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난자본주의와 감정의 정치학

        심광현(Shim Kwang-Hyun) 한국문화연구학회 2012 문화연구 Vol.1 No.1

        세계보건기구는 2020년에 이르면 우울증이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나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건강 저해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전에는 예외적이던 우울증이 일반적인 현상으로 부상하는 이유는 사회경제적 위기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 사실과 연관이 있다. 심리적 위기의 증상인 우울증과 경제 위기의 증상인 불황의 기표가 동일한 명칭으로 지칭된다는 것도 이를 간접적으로 예증한다. 이 글은 불황과 우울증의 기표적 일치가 경제위기와 사회심리, 개인 심리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함축하고 있다는 가설에서 출발하여, 대공황의 문턱으로 진입해가면서 요동치고 있는 현대 자본주의 세계체계의 위기 속에서 대안사회로의 이행을 위해 필요한 새로운 주체형성의 경로를 이론적으로 탐색해 보려는 일종의 사고 실험이다. 21세기 자본주의 세계체계는 전지구적 차원으로 작동하고 있어서 과거와 같은 방식(일국사회주의)의 국지적 탈주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런 상태에서 발생하는 세계적 공황은 무력감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정치경제적 심리적 불황의 교착상태가 장기화될 우려도 크다. 그리고 이런 교착상태는 1세기 전과 같이 파시즘과 전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런 위험들을 극복해가기 위해서는 (1) 구조적 폭력에 맞선 대항폭력 + (2) 신경증과 우울증을 넘어서 공동체적인 감정적 유대를 형성할 수 있는 미와 숭고의 변증법의 체화 + (3) 규제적 이념으로서의 코뮌주의라는 세 가지의 축 간의 선순환 고리를 형성해 나가야 한다. 이 삼자의 결합을 통해 각각의 내용을 튼실히 하려는 적극적인 실천만이 21세기의 ‘재난자본주의’가 확산시키고 있는 정치경제적 불황과 만성적 우울증의 교착 상태를 넘어 대안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현실적 경로를 열어줄 수 있다. WHO reports that mental depression would be the biggest impediment to health care in both psychological and somatic aspects in 2020s. It is related to socio-economic crises increased as times go on that psychological depression exceptional in the past is rising to general phenomenon in these days. It is also indirectly exemplified by the fact that mental depression and economic depression is called as same signifier ‘depression’. This paper is a kind of thought-experiment to search theoretical pathway for new subjectivity necessary for transition to alternative society in the chaotic turbulence of crises of modern world economy system, starting from a hypothesis that signifier’s coincidence of economic and psychological depression may imply strong interaction between economic crises, social psychology, and individual psychology. Nowadays, it is very difficult to run away, in similar way as before (one-state socialism), from the world capitalist system which has been operating in global scale. Economic crises in the global level would increase so much mental ineffectualness to prolong complications of political economic and mental depression. These complications may induce fascism and war in a similar way as a century ago. In order to overcome such risks, it’s necessary to make a virtuous circle between (1) counter-violence against structural violence, (2) embodiment of dialectic of beauty and sublime for communal affective alliance, (3) communism as a regulative ideal. Active practice to strengthen each content through such virtuous circle would open actual pathway to break through deadlock of chronic political economic depression with mental depression toward alternative society.

      • 네트워크가상환경에서 데드레커닝 알고리즘의 성능 해석 및 향상에 관한 연구

        심광현(Kwang-Hyun Shim),김종성(Jong-Su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Ⅲ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게임과 같은 대규모 네트워크가상환경에서의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교환되는 정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공유객체의 이동에 대한 데드레커닝 알고리즘을 마코프 체인 (Markov Chain)을 이용하여 모델링하고 그것의 성능의 해석한다. 그리고 사용자측면에서는 거의 성능저하가 없으면서 전체적으로 네트워크부하를 줄여서 서버가 보다 많은 클라이언트를 처리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드레커닝 문턱값의 제어기법들을 소개한다.

      • KCI등재후보

        두 가지 ‘알튀세르 효과’의 마주침: 과잉결정과 과소결정, 우발성과 마주침의 유물론의 생산적 이중주를 위하여

        심광현(Shim, Kwang Hyun) 한국문화연구학회 2019 문화연구 Vol.7 No.2

        Etienne Balibar once estimated his teacher Althusser as ‘a vanished mediator’ of a process from innovation of Marxism to dissolution of Marxism. But, in this paper, I will establish that the true character of Althusser’s thoughts was in the construction of a new Marxism of future through a philosophical duet of two conceptual melodies. One was theoretical practices (Effect-A) which was composed of exact analyses of conditions of reproduction of relations of production and interventions into history, politics and philosophy of Marxism. The other was theoretical practices (Effect-B) for class struggles and revolution which cause cracks in the stable conditions of reproduction of relations of production. This perspective opens a productive vision to use his late thoughts (aleatory materialism and materialism of encounter) as a theoretical means of analyses to explain changes from over-determination of stable social systems to underdetermination of unstable social systems. The first melody of over-determination presents the process how accident encounters of many events had condensed into historical necessities of capitalistic relations of production for a long time. The second melody presents possibilities of new encounters to be opened from fissures & vacua generated in those necessities during unstable transitive period.

      • KCI등재

        기본소득운동과 대안적지식구성체/교육구성체 형성의 전망

        심광현 ( Kwang Hyun Sh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4 시대와 철학 Vol.25 No.2

        좌파적 기본소득(운동)론은 불로소득 환수 등의 재원을 통해 기본소득을 지급하면 자유시간이 증대하여 임금노동의 압박으로부터 대중들이 상대적으로 해방되고 사회적 연대 활동이 강화되어 자본주의를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에 기초하고 있다. 그런데 이 가설에는 축적된 잉여가치를 기본소득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자본에 대한 대중투쟁이 성공해야 하며, 또 이 성공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기본소득을 지급받음으로써 증가하는 자유시간을 대중들이 비자본주의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즐겁게 사용함과 더불어 일정한 시간을 사회적 연대 활동에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비명시적으로 함축되어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 좌파적 기본소득(운동)론은 이런 비명시적 전제조건의 중요성에 대해 충분하게 주목하지 않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런 전제를 명시적으로 드러내고, 이 조건의 충족을 위해, 1) 현재 상품소비에 푹 찌들어 있는 도시 임금노동자가 어떻게 기본소득의 지급의 전제 조건인 생활양식의 변화와 사회적 연대 활동 강화를 이루어낼 수 있는지를 일련의 사고실험을 통해서 확인해 보고, 2) 이런 실험이 고립된 개인들 차원에 머물지 않고 일반대중들에게 확산되기 위해 필요한 확산 모델의 개발을 위해 암묵지와 형식지의 순환이라는 지식과학의 개념을 재활용하여 <대안적 지식구성체> 개념을 설정하고, 3) 자본주의적 지식구성체에서 비자본주의적 지식구성체로의 전환을 위해 필요한 <대안적 교육구성체>의 모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런 개념적 모형들의 전망에서 보면, 좌파적 기본소득을 지속 가능하게 지급할 새로운 사회구성체로의 이행을 위해서는 현재 통용되고 있는 암묵적 지식과 결합된 명시적 지식의 사회적 배치가 바뀌어야만 하고, 대안적지식구성체의 형성을 위한 노력과 대안적 교육구성체의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이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The Leftist Basic Income Movement (LBIM) has been based on a hypothesis that, if basic income would be supplied through financial resources such as without-earned income and etc., the increased free time would afford peoples to be relatively liberated from pressures of wage-labor, and to strengthen social solidarity activities for overcoming the capitalism. However, this hypothesis has includes some implied premises that, in order to convert the capitalist accumulated surplus values into basic income, success of the mass struggle will be necessary, and that sustaining the success will be possible for peoples to use the increased free time for raising their own quality of life enjoyed in anon-capitalist way and to extend social solidarity activitieson an ongoing basis. But up until now, the theory of basic income (movement) has not paid enough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senon-explicit preconditions. This article is purposed to reveal theses premises explicitly and to present following proposals to meet such preconditions: 1) to make a series of thought experiments about possibilities of the current urban wage laborers embedded in commodity consumption to change their everyday lifestyles and strengthen social solidarity activities which are preconditions for LBIM, 2) in order to develop a spread model for the sake of spreading these experiments of some isolated individuals among the general public, to propose a new concept of <alternative knowledge formation> by use of remodeling the concept of tacit & formal knowledge used in knowledge science, 3) to presenta conceptual model of <alternative educational formation>necessary for transition from capitalist knowledge formation to non-capitalist knowledge formation. From a perspective of these conceptual models, it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that current social constellation of formal knowledge in combination with tacit knowledge should be changed for going toward a new social formation affording sustainable LBI, and that efforts for building alternative knowledge formation necessary for LBIM should be in parallel with efforts for building alternative educational form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20세기 혁명의 변증법적 리듬분석 시론

        심광현(Shim, Kwang-Hyun) 한국문화연구학회 2013 문화연구 Vol.2 No.2

        역사의 ‘반복’은 계절의 리듬 같은 자연적 반복이 지구의 공전 법칙에 따라 발생하는 것과 유사하게 세계적 규모의 자본축적의 주기적인 리듬, 즉 ‘M-C국면’과 ‘C-M'’ 국면의 반복에서 비롯된다. 반면, 역사의 반복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자본과 노동의 지리적 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계급투쟁 때문이다. 이 과정은 자본주의가 지구화된 오늘날에는 자본과 노동, 자본과 성, 자본과 생태계 사이의 적대로 중층화되면서 자연적인 리듬에도 심각한 교란을 발생시킬 정도로 전면화되고 있다. 역사적 반복과 차이의 변증법적 리듬을 분석하는 관점에서 서 보면 21세기 이행기에는 한 세기 전과는 다른 두 가지 과제가 제기되고 있다. 1) ‘전-자본주의 → 자본주의 → 일국 사회주의’라는 단계론적 이행에서 ‘전 지구적 자본주의 → 전 지구적 사회주의’로의 전면적 이행이라는 과제, 2) 계급-성-생태적 문제를 아우를 수 있는, 아래로부터의 사회주의의 재 정의라는 과제가 그것이다. 과거로부터 교훈을 얻기 위해 러시아 혁명과 중국 혁명을 재평가해 보면 ‘전쟁-혁명-개혁’, 토대와 상부구조, 생산영역과 문화영역 간의 중층적인 변증법적 리듬을 새롭게 포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리듬은 가우스 분포와 멱함수 분포가 이중적으로 결합된 레비 비행과 같은 폭발성 주기의 형태를 띠고 있다. 21세기 이행기가 직면하고 있는 두 과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중층적이고도 폭발성 주기의 형태를 띤 역사의 복잡한 리듬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Historical repetition is due to periodical rhythm of the worldwide scale capitalist accumulation-repetition of both money-commodity phase and commodity-money phase - which is similar to natural repetition of seasonal rhythms owing to revolution of the earth around the sun. Meanwhile, differences in the historical repetition are due to the class struggles arising in the process of geographical transitions of capital and labor. In these days of the globalized capitalism, these struggles have been full-fledged to perturb natural rhythms seriously in over-determination of antagonisms between capital-labor, capital-sexuality, and capital-ecology. In the perspective of rhythm analysis of dialectics of repetition and difference, it can be confirmed that 21th century meets two transitional tasks different from the 20th century’s: 1) oneisanoveralltransitionaltask <globalized capitalism àglobalized socialism> different from a step by step transition <pre-capitalism àcapitalismà one nation socialism>, 2) another is a redefinition of socialism from below to join together class-sexuality-ecology problems. Revaluating Russian and Chinese Revolution in order to learn a lesson from the past, we can find newly dialectical rhythms over-determined between war-revolution-reformation, base-superstructure, and production domaincultural domain. These rhythms formed patterns of explosive cycles of Lévy flight composed of both Gauss distribution and Power Set distribution. It will be necessary to analyze precisely these complex historical rhythms for successful resolution of the two historical tasks of 21th century.

      • KCI등재

        논문 : 인지과학과 이미지의 문화정치 -유비쿼터스 시대의 영상문화연구의 과제와 전망-

        심광현 ( Kwang Hyun Sh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3 시대와 철학 Vol.24 No.2

        몸을 고정시킨 채 시각적 몰입만을 강제하던 가상현실과는 달리 가상현실과 물리적 현실을 실시간으로 연결시키는 증강현실의 제3의 공간에서는 탈신체화되었던 시각이 다시 움직이는 몸과 연결되어 신체화된다. 일상적인 거리 이동 시에도 스마트폰을 통해 증강현실 프로그램 사용이 상용화되고있다는 것은 소위 ‘유비쿼터스 시대’가 현실로 도래했음을 알리는 지표이다. 앞으로 제3공간은 다양하게 확장될 것이며, 이로 인해 <기술-미디어-주체-사회>간의 상호작용에도 큰 변화가 야기될 것이다. 이런 변화 중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이미지의 성격 변화이다. 들뢰즈는 ?영화 1, 2?에서 지각양식의 변화를 살피는 데에 핵심이라고할 이미지 개념의 유형화와 확장에 크게 기여하면서 철학의 쇄신을 시도했었다. 하지만 그의 이미지 이론에서 몸의 역할은 극히 제한적이다. 또 운동 -이미지에 대해 시간-이미지를 특권화함으로써 이미지에 관한 논의를 지나치게 형이상학 쪽으로 끌고 나가 영화적 실천을 탈정치화할 위험을 초래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들뢰즈의 이미지론의 성과를 계승하면서도 그의 이미지론이 안고 있는 탈신체화, 탈정치화의 위험을 넘어서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술복제시대의 새로운 예술인 영화의 특이성을 ‘유희- 공간’의 확대로 보면서도 이를 통해 ‘예술의 정치화’를 모색했던 벤야민을 들 뢰즈와 연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런 관점에서 최근 인지과학의 연구 성과에 기대어 들뢰즈 이론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벤야민의 영화이론을 현행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들뢰즈-벤야민의 연결을 마크 한젠이 제시한 디지털 미디어와 ‘신체적’ 수행성의 내재적 연관관계에 대한 분석과 결합하여 유비쿼터스 시대에 잠재된 이미지의 문화정치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을 살피고자 한다. The disembodied vision in the Virtual Realities, which required strong visual immersion with fixed bodies, has become to be again embodied in the Augmented Realities, the third space, which connects the virtual spaces and physical spaces in the same time. It`s an index of actual arrival of ``the Age of Ubiquitous Computing`` that the use of the augmented realities through smart phone has been generalized in the everyday walkway. The third space will be expanded in the near future, and bring about great changes in the interactivity between technology, media, subject, and society. We must pay attention to changes of characteristics of image among these changes. Deleuze had tried to make an innovation of philosophy in <Cinema 1, 2> by way of establishment of typology of the concept of image which would be a kernel to find changes of mode of perception. However, the role of the body was very restrictive in his theory of image. Also, it can be said that his theory might give rise to de-politicize cinematic practices leading toward too much metaphysical discourses through giving a more privilege to time-image than movement-image. Therefore, it`s necessary not only to success the achievements of his theory of image, but also to overcome some risks of disembodiment and depoliticizing immanent in his theory. In order to do so, we need to connect his theory to Benjamin`s theory which tried to find an expansion of play-space as a singularity of the cinema in the age of the technical reproduction and to grope for politicization of arts against the trends of aestheticizing of politics. In this respect, this paper will make some reformation of Deleuze`s theory of image resting on some outcomes of recent cognitive sciences, and try to investigate a possibility of actualization of Benjamin`s theory of cinema. Also, it will be another target of this paper to combine this Deleuze-Benjamin connection and Mark B. Hansen`s analysis of internal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media and somatic performativity to examine new tasks and perspectives of cultural politics of image immanent in the age of ubiquitous computing.

      • 유비쿼터스 시대의 도시공간과 미디어공간의 문화,정치적 상호작용

        심광현 ( Kwang Hyun Shi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09 도시인문학연구 Vol.1 No.1

        도시 공간은 언제나 사람과 사물의 집적의 중심지였을 뿐만 아니라 교통의 중심지로서 정보기술의 발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아 왔다. 20세기 초 전화 기술은 공간분업을 통해 도시공간의 재배치를 야기했고, 20세기 말 인터넷 기술 역시 도시공간의 성격을 크게 변화시켰다. 그러나 최근 상용화되기 시작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은 그간 분리되어 있던 물리공간과 가상공간을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제3공간이라는 새로운 공간("증강현실")을 출현시킴으로써 또다시 대대적인 사회변동을 야기하고 있다. 2008년 봄에 `Wi-bro` 기술이 세계 최초로 수도권에서 상용화되면서 가능해진 물리공간과 가상공간의 실시간 연결은 2008년 여름 100일간 지속된 촛불시위에서 새로운 놀이형식의 문화·정치적 참여를 촉진했다. 막 시작된 이런 변화의 폭과 성격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분석을 연결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하나는 90년대 정보화가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맞물려 도시와 사회 전반에 미친 변화의 내용과 의미에 대한 분석이다. 다른 하나는 2000년대에 들어 첨단화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의 문화적 형식과 논리에 대한 분석이다. 그간 이 두 가지 분석은 물리공간과 가상공간이 분리되어 있었듯이 서로 분리되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이 현실적으로 두 공간의 연결을 촉진하고 있는 새로운 현실을 따라잡기 위해서라도 도시연구와 미디어문화연구 간의 접속과 협력이 시급하다. 이 글에서는 카스텔스의 네트워크 사회에 관한 연구와 데이비드 하비의 공간 연구, 디지털 미디어의 새로운 언어와 논리에 관한 레프 마노비치의 연구, 그리고 촛불시위 사례 분석 등을 연결하여 제3공간이라는 새로운 지형의 문화·정치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The urban space always has been not only a center of cumulation of peoples and materials, but also influenced largely by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t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elephone technology has led to rearrange the whole urban space through new space division, and expansion of internet also has changed the character of urban space on a large scale at the end of 20th century. Meanwhile, recent beginning of commercialization of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has been changing the whole society by emergence of new third space("augmented reality") through synchronic connection of two spaces, i.e., physical urban space and electronic cyber space which have been separated until now. Such synchronic connection by Wi-bro technology which has started to work in the street from March of 2008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promoted unexpectedly to accelerate new playful forms of cultural political participation of millions of citizen-netizens at the biggest "Candle Demonstration" which lasted during about 100 days in the summer of 2008. In order to estimate new traits and widths of these large changes, we must go ahead to connect two different analyses. The one is the analysis of contents and meanings of the urban-social changes to be arisen by informational revolution in connection with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The another is the analysis of cultural form and logic of new cutting-edge digital media which has been pervasive more and more in this century. Until now these two analyses has been divided to be made as like as division of physical space and cyber space. But, now urban studies and media cultural studies have to be connected urgently to cooperate in order to catch up new emergent change of reality. Target of this text is to find cultural political implications of new terrain of third space by method of connecting Castels` research of networked society, Harvey`s research of globalization of space, Manovich`s research of new language & logic of digital media to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Candle Demonstration" of this summe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논문 : 혁명기 예술의 과제: 1920년대 초반 러시아아방가르드의 사례를 중심으로

        심광현 ( Kwang Hyun Sh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5 시대와 철학 Vol.26 No.4

        1920년 대 초반 러시아의 혁명적 아방가르드 운동은 구성주의와 지각적밀레니엄주의로 분화되었다. 전자는 노동자-창안자, 생산자로서의 작가라는 범주로 예술과 산업을 연결하고자 시도하면서 다양한 실험을 전개했다면, 후자는마야코프스키의 혁명 연극 『미스쩨리야-부프』에서 드러나듯이 작가와 관객, 무대와 객석의 벽을 깨고 중세의 광대극과 현대의 실험극을 혼합하는 카니발적인실험을 펼쳐 보였다. 전자가 토대의 변혁에 참여했다면, 후자는 상부구조의 변혁에 참여했다는 점에서, 혁명기의 러시아 아방가르드는 바흐찐이 말한 사물화와 인격화의 결합, 시몽동이 말한 대상성과 주체성의 매개, 뜨로츠키가 말한 “의식과 무의식의 창조적 결합”을 삶의 현장에서 구현하고자 한 시도라고 새롭게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21세기의 이행기가 20세기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들의 성과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시급히 필요한 이유가여기에 있다. Russia`s revolutionary avant-garde movement of the early 1920s had been differentiated into constructivism and perceptual millenarianism. While the former had made many experiments to link arts and industries by way of a new category such as workers-originator, producer as artist, the latter had developed, as shown in the revolutionary theater <MYSTERY-BOUFFE> of Mayakovskii, carnival experiments breaking the walls between author and spectator, stage and the auditorium through converging the middle ages` farces and the modern theatrical experiments. It will be possible to interpret the Russian Avant-Gardes` experiments in such a new way that, through the former`s participation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economical bases while the latter`s participation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superstructure, they had tried to realize in everyday life`s fields such possibilities that Bahtzin said as connection between thingification and personification, Simondon said as mediation between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and Trotsky said as creative combination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se new interpretations can explain the reason why new researches of Russian Avant-Gardes` achievements are required urgently in order not to reiterate the failures of 20th century`s transition period in our 21st century`s transitio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