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인 폐경여성에서 대사증후군이 심장병 사망에 미치는 영향

        신현미 ( Hyun Mi Shin ),지선하 ( Sun Ha Jee ),김장흡 ( Jang Heub Kim ),김미란 ( Mee Ran Kim ) 대한폐경학회 2012 대한폐경학회지 Vol.18 No.1

        연구목적: 폐경 여성에서 대사증후군 환자들이 심장병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재료 및 방법: 서울시 대사증후군 연구 사업단은 1994년도부터 2004년까지 전국 18개 지역 대학병원 및 병원의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과거 심혈관 질환이 없는 40세 이상의 폐경 여성 24,9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 여부에 따른 기본 분석은 평균과 표준편차,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대사증후군 여부에 따른 특성의 차이는 t 검정 혹은 X2 검정을 실시하였다. 대사증후군과 관련 있는 검사수치들 간의 관련성을 이해하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사증후군 여부에 따른 심장병 생존율의 차이를 보고자 Life-table 분석과 log-rank 검정을 실시하였다. 심장병 사망에 대한 대사증후군 여부, 대사증후군 요소의 수 증가에 따른 영향을 보고자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사증후군이 없는 폐경 여성에 비해 대사증후군이 있는 폐경 여성에서 연령이 더 높고 더 비만하였으며 고지혈증, 고혈당 등의 특징적인 양상을 나타내었다. 연령, 흡연 및 음주력을 통제한 후 심장병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증후군의 요소는 공복 혈당이었다 (비교위험도 2.5, 95% 신뢰구간 1.2-5.3). 대사증후군의 요소가 증가할수록 심혈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여 대사증후군의 요소가 한 개 이하인 군에 비해 대사증후군 요소가 4개 있는 군에서 심장병 발생위험이 4.2배, 5개 가진 군에서 7.3배 높았다. 또한 대사증후군이 없는 폐경 여성에 비해 대사증후군이 있는 폐경 여성에서 심장병 생존율이 낮았다. 결론: 폐경 여성에서 대사증후군이 심혈관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대사증후군의 요소 중 연령과 흡연이 심장병 사망과 연관이 있었으며 두 가지 요소를 통제하였을 때 대사증후군 요소 중 고혈당이 심장병 사망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대사증후군의 요소의 증가에 따른 심장병 사망률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대사증후군의 요소 및 수에 따른 심장병 사망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며 또한 대사증후군의 요소의 치료 및 예방으로 심장병 사망위험을 낮출 수 있는 지에 대한 대규모 중제연구도 이루어져야 한다. Objectives: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insulin resistance and central obesity cause type 2 diabetes and hypertension. This will increas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Women after menopause are at increased risk of metabolic syndrome. Several researchers studied that in menopause, metabolic syndrome increased cardiovascular mortality. We studied the impact on cardiovascular mortality of postmenopausal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in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Twenty four thousand nine hundred forty nine postmenopausal women aged 40 years or older were enrolled at health promotion centers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18 regions during 1994-2004. Age, weights, height, body mass index (BMI), systolic blood pressure (SBP),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fasting blood glucose (FBG), cholesterol, triglyceride (TG), high-density lipoprotein were evaluated and history taking about alcohol consumption, smoking, and exercise was performed. In addition, subjects who died of cardiac disease were analyzed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2009. Results: Metabolic syndrome was higher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increased in age, BMI, blood pressure (BP), FBG, cholesterol, TG. Thirty cardiac deaths occurre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Factors affecting cardiac death were age, smoking, FBG and when age and smoking were controlled. FBG w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cardiovascular mortality in our study. When controlling age,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metabolic syndrome caused an increased relative risk of cardiovascular mortality. Survival rate was much lower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than those without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increased cardiovascular mortality.

      • KCI등재

        선천성 자궁기형 110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현정 ( Hyun Jung Kim ),신현미 ( Hyun Mee Shin ),송재연 ( Jae Yen Song ),김수연 ( Sue Yeon Kim ),정재은 ( Jae Eun Chung ),권동진 ( Dong Jin Kwon ),김진홍 ( Jin Hong Kim ),김장흡 ( Jang Heub Kim ),유영옥 ( Young Ok Lew ),임용택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2

        목적: 선천성 자궁기형이 있는 여성들에서 임상적 증상, 진단방법, 생식력, 산과적 문제점, 자궁성형술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1990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한 자궁기형을 가진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자궁기형의 빈도, 증상, 진단 방법, 태위와 생식력, 자궁성형술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선천성 자궁기형은 American Fertility Society (1988)의 분류법에 의해 분류를 했으며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자궁기형은 입원환자 752명당 1명 (0.13%)의 빈도로 발견되었다. 대부분이 골반초음파와 내진에 의해 진단되었고(45.5%), 제왕절개술 도중에 발견된 경우가 24.5%, 그 외 수술적 방법, 자궁난관조영술 등에 의해 진단되었다. 두뿔자궁, 두자궁이 42예 (38.2%), 39예 (35.5%)로 많았으며 전체 110명 중 21명 (19.1%)이 신장기형을 동반하였는데 두뿔자궁과 두자궁의 경우가 많았다. 26명이 자궁성형술을 시행받았고 이들 중 9예 (34.6%)가 두뿔자궁이었고 8예 (30.8%)가 중격자궁이었다. 처음 병원을 방문한 증상은 산전진찰을 받다가 초음파상 자궁기형이라는 진단을 받고 전원된 경우가 35.5%였다. 그 외 월경통, 골반통, 습관성 유산으로 병원을 방문하였고 일차적 불임은 3예 (2.7%)로 유산보다 적었으며 일차성 무월경이 2예 (1.8%), 골반염과 무증상이 1예 (0.9%)씩 있었다. 241예의 임신 중 만삭임신 46.9%, 유산 24.34%, 조산 9.5%, 자궁외임신 0.83%였다. 자궁기형 환자의 태위는 둔위 16.67%, 횡위 1.51%였으며 81.3%의 환자가 제왕절개 분만을 하였다. 결론: 자궁기형이 있는 여성은 주로 월경통과 같은 증상을 호소하기도 하지만 무증상이고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비뇨기계통의 기형과 잘 동반되었고, 산과적 합병증 즉, 조산, 반복유산, 이상태위, 자궁내 태아성장지연, 자궁수축부전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자궁기형이 진단되었을 때, 그 환자의 생식 예후, 임신 시 예상되는 결과를 상담하고, 발생할 수 있는 산과적 합병증에 대한 정보를 주며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ymptoms, diagnostic procedures, infertility, obstetrical complications, and surgical corrections in women with congenital uterine anomalies. Methods: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2007, 110 patients diagnosed with uterine anomalies from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charts of patien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for uterine anomaly type, clinical symptom, diagnostic workup, fertility, fetal presentation, and uteroplasty. Congenital anomaly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classification by the American Fertility Society (1988). Results: Uterine anomaly was noticed in 1 in 752 patients (0.13%) who visited the inpatient department. The diagnosis was made by pelvic ultrasonography and manual examination (45.5%), incidental discovery during Cesarean section (24.5%), and other surgical procedures and salpingography. Most common types of uterine anomaly were bicornuate uterus (42 cases, 38.2%) and uterine didelphys (39 cases, 35.5%). Renal anomaly was accompanied in 21 patients (19.1%), frequently associated with bicornuate uterus and uterine didelphys. Uteroplasty was performed in 26 patients with 9 cases of bicornuate uterus (34.6%) and 8 cases of septate uterus (30.8%). The cases diagnosed incidentally during prenatal ultrasound examination were 35.5%. Other initial symptoms were dysmenorrhea, pelvic pain and habitual abortion. Primary infertility was reported in 3 cases (2.7%) which was fewer than abortion. Primary dysmenorrhea was observed in 2 cases (1.8%). One case of PID (0.9%) and one asymptomatic case were noted. Among 241 pregnancies, there were 46.9% full term birth, 24.34% abortion, 9.5% preterm birth, and 0.83% ectopic pregnancy. Fetal presentations were 16.67% breech and 1.51% transverse lie. Cesarean section rate was 81.3%. Conclusions: Women with uterine anomaly complain symptoms such as dysmenorrhea and pelvic pain, but most are aymptomatic and diagnosed incidentally. They are frequently accompanied with urologic anomalies and complicated with obstetrical challenges such as preterm labor, habitual abortion, malpresentation,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and uterine atony. Thus, when diagnosis of uterine anomaly is made, it is crucial to discuss sufficiently with patients about their expected prognosis on fertility and possible obstetrical outcomes and complications and to provide appropriate therapy accordingly.

      • KCI등재

        난소의 생식세포 Apoptosis에 대한 JNK1과 JNK2의 역할

        김미란 ( Mee Ran Kim ),최윤경 ( Yoon Kyong Choi ),송재연 ( Jae Yen Song ),신현미 ( Hyun Mi Shin ),정재은 ( Jae Eun Chung ),임용택 ( Young Taik Lim ),김장흡 ( Jang Heub Kim ),김진홍 ( Jin Hong Kim ),유영옥 ( Young Oak Lew ) 대한폐경학회 2007 대한폐경학회지 Vol.13 No.3

        연구목적: 난자와 난포 과립막세포가 외부 자극에 대하여 JNK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JNK 유전자 중 JNK1이나 JNK2가 결핍된 마우스를 이용하여 난자와 과립막세포의 apoptosis에 대한 JNK유전자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생후 21∼24일의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과배란 유도를 통해 난자를 채취하여 자외선 조사 후 phospho-JNK에 대한 면역세포화학법을 시행했다. 과립막세포를 배양하고 자외선 조사 후 단백질을 추출하여 웨스턴블롯을 시행했다. Hepa 1c1c7 cell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웨스턴블롯팅을 시행하였다. JNK1이나 JNK2 유전자 결핍 마우스에서 난자의 apoptosis의 차이를 알기 위해 난소 전체의 난자의 수를 비교하였다. 과립막세포를 자외선 조사 2시간, 4시간, 6시간 후 고정하고 Hoescht 33342로 염색 후 현광현미경으로 핵의 형태를 관찰하여 apoptosis 여부를 판별했다. 결과: 자외선 조사 후 난자에서 인산화 JNK에 대한 면역세포화학염색 반응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되었다. Hepa 1c1c7 cell에서는 자외선 조사 후 인산화 JNK의 발현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과립막 세포에서는 자외선 조사 30분 후 각각 55 kD와 46 kD의 인산화 JNK의 단백이 발현되었다. JNK1 유전자 결핍 마우스의 난소에서 총 난자의 수와 원시난포의 수는 출생 후 제 4일과 제 42일 정상 마우스에서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JNK2의 경우도 JNK2 유전자 결핍 마우스의 난소에서 총 난자의 수와 원시난포의 수가 정상 마우스에서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과립막세포의 apoptosis는 대조군의 13.0±3.3%에서 자외선 조사 2시간 후에 22.2±12.8%, 4시간 후에 32.0±10.4%, 6시간 후에 42.9±11.3%로 관찰되었다. JNK1 유전자 결핍 마우스의 난포 과립막 세포는 대조군의 10.5±4.1%에서 2시간 후에 18.3±9.1%, 4시간 후에 24.8±9.1%, 6시간 후에 29.5±12.4%의 apoptosis를 보여 부분적으로 apoptosis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였지만, 통계적인 의미가 없었다. JNK2 유전자 결핍 마우스에서도 정상 마우스에서의 apoptosis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JNK는 포유동물의 세포 생리작용에 중요한 매개체로서 세포의 증식, 생존, 사망, DNA의 대사에 다양하게 작용하며 향후 치료적 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JNK는 마우스의 난자와 과립막 세포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특이적으로 활성화 되었다. JNK1이나 JNK2 유전자결핍 마우스를 이용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마우스의 난소에서 JNK1과 JNK2는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함으로 특이한 표현형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폐경 전 여성에서 비정상적으로 가속화되는 난자 고갈에 대한 JNK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노화로 인한 자연적인 난소기능의 퇴화기전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s: Each female is endowed with a finite numbers of oocytes, which when depleted leads to ovarian senescence, the menopau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JNK1 and JNK2 in murine ovarian germ cell apoptosis. Methods: Murine oocytes were retrieved by superovulation of female C57BL/6 mice at the age of 21∼24 days. At 10 minutes after UV irradiation, immunocytochemistry was performed. Ovarian granulosa cells were cultured from antral follicles. At the 24 hours of the culture period, UV was irradiated on culture dishes. After 30 minutes, protein was extracted and western blotting done. Same procedures were performed with Hepa 1c1c7 cells. Serial ovarian sections (8μm) were stained with modified Lee`s picric methyl blue, and we estimated the numbers of oocyte-containing primordial, primary and small preantral follicles of female mice at day 4 and day 42 postpartum. Ovarian granulosa cells were cultured from female wild-type and JNK1-/-or JNK2-/-mice. The granulosa cells were fixed at 2, 4, 6 hours after UV irradiation and stained with Hoescht 33342, and then evaluated for characteristics of apoptosis under fluorescence microscopy. Results: After UV irradiation, oocytes showed intense signal of phospho-JNK. In ovarian granulosa cells, JNK was activated to phospho-JNK after UV irradiation, but not in Hepa 1c1c7 cells. There was no difference in oocyte counts between wild type and JNK1-/-or JNK2-/-at day 4 and day 42 postpartum. The incidence of apoptosis of ovarian granulosa cells from wild type were 13.0±3.3%, 22.2±12.8%, 32.0±10.4%, 42.9±11.3% after 0, 2, 4, 6 hour of UV irradiation, respectively. The incidences were 10.5±4.1%, 18.3±9.1%, 24.8±9.1%, 29.5±12.4%, respectively in granulosa cells from JNK1-/-mice. These results showed only a partial suppression of apoptosis in granulosa cells from JNK1-/-mice,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apoptosis of granulosa cells after UV irradiation between wild type and JNK2-/-mice. Conclusion: JNK1 and JNK2 are recognized as critical regulators of various aspects of mammalian physiology, including cell proliferation, cell survival and cell death. This study showed that UV irradiation caused activation of JNK in murine oocytes and granulosa cells of ovary. In murine ovary, JNK1 and JNK2 may be redundant or have compensatory role to each other in apoptosis. These findings may help to elucidate the one of mechanisms for acceleration of oocyte depletion in women with premature menopa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