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 매니페스토 평가지표 개발 -기존 지표 검토를 통한 대안적 평가지표 개발

        안선회(An, Sun-Hoi),이경호(Lee, Kyoung-ho)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2

        선거에 나서는 정당 및 정치인들의 책임 있는 선거 공약 제시와 이행을 감시하는 매니페스토 운동이 최근 다양한 단체들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정당 및 정치인들이 선거를 맞아 내놓는 교육공약들을 쉽게 평가·검증하여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기존 매니페스토 평가지표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공약 검증에 적합한 대안적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매니페스토 개념과 특성, 그리고 국내외 매니페스토 운동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다양한 단체들에 의해 개발된 기존 평가지표들을 검토하고, 기존 지표들의 특성과 한계, 그리고 개선방향을 탐색한다. 이러한 선행연구 및 기존 매니페스토 평가지표들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교육공약 평가에 적합한 대안적 평가지표인 ‘교육 매니페스토 평가지표(E-V-A-D-A-E-S)’를 개발·제안한다. 새로 개발한 대안적 매니페스토 평가지표는 총 6개로 구성되는데, 내용지표 4개와 성과평가지표 2개이다. 6개의 평가지표는 교육적 타당성(Educational Validity), 교육공약 적정성(Educational Adequacy), 공약의 민주성(Democracy), 실현 가능성(Achievable Possibility), 효과성(Effectiveness), 구체성(Specificity)이다. The Manifesto Movement, which monitors the present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election pledges, has recently been actively carried out around various organization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existing manifesto evaluation indexes and develop alternative evaluation indexes suitable for verifying educational pledges so that voters can easily evaluate and verify educational pledges of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ians and make wise choic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first look a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anifesto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nifesto movements, then review the existing evaluation indexes developed by various organizations, and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existing indicator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Based on these prior research and consideration of existing manifesto evaluation indexes, the Educational manifesto Evaluation Index (E-V-A-D-A-E-S), an alternative evaluation index suitable for evaluating educational pledges, is developed and proposed. The newly developed alternative manifesto evaluation index consists of a total of six, four content indicators and two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The six evaluation indicators are Educational Validity, Educational Adequacy, Democracy, Achievable Possibility, Effectiveness, Specificity.

      • KCI등재

        보수정부와 진보정부의 교육개혁 정책패러다임 비교 연구

        안선회(Sun Hoi An) 한국학부모학회 2023 학부모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보수정부와 진보정부의 교육개혁 정책패러다임을 도출하고 그 특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육개혁 정책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수정부인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그리고 진보정부인 문재인 정부의 교육개혁 정책에 나타난 정책패러다임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명박 정부의 교육개혁 정책패러다임인 ‘교육 다양화와 경쟁 강화 신자유주의 패러다임’으로, 박근혜 정부의 교육개혁 정책패러다임은 ‘행복교육과 창의인재 양성 패러다임’으로, 그리고 문재인 정부의 교육개혁 정책패러다임은 ‘교육복지와 학생성장을 내세운 교육자중심패러다임’이라고 그 특징을 규정하였다. 아울러 각 정부 간의 교육개혁 정책패러다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교육개혁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educational reform policy paradigm of the conservative government and the progressive government,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to obtain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 reform policy improvement. To this end, the policy paradigms of the conservative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governments and the liberal Moon Jae-in government's education reform polic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Lee Myung Bak government's educational reform policy paradigm is 'Educational Reform and Competition Strengthening neoliberal Paradigm', the Park Geun Hye government's educational reform policy paradigm is 'Fantastic Happiness Education and Creative Talent Training Paradigm', and the Moon Jae In government's educational reform policy paradigm is 'Educator-centered paradigm disguised as educational welfare and student growth'. In addition,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reform policy paradigm between each government were derived and analyz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future education reform policies were proposed.

      • KCI등재

        일반논문 :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 정책주장의 실제적 타당성 분석 -대학입학전형제도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안선회 ( Sun Hoi 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6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이라는 정책방향은 사교육비가 정책문제로 부각된 이래 변함없이 타당한 정책으로 추진되어왔다. 그리고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에서는 그 핵심고리로 학교교육 과정 중심의 고입전형, 대입전형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책추진과정에 근거하여 학생부 중심의 대입전형을 매개로 한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정책의 정책주장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분석틀로는 안선회(2009; 2013)가 Dunn의 정책논증구조를 재구조화하여 정책주장의 실제적 타당성 분석틀로 개선한 분석틀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노무현정부에서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학생부 내신중심의 대입전형은 사교육비를 크게 증가시켰으며, 이명박정부의 입학사정관제와 박근혜정부의 학생부위주전형 확대도 사교육비를 줄이지는 못한 채 수능사교육비를 내신사교육비로 대체하고 있음을 밝혔다. 다만, 학생들의 학교교육 충실도 향상, 교사들의 권위 향상 등 일부 공교육 내실화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토대로 학생부 중심의 대입전형을 매개로 한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정책"의 정책주장은 공교육 내실화에는 일부 기여하였으나, 사교육비를 증가시키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특히,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정책"은 학생부중심 대입전형에서는 그 효과가 없기에 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 Reduction Policy through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has been promoted as a valid policy ever since it emerged as a policy issue. Concerning reducing the private education expanse through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the high school entrance exam and college admission system focused on the school curriculum are presented as a ringcore. According to policy implem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 reduction policy through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mediated by college admission system based on high school transcript of records. The improved analytic framework(Sunhoi An(2009; 2013), Dunn`s policy argumentation model restructuring , was applied as the analytic framework for the study on the practical validity of the policy claims. This study shows that in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college admission system based on grades of high school records for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expanse. Also, in the administration of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expanding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replaced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with that for school grades, failing to reduce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 However, internal stability of public education was effective partly such as improved students` devotion and teachers` authority. Based on this findings, we analyze that the policy claims, "private education expense reduction policy through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mediated by college admission system based on high school transcript of records, contribute to internal stability of public education partially but increase the private education expanse. In particular, "private education expense reduction policy through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needs to be reformed because it is not effective in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 KCI등재

        대입제도 정책결정과 정책집행 연계성 분석 :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대입제도를 중심으로

        안선회 ( An Sun-hoi )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입제도의 정책결정과 정책집행 간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책결정내용과 집행계획의 인과성, 정책결정구조와 집행구조의 정책 공유도, 정책결정집단과 집행집단의 상호 적응성, 정책결정환경과 집행환경의 관심과 주목이라는 준거 등으로 분석하고 그 연계성이 집행결과와 정책 효과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Winter의 정책결정-집행 연계 모형을 수정한 분석틀을 기반으로 문헌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가장 최근에 이루어진 노무현정부, 이명박정부, 그리고 박근혜정부 시기의 대입제도 정책결정과 정책집행이다. 핵심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결정과정의 정책문제정의와 정책인과가설의 타당성이 낮으면, 정책집행이 왜곡되고 정책효과성이 약화된다. 둘째, 정책결정내용의 정책인과가설이 명료하지 않으면, 정책집행단계에서 정책추진방향의 변화ㆍ왜곡이 발생한다. 셋째, 대입제도 개선 정책결정과정에서 갈등이 심화되면, 집행과정에서의 갈등도 여전하며, 정책효과성도 약화시킨다. 넷째, 정책결정과정과 정책집행과정에서 실질적으로 가장 중요한 정책대상집단인 학생ㆍ학부모의 관심과 요구가 반영되지 못하고 있기에 대입정책의 정책목표인 사교육비 경감, 교육불평등 완화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타당한 정책문제 정의와 정책인과가설 설정, 대입정책 정책과정 전반에 걸친 학부모ㆍ국민 다수의 의견과 요구 수렴 노력, 정책결정과 정책집행 연계성에 대한 연구 등을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nkage between policy decision of university admission system and its policy enforcement.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ausality of the contents of policy decision and execution plan, the policy sharing structure of policy decision structure and executive structure, the mutual adaptability of policy decision group and executive group, and the criterion of policy decision environment and executive environment interest and support. We also analyzed the effect that the linkage had on enforcement results and policy effective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which modified Winter's decision making- executive linkage model. The scopes of this study ar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policy making and policy enforcement of the most recent governments: the Roh Moo Hyun government, the Lee Myung Bak government, and the Park Geun Hye government.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f the validity of policy problem definition and policy causation hypothesis is low, policy enforcement is distorted and policy effectiveness is weakened. Second, if policy hypothesis of policy decision contents is not clear, policy direction of policy development will be changed or distorted at policy execution stage. Third, if conflicts intensify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of improving the substitution system, conflicts still remain in the execution process, and policy effectiveness is also weakened. Fourth, in the process of policy making and policy enforcement, the interests and needs of students and parent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policy target groups a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Therefore, they are not contributing to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easing of education inequa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 research on the policy decision making and the linkage between university admission system policy decision making and policy execution, the evaluation of the opinions of the majority of the parents and the people was proposed.

      • KCI등재

        한국교육 정책문제와 진보교육진영 교육개혁 정책패러다임의 연관성 분석

        안선회(An, Sun-Hoi) 한국교육정치학회 2021 敎育政治學硏究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의 핵심적인 정책문제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들 정책문제가 진보교육진영의 교육개혁패러다임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주요 정책문제로는 학생 평가의 신뢰성 약화와 성적 관련 부정과 비리 증가, 대입 전형에서의 공정성 추락과 교육선발의 불평등 심화, 기초학력 하향, 사교육비 증가, 교육만족도의 하락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진보교육진영의 교육개혁 정책패러다임을 도출하여 이들 정책문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철저하게 교사중심인 진보교육진영의 교육개혁 패러다임이 이들 교육정책문제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진보교육진영 교육개혁패러다임으로 발생하는 정책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key educational policy problems in Korean education and how these policy problems are related to the educational reform paradigm of the progressive education camp. First of all, the major policy problems were the weakening reliability of student evaluation, the increase of grade-related irregularities and corruption, the fall in fairness in college admission, the deepening inequality in the educational selection, the decline of basic learning capability,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costs, and the decline in educational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educational reform policy paradigm of the progressive education camp was derived and the association with these policy problems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reform paradigm of the progressive education camp, which is strictly centered on teachers, is the cause of these educational policy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plans for overcoming policy problems caused by the educational reform paradigm for the progressive education.

      • KCI등재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교육공약 비교·평가

        안선회(An, Sun-Hoi),이경호(Lee, Kyoung-ho),김병찬(Kim, Byeongchan),김상철(Kim, Sangcheol),김지영(Kim, Ji-young),박대권(Park, Daekwon),박호근(Park, Ho-Keun),박효원(Park, Hyowon),손희권(Sohn, Heekwon),이광현(Lee, Kwanghyun),이수정(Lee,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2

        최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주요 정당들은 서로 앞 다투어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만한 다양한 교육공약을 내놓았다. 이에 본 논문은 주요 정당의 교육공약을 비교·평가하여 유권자들의 선택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근거로 향후 각 정당의 교육공약 수립 및 추진 시 요구되는 개선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주요 정당의 교육공약 비교·평가 결과, 연구대상 정당들(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정의당, 국민의당)의 교육공약에 대한 평균점수는 중간 수준의 3.12(5점 척도)로 나타났다. 교육정책 분야별 평가에서는 교육환경·학생안전·교육복지 분야(3.63)가, 정당별 평가에서는 더불어민주당(3.47)이, 그리고 평가지표별 평가에서는 교육적 타당성(3.37)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도출된 개선과제는 미래지향의 교육개혁 비전 수립 및 정책 제시, 공약실현을 위한 소요재원 규모 산출 및 재원 마련 방안 제시, 민주적 의견수렴 과정을 통한 국민들의 의견 적극 반영, 고도의 전문성을 지닌 교육정책 전문가 양성 및 영입 등이다. In the run-up to the 21st general election, major political parties have come up with various educational pledges. Thus, this paper aim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voters by comparing and analyzing educational pledges of major political parties and to suggest improvement tasks required for establishing and promoting educational pledges in the fut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score for educational pledges of the parties was 3.12 out of 5, which is considered as a midpoint level. The field of “education environment/student safety/education welfare” (3.63) ranked the highest among all the educational policy fields. Democratic Party received the highest marks (3.47) among the political parties. The index of “educational validity” marked the highest (3.37) among the evaluation index. The improvement tasks derived based on the analyses include as follows: a) establishing and presenting future-oriented vision for education reform, b) calculating the size of the required funds for the realization of pledges and presenting strategies to raise funds, c) actively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people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democratic opinions, and d) fostering and recruiting and raising educational policy experts with high level of expertise.

      • KCI등재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한 대입제도 정책변동 분석

        안선회 ( An Sun-hoi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여 문재인정부 시기에 이루어진 대입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변동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정책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입제도 정책문제가 새로운 정책의 창을 열고 정책의제 설정과 정책내용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정책문제의 흐름과 정책대안의 흐름이 독립적이기보다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셋째, 대입제도 관련 정책의 창은 선거라는 정치변동에 의해 주기적으로 열린다. 넷째, 정시 수능확대 정책선도자들의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역할이 정책의 창의 열림과 정책방향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대입 정책과정의 성공과 실패는 대입 불공정성 개선 가능성, 그리고 학부모와 국민 요구의 민주적인 반영 정도에 의해 좌우되었다. 여섯째, 대다수 학부모와 국민의 요구에 따른 민주적 정책 결정만이 정책 갈등을 완화할 수 있었다. 일곱째, 교육정책과정이 명백한 정치과정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교육적 타당성’과 ‘민주적인 정당성’을 지닌 정책과정과 정책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process of college entrance policy during the Moon Jae-In government using Kingdon’s multiple streams framework. Through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ollege admission policy proc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policy problem of the college entrance system opened a new policy window and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setting of the policy agenda and the decision of the policy contents. Second, the flow of policy issues and the flow of policy alternatives was closely related rather than independent. Third, the window of policies related to the college entrance system was opened periodically due to political changes such as elections. Fourth, the active and effective role of policy entrepreneurs in expanding the regular admissions has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opening of policy windows and policy direction. Fifth, it was confirmed that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college entrance policy process depended on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unfairness of the college entrance exam and the degree of democratic reflection of parents and public demands. Sixth, only democratic policy decisions based on the needs of most parents and people could ease policy conflicts. Seventh, it confirmed that the education policy process is a clear political proces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importance of policy processes and policy research with ‘educational validity’ and ‘democratic legitimacy’ was emphasized.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과제 탐색

        이경호 ( Kyoung Ho Lee ),안선회 ( Sun Hoi An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동시에 여전히 지식전달 위주의 근대적 교육체제가 갖고 있는 일련의 모순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으로 주목받고 있는 “역량기반 교육(competency-based education)”을 활성화할 수 있는 교육적 과제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역량의 개념과 역량 프레임 워크(frame-work), 그리고 역량기반 교육 등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Cooper 등이 제안하고 있는 4차원 정책분석모형을 토대로 역량기반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과제와 정책적 방안들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 진단하고 실효성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역량기반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과제를 살펴보면, 규범적 차원에서는 학습자중심 교육, 역량중심 인간상 구현, 공공의식과 자기주도성 및 창의성 함양이며, 구조적 차원에서는 역량중심 교육과정과 선발과정, 교육체제, 그리고 교사교육 시스템의 재구조화이다. 구성적 차원에서는 교사, 교육행정가, 학습자, 그리고 학부모의 역할 변화이며, 기술적 차원에서는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 개선, 평가방법의 개선, 그리고 교육역량중심의 컨설팅 강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educational tasks to revitalize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Since the OECD redefined key competencies as `what people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in order to lead a successful life in a well-functioning society, many countries have emphasized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this purpose, first, the definition and the frame-work of competency was examined. Secondly, the ways to revitalize competency-based education were analyzed and suggested, based on the Cooper`s four dimensions(normative, structural, constituent, and descriptive dimension) of educational policy theor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goal of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should be directed to nurture the civic mindedness, personal growth initiative and creativity and emphasize on the learner & competency-centered education in the normative perspective. Secondly, the system of the current curriculum, selection, teacher-training should be changed to put emphasis on competencies in the structural perspective. Thirdly, the competency based education necessitates a shift in stakeholders` roles, namely teachers`, administrators`, learners`, and parents` roles, in the constituent perspective. Finally,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needs a change in the curriculum, evaluation, and consulting system for developing students` competencies in the descriptive perspective.

      • KCI등재

        선취업후진학정책 평가연구 - 특성화고·마이스터고를 중심으로 -

        이숙영 ( Lee Sook-young ),안선회 ( An Sun-ho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선취업후진학정책을 평가하여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선취업후진학정책은 2010년에 제시되어 8년째 시행되고 있다. 선취업후진학정책 시행 이후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의 취업률은 매년 점차 상승하고 있으나, 전문계고에서 취업과 진학지도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해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취업후진학정책의 정책형성은 어떠한가? 둘째, 선취업후진학정책의 정책집행은 어떠한가? 셋째, 선취업후진학정책의 정책영향, 즉 정책산출인 효과성과 만족도는 어느 정도 달성되었으며, 사회적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선취업후진학정책의 정책평가와 정책환류는 어떠한가?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보완하였다. 문헌연구는 선취업후진학정책 관련 정부의 정책문서, 공문, 학술논문, 각종 언론보도 등을 모두 포괄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정책영향 단계에서 나타난 효과성과 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취업후진학정책형성평가 결과 취업률 저하라는 현실을 단기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었다고 분석되었으며, 정책집행평가에서는 집행계획의 민주성 측면에서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정책영향평가 결과 취업률 향상이라는 양적인 측면에서는 효과적이나 양질의 일자리 보급이라는 질적인 면에서는 개선할 점이 많았다. 효과성과 만족도는 `보통`인 3점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나, 선취업후진학정책의 효과성과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정책평가의 타당성과 정책학습의 활용도 역시 미흡하다고 평가되어 정책평가와 환류 과정도 적극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Policy` which was presented in 2010 and which has been enforced for 7 yea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was the policy formation of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Policy`? Second, how was the policy implementation of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Policy`? Third, to what extent was the policy impact, i.e. the policy outputs, the effectivenes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Policy` achieved and how are the social effects? Fourth, how were the policy evaluation and the policy feedback of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Policy`? Research methods ar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policy formation of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Policy` was judged as the way to overcome the reality of the declining employment rate in the short-term, and in the evaluation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students` opinions was insufficient in the democratic aspect of the implementation plan. The results of the policy impact evaluation showed that the policy was effective in the quantitative aspect of the rise of the employment rate but in the qualitative aspect of the dissemination of good quality jobs, there were many things that should be improved. Also, the conclusion was that, obsessed with the idea of `getting a job first` and `employment rate first`, the students were driven to employment, causing the students to inherit their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which can cause the fixation of class mobility and social polarization.

      • KCI등재

        학교폭력 예방정책의 정책집행 요인 분석

        임채숙 ( Lim Chae Suk ),안선회 ( An Sun Ho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예방정책의 정책집행 요인을 고찰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집행 개선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정책집행 단계에서의 요인과 하위요소가 무엇이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기 위하여 교육부와 경기도교육청의 정책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책집행내용 특성, 정책집행자, 정책대상집단, 정책환경 네 가지로 범주화하였다. 각 정책집행 요인별로 하위 분석 요소를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집행내용 특성 요인 하위요소로 정책의 명확성과 일관성, 정책목표와 집행수단과의 인과관계, 정책자원 확보를 고찰하였는데, 정책목표와 내용이 명료하고 일관성을 유지하였다. 둘째, 정책집행자 요인으로 집행기관의 추진체계와 집행 절차, 협력체계, 그리고 담당자의 행위와 전략 등을 분석하였다. 집행기관의 추진체계로 하위기관의 행정업무를 과중시켰다. 셋째, 정책대상집단 요인 하위요소는 정책대상집단의 태도 및 행위, 정책인식도를 분석하였는데, 학교폭력 예방정책에 대한 인식도는 높게 나왔다. 넷째, 정책환경 요인 하위요소로 언론과 대중의 지지, 정책결정자의 지지 태도, 관련 법령 그리고 사회·경제·정치적 환경을 고찰하였다. 언론과 대중은 학교폭력 예방 대책이 미흡하다고 비판하였다. 다섯째, 정책목표 달성에 결정적인 요소는 타당성 있는 정책목표와 정책수단 등의 ‘정책집행내용 특성’과 ‘정책대상집단의 순응 여부’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예방정책의 정책집행 요인이 정책목표 달성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정책집행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시사점을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policy enforcement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Elements and sub-elements at the policy enforcement stage and their impact were conducted by a literature study focusing on policy-related data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four elements that influence policy enforcement were selected. They are characteristics of policy enforcement content, policy enforcer, policy target group, and policy environment. The results of sub-analysis elements by policy enforcement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the clarity and consistency of the polic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licy objectives and enforcement measures, and the securing of policy resources were considered as sub-elements of the policy enforcement content characteristic factors. Policy objectives and content were found to be clear and consistent. Second, as a sub-element of the policy executor, the execution system, execution procedure, cooperation system, and the actions and strategies of the personnel in charge were analyzed. Segment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increased administrative expertise, but overburdened the administrative work of the subordinate institutions. Third, attitudes and behaviors of policy target groups and policy awareness were analyzed as sub-factors of policy target group factors. The awarenes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was high. Fourth, as a sub-element of the policy environment factors, the media and the public support, policy makers' attitudes of support,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socio-economic and political environment were examined. The lack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measures has been pointed out by the media and the public. Fifth, the critical factors in achieving the policy goals were 'characteristics of policy enforcement content' such as valid policy objectives and policy measures, and 'compliance of policy target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theory and practice of policy enforcement are suggested how the policy enforcement elements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are working to achieve the policy obj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