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히로시 스기모토의 사진작품에 드러나는 무한성의 건축적 발현에 대한 연구

        안성모(Ahn, Seongm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5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rtistic meaning of “infinity,” manifested by the fourth dimensional value in the genres of photography and architecture, by analyzing how Sugimoto Hiroshi`s photographic spatio-temporal infinity transfers to his architectural approaches. The research is initiated by scrutinizing the themes, characteristics, techniques, and artistic meaning of Sugimoto`s famous photographic series, including “Seascapes,” “Theatres,” and “Architecture”; the concept of infinity can be defined as infinite divergence and infinitesimal convergence between antithetical concepts in time, space, and being. Sugimoto`s photographic works display “temporal infinity” by connecting ancient times, the present, and the future; “spatial infinity” by offering the potential for transformation from flat photographs into infinite three-dimensional space and fourth-dimensional concepts through time; and “existential infinity” of life and death by making us think about being and essence, being and time, and origin and religion. These perspectives are also used to analyze Sugimoto`s architectural works, such as “Appropriate Proportion” and “Glass Tea House Mondrian.” As a result, the research finds that in Sugimoto`s architectural approaches, spatio-temporal infinity between antithetical values is manifested through the concept of origin, geometric form, extended axis, immaterial threshold, transparent materiality, and connectivity of light and shadow, provoking our existence to transcend into infinity itself.

      • KCI등재

        디지털 디자인의 생태개념 적용을 통한 생성적 디자인 체계 연구

        안성모(Ahn Seongmo),송지현(Song Jihyu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디자인의 생태학적 접근에 주목하고 이러한 융합적 시도의 바탕이 되는 생태 체계의 디지털 디자인 생성 체계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그 기반을 제시하는 것이다. 디지털 디자인은 디자인 자체를 유기체적 관점으로 보게 되면서 자연의 생태계가 그러하듯 환경의 정보에 반응하는 발생적 가능성을 부여한다. 생물의 발생 성장 적응 진화 도태 변이 등의 근원적 원리들에는 생물과 환경의 관계에 대한 생태학적 원리가 작용하며 디지털 기술은 디자인에 있어 이러한 생물의 근원적 원리를 정보화하여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을 통해 생성적 형태 구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연생태 체계와 생태계 작동원리를 디지털 환경에 대입하여 가상 세계에서도 생태체계에 근거 한 디지털 유기체가 발생 성장할 수 있다. 생태학적 원리를 근간으로 하는 디지털 디자인 환경체계는 크게 생물학적 활성에 의한 내적 작용인 모포제네시스와 물리적 활성의 힘에 의한 외적 작용인 다이나믹스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생물이 환경에 반응하여 형태를 발생시키는 생태학적 원리와 그 틀을 같이한다. 두 생성 체계는 독립적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작동 한다. 생물의 발생 진화 항상성의 원리에는 환경에 최적화 하려는 개체와 환경과의 복잡한 정보적 작용이 작동한다. 디지털 디자인의 생성체계에 있어서도 외적 작용인 역학적 활성과 내적 작용인 생물학적 활성이 매개변수화 된 정보와 생성 알고리즘을 통한 상호작용을 통해 디자인 유기체의 조직과 형태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생성 체계는 디지털 환경 내의 유기체적 디자인 발생에 있어서 생명 시스템을 적용하고 또한 생물학적 생성의미를 부여하는 근거가 된다. 생성적 체계를 통해 디자인은 계속해서 변화할 수 있는 유기체적 잠재성을 내포하며 복잡성을 지닌 환경에 유연하게 반응하게 된다. This study's objective wa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eco-system to digital design generation system with focus on ecological approach of digital design and propose the ground for their integration. Digital design grants developmental potential to respond to environment information the way the eco-system of nature is as they see design itself in organic perspective. Broadly divided into Morphogenesis which is the internal process by biological activity and Dynamics which is the external process by the force of physical activity digital design generative system based on ecological principles works in the same manner as the ecological principle that organism develops forms by reacting in the environment. In this system the system and form of design organism are determined through information in which Dynamics and Morphogenesis are configured as variables and generation algorithmic interaction. Such generative system becomes the ground to apply life system in the organic body design development within digital environment and also to assign biological generative meaning. Through generative system design comprehends potential for organic body that can keep changing and responds seamlessly in environment that involves complexity.

      • KCI등재

        호텔 공간의 브랜드화 환경 특성 연구

        이화경(Lee, Hwa-Kyoung),안성모(Ahn, Seongm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3 No.1

        Nowadays, space branding becomes more important since it reflects and synthesizes the diverse experiences of the consumer.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present the new possibilities that space branding offers by analyzing the brand strategy an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branded hotels, which are being projected as constructed branded environments. By integrating the brand with visible or invisible elements of the hotel, such as unique space planning, service, and consumer experience, a branded hotel can be a good vehicle to reflect fast changing consumer lifestyles and trends; it enables the consumer to experience brands in his or her everyday life, and it conveys the overall image of the brand by considering the consumer’s multi-sensual experiences. The study processed with theoretical research which is related to the hotel space and branded environment. Four brands were selected with distinct business area and brand strategy, and studied to analyze the strateg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nded environment in a branded hotel. In particular, the case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distinctiveness of the branded hotel’s spatial design by comparing each brand’s representative flagship store with the hotel. As a result, four characteristics of branded environments in branded hotels were identified, namely, strengthen brand image, consistent brand strategy, extend brand perception, spatialize brand experience. Armani emphasizes their consistent brand image by applying similar design methods in both retail stores and hotel spaces. IKEA, in contrast, applies not their design identity but their brand concepts like practicality, efficiency, and low prices. Pantone gives an expanded brand experience by using synesthetic sensual stimulation using their color system. Missoni mixes and composes their patterns and materials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and strengthens design possibilities and spatiality. This study suggests specific design methods to construct a branded environment in a branded hotel and offers new strategic directions for space branding.

      • KCI등재후보

        국내 복합상업시설 아트리움의 공간특성 연구

        윤광노 ( Kwangno Yoon ),안성모 ( Seongmo Ah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3

        (연구배경 및 목적)오늘날 상업공간은 점차 쇼핑과 외식 등 단순한 소비행위를 넘어 다양한 문화적 행위를 담아냄으로써 이용자의 여가 및 문화적 욕구를 충족 시켜주기 위한 복합상업시설로 발전하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경제발전과 소비능력 향상은 여가시간 증대와 라이프스타일의 다양화와 함께 단순히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행위를 넘어 하나의 공간에 머무르는 동안 여유 및 오락을 즐기는 등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의 변화를 요구 하게 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상업시설과 문화적 교류를 접목시킨 새로운 개념의 복합상업시설의 개발을 불러일으켰다. 국내 상업시설 또한 이러한 흐름과 마찬가지로 도시안의 또 하나의 도시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는 복합화, 다양화, 고도화의 전략을 가지게 하였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다양하고 복합화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합상업시설에서의 아트리움은 내부공간 안에서 공간과 공간을 연결해 주는 중요한 구심점이 되고, 외부 환경에 방해 받지 않는 집중력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며, 공연, 레저, 집회, 마케팅 등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 및 문화적 행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공공간 이라는 점에서 초기 건축계획부터 공간 활성화 측면에서 중요한 디자인 요소가 되었다.(연구방법)본 연구는 국내 복합상업시설 아트리움의 공간분석을 통해 현재 아트리움의 공간특성을 살펴보고, 디자인특성 및 공간전략을 파악하고 평가함으로써 향후 차별화된 복합상업시설 아트리움 공간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선 복합상업 시설 아트리움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 특징, 유형, 기능을 파악하였으며, 이로부터 공공성, 상징성, 장소성, 연계성, 유희성, 쾌적성이라는 아트리움의 6가지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6가지 핵심가치들을 통해 국내 대표적인 복합상업시설의 6곳의 아트리움을 선정하여 복합상업시설의 개요 및 유형, 개발 컨셉, 아트리움 공간계획 특성 및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그결과 대부분 외부환경과의 접촉을 유연하게 연결시키며, 다양한 내부 환경적 요소에 의해 쾌적성이 높은 공간으로 계획되어 있었으며, 이벤트, 전시, 공연, 마케팅등의 컨텐츠를 활용함으로써 다수가 이용할 수 있는 공공적 성격을 띠며 단순 소비가 아닌 문화적 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집객 및 체류시간 연장을 통한 판매 증진의 효과를 유도하고 있었다. (결론)복합상업시설의 아트리움은 상업을 위한 수단임과 동시에 공적영역이라는 양의성을 갖는 공간이다. 따라서 쾌적하고 즐거움을 제공하는 활성화된 공간구현의 필수요소로써 건축의 계획단계에서부터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한 공간구성을 고려하여, 아트리움의 성격을 활용한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이 적용되어야 하며, 향후 아트리움은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함으로 인해 이용자로 하여금 시간과 장소의 여유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문화적 요구를 제공함으로써 감성을 자극하고, 이용자와 이용자, 이용자와 공간, 공간과 공간의 상호소통을 확장시키며 그 중요성이 증대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Commercial spaces are gradually transforming into urban entertainment centers (U.E.C.s), supporting not only simple consumption activities such as shopping or dining but also consumers’cultural desires and leisure activities. In a capitalistic society, economic development and purchasing power bring increased free time. People can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because their lifestyles are highly diversified. People come to new commercial facilities for a cultural exchange. They are not only purchasing a product but also enjoying life in the same place-hence, the development of a multipurpose commercial building. Commercial facilities have a new place in a city that has multiple functions such as complexation, diversification, and an acceleration strategy. With this background, an atrium is a very important design element in a multipurpose commercial building. An atrium is a center in the internal space, connecting one area to another. An atrium creates a dynamic and stimulating interior that provides shelter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People can participate in cultural activities including performances, leisure, assemblies, and marketing in an atrium. (Method)The objective was to identify six core values of the differentiated design direction of atriums in U.E.C.s by analyzing spatial characteristics, design quality, and spatial strategy. This research grew from a theoretical study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concept, types, and basic functions of atriums in U.E.C.s, and six pivotal keywords were pinpointed: publicity, symbolism, placeness, connectivity, playfulness, and amenity. Using these concepts, the design of representative domestic U.E.C.s was evaluated. (Results)The research revealed that most atriums are well-planned; they offer various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are an amenity for events, exhibitions, performances, and marketing of content that take advantage of a seamless connection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dditionally, an atrium improves sales, extending consumers’ length of stay by supporting public cultural consumption. (Conclusions)In a multipurpose commercial building, an atrium has two functions: it can be a commercial place and also a public place. In the incipient planning stage, people should consider an atrium-centered design as a pleasant and comfortable place. They also should consider the atrium’s functions. U.E.C. atrium planning should consider utilizing the various functions of time and place, providing cultural requirements to stimulate consumers’ emotions and thus extend the interaction between consumers, between consumers and space, and between spaces themselves.

      • KCI등재

        커뮤니티 스토어의 디자인 특성 연구 - 타운스퀘어 기반 애플 스토어를 중심으로 -

        강보경 ( Kang Bokyung ),안성모 ( Ahn Seongm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IT산업 발전으로 오프라인구매보다 온라인 구매가 주를 이루게 되면서 소매점의 기능 및 방향은 점차 변화하고 있다. 이에 애플이라는 미니멀한 기업 철학을 가진 브랜드에서 커뮤니티 중심의 공간디자인 전략, 즉 타운스퀘어 전략으로 변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랜드 공간에서 커뮤니티 스토어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그로 인해 얻어지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브랜드 공간디자인이 더욱 창의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연출되기를 도모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변화한 애플 소매점인 타운스퀘어를 통해 커뮤니티 스토어 특성의 발현 내용에 관하여 연구한다. 우선 타운스퀘어와 커뮤니티 스토어의 개념을 정의하고 세 가지 키워드인 경험, 지역성, 공공성을 도출하고 세부적인 특성에 대해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례연구를 위한 분석 틀을 제시하여 분석한다. 분석을 토대로 커뮤니티 기반 애플스토어의 디자인 특성과 효과에 대해 도출하고 연구 내용을 종합적으로 요약하여 결론을 내린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커뮤니티 스토어의 특성인 경험, 지역성, 공공성을 공간디자인의 구축 요소로써 사례 분석한 결과 복합된 공간의 교류성, 비물질화 구축의 관입성, 물성의 맥락성, 시간의 유동성을 통한 정체성, 물리적 관계성과 같은 네 가지 특성이 도출되었다. 첫째, 복합된 공간의 교류성은 공간을 매개로 상업성 기능과 공공성 기능이 심리적,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말하며 둘째, 비물질화 구축에 대한 관입성은 물성을 통해 내 외부 공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상호작용하는 것을 말한다. 셋째, 물성의 맥락성은 고유의 물성을 소거, 확장시켜 새로운 물성이 파생되도록 하고 고유의 물성을 재해석하여 새로운 차원으로 정체성 표현을 말하고 넷째, 시간의 유동성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공간의 변화, 재료의 변화 등 고정된 것이 아닌 시시각각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결론) 본 연구는 애플 타운스퀘어의 사례를 통해 공간에 있어 커뮤니티 스토어 발현 특성이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음을 알았다. 애플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커뮤니티가 강조된 브랜드 공간은 단편적인 판매공간이 아닌 공존하는 공간으로 가치있는 디자인이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물성 활용과 다양한 컨텐츠 이용으로 지역사회와 공존하며 소비자들과 정서적인 관계를 좁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oday, as the IT industry develops, online purchases dominate rather than offline purchases. As a result, Apple is moving from a brand with a minimal corporate philosophy to a community-oriented space design strategy, or town square strateg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value of design change pattern of future community stor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tore in brand space and understanding the effect obtained by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store in the brand space and to find out the effect obtained thereby, so that the brand space design can be produced in more creative and diverse ways. (Method)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studies the contents of community stor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hanged Apple retail store, Town Square. First, we define the concept of town square and community store, and derive three keywords experience, regionality, and publicity, and derive detaile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sis, the design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community-based Apple Store are derived, and the research contents are summarized and concluded. (Results) In this study,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cas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tores, experience, regionality, and publicity as a building element of spatial design, result of exchange of complex space, intrusiveness of non-materialization construction, contextuality of materiality, fluidity of time Four characteristics such as identity and physical relationship were derived. First, the interchangeability of the complex space refers to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the commercial function and the public function through the space. Second, intrusiveness in the construction of dematerialization refers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boundaries of the inner and outer spaces breaking through physical properties. Third, the contextuality of physical properties eliminates and expands the original physical properties to derive new physical properties, and reinterprets the original physical properties to express identity in a new dimension. Fourth, the fluidity of time is not fixed, such as changes in space and changes in material with time, and chang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from time to time.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through the case of Apple Town Squar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tore expression in space can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As can be seen from Apple's case, the brand space emphasized by the community will be a valuable design as a coexisting space rather than a fragmented sales spac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various properties and the use of various contents will coexist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narrow the emotional relationship with consumers.

      • KCI등재

        디지털 형태생성을 통한 블로비즘 공간의 비동질성 연구

        유영준 ( You¸ Youngjun ),안성모 ( Ahn¸ Seongm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디지털 패러다임은 새로운 건축의 형태와 공간의 구조를 요구하게 되었고 디지털 패러다임에 따른 변화는 정형화된 대량생산의 중심적 디자인이 아닌 복잡하고 유기적인 형태의 새로운 조형생성에 집중이 되었다. 그중 블로비즘(blobism)은 오브젝트에 각지고 표준화된 형태를 벗어나 이음새가 없는 복잡한 형태를 표현하는 탁월한 능력으로 디자이너에게 새로운 조형성을 주어 블롭의 관련 연구는 계속 진행되었다. 블롭은 끊임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며 합리적이면서 미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고 이질적인 결합을 통하여 비동질적인 공간을 생성한다. 생성된 비동질적인 공간은 관찰자와 상호작용으로 연속적인 공간감과 탈중심적인 경계를 보이며 새로운 공간감을 창출하여 블롭은 오늘날 건축과 공간을 생성하는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블로비즘의 조형특성의 이론과 개념, 디자인 원리를 분석하고 발현되는 조형성을 도출하여 블롭이 가지고 있는 새로운 조형적 가능성을 찾고 분석을 통하여 블로비즘의 비동질적 공간에 의미와 가치를 찾고자 한다. (연구방법) 블로비즘의 개념과 비동질성의 배경인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의 리좀(Rhizome)과 폴드(Fold)의 개념을 알아보고 블롭이 갖는 조형성을 분석하여 블로비즘의 비동질적 디지털 형태변형 및 생성기법과 제작방법을 연구하고 앞선 개념들이 어떻게 적용이 되었는지 사례와 함께 알아보고 공간의 비동질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결과) 블롭은 이질적인 결합을 통해 유동적인 형태생성을 하며 비동질적인 공간을 창출한다. 이러한 블롭의 비동질적 공간은 리좀과 폴드의 개념을 통해 알아본 결과 리좀은 접속, 이접, 통접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질적인 결합을 통해 새로운 형태를 생성하고 이러한 형태는 중심이 없고 어디든 결합이 가능하며 본질의 형태를 지닌채 독립적인 형태를 만들어낸다. 폴드의 유동성, 연속성 특성은 객체가 지닌 속성은 끊임없이 이어져 연속적인 운동성을 보여주며 연속적인 내적 질서는 다른 형태와의 결합으로인해 무수한 중첩적인 형태를 만들어낸다. 이렇게 도출된 특성을 그래스호퍼를 이용하여 형태생성 실험결과를 사례에 대입한 결과 블로비즘의 비동질적 공간은 관찰자와 공간의 관계 속에서 시야의 긴장감과 중심이 없는 모호한 경계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 비동질적 공간은 실제로 멈추어 있지만, 공간 속에서 유연한 흐름의 운동성을 보여줌으로 물체가 흐르는 시간성을 느낄 수 있게 해주고 유동적인 흐름은 공간이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입장과 시선에 따라 방향성이 변화하는 인터렉티브한 시야를 주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닌 계속해서 변화하는 것 같은 인식을 공간 속에서 보여준다. 연구를 통해 블로비즘의 유기적인 형태는 단순히 유연해 보이는 것이 아닌 공간 속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각을 줌으로 인식과 지각적 사고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보였고 사용자의 지각적 움직임을 갖은 잠재적 유동 공간은 새로운 조형적 사고와 시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며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Digital paradigm requests new architectural type and spatial structure; such a change focuses on new complicated and systematic shape formation types. Among them, blobism gives the designer a new format―with its superior ability to express an object as a seamless, complicated shape, aside from being angulated and standardized. Thus, the study of Blob has been conducted. Blobs create inhomogeneous spaces through different combinations that continuously change into various reasonable and aesthetic shapes. Blobs become important tools in generating architecture and space today by creating a new sense of continuous inhomogeneous space with a decentralized boundary for interaction with the obser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inhomogeneous space of blobism by finding new formative possibilities and conducting an analysis on Blob formativeness properties, thus revealing the theory, concept, and design principle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blobism. (Method) I determined the inhomogeneity of the space by investigating the concept of the rhizome and fold by Gilles Deleuze and flity and executing the analysis of blobism and the background of inhomogeneity, and studying inhomogeneous digital shape transform and generation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lobism. (Results) Blobs create inhomogeneous spaces, generating flexible shapes by different combinations. Rhizomes have connection, disjonction, and conjunction characteristics and generate new shapes by different combination. As it does not have a center, it is possible to combine anything and make individual shapes which have essential shapes. The liquidity and continuity characteristic of the fold shows continuous motility by connecting endlessly for the properties of the object, and continuous internal order makes countless overlapping shapes by the combination with other shapes. Inhomogeneous space of blobism can draw an ambiguous borderline without tension of sight and cen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server and space based on the result substitutes the shape generating inspection result of these drawing characteristic in the example using Grasshopper. (Conclusions) Heterogeneous space is actually stopped, however, it reveals the temporality with which the object is flowing by showing flexible flowing motility in space, and the floating flowing shows the awareness of continuous changing by giving interactive sight chang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line of sight and not the space moving by itself. Based on this study, the systematic shape of blobism shows new possibilities in the recognition and perceptual thinking in the space by giving various sights to the user which are not shown as simply flexible. Moreover, potential flowing space with the user’s perceptual motion could show new formative thinking and sight, and should therefore, be more carefully studied.

      • KCI등재

        현대 패션쇼 공간에 나타나는 비선형 내러티브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김은주 ( Eunjoo Kim ),안성모 ( Seongmo Ah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6

        (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에서의 경험 확장을 위한 광범위한 미디어의 활용과 결합의 실험은 공간의 디자인 연출에 있어서 중요한 시도로 여겨진다. ‘비선형 내러티브’는 상업적, 문화적으로 의미 있는 현상으로 자리 잡고 있는 유형을 중심으로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미디어의 변화된 현상은 사회의 여러 분야 중에서도 패션 분야에서 가장 빠르고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현대의 패션쇼 공간은 내러티브 중심에서 더 나아가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무한한 가치를 인정하는 유동적인 형태로 감성, 감정, 감동의 정서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예측 불가능한 비선형의 내러티브 특성이 현대 패션쇼 공간에 적용되어 새로운 가치적 특성을 도출하고 비선형적이고 통합적인 상호작용과 공감을 위한 또 하나의 새로운 공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내러티브의 개념과 과거와 현재의 흐름을 파악하고 넬슨(Theodor Nelson)의 하이퍼텍스트의 비선형성, 상호작용성, 무경계성과, 헨리 젱킨스(Henry Jenkins)의 트랜스미디어 내러티브의 확장성, 혼성성, 서사성을 비선형 내러티브 특성으로 도출하였다. 패션쇼의 구성요소를 평면언어, 입체언어, 공간언어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6가지의 비선형 내러티브 특성이 현대 패션쇼 공간에 어떻게 적용되어 새로운 가치적 표현방법이 도출되는지를 최근 2년 이내의 각각 다른 명품 브랜드 패션쇼를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 현대 패션쇼 공간은 비선형의 공간, 상호작용 공간의 특성을 가지며, 현대 패션쇼 공간의 표현방법으로는 관객으로 하여금 또 다른 관련 내러티브로 이동해 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완결의 이탈적 서사성,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선택되는 무수한 비선형적인 내러티브의 요소들의 통합적 접점의 혼성성, 미디어 확장의 과정에서 관념적인 형식에 존재했던 것의 소멸이나 전통성의 부정성과 같은 가변적인 공간의 불연속적인 확장성, 공간이 경계성을 띄지 않고 관객에 의해 새로운 내러티브가 생성되어 재목적화의 무경계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표현방법은 공간분할과 동선유발, 시각적 차단 등의 기능적 측면도 내포되어 표현된다. (결론) 현대 패션쇼 공간의 비선형 내러티브는 하이퍼텍스트적이고 트랜스 미디어 내러티브적인 특성을 통해 연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현대 패션쇼 공간이 고정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미디어 기술과 예술이 결합된 혼성적인 변화를 통해 이전 보다 비선형적이고 무한하며 통합적인 상호작용적 특성을 가지고 패션쇼 공간의 또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Experimentation on the use and combination of a wide range of media to expand experiences in space is considered an important attempt in displaying the space design. The “Non-linear Narrative” allows us to understand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regarding the types that are believed to be commercially and culturally significant. The changed phenomenon of media is emerging as the fastest and most prominent aspect of fashion in various social fields.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has some emotions such as sensitivity, feeling, and impression as a flexible shape that can interact with others and recognize infinite values, moving away from a narrative-centered position. In the light of the above, this study aimed to derive new value characteristics and to present another new direction for non-linear and integrated interaction and sympathy by applying unpredictable non-linear narrative characteristics to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Method) The researcher first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of narrative and the flow of the past and present and derived Theodor Nelson’s non-linearity, interactivity, and borderlessness of hypertext and Henry Jenkins’ expandability, hybridity, and narrativity of trans-media narrative as the characteristics of non-linear narrative. The elements of fashion shows were categorized into flat, three-dimensional, and spatial languages and then analyzed using a case analysis (within the past two years) on how six non-linear narrative features are applied to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leading to a new value representation method that focuses on fashion shows for different luxury brand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spaces of modern fashion show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non-linear and interactive spaces. In addition, narrativity in total defection (which encourages audiences to move on to other related narratives), hybridity of integrated points of contact in numberless non-linear narrative elements selected through interaction with audiences, discontinuous expandability of variable spaces such as the extinction of things that existed in ideological form, negativity of traditionality, and borderlessness of re-purposing through the formation of new narratives by the audiences in an unbounded space were derived as a representation method for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The representation method also implies functional aspects such as spatial division, induction of movement, visual interception, etc.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the non-linear narrative of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is displayed through hypertextual and trans-media narrative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presents a new direction for fashion show spaces with more non-linear, infinite, and integrated interactive characteristics than ever before through a hybrid change in which various media technologies and arts have been combined out of a fixed framework.

      • KCI등재

        디지털 조형의 혼성적 특성연구

        김란희(Kim, Ran-Hee),안성모(Ahn, Seongm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3 No.4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new geometric possibilities in digital architecture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hybridization in digital geometry. The research begins with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 such as defining hybridization, investigating hybrid thinking, and studying the theory the theory of digital geometry, along with the four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hybridization that could be drawn, such as temporality, liquidity, complexity, and connectivity.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generative method of hybrid digital geometric languages such as Blob, Particle, Morph, Loft, and Boolean was analyzed with case research in contemporary digital architecture. As a result, diverse hybrid geometric keywords were extracted; these keywords suggest potential meanings of hybridization such as accidentality, mobility, diversity, and identity. Different elements represent the “mobility” in time by the force and wave, and they are “accidentally” combined in gradual change. The united species in “diverse” characters are seamlessly connected and emerge as a new “identity.” The research maximizes the generative possibilities in digital geometry and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to apply the digital hybrid methods to architectural design by suggesting the potential meanings and possibilities in hybrid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