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사의 인간애와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차이분석

        신수경(Su-Kyung, Shin),신리행(Li-Heang,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들의 문제행동을 직접 지도하는 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 (연령, 최종학력, 교직경력, 결혼유무, 자격증, 재직기관, 담임반)에 따른 유아교사의 인간애와 문제행동 지도전략 차이를 분석하고, 유아교사의 인간애와 문제행동 지도 전략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남․광주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312명을 대상으로 교사 인간애, 교사용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설문지를 2018년 9월 3일부터 9월 28일까지 배포하여 회수한 후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연령, 최종학력, 교직경력, 결혼유무, 자격증, 재직기관, 담임반)에 따른 각 문항과의 관계와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과 ANOVA 및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 s α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연령, 최종학력, 교직경력, 결혼유무, 자격증, 재직기관, 담임반)에 따라 교사의 인간애와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사인간애와 문제 행동에 대한 교사의 지도전략은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 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유아교사의 인간애와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이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으며, 앞으로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관련 내용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 s humanity and teacher s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of Teachers-Age, final education, career, marital status, qualifications, daycare or kindergarten, classroom.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about humanity and problem behavior management strategies for infants were distributed to 312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 city. This study examine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ach item according to age, final education, teaching career, marital status, qualifications, employment agency, and clas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correlations and ANOVA.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found to be Cronbach s α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er s humanity and teacher s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of Teachers-Age, final education, career, marital status, qualifications, daycare or kindergarten, classroom. Second, teacher s humanity and teacher s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showed high correlation. Therefore, it is shown that teacher s humanity and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 KCI등재후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자기조절능력과 휴대폰중독 정도 간의 관계

        신수경(Su-Kyung Shin),최경남(Kyung-Nam Choi)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개념 및 자기조절능력과 휴대폰중독 정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G시 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이경화, 고진영(2006)이 제작한  유아의 ‘자아개념척도’, 이정란(2003)의 ‘자기조절능력 척도’, 이진영(2006)이 개발한 ‘한국형 휴대폰 중독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Pearson 적률상관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자아개념은 휴대폰 중독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개념의 하위영역인 ‘친구 관계자아’, ‘일반자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능력은 휴대폰 중독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영역인 ‘자기평가’, ‘정서성’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s self-concept, self-regulation and cellular phone addition degree. The subjects were 228 children in G city. In collecting the data, the ‘SCI Self-concept Scale’ was used to assess children’s self-concept while the ‘Self-regulation Scale’ was used to assess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the ‘Korean Cellular Phone addition Scale’ for Young Children was used to assess children’s cellular Phone addition degree. Pearson r was used to analyzed the 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s self-esteem, self-regulation and cellular Phone addition degre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cellular Phone addition degree is negatively related to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nd self-regulation.

      • KCI등재

        유치원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와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신수경(Shin, Su-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 및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해 봄으로써 유치원 교육실습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N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30명을 대상으로 교 육실습에 대한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와 내적 동기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 첫째,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는 유치원 교육실습 전에 비해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부정적 요인 인 실습 교직 업무부담 및 긍정적 요인인 사회적지지가 증가함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는 감소되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의 내적 동기는 유치원 교육 실습 전에 비해 내적 동기의 하위요인 중 내적 완성감, 내적 독립적 판단, 내적 성향이 증가함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인 내적 동기가 증가됨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육실습으로 인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직무 부담 등의 실습 업무 스트레스가 여전히 과중되고 있음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실습과정 중에 경험한 사회적 지지와 교육 실습을 통해 내적 완성감, 내적 독립적 판단, 내적 성향 등이 긍정적으로 향상됨으로 나타나 교육실습에 임하는 예비교사의 태도 및 가치관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어 전문적인 교직인으로서 발전 가능성을 보여준 연구 결과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on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and internal motivation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collected data on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and internal motivation of 30 senior students attending N university.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llected data, first, for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after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job burden, which is a negative factor and social support, which is a positive factor,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that before the teaching practice. Second, after the teaching practice, for internal motivation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as found in internal completeness, internal independent judgment, and internal dispos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internal motivation compared with that before the teaching practice. In conclusion, in this study, although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such as job burden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due to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are still overloaded, through the experience of social support and teaching practice during the process, the internal completeness, internal independent judgment, and internal disposition, etc. were found to be improved, which is a result of research showing that the attitude and valu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who are engaged in the teaching practice change positively and show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s a practical teaching person.

      • KCI등재

        유아가 지각한 부모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유아의 규범적 행동 간의 관계 연구: 유아 민감성의 매개효과

        신수경(Shin, Su-Kyung),이현경(Lee, Hyun-Kyung)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1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facilitative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normative behavior,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9 children aged 5 years old who were enrolled at 12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G city.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24 classroom teachers these children.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parents’facilitative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normative behavior.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children’s sensitivity between parent s facilitative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normative behavior. It is thought that by increasing level of parents’facilitative communication as perceived by children, as well as sensitivity, may serve as a basis to suggest ways to promote the children’s normative behavior. 본 연구는 유아가 지각한 부모의 촉진적 의사소통이 유아의 규범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 두 변인과의 관계에서 유아의 개인적 변인인 민감성 요인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G시에 소재하는 12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만 5세 유아 240명의 담임교사 24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한 후 수합된 자료 중 총 229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가 지각한 부모의 촉진적 의사소통이 유아의 규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였다. 둘째, 유아가 지각한 부모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유아의 규범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민감성이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유아의 민감성을 높임으로써 유아의 배려행동의 하나인 규범적 행동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안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유아교육학 전공연계를 통한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 활동역량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신수경(Shin, Su-kyung),최낙천(Choi, nag-ch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학 전공연계를 통한 고등학생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 활동역량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청소년의 다양한 자원봉사활동의 참여 유도 및 지도방안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있다. 본 연구는 G시에 위치한 N, S, K 고등학교 3학년 재학 중이며 유아교육과 진학을 희망하는 고등학생 13명을 대상으로 2016년 7월 4일부터 9월 24일까지 12주동안 1주에 3시간씩 총 36시간을 유아교육학 전공연계 자원봉사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육학 전공연계 자원봉사활동 실시 전․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육학 전공연계를 통한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은 청소년 활동역량의 하위요인 중 ‘자아역량’, ‘문제해결역량’, ‘성취동기역량’, ‘대인관계역량’, ‘리더쉽역량’,‘시민성역량’을 비롯하여 전체적인 청소년 활동역량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학 전공연계를 통한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은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다양한 활동영역에서의 참여 유도 및 지도방안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analyzing the effects of volunteer activ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on the youth activity capacity and career maturity degree through the linka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and utilizing it as basic data for inducing participation of various youth volunteer activities of youth and building guidance plan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3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3rd grade of N, S, K high schools located in G city and want to go on to stud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as conducted from July 4 to September 24, 2016 with the total number of 48 hours of volunteer activities link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for 12 weeks, 3 hours a session per week. The results of analyzing collected data using the matching sample t‐test are as follows. First, the volunteer activ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linka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overall youth activity capabilities, including sub‐factors of youth activity capabilities such as ‘self competence , ’problem solving ability , ‘achievement motive competence , ‘interpersonal competence , ‘leadership competency, and ‘citizenship competence.’ Second, high school students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the linkage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degree.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ducing participation and guidance in various activity areas of youth volunteer activities.

      • KCI등재

        상호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교사의 긍정적 스트로크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신수경(Shin, Su-Kyung),김현정(Kim, Hyun-jeo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상호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교사의 긍정적 스트로크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총 80명으로 평균월령은 69개월이었다. 실험집단에서는 상호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교사의 긍정적 스트로크를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교사의 일반 스트로크를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검사와 ‘자기통제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상호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교사의 긍정적 스트로크 실험집단 유아들의 자기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교사의 일반적 스트로크 비교집단 유아들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i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s positive stroke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Theory on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self-control. The total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80 young children at age 5 from two classes in G and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69 months. The subject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by the teacher"s positive stroke, while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by the teacher"s normal strok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Experimental group which conducted the teacher"s positive stroke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Theor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self-control.

      • KCI등재

        창의적 체육놀이, 리듬과 멜로디를 이용한 음률놀이 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신수경(Su-Kyung Shin),김현정(Hyun-jeong Kim)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창의적 체육놀이, 리듬과 멜로디를 이용한 음률놀이 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S유치원의 재원 중인 총 60명이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12주 기간 동안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창의적 체육놀이, 리듬과 멜로디를 이용한 음률놀이를,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실외자유놀이를 각각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ANCOBA 분석을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창의적 체육놀이, 리듬과 멜로디를 이용한 음률놀이는 유아의 기초체력을 증진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창의적 체육놀이, 리듬과 멜로디를 이용한 음률놀이는 유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through creative physical play, music and movement using rhythm and melody pla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basic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e two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types of play for the duration of 12 weeks. The two different types of play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signed to were creative physical play method and music and movement play method using rhythm and melody. The comparison group was assigned to outdoor free play using method. The basic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self-efficacy were measured to collect data. Data were analyzed with a mean, standard deviation, and ANCOVA on the pre-score and post-score to find o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ic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reative physical play, music and movement using rhythm and melody play activities in young children’s basic physical fitnes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reative physical play, music and movement using rhythm and melody play activities in young children’s and physical self-efficacy.

      • KCI등재후보

        장독립적-장의존적 인지양식에 따른 유아의 의사소통전략과 사회성 분석

        신수경(Shin Su-Kyung),채영란(Chae Young-Ra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독립적-장의존적 인지양식에 따라 나타나는 유아의 의사소통전략과 사회성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80명이었으며, Cosaro(1986)의 ‘의사소통전략’과 이은정(2004)의 ‘사회성’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유아의 의사소통전략과 사회성을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의 집단간 차이를 t-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지양식에 따른 ‘의사소통전략’의 점수는 장독립적 집단이 장의존적 집단 보다 높게 나타나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양식에 따른 ‘사회성’의 점수는 장의존적 집단이 장독립적 집단 보다 높게 나타나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nalysis of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sociality according to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For this study, 80 five-year-old children selected from two child care center and two kindergarten.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sociality were evaluated by Cosaro(1986)'s communication strategies scale and Lee(2004)'s sociality scal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strategies according to cognitive styles of children. Independence group were higher than dependence group;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sociality according to cognitive styles of children. Dependence group was higher than independence group.

      • KCI등재후보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과학탐구노트 활용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신수경(Su-Kyung Shin),박유영(Yu-Yeong Park),오세경(Se Kyoung Oh)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과학탐구노트 활용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자기통제력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효과를 검증 해 봄으로써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교육적 방향과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과학탐구노트 활용 과학활동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전통적인 과학활동을 실시한 뒤 과학적 탐구능력검사와 자기통제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과학탐구노트 활용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전체 점수와 하위영역인 관찰, 분류, 예측, 측정, 토의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과학탐구노트 활용 과학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전체 점수와 하위영역인 행동억제, 정서성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using science notebooks based on the reflective thinking of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s and self-control.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a total of 40 young children at age 5 from two classes in G, which is located in G cit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conducted the science activities using science notebooks based on the reflective thinkin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s and self-control.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science activities using science notebooks based on reflective thinking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s and self-control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