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성 온톨로지의 인지심리학적 탐색과 교육적 활용

        안동근(An, Donggun),한기순(Han, Ki-So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발현과정을 온톨로지라는 지식시스템을 사용하여 인지심리학적 관점으로 탐색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비롭게만 여겨졌던 창의성의 발현과정을 명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온톨로지를 통해 창의성을 설명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은유생성, 확산적 사고, 창의적 전문성 수행의 발현과정을 온톨로지 지식시스템을 이용하여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하였다. 둘째, 다양한 창의성의 발현과정을 기술함으로써 각 형태에 따라 창의성을 평가하고 신장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성과 전문성 기반 창의성의 차이를 온톨로지의 차이로 설명함으로써 창의적 전문성의 발현기제를 인지심리학적 관점으로 밝힐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창의성 계발 목적에 따라 차별화된 인지과정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창의성 교육 및 평가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reative processes from a cogni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 using the Ontology knowledge system. Here is the summary of the meaningful outcomes. First of all, this study suggested a new approach to explain the creative processes using the Ontology knowledge system in order to describe the processes in an explicit and systematic way. Specifically, the cognitive processes that underlie metaphor generation, divergent thinking, and creative expert performance were explained in a more objective and systematic manner using the Ontology system. Next, we suggested the ways to assess and develop the different forms of creativity by describing the cognitive processes that underlie diverse forms of creativity. Finally, we provided a clue to look at the underlying processes of the creative expert performance by explaining the difference between expertise and creative expert performance.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e different ways to enhance the cognitive processes depending on the purposes of creativity development, and how to apply them to creativity education and assessment.

      • KCI등재

        학업성취요인은 창의성 신장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 신념, 목표, 동기 및 태도의 통합적 접근

        안동근(Donggun 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과지식교육에서 강조하는 학업성취요인이 역량계발교육에서 초점을 두는 창의성 향상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탐구하기 위해, 학업과 관련된 신념, 목표, 동기 및 태도 요인이 학문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대학생 152명을 대상으로 지능성장신념, 숙달목표, 내적조절 동기, 정서적 몰입 및 학문적 창의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내적조절 동기는 학문적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지만, 학문적 창의성에 대한 정서적 몰입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능성장신념이 숙달목표, 내적조절 동기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과 숙달목표가 내적조절 동기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몰입에 대한 내적조절 동기의 영향력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와 관련하여, 지능성장신념은 내절조절 동기를 매개하여 학문적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고, 지능성장신념이 숙달목표와 내적조절 동기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문적 창의성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력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학문영역에서 수행되는 창의성에 대한 학업적 발현기제의 역할을 다측면적(신념, 목표, 동기 및 태도)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탐구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실제적 측면에서는 교과지식교육과 역량중심교육이 연계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cademic belief, goals, motivation, and attitude on scholarly creativity. We investigated how academic achievement factors that are focused on content knowledge educatio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which is important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52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This study measured their intelligence growth belief, mastery goals, internal regulation motivation, affective flow experience in learning, and scholarly creativ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th analysis metho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nal regulation motiv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larly creativity, but the effect of affective flow in learning on scholarly creativity was not significant. The effects of intelligence growth belief on mastery goals, internal regulation motivation, and affective flow in learning and the effects of mastery goals on internal regulation motivation and affective flow in learning were significant. Also, the effect of internal regulation motivation on affective flow in learning was significant. Regarding indirect effects, intelligence growth belief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larly creativity mediated by internal regulation motivation. Finally, intelligence growth belief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larly creativity successively mediated by mastery goals and internal regulation motivation.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scholarly implications for investigating the roles of academic mechanisms for scholarly creativity from the multidimensional (belief, goals, motivation, and attitude) approach with an integrative method. Also,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uggesting specific ways for connecting content knowledge education and competence-based education.

      • KCI등재

        창의성의 다측면적 구인에 대한 이론적 탐색

        안동근(Donggun A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4

        본 논문의 목적은 다양한 창의성의 개념을 공통의 다층면적 틀(framework) 안에서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세우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창의성의 다른 두 형태인 확산적 사고와 창의적 전문성 수행(창의적 산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인지적, 동기적, 성격적 구인을 비교·분석하였다. 확산적 사고에서는 영역 일반적인 인지적 능력, 창의성에 대한 태도, 가치, 행동양식과 같은 창의성 동기, 영역 일반적인 창의적 성격이 강조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창의적 전문성 수행에서는 영역 특수적인 지식과 기술, 과제 수행에 대한 일반 동기, 영역의 기능에 따라 달라지는 성격5요인의 특징이 강조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영역 일반적 창의성과 영역 특수적 창의성의 차이, 창의성 요인과 전문성 요인의 차이, 창의성의 과정과 창의성의 수행의 차이가 그 원인이될 수 있다. 본 논문의 한계점과 향후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uild a theoretical basis for explaining diverse concepts of creativity within a common multidimensional framework.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cognitive, motivational, and personality constructs that predict two different forms of creativity: divergent thinking and creative expert performance (creative products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Divergent thinking is more likely to focus on domain-general creative abilities; creativity motivation including values, attitudes, and behaviors on creativity; and domain-general creative personality. On the other hand, creative expert performance is more likely to focus on domain-specific knowledge and skill, general motivation for task performance, and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that may differ as a function of domain. This may be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domain-general creativity versus domain-specific creativity, creativity factors versus expertise factors, and creativity process versus creativity performanc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창의성과 진로 연구의 지식구조 탐색

        안동근(Donggun A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창의력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과 진로 연구의 지식구조를 탐색함으로써 창의적 진로개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창의적 진로개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20년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중 창의성과 진로가 함께 고려된 211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494개의 주제어를 추출하였다. 이 중 출현빈도가 3회 이상인 55개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중심성 분석과 커뮤니티 분석을 포함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결중심성 분석결과, 창의성, 직무만족, 직무재창조, 대학생, 창의적 인성 등이 높게 나타났다. 커뮤니티 분석결과, 수학적 창의성(고립노드), 창의적 문제해결력(초등학생, 진로발달, 진로탄력성 등), 창의성(대학생, 창의적 인성,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 등), 유아교사(직무스트레스, 교수창의성, 교수효능감 등), 직무만족(직무성과, 직무재창조, 창의적 행동, 직무열의 등)을 각각 중심으로 하는 5개의 하위집단이 형성되었다. 각 하위집단마다 핵심적으로 다루고 있는 연구대상, 창의성의 형태 및 진로개발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점은 하위집단별 특성에 따라 창의적 진로개발 연구의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차별적인 함의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제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unds of creative career development studies and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the studies by explor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creativity and career research. A total of 494 keywords were selected from 2211 research papers conducted in South Korea during the past 20 years from 2002 to 2021 that simultaneously considered creativity and career. Then, a network analysis including centrality and communit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cy were cretivity, job satisfaction, job crafting, job outcomes, creative behavior, and so on. The keywords with high betweenness centrality were creativity, job satisfaction, job crafting, college students,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so on. In the results of community analysis, five subgroups were formed focusing on mathematics creativity (isolated node), creative problem solving (elementar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areer resilience etc.), creativity (college students, creative characteristics, career maturi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tc.),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teaching creativity, teaching efficacy etc.), and job satisfaction (job outcomes, job crafting, creative behavior, job engagement etc.), respevtively. There were differences in research subjects, creativity forms, and career development factors that each subgroup was dealing with, and these differences provide importang implications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creative career development stud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ial subgroup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HowNet 기반 은유 온톨로지 구축

        안동근(Donggun An),최기선(Key-Sun Chi)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006 No.10

        본 연구에서는 추상적 사고를 가능하게 해주는 개념은유 표현의 서술어를 분석하여, 추상개념의 근원영역을 찾는 알고리즘을 HowNet 지식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실제로 추상개념 ‘문화’가 쓰인 242개의 은유 표현 용례 문장을 가지고 제안된 알고리즘으로 근원영역을 찾고, 이를 토대로, 목표영역 ‘문화’의 근원영역이 추론기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추론되는 HowNet 기반 온유 온톨로지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어 ‘문화’와 영어표현 ‘Culture’의 근원영역 비교를 통하여, 구축된 온톨로지를 영어 번역 및 작문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보이고자 한다.

      • KCI등재

        창의적 사고능력, 창의적 자기개념 및 창의적 행동의 발현기제 탐색 : 성격특성, 결정지능 및 창의적 효능감의 역할

        안동근(An, Donggun),장환영(Jang, Hwan Young),백평구(Baek, Pyoung Gu)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0 창의력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능력, 창의적 자기개념 및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고, 이 세 형태의 창의성 기저에서 이들을 설명하는 다측면적(성격적, 인지적, 신념적) 발현기제의 영향력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이는 창의성의 개념을 인간의 본질적인 기능인 사고, 인식, 행동으로 구체화하여 각 기능이 서로 다른 작동기제에 의해 발현될 수 있음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대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성격특성(외향성, 신경증, 개방성), 결정지능, 창의적 효능감과 세 형태의 창의성(창의적 사고능력, 창의적 자기개념, 창의적 행동)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사고능력의 유창성에는 신경증과 개방성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외향성은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창의적 사고능력의 독창성에는 신경증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창의적 자기개념의 경우, 개방성은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지만 신경증은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창의적 행동에는 외향성과 개방성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창의적 효능감은 창의적 사고능력의 유창성, 창의적 자기개념 및 창의적 행동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제적 함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the multidimensional (personality, cognitive, and belief) mechanisms that underlie creative thinking abilities, creative self-concept, and creative behavior. We specified the concept of creativity with thinking, perception, and behavior as fundamental function of human being and examined the fact that each function can be realized by the different mechanisms. A total of 179 college students completed measures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rystallized intelligence, creative self-efficacy and three forms of creativity (creative thinking abilities, creative self-concept, and creative behavior). Results showed that the impacts of openness and neuroticism were significant on fluency of the creative thinking abilities while extroversion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it. The impact of neuroticism was significant on originality of the creative thinking abilities. Regarding creative self-concept, opennes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but neuroticism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it. For creative behavior, the impacts of openness and extroversion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reative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fluency of the creative thinking abilities, creative self-concept, and creative behavio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대학생 창의성 연구의 지식구조 탐색

        안동근(Donggun A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3 창의력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대학생의 창의성에 관한 연구의 지식구조를 맥락 특수적 관점에서 탐구하고 대학생의 창의성에 대한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2003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20년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중 대학생의 창의성을 다룬 243개의 논문을 대상으로 579개의 주제어를 추출하였다. 이 중 출현빈도가 3회 이상인 54개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중심성(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분석과 커뮤니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결중심성 분석결과, 창의성, 대학생, 일상적 창의성,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융합역량 등이 높게 나타났다. 매개중심성의 경우, 창의성, 대학생, 일상적 창의성,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적 인성 등이 높게 나타났다. 커뮤니티 분석결과, 일상적 창의성(창의적 인성, 학습몰입, 창의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사고, 진로성숙도), 대학생(창의인성교육, 인성, 창의적 능력, 핵심역량, 창의성 교육), 창의적 문제해결(문제해결, 창의적 성향, 공감, 학습동기, 창의성 역량), 창의성(창의융합역량, 창의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간호대학생, 창의역량)을 중심으로 하는 4개의 하위 커뮤니티가 도출되었다. 각 하위 커뮤니티가 주요하게 다루고 있는 창의성의 맥락 특수적(학업적, 진로발달적, 교육적, 사회적, 일상적) 요인들에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제적 함의와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structure of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creativity from a context-specific perspective and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the studies. A total of 579 keywords were selected from 242 research papers in South Korea during the past 20 years from 2003 to 2022 that considered college students’ creativity. Then, a total of 54 keywords represented more than three times among them were analyzed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including centrality analysis, and community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were creativity, college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so on. The keywords with high betweenness centrality were creativity, college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creative problem solving, creative character, and so on. In the results of community analysis, four sub-groups were formed focusing on everyday creativity (creative character, learning flow, creative self-efficacy, creative thinking, and career maturity), college students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character, creative ability, core competence, and creative educa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problem solving, creative tendency, empathy, learning motivation, and creativity competency), and creativity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creative leadership, self-efficacy, nursing students, and creative competency). There were differences in context-specific (academic, career developmental, educational, social, and everyday) factors of creativity that each sub-group was mainly dealing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영역특수적 창의성의 발현기제 비교: 개방성의 하위측면과 성장 마인드셋의 역할을 중심으로

        안동근(An, Donggun),권유선(Kwon, Yousun),표정민(Pyo, Jungmin),윤선인(Yun, SunIn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0 창의력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개방성의 하위요인과 영역특수적 창의성(과학, 예술, 학문)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창의, 지능)의 매개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영역마다 상이하게 나타나는 창의성의 발현 기제와 관계패턴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298명을 대상으로 영역특수적 창의성(과학, 예술, 학문)과 개방성의 6요인(상상, 심미, 감수성, 신기, 지성, 가치), 창의성장 마인드셋과 지능 성장 마인드셋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감수성은 창의성장 마인드셋을 매개하여 예술적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심미는 지능성장 마인드셋을 매개하여 학문적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신기와 감수성은 창의성장 마인드셋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신기와 심미는 지능성장 마인드셋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과학적 창의성에는 지성의 영향력이 높았고, 예술적 창의성에는 감수성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학문적 창의성에는 지성과 심미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제적 함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growth mindsets (creativity,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ets of openness and domain-specific creativity (scientific, artistic, scholarly),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t mechanisms that underlie creativity across domains. A total of 298 college students completed measures of domain-specific creativity (scientific, artistic, scholarly), 6 sub-facets of openness (fantasy, aesthetics, feelings, novelty, ideas, and values), and the growth mindsets of creativity and intelligence. Results showed that feeling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rtistic creativity by mediating the growth mindsets of creativity, and aesthetics g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larly creativity by mediating the growth mindsets of intelligence. Novelty and feelings influenced the growth mindsets of creativity significantly, and novelty and aesthetic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growth mindsets of intelligence. The impact of ideas was significant on scientific creativity, and the influence of feelings was significant on artistic creativity. For scholarly creativity, the impacts of ideas and aesthetics were signific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과지식교육과 창의성교육, 양립 할 수 있는가? : 기능특수적 접근을 통한 학업역량과 창의성(인식, 수행) 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

        안동근(An, Dongg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0 창의력교육연구 Vol.20 No.3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ived academic competencies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etermination) and creativity (perception and performance) from a functional approach. Participants were 274 college students in Korea. This study measured college students’ perceived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etermination, and creativity including creative self-perception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and creative performance (fluency, originality, and flexibil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etermin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creative self-perception, but did not influence creative performance. Creative self-percep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creative performance. Regarding the indirect effects, perceived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etermination influenced creative performance mediated by creative self-percep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인간 기능의 특수성을 기반으로 교과지식교육과 창의성교육의 양립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대학생이 지각한 학업역량(메타인지, 문제해결력, 자기결정성)이 창의성의 상이한 기능(인식, 수행)과 맺는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274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메타인지, 문제해결력, 자기결정성과 창의적 자기인식(인지적, 정의적) 및 창의적 수행(유창성, 독창성, 융통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메타인지, 문제해결력 및 자기결정성은 창의적 자기인식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창의적 수행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창의적 자기인식은 창의적 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간접효과와 관련하여, 지각된 메타인지, 문제해결력 및 자기결정성은 창의적 자기인식을 매개로 창의적 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제적 함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