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클로로겐산이 함유된 피부 패치의 유용성 평가를 위한 연구

        신주연,고결,권병안,Shin, Joo-Yeon,Ko, Kyel,Kwon, Byong-A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클로로겐산이 함유된 피부 패치를 피부에 부착하여 체지방과 체중에 미치는 변화를 규명하여, 유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시험군 8명, 대조군 8명으로 총 16명의 대상자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연구 기간은 2020년 08월 03일부터 2020년 08월 31일까지 4주간 실시하였다. 군-간 효과검정 결과 체지방의 변화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F=4.38, p<.055), 1주 후와 4주 후 검사에서는 의미있는 변화(p<.001)가 있었다. 또한, 체중은 유의미한 차이로 시험군이 대조군보다 체중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F=9.43, p<.008). 이번 연구의 결과는 비만 관련 연구에 패치를 적용한 예비연구로써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연구의 결과가 향후 연구될 피부 패치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a skin patch containing chlorogenic acid to the skin to identify changes in body fat and weight. 16 volunteers, consisting of 8 experimental groups and 8 control group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study period was conducted for 4 weeks from Aug 03, 2020 to Aug 31, 2020. As a result of the inter-group effect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fat (F=4.38, p<.055), but it can be sai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positive effect because the difference in posterior score was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change of body weigh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loss in the experimental group (F=9.43, p<.008). It will be meaningful as a preliminary study applying patches to studies related to obesity, and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patch materials in the future.

      • KCI등재

        학업크래프팅 척도 타당화: 온라인과 오프라인 대학생을 중심으로

        최윤영 ( Younyoung Choi ),신주연 ( Joo Yeon Shin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학업 경험 및 전반적인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구체적 전략의 하나로 학업크래프팅의 개념을 제안하고 학업크래프팅 척도를 타당화 하는 것이다. 기존에 일의 맥락에서 직업인들을 대상으로 제안된 잡크래프팅 개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업크래프팅을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업과 관련된 요소들을 숙고하고 변화시킴으로써 자신의 학업을 더욱 의미있게 만드는 전략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직장인을 대상으로 타당화 된 한국판 잡크래프팅 척도를 학업 맥락에 적절하도록 수정한 후 타당화 하였다. 국내 4년제 오프라인 대학생 214명과 4년제 온라인 대학생 519명의 표본을 활용하여 교육 및 심리검사 표준서(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2014)에서 명시하고 있는 다섯 가지의 타당도 근거들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크래프팅 척도의 문항들은 3요인 모형(과제크래프팅, 인지크래프팅, 관계크래프팅)을 지지하였으며, 학업만족, 학업의미, 삶의 만족, 삶의 의미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모든 문항에서 학업크래프팅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잘 변별하였으며 성별 편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크래프팅 개념과 척도가 학습자들의 긍정적 학습경험 촉진 및 전반적 삶의 질 향상에 가지는 의의를 논하였으며 상담 및 교육 장면에서의 활용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study crafting and to validate the Study Crafting Questionnaire(SCQ). Modified from the concept of job crafting developed in the context of work, this study conceptualizes study crafting as the strategies individuals take to shape, redefine, and actively change components of their academic work to make their academic experiences more meaningful and positive. Data collection included 214 surveys from 4-year offline university students and 579 surveys from online university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each item on SCQ appropriately reflected study crafting construct in terms of content. A three-factor model with task crafting, relational crafting, and cognitive crafting was extract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higher levels of study crafting were related to higher levels of meaning in academic work, academic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meaning in life. In addition, all items discriminated a group with high study crafting from another group with low study crafting well and all items did not have a bias effect in terms of gender.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concept of study crafting could be utilized as one of the practical strategies to promote positive academic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in educational settings.

      • 지방재정지출의 결정요인 연구

        김성종(Sung-Jong Kim),신주연(Joo-Yeon Shin) 한국공공정책학회 2003 공공정책연구 Vol.1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 expenditures based on 72 Korean city expenditure data. This study employs the time-series cross-section pooled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 total expenditures and expenditures by functional classification. Socio-economic factors turned out to be important influencing on local spending. However, variables form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factor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ny model. This result confirms that socio-economic factors are important in the determination of local expenditure level.

      • KCI등재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정혜진 ( Jung Hye Jin ),신주연 ( Shin Joo Yeon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0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5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others with adolescents and to explore the moderating role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321 responses from mothers with adolescents were analyzed to test a series of regression models using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2.16.3. Results: First, the result from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adolesc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Secon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among the six subscales of self-compassion(i.e., self-kindness, self-judgment, common humanity, isolation, mindfulness, and over-identification), only the self-judgment subscale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 from Johnson-Neyman technique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was significant when the level of self-judgment is moderate or high.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mothers with higher levels of parenting stress tend to show lower levels of marital satisfaction, only when the level of self-judgment is moderate or high. For mothers with low levels of self-judgment, parenting stres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s of marital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fforts to reduce self-judgment help mothers with adolescents to maintain their marital satisfaction despite experiencing parenting stress.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대학에서의 교수-학생 면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 탐색

        조현영(Hyun Young Cho),신주연(Joo Yeon Shin),김기홍(Ki Hong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교수와 학생이 성공적으로 인식하는 면담의 경험적 속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면담제도를 운영하는 대학의 관련 실무자들에게 실제적인 교수-학생 면담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제도적인 만남으로 교수-학생 면담을 제한적으로 규정하고 제도 내부의 문제점과 개선안 도출을 시도하는 기존의 면담 연구 틀에서 벗어나 교수-학생 간의 사회적 교류 경험 전반을 살펴보고 특히 그러한 경험이 내재한 맥락적 다양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위치한 4년제 H대학에서 5명의 교수와 3명의 학부생이 비구조화된 개별 인터뷰에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사회학의 관점을 기반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한 성공적인 교수-학생 면담의 주요한 본질과 조건은 강력한 정서적 유대의 형성 과정이었다. 또한, 이러한 강력한 정서적 유대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사소하고 주변적인 일상의 접촉, 서로의 관심사와 취미의 공유, 지속적인 관계의 끈을 유지하고자 하는 작은 노력들을 통해 가능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교수-학생 면담을 보다 의미있고 긍정적인 경험으로 개선하기 위한 네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counseling experiences which are perceived as successful by professors and students and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in their attempts to improve professor-student counseling progra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overall social exchange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ith a particular focus on understanding contextual diversity where their experiences are embedded. We attempted to step outside of the previous conventional manual development research framework, which has limited the scope of professor-student counseling to institutionalized meetings and has tried to find problems and remedies within the program itself. Five professors and three undergraduate students from 4-year H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un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ical sociology. The participants" own stories revealed that one of the most essential features and conditions for successful professor-student counseling was the process of building emotional bonds between one another. Their strong emotional bonds were shaped by repeating trivial or ordinary contacts in their daily lives, sharing each other"s interests or hobbies, and putting small efforts to sustain their relationship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four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professor-student counseling to become more meaningful and positive experiences.

      • KCI등재

        초등 저경력 교사의 초등학생 성 관련 문제 지도 및 상담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임지나(Lim, Jina),최은별(Choi, Eunbyeol),신주연(Shin, Joo Ye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경력 교사의 초등학생 성 관련 문제 지도 및 상담 경험을 탐색하여 초등 저경력 교사들이 학생들의 성 관련 문제를 효과적으로 지도하고 상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 담임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 5명을 심층 면담하였고, 수집된 면담자료는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4개의 영역과 각 영역 당 4개~6개의 범주가 확인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저경력 교사들은 학생들의 성 관련 문제를 지도하고 상담할 때 학생 및 부모의 특성, 교사 자신의 기술 및 경험 부족, 학교 조직 내 자원의 부족, 사회문화적 분위기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저경력 교사들은 학생들의 성 관련 문제를 지도하고 상담할 때 부담감, 두려움, 무력감, 민망함, 죄책감, 스트레스 및 소진 등의 부정 정서를 경험하였다. 셋째, 초등 저경력 교사들은 동료 및 고경력 교사에게 자문 구하기, 부모와 긴밀하게 협조하기, 구체적인 과제 및 활동을 활용하여 성 문제 지도 및 상담의 어려움이나 갈등 상황에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 저경력 교사들은 성 관련 문제에 관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하여 외부전문가와 전담기관 마련, 제도적 차원의 정비, 가정의 협조, 교사교육 강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성 관련 문제에 관한 초등 저경력 교사들의 지도 및 상담 역량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arly-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providing guidance and counseling for sexual behavior problems among elementary stude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eaching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This study identified four domains with four to six categories per each domain and main results were the followings. First, early-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with educating students’ sexual behavior problems for multiple factors: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parents, lack of teaching/counseling skills and experience, lack of school support and resources, and socio-cultural atmosphere. Second, early-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ported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s such as pressure, fear, helplessness, embarrassment, guilt, stress, and burnout. Third, the strategies of early-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coping with these difficulties were the followings: consulting with co-workers or other experienced teachers, closely cooperating with parents, and employing specific assignments and activities. Lastly, early-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that various supporting measures such as involvement of outside experts, establishment of exclusive agency, efforts at a national or institutional level, cooperation from families, and reinforcement of teacher training are needed to make an effective intervention. We suggest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early-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unseling and guidance competencies in dealing with students problematic sexual behavio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숲활동에서 형성되는 유아들의 관계 탐색

        임재택(Lim, Jae-Tack),하정연(Ha, Jeong-Yeon),이소영(Lee, So-Young),신주연(Shin, Joo-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숲에서 활동하는 유아들을 탐색하고 숲활동을 통하여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는지 그 의미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P어린이집 만 3, 4, 5세 통합학급 유아 16명을 대상으로, 2011년 3월부터 8월까지 6개월 동안 숲에서 활동하는 유아들을 참여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숲활동을 통하여 ‘유아와 숲의 관계’, ‘유아와 유아의 관계’ 그리고 ‘유아와 교사의 관계’로 범주화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와 숲의 관계’에서는 ‘호기심과 설렘의 관계’, ‘몸으로 알아가는 관계’, ‘심미감을 느끼는 관계’로 하위범주화 되었으며, 유아들은 자연속에서 만나는 동식물을 통해 숲에서 보이는 작은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관계를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유아와 유아의 관계’에서는 ‘자아 중심적 관계’, ‘열어가는 관계’, ‘협동하는 관계’로 하위범주화 되었으며, 유아들은 자아중심적인 모습에서 벗어나 마음을 열어나갔으며, 함께 활동하면서 협동하는 관계를 형성하였다. 마지막 ‘유아와 교사의 관계’에서는 ‘존중받고 이끄는 관계’, ‘상상력을 펼치는 관계’, ‘함께 배워가는 관계’로 하위범주화 되었으며, 유아는 숲의 여러 상황에서 교사로부터 자신의 생각을 존중받고, 스스로 이끌어 나갔으며, 다양한 상상력도 펼쳤다. 그리고 새로운 상황이나 동?식물을 만나게 되면 유아와 교사가 함께 배워나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eschoolers engaging aspects in forest activities, their relationship building during the activities and the meaning of their relationship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 preschoolers in a multiage class of Western age 3, 4 and 5 at ‘P’ daycare center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Their forest activities were observed for a six-month period of time from March to August, 2011. As a result, the relationships that the preschoolers formed during the forest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preschooler-forest relationship, preschooler-preschooler relationship, and preschooler-teacher relationship. The preschooler-forest relationship was subcategorized into three: relationship of curiosity and fluttering, relationship by which they get to know each other in person, and relationship in which they could feel aestheticism. The preschoolers got interested in small changes of the forest when they saw animals and plants, and then they began to form relationships with them. The preschooler-preschooler relationship was subcategorized into three: egocentric relationship, relationship of opening one’s mind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They were no longer egocentric and started to open their mind, and they were in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one another while they engaged in the forest activities together. Finally, the preschooler-teacher relationship was subcategorized into three: relationship of respect and guidance, relationship of exerting imagination, and relationship of learning together. The preschoolers felt their teacher thought highly of their opinions, and they took the initiative in the forest activities and exerted their imagination. When they faced new situations or saw new animals and plants, both of the preschoolers and teachers learned lessons from the new situations and learned about the animals and plants together.

      • KCI등재

        예비교사의 교직노력계획과 전공노력에 대한 교직선택 동기의 역할

        정윤경(Chung, Yoonkyung),김상연(Kim, Sangyun),신주연(Shin, Joo Ye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5

        교직선택 동기에 대한 FIT-Choice 모델은 기존에 산발적으로 조사되던 다양한 측면의 교직선택 동기를 기대-가치 이론에 근거하여 하나의 모델로 구성했다는데 이점이 있다. 이 연구는 해당 모델에 대한 척도를 활용하여 양성과정에 있는 예비교사들의 교직선택 동기의 수준을 살펴본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다양한 하위요소로 이루어진 교직선택 동기가 앞으로의 교직노력계획 및 현재의 전공노력을 어떻게 예측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범대와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187명의 학생의 설문응답 결과를 분석한 결과, 내재가치와 학습자 미래설계, 선 교수학습경험, 교수능력, 직업 안정성이 교사 진로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되는 동기로 나타났다. 한편, 내재가치와 사회 유용가치를 강하게 인식하고 있는 학생들이 이후 교사가 되었을 때 전문성 개발을 위해 교직에 많은 노력을 쏟을 계획이었으며 교직에 장기간 봉직할 것을 강하게 확신하였다. 또한 교직선택 시 주변의 영향을 크게 받은 학생들은 어려움을 겪을수록 전공에 대한 노력을 철회하였고 이와 반대로 사회 유용가치를 강하게 인식하는 학생들은 전공 공부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양성 프로그램에서 교직선택 동기가 가지는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Factors Influencing Teaching-Choice Model(FIT-Choice) has considered the various aspects of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s for choosing teaching as a career in a systemic manner based on expectancy-value theory. Using the scale for the FIT-Choice Model,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s for choosing teaching and to investigate how these motivations predict their planned effort in the future and effort towards their current major. Responses of 187 students attending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vealed that intrinsic values, values for shaping future of children, prior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perceived teaching abilities, and job security listed high in rank as reasons for choosing teach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lso revealed that students planned to exert more efforts and stay longer in a teaching career as they perceived higher intrinsic value and social utility value by doing so. In addition, as students perceived fewer social influences but more social utility values, they were likely to exert more efforts on studying their major despite difficulti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various teaching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초등특수학급 교사의 잡 크래프팅(job crafting)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임동숙 ( Lim Dong Sook ),임유하 ( Lim Yoo Ha ),신주연 ( Shin Joo Yeo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특수학급 교사가 교육현장에서 잡 크래프팅 수행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1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초등특수학급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초등특수학급 교사의 잡 크래프팅 경험을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은 과업 영역에서 자신의 가치관·강점·흥미를 반영하여 수업구성을 하였고, 교육청이 주관하는 대회에 참가하거나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하여 전문성을 향상하였다. 둘째, 인지 영역에서는 일반학교에서의 특수교사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정체성을 가지려 노력하였고, 특수교사라는 직업을 유지하는 것을 즐겁게 느꼈다. 또한,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인지 수준을 인정하고 수용하였으며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작은 변화에 보람과 자긍심을 느꼈다. 셋째, 관계 영역에서는 학교관리자 및 일반교사와의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기도 하였으나 갈등이 생길 수 있는 업무적 관계에서는 회피 또는 축소 등의 관계조절 노력을 보였다. 반면 특수학급 교사들과는 실천공동체를 구성하여 교육봉사·수업공유 등 다양한 소통 활동을 하였고, 정서적 지지를 통해 관계를 확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급 교사의 건강한 직무활동과 일의 의미 증진을 위한 함의와 후속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xperiences of Job Crafting to teacher who work in an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6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who worked more than 15 years were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organized classes to reflect their values, strengths, and interests, and they tried to improve self-efficacy by participating in competitions organized by education office in-local or improving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curriculum reorganization. Second, in the cognitive crafting, they tried to have a positive identity in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 in the general school, and they felt happy to keep their job as a teacher. They also recognized the cognitive weaknes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gave meaning to small achievement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Third, in the relation crafting,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public and private meetings with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for cooperative relations, but in a conflict relations in business, they showed cynical attitudes such as avoidance or reduction. On the other hand, community of practice was formed to expand their relationship through communication and emotional support, including education service activity and class shar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follow-up studies on healthy job activities and the meaningful work by special classroom teachers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