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초기 설계 단계 우주 발사체의 포고 현상 예측을 위한 시스템 구성과 안정성 해석

        심지수(JiSoo Sim),이상구(SangGu Lee),신상준(SangJoon Shin),서용준(Yongjun Seo),안성준(Sungjun Ann),송희성(Huiseong Song),김유단(Youdan Kim) 한국추진공학회 2016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2

        우주 발사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다분야 연계 문제 중 하나인 축방향 동적 불안정성 현상인 포고현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조, 공급계, 추진 시스템의 연성에 의한 현상으로 구조 시스템과 추진 시스템이 닫힌계 시스템을 구성하여 전체 반응이 증폭하는 불안정성이 나타난다. 우주 발사체 개발에서 포고 현상에 대한 예측과 억제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포고 현상의 시스템 구성과 이를 해석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우주왕복선의 사례와 연구 방법을 참고하여 검증,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is about pogo phenomenon which is one of the problems in the space launch vehicle caused by coupling within various disciplines. This phenomenon is a coupling of structure, feedlines, and propulsion system regarding the coincidence of the natural frequencies. Then, the system becomes closed-loop composed of the structural and propulsion system. In order to predict of the relevant pogo instability, an example of the space shuttle is analyzed.

      • KCI우수등재

        일제강점기 광장의 생성과 특성 - 조선은행 앞 광장을 중심으로 -

        서영애,심지수,Seo, Young-Ai,Sim, Jisoo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4

        광장은 도시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공간이다. 광화문 광장과 서울 광장은 시민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출하는 대표적인 광장이다. 서울 도심 내 주요 광장들은 근대 도시계획이 시행된 일제강점기에 그 형태가 완성되었다. 그중에서 조선은행 앞 광장은 현재까지 '광장'이라고 부르지만, 광화문 광장이나 서울 광장과는 다른 특성이 있다. 일제강점기에 행정, 경제, 문화의 중심이었음에도, 이 광장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본 연구는 조선은행 앞 광장의 생성 과정과 변화를 통해 광장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조선은행 앞 광장은 토지 매입과 설계 공모를 통해 완성된 기획의 결과물이다. 1910년대에 총독부가 도로의 폭을 넓히는 과정에서 조선은행 앞의 일곱 필지를 매입하여 광장의 공간적 기틀을 마련했다. 1930년대 후반에는 교통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순환식 회전교차로 시스템이 도입되고, 설계 공모를 통해 분수대를 설치하면서 현재의 광장형태가 완성되었다. 광장으로 기획되었으나, 점차 로터리로 변화했다. 둘째, 조선은행 앞 광장은 일제의 권력과 근대성을 과시하는 랜드마크이자 상징 광장이다. 자동차 중심의 교차로와 대형 분수대는 초점 경관을 형성했다. 서양식 대형건물로 둘러싸인 공간을 중심으로 상업 광고와 네온사인이 설치되었다. 조선은행 앞 광장은 당시 근대 도시문화를 체험하는 첨단의 공간이었다. 지배자의 권력을 과시하는 스펙터클한 경관은 경성의 대표 이미지로 소비되었지만, 피지배자에게는 낯설고 소외된 경관으로 인식되었다. 본 연구는 조선은행 앞 광장 자체에 집중하여 생성 과정을 추적하였고, 그 특성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서울의 도시변화와 함께 정치 경제적 여건을 반영한 공간 연구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A plaza represents the identity of a city, and that reveals a plaza's importance. Gwanghwamun Plaza and Seoul Plaza are two representative plazas where the citizens can freely express their opinions. Many major plazas in the center of Seoul were built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Among these, the plaza of Joseon Bank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n Gwanghwamun Plaza and Seoul Plaza. Even though this plaza was built in the center of the commercial, administrational, and cultural distric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search on this plaza has been limi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features of this plaza by analyzing its construction and transform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udy's results outline how the plaza was constructed by the Japanese administration. The intention of the government is shown by the fact that it purchased land parcels and held a design competition. In the 1910s, the government purchased seven parcels of land during the expansion of roads as the place for the plaza. During the late 1930s, the government accepted a traffic circle to regulate the traffic and eliminate the conflict between crossing movements. In 1939, a fountain was built in the plaza's center, and its design was selected through a design competition. It was planned as a square, but gradually turned into a rotary. Furthermore, the plaza was a landmark and symbol of the power and modernity of Japan. As the main modal point of public transportation, the plaza became surrounded with largescale Western-style buildings, commercial advertising, and neon signs. The plaza became a place where people could experience the modern city. These spectacular displays showed that Japanese imperialism was perceived as a strange and peculiar landscape to the majority of Korean citize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plaza, focusing on its beginning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 of its form. As to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it does not consider political and economic contexts within the transformation of Seoul and in relation to this plaza. Instead, that research remains for a future study.

      • KCI등재

        모유수유와 분유수유에 따른 영아 장내 미생물 군집의 특징

        김경순,신정,심지수,연수지,이평안,정문규,Kim, Kyeong Soon,Shin, Jung,Sim, JiSoo,Yeon, SuJi,Lee, Pyeong An,Chung, Moon Gyu 한국미생물학회 2019 미생물학회지 Vol.55 No.3

        장 내에 존재하는 microbiome은 생활환경, 나이와 섭취하는 음식물에 따라 변하게 된다. 본논문에서는 모유를 섭취한 영아와 분유를 섭취한 영아들에 대한 장내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미생물의 군집변화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80개의 영아 분변을 통해 미생물 군집변화를 확인하였다. 모유그룹(BIG)과 분유그룹(FIG-A, FIG-B, FIG-C)간의 장내세균의 군집을 비교한 결과 BIG에서는 Actinobacteria 문이 전체 군집의 $74.22{\pm}3.48%$로 우점을 차지하였다. 분유그룹의 Actinobacteria 문을 비교하였을 때 FIG-A는 $73.46{\pm}4.12%$였지만 FIG-B와 FIG-C는 $66.52{\pm}5.80%$와 $68.88{\pm}4.33%$로 BIG와 FIG-A에 비해 낮은 비율을 보였다. 속(genus) 수준에서 살펴보면 Bifidobacterium이 전체 미생물군집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BIG가 $73.09{\pm}2.31%$로 가장 높았고 FIG-A, FIG-B 및 FIG-C는 각각 $72.25{\pm}4.93%$, $63.81{\pm}6.05%$ 및 $67.42{\pm}5.36%$를 차지하였다. Bifidobacterium 종의 경우 모든 그룹에서 Bifidobacterium longum이 우점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BIG와 FIG-A가 전체 군집의 $68.77{\pm}6.07%$와 $66.85{\pm}5.80%$를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FIG-B와 FIG-C는 각각 $58.94{\pm}6.20%$와 $61.86{\pm}5.31%$로 BIG와 FIG-A보다 낮은 비율로 분포하는 것을 분석하였다. FIG-A가 섭취한 분유는 Bifidobacterium의 선택적 증식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갈락토올리고당, 갈락토실락토스, 시너지올리고당, 비피도올리고 및 장내균총개선소재를 혼합한 5-Bifidus factor 복합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5-Bifidus factor라는 유산균에 대한 증식능이 우수한 프리바이오틱스를 혼합하였기 때문에 모유를 섭취한 영아의 장내에 존재하는 Bifidobacterium 속의 군집과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The intestinal microbiomes vary according to the factors such environment, age and di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gut microbial diversity between Korean infants receiving breast-fed milk and formula-fed milk. We analyzed microbial communities in stool samples collected from 80 Korean infants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Phylum level analysis revealed that microbial communities in both breast-fed infants group (BIG) was dominated by Actinobacteria ($74.22{\pm}3.48%$). Interestingly, the phylum Actinobacteria was dominant in formula-fed infants group A (FIG-A) at $73.46{\pm}4.12%$, but the proportions of phylum Actinobacteria were lower in formulafed infants group B and C (FIG-B and FIG-C) at $66.52{\pm}5.80%$ and $68.88{\pm}4.33%$. The most abundant genus in the BIG, FIG-A, FIG-B, and FIG-C was Bifidobacterium, comprising $73.09{\pm}2.31%$, $72.25{\pm}4.93%$, $63.81{\pm}6.05%$, and $67.42{\pm}5.36%$ of the total bacteria. Furthermore, the dominant bifidobacterial species detected in BIG and FIG-A was Bifidobacterium longum at $68.77{\pm}6.07%$ and $66.85{\pm}4.99%$ of the total bacteria. In contrast, the proportions of B. longum of FIG-B and FIG-C were $58.94{\pm}6.20%$ and $61.86{\pm}5.31%$ of the total bacteria. FIG-A showed a community similar to BIG, which may be due to the inclusion of galactooligosaccharide, galactosyllactose, synergy-oligosaccharide, bifidooligo and improvement material of gut microbiota contained in formula-milk. We conclude that 5-Bifidus factor contained in milk powder promotes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genus in the intestines.

      • 그린리모델링이 적용된 건물에서 재실자 행위에 의한 에너지 과소비 평가 방법 제안

        김도희(Do Hee Kim),심지수(Jisoo Sim),송두삼(Doo-sam Song) 대한설비공학회 202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6

        Green remodeling is becoming an important strategy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n the building sector. In evaluating the energy saving effect of green remodel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duction of the energy saving effect or rebound effect according to the usag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The rebound effect explai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and actual usag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for estimating the rebound effect by applying a change-point model that normalizes the fluctuated energy use. In this paper, the rebound effect of a building with green remodeling was analyzed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bound effect of the analyzed building occurred by 86% of the heating, 142% of the air conditioning, and 124% of the intermediate sea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