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뇌전증을 가진 소아에서의 레비티라세탐 단일요법

        심지윤(Gi Youn Sim),김원섭(Won Seop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1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9 No.1

        목적 : 레비티라세탐은 뇌전증 환아에게 부가 요법으로 많이 시용되어 왔으나 본 연구는 레비티라세탐의 단일 요법에 대하여 반응을 잘하는지 여부와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방법 : 이번 연구는 2007년 8월부터 2009년 7월 31일까지 충북대학교병원에 내원한 간질 환아 10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간질의 형태, 뇌파의 변화, 약물의 시작 용량과 증량정도 최고 농도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연령은 1개월에서 20세사이의 환아로 통계분석결과 1) 레비티라세탐을 처음으로 처방받은 나이는 평균 11±4세이고 3세와 21세 사이로 분포하였다. 2) 레비티라세탐을 처방받은 환자군은 부분간질은 57.4%였고 전신간질은 42.6%였다. 3) 레비티라세탐 시작용량은 평균 6±4 ㎎/㎏/day이고 2 ㎎/㎏/day에서 30 ㎎/㎏/day 사이이다. 증량용량은 평균 3±2 ㎎/㎏/day이고 0 ㎎/㎏/day에서 17 ㎎/㎏/day 사이이다. 최종용량은 평균 30±8 ㎎/㎏/day 이었고 6 ㎎/㎏/day과 60 ㎎/㎏/day 사이였다. 4) 레비티라세탐 평균 사용기간은 21±11개월이었고 1개월과 38개월 사이의 분포를 보였다. 5) 12개월동안 경련이 50% 이상 감소한 경우는 96.9% 였으며, 75% 감소한 경우는 80.1%, 경련의 100% 감소는 60.3% 였다. 6) 부작용은 행동 변화가 8례, 두통이 5례, 경련 증가가 5례, 무기력증이 2례, 발진이 2례, 부적절한 경련 조절이 2례, 인식 변화가 1례 이었다. 7) 중간에 레비티라세탐 복용을 그만 둔 이유는 보호자임의 중단이 10례, 경련 증가가 5례, 부적절한 경련 조절이 2례, 부직용이 2례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레비티라세탐의 단일요법에 대하여 반응이 잘 되는지 여부와 효과를 보고자 한 것으로 12개월 동안 경련이 50% 감소한 경우는 16.8%였으며, 75% 감소한 경우는 19.8%, 경련의 100% 감소는 60.3%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련의 100% 감소는 부분 발작에서 55.1%, 전신 발작에서 67.4%이었고, 75% 경련 감소를 누적해서 보면 부분 발작이 80.9%, 전신 발작이 81.3%에서 효과가 있었다. 이번 연구는 후향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전향적으로 더 많은 사례로 연구를 한다면 더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Purpose: Levetiracetam hasa been used in adjuvant therapy. It has also been used in monotherapy in other countries and therefore, we also studied the effect and efficacy of Levetiracetam monotherapy.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the types of epilepsy, EEG, and drug dosage. We studied 101 epilepsy children treated by Levitiracetam monotherapy who had visited our hospital from August 2007 to July 2009. Results: Participants were aged one month to 20 years. The mean age of Levetiacetam therapy was initially 11±4 years (from 3 years to 21 years), and the type of epilepsy was partial in 57.4% and generalized in 42.6%. The mean dose I initially began at 6±4 ㎎/㎏/day (from 2 ㎎/㎏/day to 30 ㎎/㎏/day) with a mean final dose of 30±8 ㎎/㎏/day (from 6 ㎎/㎏/day to 60 ㎎/㎏/day), a mean duration of therapy of 21±11months, and a duration of therapy ranging from one to 38months. Further, 60.3% of patients became seizure free and 96.9% exhibited at least a 50% reduction in seizure over a 12 month period. Side effects included behavioral change (8), asthenia (2), cognitive change (1), rash (2), headache (5), inadequate seizure control (2), and increased seizure (5), Levetiracetam was discontinued due to inadequate seizure control (2), increased seizure (5) and side effects (2). Conculsion : We studied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monotherapy of Levetiracetam and found that it was effective and tolerable in mono therapy for epilepsy.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ADHD) 환아의 뇌전증 유무에 따른 임상 양상

        심지윤(Gi Youn Sim),손정우(Jung-Woo Son),김원섭(Won Seop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1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0 No.3

        목 적 :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ADHD를 가진 환아들 중 31-40%가 Epilepsy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ADHD를 가진 환아에서 뇌전증 유무에 따른 임상 연구가 부족하다. 방 법 : 이 연구는 2005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청주 성모 병원 소아 정신과에 내원한 ADHD 환아 38명과 같은 기간에 충북대학교 병원 소아 정신과와 소아 청소년과를 내원한 ADHD와 뇌전증을 가진 환아 3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ADHD와 뇌전증이 같이 있는 환아의 경련의 형태는 단순 부분 발작은 9례, 복잡 부분 발작은 3례, 전신 강직간대 발작은 3례, 전신 강직 발작은 5례, 탈력 발작은 1례, 결신 발작은 2례, 그 외의 발작은 11례 이었다. 2) ADHD와 뇌전증이 같이 있는 환아의 뇌파상 간질파의 부위는 전두엽이 15례(44.1%)였다. 3) ADHD 와 뇌전증이 같이 있는 환 아의 12개월 동안 경련이 50% 이상 감소한 경우는 76.4% 이었으며, 경련의 100% 감소한 경우는 52.9% 였다. 4) ADHD와 뇌전증이 같이 있는 환아의 뇌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비 종양적 뇌하수체 낭종, multifocal harmatous lesion, 뇌 위축, 맥락막 틈새 낭, 측 뇌실의 좌측 측 두각의 확장, 결절성 경화증, 안쪽 측두 경화였다. 5) ADHD의 형태는 ADHD와 뇌전증이 같이 있는 환아에서는 복합형이 76.4%였으며 ADHD만 있는 환아에서는 주의력 결핍 형이 50.5%였다( P=0.004). 6)ADHD와 뇌전증이 같이 있는 환아가 ADHD만 있는 환아에 비해서 학습장애를 더 보였다( P=0.01). 7)ADHD 약물 치료에 대한 반응은 ADHD와 뇌전증이 같이 있는 환아에서는 74%에서 반응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DHD만 있는 환아에서는 60.5%에서 반응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부작용은 ADHD와 뇌전증이 있는 환아는 발작 증가가 1례, 수면 장애가 1례 였으며, ADHD만 있는 환아는 수면 장애가 4례, 오심이 1례, 식욕 감퇴가 1례였다. 결 론 : 본 연구는 ADHD 환아의 뇌전증 유무에 따른 임상 연구로 뇌전증이 있는 경우는 ADHD 약물 치료에 대한 반응 및 임상경과와 정도가 다른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대규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known to be more common in children with epilepsy than in the general population. Thirty one to forty percent of ADHD is accompanied with epilepsy. Few studies regarding this matter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comorbidity of ADHD in children with epilepsy. Methods : This is a two center based, retrospective and controlled study. Thirty four ADHD children with epilepsy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38 ADHD children without epilepsy from Cheonju St. Mary's hospital were recruited from January 2005 to June 2010. Results : In ADHD children with epilepsy, twelve (35.2%) had partial seizures, 11 (32.2%) did generalized seizures and 11 (32.2%) were unclassified. EEG abnormalities were found in the frontal lobe (15 cases), in the central lobe (7 cases), in the temporal lobe (6 cases), and in the occipital lobe (3 cases). In ADHD children with epilepsy, the combined type was major (76.4%) and in ADHD children without epilepsy, the inattentive type was major (50.5%) (P=0.004). Learning disability was mor common in ADHD with epilepsy than in ADHD without epilepsy (P=0.01).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ADHD children with epilepsy are more likely to have combined type (76.4%) and learning disability as compared with ADHD without epilepsy.

      • KCI등재후보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신생아 발작을 진단하기 위해 시행되는 Amplitude integrated electroencephalography에 대한 고찰

        김유진(Yu-Jin Kim),심지윤(Gi Youn Sim),김미정(Mi-Jung Kim),임진아(Gina Lim),김원섭(Won Seop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1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9 No.3

        목적 :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신생아 경련이 의심되어 aEEG (Amplitude-integrated elect-roencephalography)와 EEG (electroencephalo-graphy)를 시행한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신생아 경련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aEEG의 선별도구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9년 1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임상적으로 경련발작이 있거나 아미노필린과 지속적 양압환기에도 반응하지 않는 무호흡이 있어 신생아 경련이 의심되는 환아 24명의 aEEG 결과와 EEG 결과, 뇌초음파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aEEG 결과에서는 15명(62.6%)은 경련양상(seizure pattern)이 있었으며 평평한 양상(flat pattern)은 2명(8.3%), 돌발파 억제 양상(burst suppression)이 2명(8.3%), 정상(continuous nor-mal voltage)은 5명(20.8%)이었다. EEG 결과에서는 15명(62.5%)은 신생아 경련, 2명(8.3%)은 대뇌 기능 장애, 7명(29.1%)은 정상소견을 보였다. 총 24명의 환아 중 15명이 신생아 경련으로 진단되었다. 임상적으로 경련 발작이 있거나 아미노필린과 양압환기에도 반응하지 않는 무호흡이 있어 신생아 경련이 의심되어 aEEG를 시행한 24명의 환아의 aEEG결과와 EEG결과와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Kappa=0.56, P value<0.05). aEEG를 시행한 환아 24명중 19명(79.2%)에서 비정상 결과를 보였으며 비정상 결과를 보인 19명의 뇌초음파에서 의미 있는 결과는 2명(두개내 출혈이 1명, 뇌부종이 1명)으로 두 검사간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 신생아 경련의 진단에 있어 환아 바로 옆에서 지속적으로 감시가 가능 한 aEEG는 EEG를 시행하기 전 선별검사로서 의의가 있었다. Purpose : To assess the usefulness of amplitude integrated electroencephalography (aEEG), we compared aEEG with electroencephalography (EEG), which is one of the most useful tools for assessment of neonatal seizur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Methods : We retrospectively studied 24 neonates who had been suspected of seizure activity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rom January 2009 to February 2010. The 24 neonates had seizure or apnea that did not respond to aminophylline or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We compared the correlation and efficacy of diagnosis among aEEG, EEG, and neurosonography. Results : We analyzed 24 aEEG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he aEEGs showed a seizure pattern in 15 (62.6%), burst suppression pattern in 2 (8.3%), flat pattern in 4 (8.3%), and normal in 5 (20.8%). The results of EEGs showed 15 neonatal seizures (62.5%), 2 cerebral dysfunctions (8.3%), and 7 normal findings (29.2 %). A correlation between aEEG and EEG was noted (P<0.05).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aEEG and echoencephalography. Conclusion: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aEEG and EEG for seizure detection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We think that aEEG is an useful screening tool for seizure detection in neonates.

      • KCI등재후보

        소아청소년 간질 환자에서 ADHD 치료 실태에 대한 다기관 공동연구

        은소희(So-Hee Eun),권순학(Soonhak Kwon),권영세(Young Se Kwon),김성구(Sung Koo Kim),김원섭(WonSeop Kim),남상욱(Sang-Ook Nam),심지윤(Gi Youn Sim),은백린(Baik-Lin Eun),이준화(Jun Hwa Lee),허윤정(Yun Jung Hur),황태규(Tae Gyu Hwang),주찬웅(C 대한소아신경학회 201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9 No.2

        목적 : 소아청소년기 간질 치료는 단순히 경련 조절뿐 아니라 간질과 흔히 동반될 수 있는 인지장애 및 정신신경 질환 유무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동반치료가 필수적이다. 특히 소아 간질 환자의 16-77%에서 동반하는 ADHD에 대한 치료가 성장기 소아환자의 장기 예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소아간질 환자에서 ADHD 치료 실태에 대한 보고가 미미한 상태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방법 : 규격화된 설문지를 전국 대한소아신경학회원에게 배포하여 참여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 조사하였다. 실험 대상으로 2005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간질로 진단 받고 치료중인 만 4-20세 환자에서 DSM-IV 기준으로 ADHD에 합당한 소아청소년 간질 환자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2005년부터 2010년 6월까지 매년 각 기관에서 치료 받고 있는 등록된 소아 및 청소년 간질 환자의 수를 파악하여 간질 환아에서 ADHD 유병률, 치료 실태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0기관 178명의 환자 설문지를 얻을수 있었으며, 이중 불충분한 자료를 보인 4명을 제외하고 174명(남:녀=139:35, 평균나이 12.2±3.3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중 부분 간질 환자는 125명(복합부분발작 102, 이차전범화발작 8, 단순부분발작 3, 로란딕 간질 13), 전신발작 40명(특발성 29, 결신발작 11), LG 증후군 8명이었다. 간질발생 나이는 평균 5.69세, 간질 치료 나이는 6.52세때 치료를 시작하였다. 동반질환으로 66명(37.9%)에서 정신지체를, 66명(37.9%)에서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정신-신경 질환을 동반하였다. 112명에서 DSM-IV를 기준으로 진단하였으며 이중 80명이 ADHD-combined 형태였다. 174명 중 162명에서 ADHD 약물 치료는 받았으며 ADHD 치료율은 평균1.9% (기관별 0.3-8.9%)을 보였다. ADHD 평균진단 나이는 8.94세, 치료 시작 나이는 9.26세였으며 평균 21개월 동안 약물 치료를 받았으나, 51명에서 6개월 미만의 단기 유지율을 보였다. 92명에서 concerta, 66명은 methyphenidate를 사용하였다. 완전 조절 18명 등 130명(80.2%)에서 치료 효과를 보였다. 9명에서 발작 증가, 17명에서 식욕감퇴를 보이는 등 총 48명(29.6%)에서 부작용을 보였다. 18명은 부작용으로, 18명은 효과가 없어 중단하였고, 39명(24.1%)에서는 보호자 임의로 중단하였다. 결론 : 간질을 동반한 ADHD 아동에게 현재 시행되고 있는 치료방법 및 치료 효과는 간질을 동반하지 않은 ADHD 아동과 비슷하다. 간질과 ADHD를 가진 아동의 많은 수가 다른 정신신경계 질환을 동반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의 간질 환자에서 ADHD 치료률은 다른 보고와 비교 할 때 매우 낮은 수치를 보여 간질환자에서 ADHD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urrent therapeutic status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children with epilepsy. Methods : A cross-sectional survey of 178 patients aged 4-20 years from ten pediatric neurology clinics in eight cities in South Korea from January 2005 to July 2010 was used to asses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DHD patients with epilepsy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DHD. Results : A total of 178 pediatric epileptic pati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One hundred seventy-four subjects' (M:F=4:1, mean age: 12.2±3.3 yrs old) records were evaluated excluding four patients due to incomplete data. One hundred twentyfive of 174 patients (71.8%) had partial epilepsy and 45 had generalized epilepsy. Eighty of 112 patients showed ADHD combined type from the DSM IV. The mean prevalence rate of ADHD treatment among the epileptic patients was 1.9%. Over 45 % of patients showed complete or persistent symptoms without difficulties in school life with CNS stimulants. Adverse reactions were reported in 19.8% of patients who received ADHD medication, and 18 patients discontinued ADHD medication due to severe adverse effects such as aggravated seizures (5.6%) or ADHD symptoms (3.7%). About 60% of children with ADHD and epilepsy had psychiatric comorbid disorders. Conclusion : The results indicate that ADHD treatment in epilepsy patients is safe and effective. However, these data also show that ADHD in pediatric epilepsy patients in Korea is under-diagnosed and under-tre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