록되어 있는 474편 중 하나로 최근 완간한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에 활자화된 원문과 현대어역이 실려 있다. 기존 연구는 <미인도>의 문헌적 양상과 형성 과정 그리고 변모 양상을 두루 다루었다. 하지만 <미인도> 필사본의 기능이나 가치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었고 작품의 내용도 세밀한 부분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점도 없지 않아 보였다. 그리고 최근 현대어 역주본 출간 관련하여 활용에 대한 검토가 없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미인도>의 줄거리를 간략히 소개하고, <미인도>를 포함한 신작 고소설의 가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첫째, 신작 고소설의 대중성 내지는 통속성의 문제이다. 기존의 대중소설 논의와 최근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흥미와 재미를 추구하는 고소설의 가치를 재고해야 하며 <미인도>가 전형적인 대중소설적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둘째, <미인도>에서 여성 인물이 부각되고 여성들의 연대가 주제적으로 연결되고 있는데 이는 여성 독자층과 관련된다고 보았다. 셋째, <미인도>는 서술자의 개입이 특징인데 이것이 ‘신식’의 구사와 관련되며 신작 고소설의 작의와도 연결된다고 보았다. 넷째, <미인도>라는 제목 명명 또한 신작 고소설의 작의와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고 보았다. <미인도>의 활용 방안에 있어서는 고소설의 향유를 재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제언하였다. 그를 위해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공유, 시스템, 필사본의 특징을 살리는 활용도 아울러 언급하였다.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newly created old novel, Portrait of a Beauty looking at the discussion to date, and discuss new values and utilization measures. Previous research has covered the literatur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Portrait of a Beauty. However, there was no mention of the function or value of the existing Portrait of a Beauty manuscript, with the details of the work seemingly to have not been covered. Additionally, there has been no review in the use of the modern translation in relation to recent publication. I looked at a few things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It is necessary to briefly introduce the plot of Portrait of a Beauty and examine the value of the new story. First, is a matter of popularity of the newly created old novel. Based on existing popular novel discussions and recent discussions, we should reconsider the value of the newly created old novel as one seeking interest and fun, and we looked at Portrait of a Beauty as a typical popular novel character. Second, in Portrait of a Beauty female figures are highlighted and female solidarity is connected thematically, which is related to the modern female readership. Third, Portrait of a Beauty is characterized by the narrator's intervention, which is related to the use of "new style" and is also linked to the work of the newly created old novel. Fourth, the title of Portrait of a Beauty was also consider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newly created old novel.

      • KCI등재

        The 19th Century Korean Novel : An Exhibition Center of Knowledge

        차층환 ( Chung Hwan Cha ),안영훈 ( Young Hoon A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46 No.4

        이 논문은 19세기 한국 고소설과 ‘지식’의 관련성에 초점을 두고 연구된 것이다. 18,19세기가 되면 淸과의 교류로 서적이 많이 유입되고, 그를 토대로 지식과 박학에 대한 열망이 생겨난다. 지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지식을 담은 서적이 간행되면서 소설에도 지식이 수용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지식을 수용한 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으로는 먼저 <삼한습유>와 <옥선몽>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한문소설인데, 여기에는 당대의 책에 담겨 있거나 지식인들이 갖고 있었던 거의 모든 지식들이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지식 소설이 창작된 것은 지식을 과시하고 지식을 습득하려는 사람들의 욕망 때문이었다. 지식은 한글소설에도 수용되었다. 그러한 작품으로는 <명행정의록>과 <삼강명행록>을 들 수 있다. 이 작품들은 궁중여성이나 양반여성들이 향유한 것으로서, 여기에는 언해 한시, 지리서, 각종 생활백과 등이 대량으로 삽입되어 있어서, 여성 독자들에게 폭넓은 지식과 교양을 제공할 수 있었다. 지식에 대한 관심이 확산됨에 따라 <두껍전>이나 <춘향전>처럼 한글을 깨우친 일반 대중들이 향유했던 소설에도 지식이 수용되었다. 이것은 지식에 대한 관심이 사회 전 계층에 확산되었음을 의미한다. 지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지식을 담은 소설이 창작 유통된 것은 지식의 ‘힘’에 대한 믿음이 19세기 사회에서 하나의 사회적 이념으로 존재했음을 말해준다. The present thesis has examined the features of the Korean novel in the 19th century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re was an influx of many books in Korea through an exchange with the Qing dynasty, which stimulated a desire for knowledge and erudition among people. Alongside an increase of interest in knowledge and the publication of knowledge-related books,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into a novel occurred. Representative works of knowledge novels are Samhan subyu and Oksonmong. These are novels in Chinese, which include almost all the knowledge found in the contemporary books or among intellectuals. The writing of the knowledge novels was due to people`s desire to display and acquire knowledge. Knowledge was integrated into a Han`gul novel, for instance, Myonghaeng chonguirok and Samgang myonghaengnok. Women in the palace or women noble classes enjoyed these literary works, which included a great deal of onhae Chinese poetry, geographic books, and encyclopedic information on life, and they could provide a wide range of knowledge and liberal arts. As interest in knowledge was widely spreading, knowledge came to be involved in novels, such as Tukkopjon and Ch`unhyangjon, which were enjoyed by the general public. This fact shows that interest in knowledge was extended to all social stratums. The writing and circulation of knowledge-included novels leads one to the fact that belief in the power of knowledge existed as a social ideology in the 19th century society.

      • 고속전기철도 변전소 제어케이블 번호부여체계 표준화에 관한 연구

        안승화(An Seung-Hwa),김시구(Kim Si-Koo),김백(Kim baik),노성찬(Rho Sung-Chan),정상기(Jung Sang-ki),안영훈(Ann Young-Hoon) 한국철도학회 2008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In this paper, a study an standardization of control cable numbering for high speed railway substation. Standard numbering structure of substation control cable and consistency of the number system are important for the railway substatio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However, currently control cable number system of railway substation was not standardization which was different according to a bander and a construct company. Therefor there is many difficult which does a same function to differ in maintenance and repair to accident. Therefor Standardizes the number system of the substation control cable is useful for an improve of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 KCI등재

        『어우야담』과 『요재지이』의 여성관 비교 연구

        사소석(She, Shao-Shuo),안영훈(An, Young-Hoon) 우리문학회 2023 우리文學硏究 Vol.- No.79

        본 논문은 『어우야담』과 『요재지이』에 나타난 여성 양상을 중심으로 두 작품의 여성관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어우야담』과 『요재지이』에 대한 한⋅중 양국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연구 방법과 여성 양상의 분류 정리에 대한 기준을 정하였다. 두 작품의 여성 양상을 분류 정리하고 분석을 통해서 유몽인과 포송령의 여성관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작품에 나타난 유몽인과 포송령의 여성관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몽인과 포송령은 현명하고 지혜롭고 용감한 여성, 전통과 진보가 결합된 여성을 많이 다루고 있지만, 전통사상의 영향으로 인하여 전통적인 여성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어 시대적, 계층적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둘째, 유몽인과 포송령은 신분과 생애의 차이로 인해 세인을 교화하는 측면에서 여성관이 다른데, 사대부인 유몽인의 경우 여성들이 전통적인 윤리 도덕을 지키는 데 더 무게를 두었다. 재야의 문인인 포송령은 사랑과 정신적 위안을 더 중시하였다. 나아가, 유몽인의 여성관이 국가 발전 중심적이라면, 포송령의 여성관은 사회 발전 및 진보적 의미에 더 비중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d the view of women in EoYadam and YojaeJii, focusing on their female roles and characteristics. Drawing upon previous research conducted in both Korea and China on these works, this paper establishes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criteria for categorizing women’s perspectives. The identified aspects are then organized and analyzed to reveal the specific views of Yoo Mong-in and Pyo Song-ryeong on women. Based on this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e comparison of Yoo Mong-in and Pyo Song-ryeong’s perspectives on women. Firstly, both Yoo Mong-in and Pyo Song-ryeong appreciate women who embody a combination of wisdom, intelligence, courage, and progress. However, they are constrained by societal class and the prevailing traditional ideologies of their respective eras, which limit them from fully departing from traditional views on women. Second, Yoo Mong-in and Pyo Song-ryeong have different views of women who uplift society due to their disparate statuses and life circumstances. Yoo Mong-in, a nobleman, emphasizes women’s adherence to traditional ethical morality. Conversely, Pyo Song-ryeong, a humble literary man, values love and spiritual comfort. Furthermore, Yoo Mong-in’s portrayal of women centers around national development, whereas Pyo Song-ryeong’s perspective highlights social progress and advanc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