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태연령 32주 미숙아에서 재태연령군에 따른 낭종성 뇌실 주위 백질 연화증 발생 위험 요인

        심규홍 ( Gyu Hong Shim ),최명재 ( Myoung Jae Chey ) 대한주산의학회 2016 Perinatology Vol.27 No.1

        목적: 본 연구는 32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재태연령군에 따른 낭종성 뇌실주위 백질연화증의 발생률과 발생에 대한 위험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대상은 2009년 1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에서 출생하고,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4주이상 생존한 재태연령 32주 미만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낭종성 뇌실주위 백질연화증의 발생률과 발생에 대한 위험 요인에 대한 조사를 재태연령군에 따라 진행하였다. 결과: 32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낭종성 뇌실주위 백질연화증의 발생률은 15.1% (26/172) 였다. 전체 환자군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이중 grade 2 이상의 뇌실 내 출혈[P=0.006, odds ratio (OR) 5.478, 95% confidence interval (CI)1.641-18.285], 28일 이상의 산소 사용 유무(P=0.025, OR 3.086, 95% CI 1.152-8.264) 및 stage 2 이상의 신생아 괴사성장염(P=0.042, OR 3.731, 95% CI 1.047-13.333)이 독립적인 위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28주를 기점으로 세분화 하였을 대 28주 미만에서는 임신성 고혈압과 뇌실 내 출혈이 독립적인 위험 요인이었고, 28-31주의 미숙아에서는 28일 이상의 산소 사용 유무 와 배양 검사로 확진된 패혈증 유무가 독립적인 위험요인으로 나왔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임신성 고혈압과 뇌실 내 출혈은 28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낭종성 뇌실주위 백질연화증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28일 이상의 산소 사용과 배양 검사로 확진된 패혈증은 28+0-31+6주 미숙아에서 낭종성 뇌실주위 백질연화증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cystic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PVL) and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cystic PVL in preterm infants with gestational age (GA) less than 32 weeks according to gestational age group. Methods: The medical records and brain imaging were reviewed for preterm infants with less than 32 weeks GA who lived more than 4 weeks and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t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from January 2009 to June 2015. We determined the incidence and th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cystic PVL in preterm infants according to GA group. Results: Incidence of cystic PVL was 15.1% (26/172).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P=0.006, odds ratio (OR) 5.478, 95% confidence interval (CI) 1.641-18.285), oxygen uses over 28 days (P=0.025, OR 3.086, 95% CI 1.152-8.264), and NEC (P=0.042, OR 3.731, 95% CI 1.047-13.333)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al of cystic PVL. Subgroup analysis showed that pregnancyinduce hypertension and IVH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in preterm infants with GA of less than 28 weeks. Also, oxygen uses over 28 days and culture proven sepsis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in preterm infants with GA of 28+0-31+6 week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gnancy-induce hypertension and IVH may increase the risk for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cystic PVL in preterm infants with GA of less than 28 weeks, and oxygen uses over 28 days and culture proven sepsis may increase in preterm infants with GA of 28+0-31+6 weeks.

      • KCI등재

        최소 침습 폐표면활성제 투여법

        심규홍 ( Gyu Hong Shim ) 대한주산의학회 2015 Perinatology Vol.26 No.4

        과거에는 호흡곤란증후군이 있는 미숙아는 기관 삽관과 함께 폐표면활성제를 투여하는 치료 주로 시행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비강 내 양압환기요법과 같은 비침습적 환기를 적용하는 것이 출생 후 미숙아에서 조기에 기관 삽관을 하여 치료하는 것을 대체할 수 있는 합리적인 대안으로 생각된다. 최근에는 비강 내 양압환기요법이 기관삽관 후 침습적인 환기를 적용 받는 미숙아에 비하여 기관지폐 형성 이상 또는 사망의 위험도를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최근에 미숙아의 호흡곤란에 일차 치료로 비침습적 환기를 적용하는 것이 급증하고 있는데 이에 반해 폐표면활성제를 언제 어떻게 투여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생 후 비강 내 양압환기요법을 받고 있는 자발호흡이 있는 미숙아에서 최소 침습 폐표면활성제 투여법이 고안되었다. 최소 침습 폐표면활성제 투여법에는 기도 내 도관 삽입법, 분무주입법, 후두 마스크법 및 인후 내 점적법 등이 있다. 최근 여러 임상연구에서는 기도 내 도관 삽입법을 이용한 폐표면활성제 투여법이 기관 삽관과 침습적 기계환기 적용 빈도를 줄여 단기적인 예후를 향상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최소 침습 폐표면활성제 투여법은 비교적 안전하고, 실현가능하며,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앞으로 국내에서도 미숙아의 호흡곤란증후군 치료에 많이 적용되리라 생각된다. For many years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have been managed with a combination of intubation and surfactant replacement therapy. It is now recognized that applying noninvasive ventilation (NIV) such as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in preterm infants is a reasonable alternative to early intubation after birth. Recently, nasal CPAP has shown a benefit with a small reduction in the risk of the combined outcome of death or bronchopulmonary dysplasia. There has been an upsurge in the use of NIV as primary therapy for preterm infants, bringing with it the dilemma of when and how to give exogenous surfactant. In an effort to overcome this problem, minimally invasive surfactant therapy (MIST) to spontaneously breathing infants, allows them to remain on CPAP in first days after birth. MIST has included administration of exogenous surfactant by brief tracheal catheterization, aerosolization, laryngeal mask, and intrapharyngeal instillation. In recent clinical trials, surfactant delivery via brief tracheal catheterization was found to reduce the need for subsequent intub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and to improve short-term respiratory outcomes. In conclusion, MIST is gentle, safe, feasible and effective to perform in preterm infants and will also be used commonly in Korea.

      • KCI등재

        킬레이트 관능기가 도입된 활성탄소섬유의 중금속 흡착

        박수진,심규홍,김학용,Park, Soo-Jin,Shim, Gyu-Hong,Kim, Hak-Yong 한국섬유공학회 2005 한국섬유공학회지 Vol.42 No.2

        In this work, the heavy metal ion adsorption behavior of activated carbon fibers (ACFs) containing chelating functional groups were studied. The ACFs were modified by fluorination and glycidyl methacrylate (GMA) graft polymerization in order to introduce chelating functional groups, such as iminodiacetate (IDA) groups, on the carbon surfaces. Fourier transform-infrared spectrometry (FT-IR)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surface properties of the ACFs. Specific surface area was calculated from Brunauer-Emmett-Teller (BET) equation for $N_{2}$ adsorption at 77 K. In the result of XPS, the relative intensity of oxygen peaks increased with increasing treatment times of fluorination, indicating that surface oxidation occurred due to the increased treatment time of fluorination, in spite of decrease in specific surface area by pore blocking. However, the adsorption of the heavy metal ion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reatment time of fluorination. It was understood that the IDA groups of the fluorinated ACF surfaces were introduced by GMA graft polymerization and the IDA groups led to an increase in the adsorption of heavy metal ions.

      • KCI등재

        백혈병모양 반응을 보이는 극소저출생체중아의 주산기 인자와 신생아기 예후

        이현주 ( Hyun Ju Lee ),심규홍 ( Gyu Hong Shim ),김은선 ( Eun Sun Kim ),이진아 ( Jin A Lee ),최창원 ( Chang Won Choi ),김이경 ( Ee Kyung Kim ),김한석 ( Han Suk Kim ),김병일 ( Beyong Il Kim ),최중환 ( Jung Hwan Choi ) 대한주산의학회 2009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20 No.1

        목적: 미숙아에서 백혈병모양 반응이 있는 경우 기관지폐 형성 이상의 발생이 유의하게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백혈병모양 반응과 주산기 인자 및 미숙아 합병증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5년 6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과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중 출생 체중이 1,500 g 미만인 극소저출생체중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환자 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백혈병모양 반응이 있는 환아는 비슷한 재태주령과 출생체중의 백혈구 증가증이 없는 (WBC counts, <35,000 cells/mm3)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백혈병모양 반응은 출생 후 1개월 이내에 백혈구 수치가 40,000 cells/mm3 이상이거나 절대 호중구 수가 30,000 cells/mm3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주산기 인자에서 성별, 1분과 5분의 Apgar 점수, 산모의 말초혈액내 백혈구 수, 산전 스테로이드 투여 여부, 산모의 연령은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양수내 양성 세균배양여부(67% vs 11%, P<0.01), 양수내 U. urealyticum 집락여부(52% vs 10%, P<0.01), 조직학적 융모양막염(81% vs 33%, P<0.01), 제대혈관염(50% vs 7%, P<0.01)은 백혈병모양 반응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미숙아 합병증으로 호흡곤란 증후군, 동맥관 개존증, 괴사성 장염, 패혈증, 뇌실내 출혈, 기관지폐형성 이상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생후 1개월 이내의 백혈병모양 반응은 기관지폐 형성 이상과 다른 미숙아 합병증과 연관이 없었고 융모양막염과 연관이 있었다. 백혈병모양 반응은 산전 염증반응에 대한 백혈구의 일시적인 동역학(kinetics)적 변화로 신생아의 임상적 경과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Leukemoid reaction (LR) represents inflammatory reac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VLBW) infants, and has been reported to relate with the development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This study was done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natal characteristics and neonatal outcome of leukemoid reaction in VLBW infants. Methods: Three hundred and seventy two VLBW infants admitted to the NICUs of SNUCH and SNUBH between June 2005 to June 2008 were studied in a retrospective case-controlled manner. Of these VLBW infants, 32 LR (+) infants were compared with 83 LR (-) infants who were matched for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with respect to perinatal and neonatal clinical characteristics. LR was defined as a white blood cell (WBC) count of more than 40,000 cells/mm3 or absolute neutrophil count of more than 30.000 cells/mm3 during the first month of life. Results: Of 413 VLBW infa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R (+) and LR (-) infants in sex, Apgar scores, maternal peripheral WBC count, the use of antenatal steroids and maternal age. Comparing with LR (-) infants, LR (+) infants had a higher positive rate for amniotic fluid culture (67% vs 11%; P≤0.01), U. ureaplasma in amniotic fluid (52% vs 10%; P=0.01), histologic chorioamnionitis (81% vs 33%; P=0.01) and funisitis (50% vs 7%; P=0.01). The incidences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patent ductus arteriosus, necrotizing enterocolitis, sepsis, intraventricular hemorrhage and BP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R (+) and LR (-) infants. Conclusion: LR during the first month of life in VLBW infants was associated with chorioamnionitis, but not with the incidence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or other neonatal morbid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R may be a simple reflection of transient accelerated neutrophil production induced by prenatal inflammation without significant neonatal consequences.

      • KCI등재

        신생아의 미만성 피부 비만세포증 1례

        박미나 ( Mi Na Park ),김근아 ( Geun A Kim ),최명재 ( Myoung Jae Chey ),심규홍 ( Gyu Hong Shim ) 대한주산의학회 2014 Perinatology Vol.25 No.2

        Diffuse cutaneous mastocytosis (DCM) is a rare variant of mast cell disease with widespread erythema and is clinically apparent in early infancy. We report the case of a 1-day-old female neonate who presented with diffuse flush, pruritus, and extensive blistering. DCM was diagnos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anti-CD117, which revealed mast cell infiltration. DCM is a severe and heterogeneous cutaneous disease, and is associated with mast cell mediator-related symptoms and risk of anaphylactic shock. We describe this case and provide the first literature review of neonatal onset DCM in Korea.

      • H1N1 감염과 B형 인플루엔자 감염의 임상 증상 및 검사 비교

        김수희 ( Su Hee Kim ),박철휘 ( Chul Hyue Park ),허경 ( Kyoung Huh ),심규홍 ( Gyu Hong Shim ),김효빈 ( Hyo Bin Kim ),유수정 ( Su Jeong You ),송영환 ( Young Whan Song ),정주영 ( Ju Young Chung ),박미정 ( Mi Jung Park ),김창근 ( Cha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2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2 No.1

        Purpose: Influenza viru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iruses that cause the respiratory infection seasonally. In April 2009, H1N1 was detected in America and Mexico and then there was pandemic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between the infections of H1N1 and Influenza B. Methods: We have retrospectively studied the patients under age of 15 years who visited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from August 2009 to April 2010. Evaluation for influenza infection was performed by rapid antigen test or multiplex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Complete blood count with differential counts, C-reactive protein and chest X-ray were checked. Results: Enrolled patients were 2,226 in H1N1-infected group and 288 in influenza B-infected group. Seasonal variation was that H1N1 in autumn and winter but influenza B in spring. The male-to- female sex ratio was same as 1.23 in each group. The mean age of H1N1-infected group was higher than influenza B-infected group (P<0.001). Fever was developed similarly in both groups (P=0.114). However, cough, sputum, rhinorrhea, vomiting, diarrhea, and headache were more prevalent in influenza B infection compared to H1N1 infection (P<0.001). Pneumonia development and admission rate were higher in influenza B infection compared to H1N1 infection (P<0.001, respectively). Conclusion: Although H1N1 infection spread rapidly, H1N1 caused not so severe symptoms than influenza B. Because of the possibility that influenza epidemic will develop repeatedly in the future, we need to evaluate more about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virus subtype and prepare for them.

      • KCI등재

        임상 ;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괴사성 장염과 바이러스 감염과 연관되지 않은 신생아 괴사성 장염의 비교

        김영호 ( Young Ho Kim ),서유진 ( Eu Jin Seo ),심규홍 ( Gyu Hong Shim ),최명재 ( Myoung Jae Chey ) 대한주산의학회 2011 Perinatology Vol.22 No.4

        목적 : 본 연구에서 Rotavirus를 포함한 모든 바이러스와 연관된 신생아 괴사성 장염 환아와 바이러스와 연관되지 않은 신생아 괴사성 장염 환아의 임상 양상, 신생아 질환, 임상 증상과 진찰 소견, 검사 소견과 방사선 소견 등을 비교하여 두 군간의 경과와 예후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9년 7월 1일부터 2009년 6월 30일까지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modified Bell` s criteria에 따라 신생아 괴사성 장염으로 진단된 86명을 바이러스와 연관된 신생아 괴사성 장염군(V+NEC군, 22명)과 바이러스와 연관되지 않은 신생아 괴사성 장염군(V-NEC군 64명)으로 나누어 두 군간의 주산기 특징, 신생아기 질환, 신생아 괴사성 장염의 증상 및 진찰 소견, 혈액 검사 소견과 방사선 소견 등의 차이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V+NEC군에서 V-NEC군보다 질식 분만 비율은 더 높았고(P=0.026), 복부 팽만(복부 둘레가 1일 2 cm 이상 증가) 비율은 더 낮았다(P=0.019). 기타 주산기 특징, 신생아기 질환, 신생아 괴사성 장염의 증상 및 진찰 소견, 혈액 검사 소견과 방사선 소견 등에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단기 예후를 나타낼 수 있는 수술률과 사망률에서도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바이러스와 연관된 신생아 괴사성 장염도 바이러스와 연관되지 않은 신생아 괴사성 장염과 비슷한 임상적 특징과 예후를 보인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between virus-associated necrotizing enterocolitis (V+NEC) and non-virus necrotizing enterocolitis (V-NEC).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86 neonates with NEC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of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from July 1st, 1999 to June 30th, 2009. We divided patients into V+NEC group (n=22) and V-NEC group (n=64).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differences of predisposing factors, clinical characteristics, laboratory findings and radiological findings between two groups. Results : The rate of vaginal delivery in V+NEC group was higher than V-NEC group ( P=0.026). The rate of abdominal distension in V+NEC was lower than V-NEC group (P=0.019).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predisposing factors, clinical characteristics, laboratory findings and radiological findings, disease severity, having an operation and mortality except above two factors between V+NEC group and V-NEC group. Conclusion :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general characteristics, disease severity, operation rate and mortality between V+NEC group and V-NEC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