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스피스 병동에서 시행되는 말기 암 환자의 DNR (Do-Not-Resuscitate) 동의

        심병용,홍석인,박진민,조홍주,옥종선,김선영,한선애,이옥경,김훈교,Shim, Byoung-Yong,Hong, Seok-In,Park, Jin-Min,Cho, Hong-Joo,Ok, Jong-Sun,Kim, Seon-Young,Han, Sun-Ae,Lee, Ok-Kyung,Kim, Hoon-Ky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7 No.2

        배경: 보편적으로 호스피스 병동에서 말기 암 환자에 있어서, DNR 동의가 흔하게 취득되고 있다. 그러나 말기 암 환자에 대한 현황과 실태 분석에 관한 국내 연구는 아직 드문 현실이다. 최근 저자 등은 보호자가 DNR 동의를 거부하여 심폐소생술 후 인공호흡기 치료를 시행하여 2개월 간 중환자실에서 치료 후 사망한 환자를 경험하면서 지금 까지 진행된 DNR 동의의 현 실태와 앞으로 시행될 DNR 동의의 보완점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2003년 1월부터 6월까지 6개월 동안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과 DNR 동의서를 조사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나이, 성별,진단명, DNR 동의 시간, 사망까지의 시간, DNR 동의에 참여한 보호자, DNR 결정 당시 환자 상태, 사망장소, DNR 결정 당시의 치료와 DNR 결정 전후 치료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치료 단계는 3단계로 분류하였다. 결과: 중앙 연령은 66세($31{\sim}93$세) 였고 남자가 31명, 여자가 29명이었다. 폐암 12명, 위암 12명, 담낭암 및 담도암 7명, 대장암 6명, 췌장암 4명, 기타 19명이었다. DNR 동의서에 서명한 사람은 아들이 22명, 배우자가 19명, 딸이 16명, 기타가 3명이었다. 이 중 환자가 DNR 동의서에 동의한 경우는 한 명도 없었다. 60명 중 30명이 입원 시에, 30명은 입원 기간 중에 DNR 동의서에 서명하였다. 입원 기간 중에는 증상의 악화 19명, 활력 증후 변화 4명, 다기관 기능부전 3명, 기타 상태 4명 등으로 DNR이 결정 되었다. DNR 동의 후 사망까지의 시간은 13명이 5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사망 장소는 60명 중 한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본원이었다. DNR이 시행되었을 당시 치료 단계는 2명을 제외하고 1단계였고 2단계와 3단계가 각각 1명씩이었다. 결론: 환자의 존엄성과 권리라는 측면에서 DNR 동의의 환자 참여가 국내에서도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하겠다. 또 이를 위해 DNR 동의의 의미, 경과, 동의 철회 등의 사항이 포함된 문서화된 동의서에 의해서 환자와 보호자에게 설명되어야 하겠다. Purpose: DNR order is generally accepted for cancer patients near the end of life at Hospice Ward. It means not only no CPR when cardiopulmonary arrest develops but no aggressive meaningless medical interventions. Usually on admission, we discuss with the patients' family about DNR order at the Hospice Ward. Recently, we experienced a terminal lung cancer patient who had been on the ventilator for two months after pulmonary arrest. CPR and artificial ventilation were performed because patient's family refused DNR order. There is no consensus when, who, and how DNR order could be written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in Korea, yet. Methods: Hospice charts of 60 patients who admitted between Jan and Jun 2003 to Hospice Ward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median age was 66(range $31{\sim}93$) and there were 31 males and 29 females. Their underlying cancers were lung (12), stomach (12), biliary tract (7), colon (6), pancreas (4) and others (19). The persons who signed DNR order were son (22), spouse(19), daughter (16) and others (3). But, there was no patients who signed DNR order by oneself. Thirty families of 60 patients signed on day of admission and 30 signed during hospitalization when there were symptom aggravation (19), vital sign change (4), organ failure (3) and others (4). There were 13 patients who died within 5 days after DNR order. Most of patients died at our hospice ward, except in 1 patient. The level of care was mostly 1, except in 2 patients. (We set level of care as 3 categories. Level 1 is general medical care: 2 is general nursing care: 3 is terminal care.) Conclusion: We have to consider carefully discussing DNR order with terminal cancer patients in the future & values on withholding futile intervention.

      • 감각신경모세포종: 증례 보고와 문헌 고찰

        심병용,박진노,한지연,홍영선,김훈교,이경식,김민식,조승호,정수미,이연수,강진형,Shim Byoung-Yong,Park Jin-No,Han Ji-Youn,Hong Young-Sun,Kim Hoon-Kyo,Lee Kyung-Shick,Kim Min-Sik,Cho Seung-Ho,Chung Su-Mi,Lee Youn-Soo,Kang Jin-Hyoung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00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16 No.2

        Objectives: Esthesioneuroblastoma is a rare malignant neoplasm that originates from the olfactory sensory cells. This tumor grows from the upper nasal cavity and ethmoid sinus and invades surrounding structures through the cribriform plate into intracranium or orbit in advanced stage. Even though there has been some controversies in determining standard treatment due to rarity of this tumor,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surgery and adjuvant radiation has been recommended for the locally advanced esthesioneuroblastomas. However, the recent clinical experiences of advanced cases showed that combination chemotherapy is highly effective to reduce tumor mass and improve clinical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s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6 esthesioneuroblastoma patients who were treated in our hospital from 1986. Results: The age of these patients was between 19 and 86 year-old. Among the 6 cases, 2 were diagnosed at stage B and 4 at stage C, according to Kadish classification. Anti-tumor treatments were performed in 5 patients. One patient refused active treatment and was lost to follow-up. Better survival outcome were observed in 3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ombination chemotherapy alone or combined modality treatment including chemotherapy. Conclusion: Based on our retrospective study, the combined treatment consisting of surgery, radiotherapy, and combination chemotherapy should be used to improve treatment results. And furthermore, innovative clinical approaches such as neoadjuvant chemotherapy, high-dose chemotherapy and autologous peripheral stem cell transplantation, which have been reported to have good therapeutic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and applied actively.

      • 말기 암 환자에서의 하지 부종

        심병용,홍석인,박지찬,홍숙희,최강현,조홍주,김선영,한선애,이옥경,김훈교,Shim, Byoung-Yong,Hong, Seok-In,Park, Ji-Chan,Hong, Sug-Hui,Choi, Gang-Heun,Cho, Hong-Joo,Kim, Seon-Young,Han, Sun-Ae,Lee, Ok-Kyung,Kim, Hoon-Ky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8 No.2

        Purpose: The lower extremity edema (LEE) is a common distressful symptom in advanced cancer patients and is hard to manage.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EE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f causes and adequate management. Methods: Physical examination, assessment of the location and severity of edema, blood chemistry (albumin, creatinine), Doppler Sono for patients with suspecting deep vein thrombosis (DVT), and abdomen CT scan for patient with suspecting lymph edema were performed. Severity of edema was classified according to NCI lymph edema scaling and improvement was defined as lowering at least 1 grade of edema after management. Results: Among 154 patient who had been admitted to Hospice Ward from Mar 2003 to Jan 2004, 33 had LEE, and 6 had both upper extremity edema and LEE except generalized edema. Their underlying cancers were stomach (7), lung (6), biliary tract (5), liver (5), colorectal (5), pancreas (2), and others (9). There were 12 patient with grade I, 20 patients with grade II, and 7 patients with grade III edema. The causes were hypoalbuminemia (11), lymph edema (10), DVT (7), obstruction of inferior vena cava (IVC) or portal vein (6), and dependent edema (5). The common managements were including leg elevation and diuretics. Elastic stocking was applied for patients with DVT and leg massage and pneumatic compression was used for lymph edema. The 2/3 patients were improved after management. Conclusion: The incidence of LEE in terminal cancer pts was high (25.3%) and their causes were variable including lymph edema, DVT, hypoalbuminemia and dependent edema. Active noninvasive management according to causes could result in good palliation. 목적: 하지 부종은 진행된 말기 암 환자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증상이며 치료하기 어렵다고 생각되고 있다. 우리는 말기 암 환자에서 하지 부종의 특성을 분석하고 원인과 치료에 관한 기본 정보를 얻기 위해 연구를 하였다. 방법: 하지 부종이 있는 환자에서 이학적 검사를 시행하고 부종의 범위, 정도, 혈액 검사(creatinine, albumin)을 시행하였다. 심부정맥 혈전증이 의심되는 환자는 Doppler 초음파를 시행하고 림프부종이 의심되는 환자는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다. 부종 정도는 NCI의 림프부종 평가를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증상의 호전은 부종의 정도가 1 이상 감소한 경우 호전이라 하였다. 결과: 2003년 3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총 154명의 호스피스 입원 환자 중 하지부종 환자는 39명이었으며 이 중 6명은 상지부종과 하지부종이 모두 있었다. 이 들의 원인 질환은 위암(7명), 폐암(6명), 간담도암(5명), 간암(5명), 대장암(5명), 췌장암(2명), 기타(9명)이었다. 원인으로써는 저알부민혈증(11명), 림프부종(10명), 심부정맥혈전증(7명), 하대정맥 또는 문정맥 폐쇄(6명), 의존성 부종(5명)이었다. 치료로는 하지 거상과 이뇨제를 사용하였으며 심부정맥 혈전증이 있는 경우는 탄력 스타킹을, 림프부종이 있는 경우에는 맛사지와 공기 압축을 이용한 재활 치료를 하였다. 전체 2/3환자에서 증상 호전이 관찰되었다. 결론: 말기 암 환자에서 하지 부종의 빈도는 25.3%로 높으며 원인 질환으로는 저알부민 혈증, 림프부종, 심부정맥혈전증, 의존성 부종 등 다양하다. 적극적인 비침습적 치료로 충분한 증상호전을 가져 올 수 있다.

      • KCI등재

        의학강좌 : 개원의를 위한 모범처방 ; 암 검진의 최신 지견

        심병용 ( Byoung Yong Shim )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지 Vol.90 No.3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in Korea. Cancer screening has become a basic health program because of the increased incidence of cancers and heightened interest. In September 2015, experts gathered at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of Korea proposed screening guidelines for seven cancers: lung, gastric, colon, breast, cervical, and thyroid cancers and hepatoma. The Korean cancer screening guidelines recommend annual screening for lung cancer with low-dose computed tomography in adults ages 55 to 74 years who have a 30 pack-year smoking history and currently smoke or have quit within the past 15 years. For gastric cancer, endoscopy screening is recommended once every 2 years and gastrography is recommended optionally in adults ages 40 to 74 years. For hepatoma screening, α-fetoprotein and liver ultrasound are recommended every 6 months for patients older than 40 years old at high risk. For colon cancer screening, fecal occult blood testing is recommended with optional colonoscopy every 1-2 years in adults ages 40 to 80 years. For breast cancer screening, mammography is recommended every 2 years for all women ages 40-69 years.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a Pap smear is recommended every 3 years for all women older than 20 years or with sexual experience. No routine screening is recommended for thyroid cancer. The author reviews the background and practices of cancer screening guidelines for seven major cancers and prostate cancer. (Korean J Med 2016;90:224-230)

      •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암환자에서 실시한 고식적 방사선치료 실태

        이경환,손덕승,심병용,김성환,김치홍,김수지,이옥경,신옥경,김은중,김훈교,Lee, Kyoung-Hwan,Sun, Der-Sheng,Shim, Byoung-Yong,Kim, Sung-Hwan,Kim, Chi-Hong,Kim, Su-Zy,Lee, Ok-Kyung,Shin, Ok-Kyung,Kim, Eun-Joung,Kim, Hoon-Ky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0 No.2

        목적: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암환자에서 얼마나 고식적 방사선치료가 이용되는지, 방사선치료를 받는 환자중 끝마치지 못하는 환자는 얼마나 되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11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2년간 성 빈센트 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404명중 고식적 방사선치료를 시작한 33명에 대해 환자의 일반 특징과 방사선치료를 끝마치지 못한 이유와 그 방사선조사량에 대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404명 중 33명(8.2%)이 고식적 방사선치료를 시작하였다. 방사선치료의 주 적응증은 뇌전이, 동통성 골전이, 동통성 종양과 폐쇄성 호흡곤란 순이었다. 방사선 치료를 시작한 환자 중 45%는 방사선치료를 끝마치지 못했고 20%는 계획한 방사선 조사량의 1/3 이하만을 투여받았다. 치료를 마치지 못한 이유는 불량한 전신 상태가 대부분이었다. 결론: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 병동에서 고식적 방사선치료가 진행성 암 환자에게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마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적절한 환자의 선별기준과 방사선 치료기간의 단축을 통해 더 많은 환자가 방사선 치료로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We evaluated how many patients received radiotherapy and how many those of them could not complete radiation therapy in Hospice War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33 patients who began to receive palliative radiation therapy, and radiation dose and reasons of not-completing radiation therapy in Hospice Ward of St. Vincent's Hospital. Results: Thirty three (8.2%) among 404 patients who had been admitted from November 2003 and October 2005 received palliative radiation therapy. The main indications of radiation therapy included brain metastasis, painful bone metastasis, painful tumor mass, and obstructive shortness of breath. Forty five percent of these patients could not complete. And 20% could receive less than 1/3 of planned radiation dose. They failed to complete the treatment often due to poor general rendition. Conclusion: Although palliative radiation therapy had been used frequently for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in Hospice Ward of St. Vincent's Hospital, but it was often not completed. With appropriate selection criteria of patients and shorter modification of radiation treatment period, more patients would be benefited with palliative radiation therapy in Hospice Ward.

      • KCI등재

        MCPP 음독 후 발생한 사망 1례

        소병학,이원재,심병용,김훈교,김치홍,So Byung Hak,Lee Won Jae,Shim Byoung Yong,Kim Hoon-Kyo,Kim Chi Hong 대한임상독성학회 2005 대한임상독성학회지 Vol.3 No.1

        MCPP (2-(2-methyl-4-chlorophenoxy)propionic acid; mecoprop), a hormonal weedkiller has been widely used. Although chronic exposure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mildly toxic to man, acute intoxication can be severe and should thus be taken seriously. We report the case of a patient who died after ingestion of MCPP. A 64-year-old man ingested about 400 ml of $50\%$ MCPP solution. He was stuporous and had an inadequate respiration. He had an hypotension which did not respond to vasopressors and died about twelve hours after ingestion.

      • KCI등재후보

        호스피스병동 말기 암 환자 및 내과의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한 인식

        손덕승,전연주,이정화,길상현,심병용,이옥경,정인순,김훈교,Sun, Der-Sheng,Chun, Yeon-Joo,Lee, Jeong-Hwa,Gil, Sang-Hyun,Shim, Byoung-Yong,Lee, Ok-Kyung,Jung, In-Soon,Kim, Hoon-Ky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2 No.1

        목적: 말기 암 환자와 의사를 대상으로 추후 의료적 치료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심폐소생술 거부, 의료적 권한 법정 대리인, 생존시 유언장을 포함한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5월부터 11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 병동으로 내원한 말기 암 환자와 가톨릭중앙의료원 2, 3, 4년차 내과 전공의(의사)를 대상으로 사전의료지시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환자 134명, 의사 97명으로부터 답변을 받았다. 결과: 환자 128명(95.5%), 의사 95명(97.9%)은 사전의료지시를 찬성하였으며, 환자 79명(59.0%), 의사 96명 (99.0%)은 추후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말기 상태일 경우 무의미한 생명연장을 위한 심폐소생술을 원치 않았고, 환자 85명(63.4%), 의사 75명(77.3%)은 본인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황일 때를 대비한 의료적 권한 법정 대리인 지정에 찬성 하였다. 예로 제시된 유언장 내용에서 설문에 응한 환자 134명(100%), 의사 94명(96.9%)은 말기 상황일 경우, 가능한 편안하게 사망할 수 있도록 자신에게 시행되는 모든 치료를 중단, 보류하기를 원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말기 암 환자와 의사는 인생의 마지막을 결정짓는 도구로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해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아직 법적, 사회적 합의가 없어 하나의 체계로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여러 쟁점이 해결되어 힘들게 투병하고 있는 말기암 환자에게 사전의료지시(서)가 보편적이고 합법적인 의료 체계로 확립된다면 그들 인생의 마지막을 존엄하게 맺을 수 있는 선택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We undertook this study to find out the recognition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doctors about advance directives (ADs), of how they would do in non-response medical conditions and whether ADs could be one of medical options for their dying with dignity. Methods: One hundred thirty four cancer patients in the Hospice Unit, St. Vincent's Hospital, and 97 medical doctors in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Medical Center, were asked about ADs, including Do-Not-Resuscitate (DNR), medical power of attorney, living will and medical options. Results: One hundred thirty patients (97%) and 38 doctors (39.2%) were unfamiliar with ADs, however, 128 patients (95.5%), 95 doctors (97.9%) agreed with it. Seventy nine patients (59.0%) and 96 doctors (99.0%) wanted DNR rather then intensive treatments if they were in non-response medical conditions. Eighty four patients (62.7%) and 75 doctors (77.3%) were agreeable to medical power of attorney. One hundred Thirty four patients (100.0%) and 94 doctors (96.9%) did not want medical options to be in terminal conditions, and hoped to die in peace. Conclusion: Most of patients did not know about ADs and how to make it. However, they showed positive attitudes about it. If we advertise it properly, it is highly likely that a large number of cancer patients would make their living wills easily by ADs. Nevertheless, many legal and ethical problems have to be solved. Doctors should engage their patients in an ongoing communication about the end-of-life. Therefore, let the patients have opportunities to plan their own deaths.

      • KCI등재후보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경막외 모르핀 주입을 이용한 통증 조절

        이장은,허기훈,강유진,전연수,이옥경,심병용,김훈교,Lee, Jang-Eun,Hur, Ki-Hoon,Kang, Yoo-Jin,Jeon, Yon-Soo,Lee, Ok-Kyung,Shim, Byoung-Yong,Kim, Hoon-Ky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1 No.3

        목적: 경막외 모르핀 주입을 시행 받은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통증 조절의 효율성과 안전성,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4년 3월까지 3년간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경막외 모르핀 주입을 시행한 24명에 대해 환자의 일반 특성과 모르핀 등가용량, 기저 질환, 도관의 거치기간 등에 대해 후향 적으로 자료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은 위암, 췌장암이 각각 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막외 모르핀 주입 부위는 흉추가 15명으로 가장 많았다. 시행 당시의 기저 모르핀 등가 용량(morphine equivalent daily dose, MEDD)은 615 mg이었다. 경막외 모르핀 주입을 시행 받고 1주일 뒤의 MEDD는 274 mg으로 효과적인 통증 조절이 가능하였다(P-value=0.000). 경막외 도관을 제거한 환자는 6명으로 이중 3명은 재 삽입하였다. 도관의 감염으로 인하여 제거한 환자는 2명이었다. 결론: 호스피스 병동에서 시행한 경막외 지속적 모르핀 주입은 진행한 암 환자의 통증 조절에 효율적이었으며 도관의 위치 변동, 감염으로 인하여 제거한 경우가 있었으나 조절 가능한 합병증이었다. 다만 1일 주사용 모르핀 요구량이 100 mg일 때 경막하 모르핀 주입법을 통한 통증 조절을 권하더라도 동의를 얻는데 걸리는 기간 중 기저 질환의 악화 등으로 인한 투여 모르핀 용량의 증량으로 경막외 모르핀 주입 당시 평균 MEDD는 615 mg이었다. 향후 환자 및 보호자들에게 경막외 모르핀 주입의 효율성과 안전성에 대한 정보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Epidural morphine infusion has been used to control pain in cancer patients whose cancer pain can not be controlled high dose intravenous morphine injection. To study the effectiveness and side effects of epidural morphin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pain in terminal patients at Hospice Ward, we evaluated the change in morphine equivalent daily dose for effectiveness and complications of epidural morphine infus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4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ontinuous epidural morphine between 2001 and 2004 at Hospice Ward of St. Vincent's Hospital. Results: The median of baseline morphine equivalent daily dose was 615 mg, whereas the median dose of initial epidural morphine was 16 mg. The median of morphine daily equivalent daily dose dropped from 615 mg to 274 mg in one week after epidural morphine infusion therapy (P-value=0.000). The median survival from the time of the first catheter insertion was 35 days. In 6 patients, the catheter was removed due to complications, however the catheter was reinserted in 3 patients. Conclusion: Cancer pain management by epidural morphine infusion is very effective method with low rate of severe complication.

      • KCI등재

        Paclitaxel 매주 투여 및 방사선치료 동시요법을 받은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치료 결과

        김수지(Suzy Kim),김성환(Sung Whan Kim),심병용(Byoung Yong Shim),김치홍(Chi Hong Kim),송소향(So Hyang Song),안명임(Meyung Im Ahn),조덕곤(Deog Gon Cho),조규도(Kyu Do Cho),유진영(Jinyoung Yoo),김훈교(Hoon Kyo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4

        목 적: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 대한 매주 paclitaxel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동시 요법의 안정성과 효 과를 알아보고 재발 양상 및 생존율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0월부터 2004년 9월까지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목적으로 항암화 학방사선 동시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1회 1.8 Gy 씩 주5회 분할 조사하여 7∼8주에 걸쳐 총 선량 55.8∼64.8 (median 64.8) Gy를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매주 paclitaxel 50 또는 60 mg/m2 용량으로 방사선치료 1일, 8일, 15일, 22일, 29일 36일째에 투여하였다. 항암화학방사선동시요법을 마친 4주 후부터 paclitaxel 135 mg/m2와 cisplatin 75 mg/m2 용량으로 3주 간격으로 3주기의 공고 항암화학요법을 추가 시행하였다. 결 과: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받은 23명의 환자 중 3명이 도중에 환자 임의로 치료를 중단하였고 1명이 5,580 cGy까지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고 세균성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주된 급성 부작용은 방사선 식도염으로 4명(17%)의 환자에서 2도의 식도염이 관찰되었으며 3도 이상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16명의 환자가 추가 공고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았으며 공고 항암화학요법 중의 급성 부작용으로 3도 이상의 호중구 감소증이 8명(50%)의 환자에서 관찰되었으며 그중 한 명은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끝까지 시행 받은 20명의 환자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을 조사할 수 있었으며 완전 관해 4명(20%), 부분 관해 14명(70%)으로 전체 관해율은 90%이었다. 관해를 보인 환자들 중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16명 중 14명에서 재발이 확인되었고 국소 재발이 9명(56%),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가 3명(19%), 원격 전이가 2명(13%)이었다.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끝까지 시행받은 환자들에서의 무진행 생존 기간의 중앙값은 9.5개월이었으며, 2년 무진행 생존율은 18%이었다. 재발된 환자중 11명에서 2차(second-line) 또는 3차(third-line) 항암화학요법이 시행되었다. 전체 환자 23명의 중앙 생존 기간은 21개월,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43%, 33%였다. 다변량 분석을 시행했을 때 환자의 나이, 수행 능력, 종양의 크기는 무진행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예후 인자로 나타났다. 결 론: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paclitaxel 매주 투여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동시요법은 안전하고 종양의 관해율도 높았다. 그러나 국소 재발률이 높고 특히 종양의 크기가 큰 환자에서 예후가 나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부작용은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국소제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o analyze the response, toxicity, patterns of failure and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who were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ith weekly paclitaxel.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hree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radical chemoradiotherapy from October 1999 to September 2004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Patients received total 55.4∼64.8 (median 64.8) Gy (daily 1.8 Gy per fraction, 5 days per weeks) over 7∼8 weeks. 50 or 60 mg/m2 of paclitaxel was administered on day 1, 8, 15, 22, 29 and 36 of radiotherapy. Four weeks after th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three cycles of consolidation chemotherapy consisted of aclitaxel 135 mg/m2 and cisplatin 75 mg/m2 was administered every 3 weeks. Results: Of the 23 patients, 3 patients refused to receive the treatment during th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One patient died of bacterial eumonia during th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Grade 2 radiation esophagitis was observed in 4 patients (17%). Sixteen patients received consolidation chemotherapy. During the consolidation chemotherapy, 8 patients (50%) experienced grade 3 or 4 neutropenia and one of those patients died of neutropenic sepsis. Overall response rate for 20 evaluable patients was 90% including 4 complete responses (20%) and 14 partial responses (70%). Among 18 responders, 9 had local failure, 3 had local and distant failure and 2 had distant failure only.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time was 9.5 months and 2-year progression-free survival rate was 19%. Eleven patients received second-line or third-line chemotherapy after the treatment failure. The median overall survival time was 21 months. 2-year and 5-year survival rate were 43% and 33%, respectively. Age, performance status, tumor size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progression-free survival. Conclusion: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ith weekly paclitaxel revealed high response rate and low toxicity rate. But local failure occurred frequently after the remission and large tumor size was a poor prognostic factor.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improve the local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