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물관계로 본 ‘운보의 집’ 정원의 조영과정

        신현실 ( Shin Hyun-s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운보의 집 정원 조영과 관련된 인물의 사상과 주요행적 및 정원조영에 미친 직ㆍ간접적 영향 등을 인터뷰와 관련자료 비교분석을 통해 공간조영에 미친 관련 인물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보의 집 정원 조영에 직접적 관련자들은 우리나라에서 문화재와 전통예술 분야의 대표적 인물들로 전통공간에 대한 전문가적 식견과 풍부한 경험으로 운보의 집을 전통공간으로 창조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운보의 집 정원조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 인물로 운보 김기창은 부지선정, 입지선정 및 주요 정원식물 식재와 전통조경시설물의 설치에 영향을 주었으며 혜곡 최순우는 김기창의 부탁을 받아 와본 김동현을 설계자로 추천하고 전체계획에 관여한 인물이다. 와본 김동현은 주택설계 및 공간설계와 연못 등 주요시설물 설계를 담당하였다. 둘째, 간접적 영향을 미친 인물로 부인 우향 정래현은 김기창이 정원을 조성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노산 이은상, 화가 이석호는 운보의 집에 현판을 지어주었다. 이 글의 주제들은 창작공간으로서의 이미지를 부여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오랜 기간 운보와 함께 한 김형태와 운보의 아들 김완은 운보의 집 정원 변화과정을 지켜보고 또 영향을 미친 인물들이다. 셋째, 인물들이 조영에 영향을 미친 주요요인으로 운보 김기창은 철저한 기록정신과 어머니와 아내에 대한 그리움이 부지선정과 정원의 향 설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미술세계에서 드러난 전통산수에 대한 인식, 전통 점경물 등의 상징성 부각에 영향을 주었다. 혜곡 최순우는 그의 전통적 의식과 경험을 운보의 집 조영에 반영하였으며 와본 김동현은 연경당을 모티브로 한 전통건축의 기본틀을 적용하면서도 장애에 대한 배려와 독창적 변화를 주었고, 동궁과 월지 발굴을 통해 습득한 연못의 입수시설 등을 전통조경 설계에 반영하였다. 노산 이은상과 이석호는 운보의 집 공간에 내재된 고유의 장소성을 완성시킨 인물들이다. 김형태는 운보의 집 정원공간 변화에 관여하였고 운보의 아들 김완은 김기창에 이어 운보의 집을 경영하였다. The study is aimed at establishing basic data to identify the original forms of the garden in Unbo's House. Through interviews and related data comparison analysis the ideas and major events of the person involved in establishing a garden in Unbo’s House. Also, deriv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se people on garde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ose directly related to garden in Unbo's House are representative figures of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art in Korea. Based on their expertise and abundant experience in traditional spaces, they contributed greatly to the creation of Unbo's House as a traditional space. Unbo Kim, Gi-Chang who directly influenced Unbo's House gardening, which affected the site selection, location, and the installation of major garden plant plants and traditional landscaping facilities. Hyegok Choi, Soon-Woo recommended Wabon Kim, Dong-Hyun at the request of Kim Ki-Chang and was involved in the overall plan. Housing design, space design and design of major facilities such as pond were confirmed Wabon Kim Dong-Hyun. Second, Kim, Gi-Chang’s wife Jeong, Rae-Hyun, who motived to construct a garden. Nosan Lee, Eun-Sang and Korean artist Lee, Seok-Ho were created a signboard and board of the Pillar to encourage simple life in paintings. The themes of the article motived image as creative. In addition, Kim, Hyeong-Sik and Kim, Wan who son of Unbo, has been with Unbo for a long time, watching and influencing garden changes in Unbo's House. Third,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d the garden by character are as follows. Unbo Kim, Ki-Chang had a thorough record-setting spirit and his longing for his mother and wife affected the selection of the site and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garden. His art world with the symbolic emphasis of traditional landscapes, including traditional facilities, and especially plant materials. Choi, Sun-Woo reflected his traditional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in the construction of Unbo's House. Kim, Dong-Hyun applied the basic framework of a traditional building based on Yeonkyongdang hall in Changdeokgung palace. He also reflected on the traditional landscaping design the facilities of ponds acquired through excavation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Gyeongju. Nosan Lee, Eun-Sang and Lee, Seok-Ho completed their unique place in Unbo's House. Kim, Hyung-Sik was involv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 while Kim Wan ran the Unbo’s House which he inherited from Kim, Ki-Chang.

      • KCI등재

        조선시대 능참봉직(陵參奉職)의 조경사적 의의

        신현실 ( Hyun Sil Shin ),이원호 ( Won Ho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의 관리를 담당한 관직인 능참봉직을 소재로 하여『경국대전(經國大典)』,『속대전(續大典)』,『대전회통(大典會通)』,『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각종 의궤(儀軌), 능지(陵誌),『일성록』, 능참봉 일기 등 관련 고문헌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능참봉의 조경가적 역할을 규명하는 기초연구로 수행되었으며, 요약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참봉(陵參奉)은 종9품 참봉 2인으로 구성되고 능참봉직은 생원·진사 혹은 유학중에 삼망(三望)을 거쳐 임명이 되는 음직(蔭職)으로 임용기준은 ``연소하지 않고 경륜이 있는 자``를 선발하였으며, 왕릉수호의 상징성으로 인해 관직진출의 수단이 되었다. 둘째, 능참봉의 업무체계는 품계서열을 따랐으나 지리상의 여건 등으로 봉심과 능의 공사감독 등 실제보다 많은 권한과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였으며, 능수호군 관리 및 능지작성 등 조선왕릉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셋째, 능참봉의 조경관련 직무 중 봉심은 능상의 석물이나 사초, 정자각 등을 정기적으로 예찰하여 예조에 보고하는 것이며, 경국대전과 속대전에 봉심의 체계와 방법 등이 자세히 규정되어 있었다. 넷째, 능참봉의 조경관련 직무 중 수목관리 및 능역공사 감독은 조경식물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관리능력과 건축·토목을 망라한 공간에 대한 다양한 식견이 요구되는 직무로 조선왕릉의 현장관리 실무자로써 지방관과의 수직적인 관계의 유동성 확보와 산림부산물 처리에서 암묵적 권한과 관리 책임이 부여되었으며, 오늘날 조경가의 직무성향과 관련성이 깊다. 능참봉의 조선시대 조경관련 직무에 대해 좀 더 폭넓은 문헌 발굴 및 고증으로 조선시대 능참봉의 조선왕릉 조경관리자로서의 역할과 능참봉과 조선왕릉의 조경사적 가치 규명을 위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has a purpose of base study for ascertaining landscape architect`s role of Reung Chambong through analyzing old literature include Kyungkukdae-Jeon, Sokdae-Jeon, Daejeonhoitong, Joseonwangjo-Sillok, Eugye, Reung-Ji, Ilsung-Rok, Reung Chambong`s diary. Reung Chambong was a government post in the Joseon dynasty, who managed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that has promoted as a World Heritage of UNESCO.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ung Chambong was comprised of two Jong 9 pum Chanmbong members. a position of Reung Chambong was a Eumjik appointed Saengwon, Jinsa, Yuhak completed Sammang. the standards of appointment is a experienced person and too young. it became means for accessing a government post because it had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Royal Tombs guardian. Second, The management system of Reung Chambong was approved on the basis of ranking. however, due to geographical reasons, they had much authority and various mission than is possible. for example, construction supervisor of the Reung and Bongsim, manager of the Reungsuhogun and filling out Reungji. they performed an important role in management of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Third, One of tasks related in landscape architecture, a Bongshim reported Sukmul(stonework), Sacho, Jungja-Gak of Reungsang to Yejo periodically. formational system and method of Bongshim are provided in the Kyungkukdae-Jeon and Sokdae-Jeon detailedly. Fourth, Tree management and construction supervisor of Reungsang, positions among tasks related in landscape architecture, required basic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ability of botany, various eye for spatial perception includes civil and architectural projects. also, as a site management of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Reung Chambong was empowered tacit authorization and responsibility in mobility preoccupancy of vertical relationship with local officials and handling by-product of site. there is a close correspondence with landscape architect of today. A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to ascertain landscape architect historical values of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and Reung Chambong`s role as a site management of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historical seeking and research old literature on Reung Chambong`s role related in landscape architect.

      • 세계유산 등재활성화를 위한 국내 보호지역의 현황과 과제

        신현실 ( Hyun Sil Shin ),천요화 ( Yao Hua Che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세계유산은 1972년 채택된 세계유산협약에 준하여 세계유산위원회가 세계의 모든 인류가 주권·소유권·세대를 초월하여 공동으로 보존·관리해야 할 OUV(Outstanding UniversalVaule)가 인정된 유산을 세계유산목록에 등재시킨 유산을 말한다(1972,WHC).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관광사업의 확대로 인한 직ㆍ간접적인 경제적 효과는 국력에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나아가 자국의 세계유산 등재건수가 많고 적음이 그 나라의 문화수준에 대한 평가지표로 까지 여겨지게 되었다. 세계유산협약은 당초에는‘문화유산’과‘자연유산’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 출발 하였으나 시대의 변화와 세계유산의 다양성을 반영한 복합유산과 문화경관의 범주도 세계유산의 범주에 포함되었다. 2003년 ICOMOS 제14차 총회에서 문화유산, 자연유산, 복합유산별로 심사기준을 달리하였으나 이를 세계유산 기준으로 통합하면서 종전의 문화유산개념이 유형의 물질적 사물에 치중하던 것을 지양하고 무형의 비물질적, 정신적 측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는 추세에 있다. 오늘날 세계유산의 중요성은 자연유산의 불가역성(Irreversibility)과 문화유산의 비대체성(irreplacability)이라는 인류유산에 대한 절대가치를 중심으로 한 효율적인 글로벌 보전시스템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세계유산 등재에 대한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세계유산의 활용적 측면이 주는 가시적 효과에 각국의 관심이 집중되다 보니 각국이 유산등재에만 치중하여 해당유산의 보호ㆍ관리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세계유산등재 여부는 OUV에 근거한 등재기준에 의해 그 가치가 인정되어 각국은 등재기준에 부합한 가치발굴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 세계유산 제도의 근본취지는 민족과 국가를 초월하여 고갈되어 가는 전 세계의 유산을 효율적으로 보호 관리하는데 있다. 각국의 자연.문화유산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자국 내상황에 맞춘 관리규범에 의해 보호 관리되어 왔기 때문에 그 유산의 본질적 가치가 아무리 뛰어나다 하더라도 그동안의 각국의 국가법상 보호관리 규범의 개념이나 내용에 따라OUV와 등재기준의 만족여부가 판가름 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산재한 유산들은 자국 내 사회 경제적 상황이나 관련 부처의 정책 목적에 따라 그 유형과 규범들을 적용하여 시행해 왔기 때문에 이를 통합적인 세계유산 등재기준에 부합시키기에는 여러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각 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세계유산의 보호 관리에 대해 우선적으로 그 나라가 처한 환경에 대한 상호 이해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세계유산 등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단계로 세계유산 등재의 관점에서 국내보호지역의 현황을 고찰함으로서 세계유산 등재기준에 맞추기 위한 국내 보호지역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전 세계적으로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유산은 현재 1,031건에 달하고 동북아에서 한국은 문화유산 11건, 자연유산1건이 등재되어 있다. 이는 인접국가인 중국과 일본에 비해서도 저조한 등재건수이다, 특히 자연유산은 제주도 화산섬과 용암동굴로 한곳만 등재되어 있어 무엇보다 세계자연유산 등재활성화가 요구된다. 세계자연유산의 등재기준은 ⅶ~ⅹ항목이 적용되고 이는 보호지역의 IUCN 카테고리와도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보호지역은 세계 각국이 생물다양성, 자연자원, 문화자원등의 보전과 생태계서비스, 생태적·문화적 가치 증진을 위해 보호지역을 지정·관리하고 있다(김보현,2012). 현재 국내 보호지역은 부처마다 보호관리 목적에 따라 그 명칭과 체계를 달리하고 있다. 국내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한 보호구역의 유형중 문화재청은 기념물의 범주 중에 명승과 천연기념물을 자연문화재로 부르고 있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 관계법령에 의해 관리중인 보호지역에 해당하는 유형은 총5개 정부기관에 10개 법령에 적용되고 있다. 먼저, 환경부의 관계법령은 자연공원법(자연공원),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야생동물보호구역),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특정도서), 자연환경보전법(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전법(습지보전지역)이 관련된다. 국토해양부는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백두대간보호지역), 해양환경관리법(환경관리해역)이 해당되고 문화재청은 문화재보호법에 의거하여 천연기념물과 명승으로 관리된다. 산림청은 산림보호법에 의해 그 유형이 구분된다. 이러한 행정목적에 따른 각각의 보호지역 개념은모두 자연환경을 대상으로 하면서도 서로 차별성만을 추구하면서도 보호관리 대상의 본질적 가치는 모호한 유사성을 지니고 있어 국립공원과 명승과 같이 상당수의 지정대상이 동일한 자원을 중복지정·관리하는 현상을 낳기도 한다. 또한 부처별로 책임소지에 따라 보호관리 정책을 시행하는데 소관부처에 따라 각기 별개로 사업을 벌이는 등 비효율성을 양산하거나 업무 중복사이에 아무도 관심 갖지 않는 보호대상이 발생하는 큰 허점을 남기기도 한다. 또 국내 자연유산의 다양한 유형은 국제규범에 있어서도 각기 달리 등재·관리되고 있으며 자국의 유산을 놓고도 자원의 본질적 가치를 보호하기 위한 통합적 상호협력체계가 구조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선진국의 세계유산 등재사례에 있어 등재이전에 자국의 규범에 의해 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자원이 세계유산 등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향과 자원의 다양성이 부각되고 있는 이때, 국내 보호지역에 대한 통합적 가치발굴과 보호 관리의 필요성은 더욱 설득력을 갖는다. 세계유산 중 세계자연유산은 자연의 특징과 지형·지문학적 생성물, 자연지역으로 구분된다. 등재심사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동일한 자원유형을 반복하여 지정하지 않는다. 세계유산의 특징은 엄격한 보호지역으로 국제적 인지도가 가장 높은 보호지역이다. 유산보전을 위한 세계유산 관리자 훈련과정 등 세계유산 기금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으며 관광수입의 증대효과가 크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세계자연유산 등재활성화 모색을 위한 가치발굴과 효율적 보호관리 시스템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국내 부처 간 규범 하에 관리되고 있는 보호지역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이는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보호지역위상강화와도 관련되어 진다. 자연환경에 대한 정책은 최초의 자연보호운동에서 진화하여 각 부처의 보호목적에 부합하도록 발전되어 왔다. 현재 문화재청의 천연기념물은 진귀성, 문화성, 역사성, 자연사자료로서의 가치를 중요시하고 있고 환경부의 지정대상은 문화성과 자연사의 범주가 제외되었으며 문화재청은 멸종위기 여부와 관련성이 약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치기준의 차이점 때문에 해양, 지하, 지표 및 지상의 모든 생물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비생물적인 것을 포함한 자연의 상태를 의미하는 ‘자연환경’과 ‘자연유산’의 개념차이가 생긴것이다. 이는 대상의 본질적 가치를 판가름하는 원형개념과도 관련되는데 같은 보호구역이라 하더라도 그 보호대상의 원형개념에 대한 적용이 시원성, 통시성, 시대성에 의해 본질적 가치판단 기준이 달라진다. 이에 대한 개념의 정립과 정책적 적용이 우선해야 한다. 자연유산은 사전적 의미로 조상이 물려준 모든 자연물을 의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19세기 후반부터는 엄격한 기준으로 선정된 특별한 자연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유창민 등,2004).자연유산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생물학적, 지질학적 및 지문학적 생성물로서 과학상·보존상·미관상 가치를 갖는 자연현상이며, 인류의 공동체로서 희귀성과 역사성 및 학술적가치가 큰 것이고 세계인류가 공유하는 문화적 자산이다(김윤식,2003). 이를 인류가 지속가능하게 유지해야 할 보호지역의 범주로 보고 이들의 다양한 가치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 또 세계유산의 관점에서 유사한 등재기준에 해당하는 보호구역은 부처에 관련 없이 상호 통합적 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보호지역에 관한 현행 국내규범은 동일한 자원에서도 각기 다른 보호목적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세계유산과 같은 국제보호지역 등재에 있어서 각기 다른 구조에 따르다보니 정책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사례로 문화재청은 문화재보호법(제19조)에 세계유산협약에 의한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현행 우리나라의 세계유산제도는 문화재청이 신청경로를 일원화하는 대신에 그 관리책임도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부가 추진하는 생물권보전지역은 지방자치단체가 신청하고 환경부와 MAB한국위원회가 이를 지원하는 루트를 갖기 때문에 중앙행정기관이 신청경로를 일원화하기가 실제로 어렵다(문화재청,2015)는 차이점을 갖고 있다. 또한 문화유산위주의 정책을 시행해 온문화재청의 입장에서 자연관련 전문부처의 협력이 요구되는 것도 사실이다. 이를 위해서는 범정부 차원에서 국내 보호지역간의 통합자문기구 설치가 요구된다. 세계자연유산의 범주와 환경부의 생물권보전지역이나 람사르습지, 세계지질공원들이 상호 이질적인 자연자원이라 할 수 없으며 모두가 소중하게 보호·관리되어야 할 자연유산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호보완적 정책협력이 반드시 실현되어야 한다.

      • KCI등재

        중국 전통 사찰원림의 문화경관 특성 - 장전불교사원의 공간구획 및 원림의 가치를 중심으로 -

        신현실 ( Shin¸ Hyun-sil ),이행열 ( Lee¸ Hang-lyoul ) 한국전통조경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는 중국 서남지역의 서장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원의 공간구성과 원림의 형태에 관하여 그 가치를 연구하였다. 중국의 중원과 인도를 통해 유입된 불교가 서장의 민간신앙과 열악한 환경을 통해 융합되는 과정을 당대의 역사, 문화, 정치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였던 사원의 공간구획, 건물배치 및 원림을 통하여 장전불교와 장전불교사원의 영향관계를 고찰하여 장전불교 사원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표적 장전불교사원인 포달랍사원, 라포림가사원, 대소사를 통해 장전불교사원의 공간과 원림에 대한 가치를 도출하였다. 첫째, 서장은 만년설과 녹지가 공존하는 독특한 환경으로 인해 서장의 대표적 장전불교 사원인 포달랍사원, 라포림가사원, 대소사사원은 토속신앙과 불교의 자타불이와 만다라에 근거하여 계곡과 산맥에 기대어 자연에 순응하는 형태로 넓게 분포되어 있다. 둘째, 대상지들은 크게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되어 진다. 상부는 예불을 위한 건물들이 위치하고 하부는 수행을 위한 공간과 원림이 위치하고 있다. 원림은 크게 2가지 형태로 존재하였다. 셋째, 수행하는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고 보리수를 식재하여 석가모니와 같이 수행을 통해 이집의 분별에서 벗어나 배진합각의 진리의 세계로 벗어나자는 이상적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며 사원 주변 수림을 조영하여 명상과 교류가 이루어지는 원림이 존재하였다. 수림들에는 상록 침엽수림이 주로 식재 되어 있다. This study studied the value of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temple and the form of the garden located in the Seojang area in the southwestern regions of China. The value of the Lama temple was looked into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maism and Lama temple through the spatial organiz ation, building arrangement, and garden of temples that served as the center of history, culture, and politics of the time in the process of converging Buddhism introduced through China’s central districts and India with folk beliefs in Seojang through the poor environment. To this end, the value of the space and garden of the Lama temple was derived through the representative Lama temples, Potala Temple, Norbulingka Temple, and Dazhao Temple. First, due to the unique environment in which ice caps and green areas coexist, the representative Lama temples in Seojang, Potala Temple, Norbulingka Temple, and Dazhao Temple,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form of leaning against valleys and mountain ranges based on folk beliefs and Buddhism's Jatabuli(自他不二) and mandala. the target sites are largely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paces. Second, the target sites are largely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paces. Buildings for worship are located in the upper space, and spaces for practice and garden are located in the lower space. The garden existed in two main forms. Third, the garden existed in two main form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ractice space, the garden had an ideal structure to plant bo tree to escape from the two false obsession and go to a world of truth that is with the Buddha behind the world through practice like Sakyamuni, and there was a garden around the temple where meditation and exchange took place. Evergreen coniferous forests are mainly planted in the forests.

      • KCI등재

        비디오 응용 시스템을 위한 워터쉐드 기반의 동영상 분할

        신현실(Hyun Shil Shin),장원달(Won Dal Jang),양황규(Hwang Kyu Yang),윤태수(Tae soo Yun)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04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5 No.-

        본 논문에서는 형태수리학 분야의 영상분할 방법으로 사용되는 워터쉐드 변환의 과분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영상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초기분할 결과를 이용하여 추정된 각 영역의 모션정보를 기반으로 같은 모션을 갖는 영역을 병합하기 위한 유사성 측도를 제안하였다. 영상재구성은 영상속 오브젝트와 배경사이의 에지를 강화시키는 경계강화와 작은 지역 최소의 제거를 위해 영상을 부분적으로 침수시키는 부분침수로 구성되어져있다. 제안된 재구성 방법을 이용한 워터쉐드 변환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서 짧은 처리시간으로 과분할 영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다음으로 제안된 유사성 측도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기준영역에 독립적으로 병합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영상분할이 비디오에 기반한 여러 응용분야에 선행되는 기본적인 작업이므로 제안된 영상 재구성 방법과 유사성 측도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분할할 경우 속도나 성능 면에서 유리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new solution to the reconstruction of image in order to solve the over-segmentation problem of watershed transformation which is used as an image segmentation solution in mathematical morphology, and also proposed a similarity measure to merge areas which have same motion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of each area presumed by the result of initial segmentation. The reconstruction of image consists of consolidation of edges and removal of local minima. The former(consolidation of edges) enhances the edge between the object in image background and the other(removal of local minima) erodes patially an image in order to eliminate the small local minima. Comparing to the existing solution, the watershed transformation using the proposed reconstruction solution could efficiently reduce segmentation area within a very short time. Contrary to the existing solution, the following proposed similarity measurement could acquire the result which is independently merged in a criterion area. Because image segmentation is the fundamental work in the various application area based on video, it will be beneficial to moving segment image in terms of speed or performance by the proposed reconstruction of image solution and similarity measurement.

      • KCI등재후보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경로 계획

        차경환,신현실,황기현,Cha, Kyung-Hwan,Shin, Hyun-Shil,Hwang, Gi-Hyun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7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8 No.1

        로봇이 미지의 환경에서 주위의 정보를 추출하여 인식하기 위해 비젼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이용해 주변 정보를 얻는다.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비젼 센서는 빛에 대한 간섭에 민감하여 어두운 곳이나 밝은 곳에서는 데이터 추출이 어려우며, 표시 된 마크나 직선 성분 및 곡선의 이미지를 통해 데이터를 추출함에 있어 많은 계산을 요구한다.반면 초음파 센서는 비젼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센서이다. 특히 어두운 곳의 물체 정보 및 거리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비젼 시스템보다 사용하기 간단하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 빔의 왜곡 및 산란의 특성을 고려하여 부정확 정보에 대한 오차를 줄여 환경 인식, 경로 계획 및 자율 주행의 극대화를 시키기 위한 알고리즘을 연구 및 개발한다. 그리고 알고리즘을 실제 이동 로봇에 적용하여 경로 계획 및 환경 인식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한다. Robot collects surrounding information to recognize tile unknown environment by using various sensors such as visual, infrared ray and ultra sonic sensors. Although visual sensor is the most popular one, it has some difficulties in collecting data in dark or too bright environment due to sensitivity of the light. It also requests significant amount of calculation on collecting data from certain images with marked, straight and curved ones. As an alternative, ultra sonic sensor can simply overcome this visual sensing system's flaw and easily be used. It is easier than visual system, especially in case of collecting data on object and distance in dark environment. Ultra sonic sensor can replace the expensive visual sensing system not only in avoiding obstacles but also in reaching to the target area smooth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algorithm to optimize the environmental recognition, path planning and free-ranging by minimizing errors caused by inaccurate information and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ultra sonic rays such as refraction and diffusion. This paper also realizes the system that can recognize the environment and make the appropriate path planning by applying the algorithm on this moving robot.

      • KCI등재

        자연유산의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OECMs)' 등재기준 적용 연구 - 천연기념물 노거수와 당산제를 중심으로 -

        전다슬,신현실,Jun, Da-Seul,Shin, Hyun-Sil 한국전통조경학회 202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0 No.3

        본 연구는 문화재청의 국가유산 체계상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천연기념물 식물 노거수를 중심으로 OECMs 관련 지정기준을 적용하여 발굴결정인자를 비교 검토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기관에서 각 보호목적에 따라 지정·관리되는 보호지역들 가운데 이미 육상지역은 포화상태로 2030 생물다양성목표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보전수단인 OECMs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OECMs은 현재 내 보전의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장기성과를 달성하는 방식으로 통치되고 관리되는 보호지역이 아닌 지리적으로 정의된 지역(CBD, 2018)으로 지정기준의 단어선택이나 적용기준의 범위, 해석의 맥락은 각기 다를 수 밖에 없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각 나라의 상황에 맞는 OECMs의 관련 법령을 따로 제정하고 정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천연기념물 식물의 OECMs 지정기준 검토 결과 최종 58개소가 발굴되었고. OECMs지정 기준 중 중요한 요소는 완충구역은 지정구역과는 어느 정도 이격되어 일정의 면적을 확보하고 있어야 하며 상업생산을 통한 경제활동이 일어나지 않고 생물다양성의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는 것이다. 잠재자원 중 대구 도동 측백나무숲과 같이 지형적으로 격리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지역과 삼척 궁촌리 음나무와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숲과 같은 수림지 유형처럼 완충구역의 생물다양성이 확보될 수 있는 완전성이 보장된 경우로 총 23개소로 분석되었다. 천연기념물 식물의 OECMs 적용기준 검토 결과 생물다양성의 충족가치 중에 전통용도로서의 기능이 특화되어 있었으며 생태계 서비스와 문화·영적인 가치를 한국의 독특한 문화인 노거수와 당산제 문화를 통해 계승하고 있었다. 이는 생물다양성 지정기준 측면에서 새로운 생물종의 발굴없이도 인간과 자연의 생태계 네트워크 연결에 중요한 요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불면증 정도가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에서의 주간졸림 정도에 끼치는 영향

        남지원,신병학,신현실,박민지,Nam, Ji-Won,Shin, Byoung-Hak,Shin, Hyeon-Sil,Park, Minji 대한수면의학회 2015 수면·정신생리 Vol.22 No.1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이하 OSAS)의 특징적 임상양상으로 주간졸림이 있다. 주간졸림과 수면무호흡의 심각도가 비례하는지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다. 이러한 이론에는 불면증 정도가 두 변수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하에 본 연구자들은 피츠버그수면질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이하 PSQI) 정도가 주간졸림과 수면무호흡의 심각도의 연관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임상병력 및 야간수면다원검사(nocturnal polysomnography, 이하 NPSG)를 실시하여 OSAS로 진단된 235명의 남자 환자를 선정하였다. 전체 대상군의 수면 및 기분 관련 자가보고척도, 수면다원검사지수, 인구학적 척도를 조사하고 이들 사이의 단순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전체 대상군을 PSQI가 5 이하인 A군(n = 75)과 5 초과인 B군(n = 160)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서 제어변수로 벡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이하 BDI) 및 벡불안척도(Beck anxiety inventory, 이하 BAI)를 설정하고 엡워스졸림척도(Epworth sleepiness scale, 이하 ESS)와 다른 척도들 간의 편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A군에서 주간졸림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ESS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전체 대상군에서 단순상관분석에서는 ESS와 수면무호흡 심각도 지수들인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이하 AHI ) (r = 0.148, p = 0.023), 무호흡 지수(apnea index, 이하 AI) (r = 0.137, p = 0.036), 저호흡 지수(hypopnea index, 이하 HI) (r = 0.058, p = 0.377), 산소탈포화도지수(oxygen desaturation index, 이하 ODI)(r = 0.149, p = 0.022), 각성 총지수(arousal total index, 이하 ATI) (r = 0.129, p = 0.048) 간에 미약한 상관관계를 보이거나 상관관계가 없었다. A군에서 ESS와 AHI ($r_p=0.313$, p = 0.008), AI ($r_p=0.339$, p = 0.004), ODI ($r_p=0.289$, p = 0.015), ATI ($r_p=0.256$, p = 0.031) 간에 양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B군에서는 ESS와 수면무호흡의 심각도 척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A군에서 다중회귀분석 결과 ESS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AI (t = 2.996, p = 0.004), BAI (t = 2.721, p = 0.008)가 있었다. 결 론 : 주간졸림 정도와 수면무호흡 중증도 간의 유의한 연관성은 A군에서만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OSAS 환자가 호소하는 주간졸음을 평가할 때 불면 증상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Whether daytime sleepiness is proportional to the severity of sleep apnea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s controversia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insomnia severity affects the association between daytime sleepiness and sleep apnea severity in OSAS. Methods: The present study included 235 male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OSAS based on clinical history and nocturnal polysomnograph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sleep and mood-related self-reported data, polysomnographic data and demographic data of all subjects. Based on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group A (n = 75; $PSQI{\leq}5$) and group B (n = 160; PSQI > 5).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and other data in both group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ed the ESS in group A. Result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weak or non-existent correlations between ESS and apnea severity data such as apnea-hypopnea index (AHI) (r = 0.148, p = 0.023), apnea index (AI) (r = 0.137, p = 0.036), hypopnea index (HI) (r = 0.058, p = 0.377), oxygen desaturation index (ODI) (r = 0.149, p = 0.022) and arousal total index (ATI) (r = 0.129, p = 0.048).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SS and apnea severity data such as AHI ($r_p=0.313$, p = 0.008), AI ($r_p=0.339$, p = 0.004), ODI ($r_p=0.289$, p = 0.015) and ATI ($r_p=0.256$, p = 0.031) were observed only in group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I (t = 2.996, p = 0.004) and BAI (t = 2.721, p = 0.008) were associated with ESS in group A. Conclusion: The correlation between daytime sleepiness and sleep apnea severity was shown only in group A. This result suggests that associations between daytime sleepiness in OSAS and sleep apnea severity will become prominent when controlling for insomnia-related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