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진과 이직의도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병주(Byung-Joo Ahn),차민석(Min-Seok Cha)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산업경제연구 Vol.29 No.1

        군 조직은 소진에 대한 연구가 처음으로 이뤄진 조직으로서, 협력과 규율을 통한 조직력이 중요한 인류의 가장 오래된 업무수행 조직이라 할 수 있다. 소진은 책임을 수행할 심리적 자원이 고갈되고 괴리감을 느끼는 현상으로 역할 수행은 물론 역할 외 조직활동에도 부정적인 원인이 된다. 조직시민행동(이하 OCB: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는 역할 외 친사회적 활동으로 자신을 희생하여 구성원을 돕는 이타행위(OCB-I)와 규율을 지키는 양심행위(OCB-O)으로 나눠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진과 OCB 관계에서 이직의도의 연결효과와 ‘일-가정갈등(이하 WFC)’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해군을 대상으로 설문지 1,500부를 배포하여 91.4% 회수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진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이직의도는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진은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WFC는 소진과 이직의도 및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조절하여 소진이 이직의도를 높이는 영향력을 강화하고 이직의도가 OCB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을 또한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에 대한 초기연구가 기반인 군 조직을 대상으로 소진의 부정적 영향력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확장한 학술적 의미가 있다. 소진과 일-가정갈등, OCB의 관계 연구를 찾기 어렵고, 새롭게 제시된 가설들이 모두 지지되었다.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는 소진, 이직의도, 일-가정 갈등에 대한 군 관리자와 정책입안자의 관심과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데서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 특히 군 조직에서 일-가정 갈등이 매우 중요한 조절효과로 나타나는 점에서 일과 가정의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re has been continuous research on burnout since Sobel(1947)’s seminal study that was conducted on the military organization. So burnout can be called as ‘Old sergeant syndrome’. Although the soldier has high expectation and sense of responsibility, (s)he can not conduct the duty as much as the initial level. The good soldier become very passive and monotonous after the burnout. Thus OCB(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sisting of the altruistic and conscientious behaviors will decrease as the solider burns out. It is quite a coincidence that OCB is called as ‘Good soldier syndrome’ in the Organ(1988)’s seminal work.. So the association between the Burnout and OCB is promising. Moreover the combinational research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WFC(Work-Family Conflict) in addition to effect of ITL(Intention to Leave) has been rare. Therefore, we suggest an integrated model on the relations among burnout, ITL, and OCB with moderating effect of WFC. Especially testing the research model on military organizations in ROK(Republic of Korea) could have undeniable empirical values. Focus on moderating effects of WFC and main effect of burnout and ITL on OCB have been verified in this paper.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using ROK Navy survey data(1,372/1500), providing following results: The positive effect of burnout on ITL, the negative effect of ITL on OCB, and the negative effect of burnout on OCB are verified. Moderating effects of WFC between burnout, ITL and OCB are verified. WFC is extensively applied to the military. It is meaningful because role of WFC on military organization has been neglected but emprically strong in ROK.

      • 군 조직 직무불안정성의 부정적 영향

        안병주(Byung-Joo Ahn)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본 논문에서는 직무불안정성(job insecurity)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를 대한민국 해군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일반기업에서도 직무불안정성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관련연구들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다수의 선행연구들은 직무불안정성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정부조직이나 공공조직에 대한 직무불안정성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정년이 보장되어 있는 정부조직의 조직구성원에 대한 직무불안정성인식이 주목받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조직구성원의 직무불안정성은 공 사를 막론하고 조직의 효과성에 직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따라서 직무불안정성에 관한 연구는 공공조직, 군 조직 등 다양한 대상으로 확장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군인은 안정적인 직업이라는 일반적인 인식이 강하지만 일반기업 못지않게 현재 군 조직에서 직무불안정성은 실제적인 이슈라고 할 수 있다. 고용형태와 계급에 따른 정년의 차이가 크고 근무평정 결과에 따라서 직장을 잃을 수도 있는 근무환경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군 조직 직무불안정성관련 연구가 매우 희소한 상태이며 정부기관 조직구성원의 인사혁신을 추진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관련연구는 실무적으로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해군의 장교와 부사관을 대상으로 작성된 설문지 1,133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불안정성은 조직신뢰, 소진, 이직의도와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였으며 비정규직이 정규직보다 직무불안정성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직무불안정성이 조직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비정규직의 직무불안정성은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군 조직의 경영에서 조직차원의 직무불안정성관리와 정규직 고용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인적자원관리의 전반적인 전략 수립에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안정적인 직장으로 인식되어왔던 군 조직을 대상으로 직무불안정성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것은 직무불안정성관련 연구의 대상 조직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정부조직에 속하는 군 조직에서도 일반기업과 같이 직무불안정성이 존재하며 정규직․비정규직의 고용형태에 따라 직무불안정성이 조직신뢰, 소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가 있음을 실증분석을 통해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In this paper, the research on the negative effects of job insecurity was performed on the Republic of Korea Navy. General business-related studies have also been done sufficiently, and that trend is job instability increased, but the majority of prior studies Job insecurity focused on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b insecurity for government research organizations and public organizations is very poor circumstances. The reason is that it did not receive due attention in perception of job insecurity on government organizations that are guaranteed to retirement. But job insecurity in navy is a very important issue, whether the ball on a straight- and four indirect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 Therefore, studies on the job insecurity may need to be extended to a variety of destinations, including public organizations, military organizations. In addition, soldiers are only as strong common vision of a stable job in the current job insecurity, military organizations as much as regular companies can be said to practical issues. This is because the difference in retirement age rating based on employment and a large working rank li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that could lose their jobs as a result. At this point in promoting innovation in the HR in a military organization, government agency job insecurity is very rare condition related research studies will also be a practical means to. There has been continuous research on organizational trust, burn out, turnover intention, employment form and job insecurity using firms, public companies, hotels etc in ROK(republic of Korea). But, the research on military has been rare, especially the area focusing on job insecurity. Therefore, I suggest an integrated model using variables such as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trust, burnout, turnover intention and moderating variable such as employment form.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using ROK Navy survey data(1,133), producing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negative effect of job insecurity on organizational trust is verified. Secondly, positive effects of job insecurity on burn out and turnover intention are verified. Thirdly, employment forms are moderating effects on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trust, burn out, turnover intention. and temporary worker"s job insecurity levels were very high.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have to manage job insecurity and employment form in ROK Navy. These findings could suggest the need for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full-time employment expansion of job insecurity in the management of military organizations consulted in the overall strateg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t examined the negative effects of job insecurity target group organization that has been recognized as a reliable work is significant in that it extends the subject of job insecurity research organization. And he said in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job insecurity that is a difference of organizational trust, burn out, th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employment of job insecurity, such as general corporate existence and regular. In military organizations belonging to government organizations, non-regular workers is it is meant in the sense. Especially job insecurity that has been previously actively studied and researched on ordinary firms are applied, extended to military one of government organization. This is meaningful, because experiential research of job insecurity and on military has very rare in ROK.

      • 군 조직 직무불안정성의 선행요인

        안병주(Byung Joo Ah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본 논문에서는 직무불안정성(job insecurity)의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를 대한민국 해군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일반기업에서도 직무불안정성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관련연구들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선행요인보다는 결과요인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직무불안정성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와 정부조직이나 공공조직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정년이 보장되어 있는 정부조직의 조직구성원에 대한 직무불안정성인식이 주목받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조직구성원의 직무불안정성은 공·사를 막론하고 조직의 효과성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따라서 직무불안정성에 관한 연구는 공공조직, 군 조직 등 다양한 대상으로 확장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군인은 안정적인 직업이라는 일반적인 인식이 강하지만 일반기업 못지않게 현재 군 조직에서 직무불안정성은 실제적인 이슈라고 할 수 있다. 고용형태와 계급에 따른 정년의 차이가 크고 근무평정 결과에 따라서 직장을 잃을 수도 있는 근무환경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군 조직에서의 직무불안정성관련 연구가 매우 희소한 상태에서 정부기관 조직구성원의 인사혁신을 추진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관련연구는 실무적으로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해군의 장교와 부사관을 대상으로 작성된 설문지 1,133부를 분석한 결과 계급정년, 계급, 학력, 연령, 근무희망기간, 근무한기간, 진급심사까지 남은기간, 근무지의 8개 요인들이 선행요인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고용형태와 신분에 따라서도 그 영향력이 달랐으며 비정규직의 직무불안정성 수준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군 조직의 경영에서 조직차원의 직무불안정성관리와 정규직 고용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인적자원관리의 전반적인 전략 수립에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안정적인 직장으로 인식되어왔던 군 조직을 대상으로 직무불안정성의 선행요인을 살펴본 것은 직무불안정성관련 연구의 대상 조직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정부조직에 속하는 군 조직에서도 일반기업과 같이 직무불안정성이 존재하며 정규직・비정규직의 고용형태와 장교・부사관의 신분에 따라 직무불안정성수준 및 선행요인이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가 있음을 실증분석을 통해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re has been continuous research on job insecurity using firms, public companies, hotels etc in ROK(republic of Korea). But, the research on military has been rare, especially the area focusing on job insecurity.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using republic of Korea Navy survey data(1,133), producing following results. As a result of the eight factors of retirement age of class, class, level of education, age, hope to work period, period worked, remainder to be promoted screening, workplace have had a significant effect determinants. Therefore, its effect is also different.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form and class(officer / petty officer). Temporary worker's job insecurity levels were very high.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have to manage job insecurity and employment form in ROK Navy. Especially job insecurity that has been previously actively studied and researched on ordinary firms are applied, extended to military one of government organization. This is meaningful, because experiential research of job insecurity and on military has very rare in ROK.

      • KCI등재

        What Drives Firms` Financial Decisions? Evidence from the Field

        안병주(Byung Joo Ahn),채준(Joon Chae),정진영(Jin Young Jung) 한국증권학회 2011 한국증권학회지 Vol.40 No.1

        우리는 한국 기업이 재무 의사 결정을 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107개 상장기업의 CFO들을 설문조사 하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본구조 결정은 밀접하게 기업 가치 평가와 연관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재무의사결정 담당자들은 배당금 및 자사주매입을 결정할 때 현금 흐름의 안정성, 투자의 잠재적인 수익성, 경영의 안정성, 파산 비용 등의 요인들을 고려한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한국 기업은 미국에 비해 배당을 줄이는 것에 대해 덜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배당과 자사주 매입을 대체관계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또한 자금조달 순위이론, 자본 구조의 신호 효과, 그리고 시장 적시 이론도 현장에서 경영 의사 결정을 하는 데에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이자비용에 따른 법인세 감세효과는 실무에서는 크게 중요시 생각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실무가 이론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미국과 비교해서 우리 나라 기업의 재무의사결정이 어떻게 다른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We survey 107 CFOs about the factors that Korean companies consider important in making financial decisions. Our findings indicate that capital structure decisions are closely related to company valuation. In addition, financial executives consider several factors, such as cashflow stability, potential profitability of investment, threats to managerial stability and bankruptcy cost, when they determine dividend and share repurchase decisions. According to the survey, Korean executives feel less negative about reducing the dividend than those in the United States, and do not view dividends and repurchases as substitutes for one another. We find that the pecking order theory, signal effect of the capital structure, and market timing are also applied to management decisions in the field.

      • KCI등재
      • 소진과 이직의도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병주(Ahn, Byung-Joo),차민석(Cha, Min-Seok) 대한경영학회 2013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3 No.2

        본 논문에서는 대단위 수행조직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군 조직을 대상으로 ‘소진(burnout)’, ‘이직의도(intention to leave)’,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이하 OCB)’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일-가정갈등(work-family conflict, 이하 WFC)’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한민국 해군을 대상으로 설문지 1,500부를 배포한 후 1,372부를 회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진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이직의도는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진은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WFC는 소진과 이직의도 및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조절하여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이직의도가 OCB에 미치는 부(-)의 영향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WFC를 높게 인지할수록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강했고, 이직의도가 OCB에 미치는 부(-)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난 것이다. OCB와 소진‧이직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OCB의 부정적인 결과요인에 초점을 맞춰 OCB가 소진과 이직의도를 유발한다는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과는 반대로 소진과 이직의도가 OCB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것은 소진과 이직의도가 OCB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이루어 졌다는 점과 생명을 걸고 임무를 수행해야하는 특수성 때문에 OCB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군 조직을 대상으로 적용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일반기업들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된 WFC에 관한 연구를 군 조직에 적용해 보았으며, WFC의 독립변수나 종속변수로서의 역할이 아닌 조절변수로서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이것은 WFC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를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해군 조직이라는 한계점을 감안하고,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심화 및 확대할 수 있는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There has been continuous research on burnout, ITL(Intention to Leave) and OCB(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using firms, public companies, hotels etc in ROK(Republic of Korea). But, the research on military has been rare, especially the area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WFC(Work-Family Conflict) in ROK. Therefore, I suggest an integrated model using variables such as burnout, ITL, OCB and moderating variable such as WFC. Focus on moderating effect of WFC and main effect of burnout‧ITL have been verified in this paper.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using ROK Navy survey data(1,372), producing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positive effect of burnout on ITL is verified. Secondly, the negative effect of ITL on OCB is verified. Thirdly, the negative effect of burnout on OCB is verified. Fourthly, moderating effect of WFC is verified(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ITL / relationship between ITL and OCB). This research finds out the effect of burnout and ITL on OCB. At once, WFC that has been previously actively studied and researched on ordinary firms are applied and extended to military one of government organization. This is meaningful, because experiential research of WFC on military has very rare in ROK.

      •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조직시민행동(OCB)에 미치는 영향

        안병주(Ahn, Byung-joo),차민석(Cha, Min-Seok) 대한경영학회 2012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2

        현재까지 기업, 관공서, 호텔 등을 대상으로 한 LMX, 조직몰입, 조직신뢰,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드물며, 특히 복무형태(고용형태)와 신분불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장기복무(정규직)’와 ‘단기복무(비정규직)’의 복무형태와 신분불안을 포함한 조직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을 새롭게 조명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LMX’, ‘조직몰입’, ‘조직신뢰’, ‘조직 시민행동’등의 조직태도 및 행동변수와 ‘복무형태’와 ‘신분불안’의 조절변수를 이용하여 통합적 모형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복무형태’와 ‘신분불안의 조절효과와 ‘조직몰입’과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한민국 해군의 응답내용(설문지 1,372부)을 자료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LMX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신뢰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조직몰입·신뢰가 높을수록 조직시민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복무형태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LMX가 높을수록 장기복무보다 단기복무(장기희망)에서 조직몰입이 더 높았다. 넷째, 신분불안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LMX가 조직몰입·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정(+)의 영향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LMX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LMX는 조직몰입을 매개로 이타성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조직신뢰를 매개로 이타성과 양심성 모두에 정(+)의 영향을 주어 조직몰입·신뢰의 매개효과가 증명 되었다. 본 연구는 LMX가 조직태도에, 조직몰입·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동시에 조직변화로 인한 조직구성원들의 신분불안과 군 조직의 복무형태가 조직구성원들의 태도에 어떤 조절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신분불안은 지금까지 안정성을 표방해 온 공무원 조직의 특성상 군 조직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군 조직구성원들에 대한 신분불안 인식의 영향력을 규명한 것은 본 연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일반기업들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된 고용형태에 관한 연구를 공무원 조직에 속하는 군 조직에 적용해 보았다. 이는 공무원·군 조직에서의 복무형태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 그리고 기존의 연구와 같이 고용형태를 정규직과 비정규직 두 가지로 구분하지 않고 장기복무, 단기복무(장기희망), 단기복무(전역희망) 세 가지로 구분하여 연구에 임하였다. 이에 따라 세 가지 복무형태에 따른 조직태도의 차이를 더욱 명확하게 밝혀낼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There has been continuous research on LMX(Leader-Member eXchange), OC(Organizational Commitment), OT(Organizational Trust) and OCB(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using corporation, public companies, hotels etc. Hoverer, the research on military organization has been rare, especially the area focusing on control effect between form of employment and JI(Job Insecurity).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re-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long/short term service and attitude and behavior of organization members including JI. Therefore, I suggest an integrated model using behavioral variables such as LMX, OC, OT, OCB and control variables such as form of employment and JI. The relationship is defined and control effect of form of employment JI and mediated effect between OC and OT have been verified in this paper.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using ROK Navy survey data, producing following results, Firstly, higher the LMX, higher the OC and OT. Secondly, higher the OC and OT, higher the LMX. Thirdly, after verification of control effect of form of employment, higher OC with long term service than short term service as LMX increased. Fourthly, after verification of control effect of JI, LMX strengthens the positive effects to OC/OT and relationship between OC/OT and OCB. Fifth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OCB, mediated effect of OC/OT has verified. LMX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OC and positively affects altruism and consciousness with OC as a mediator, proving the mediator effects of OC/OT. This research tries to find how LMX affects organizational behavior as well as the effects of OC/OT on OCB. At the same time, JI caused by organizational change and control effect of form of service on the attitude of organization members were studied and reviewed. JI has not been studied for government organizations including military until now due to the secure nature of government employment, thus investigation of effects of JI among military personnel is a key to this research. Form of employment that has been previously actively studied and researched on ordinary firms are applied and extended to military, one of government organization. This is meaningful because experiential research of form of employment on government organization·military has never occurred in the past. Unlike the existing research that categorize the form of employment into temporary and permanent, there are three categories, long term service, short term service(long term desired) and short term service(discharge desired).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behavior according to the three different forms of employment has been clarified leading to suggestions and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