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 내막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결과

        노오규(O Kyu Noh),신성수(Seong Soo Shin),이상욱(Sang-Wook Lee),안승도(Seung Do Ahn),최은경(Eun Kyung Choi),김종혁(Jong-Hyeok Kim),김용만(Yong-Man Kim),주현(Joo-Hyun Nam),목정은(Jung-Eun Mok),김종훈(Jong Ho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5 No.2

        목 적: 근치적 자궁절제술 후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 받은 자궁내막암 환자의 치료 성적 및 예후 인자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9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자궁내막암으로 자궁 절제술을 시행한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FIGO 병기는 I, II, III기가 각각 41명(53.9%), 12명(15.8%), 23명(30.3%)이었다. 조직분화도는 1이 29명(38.2%), 2가 20명(26.3%), 3이 27명(35.5%)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외부방 사선 조사와 강내 조사를 함께 시행한 환자가 42명, 외부 방사선 조사만 시행한 환자가 33명, 강내 조사만 시행한 환자는 1명이었다. 외부 방사선 치료의 조사 선량은 50.4 Gy였으며, 강내 조사는 1회 분할 선량을 4~5 Gy씩 4~6 회 실시하였다. 생존환자의 추적기간은 5개월에서 121개월로서 중앙값은 51개월이었다.결 과: 5년 전체 생존율은 89.6%이었으며, FIGO I기는 96.8%, II기는 91.7%, III기는 75.7%였다. 5년 무병 생존율은 83.7%이었고, FIGO 병기에 따라 I기는 94.8%, II기는 91.6%, III기는 59.8%이었다. 단변량 분석에서 전체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는 FIGO 병기, 림프절 양성 유무, 조직분화도였고, 무병 생존율에서는 관계되는인자는 FIGO 병기, 림프절 양성 유무, 림프혈관침범 유무였다. 총 11명에서 재발하였고, 국소재발 1명, 원격전이가 10명이었다. 방사선 치료 후에 중등도 이상의 합병증을 보이는 경우는 없었다. 결 론: 자궁내막암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성적은 좋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주로 원격전이로 재발하는 양상으로 보이므로 항암치료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FIGO 병기가 높거나, 림프절 양성이거나, 림프혈관침범이 있거나, 조직 분화도가 높은 고위험 군에서 항암제를 포함한 방사선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endometria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1991 to August 2003, 76 patients with endometrial carcinoma received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after hysterectomy at Asan Medical Center. Stage was classified as FIGO I in 41 (53.9%), II in 12 (53.9%), and III in 23 (30.3%). Histologic grade 1, 2 and 3 were in 29 (38.2%), 20 (26.3%), and 27 (35.5%) respectively. Forty two patients received both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EBRT) and intracavitary radiation (ICR), 34 patients were treated with EBRT or ICR alone. EBRT dose was 50.4 Gy, ICR was performed in 4∼6 fractions with 4∼5 Gy per fraction. Median follow‐up period was 51 (range 5∼ 121) months. Results: Five‐year overall survival was 89.6%. In univariate analys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o overall survival were FIGO stage, lymph node metastasis and histologic grade. In disease free survival, FIGO stage, lymph node metastasis and lymphovascular invasion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Recurrence was seen in 11 patients. Of these, systemic failure was in 10 patients. There were no moderate to severe complications after radiation therapy. Conclusion: The outcome of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in endometrial carcinoma was good. Main pattern of failure after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distant metastasis. So, adjuvant chemotherapy may help in improving outcome. Further study on chemotherapy in combined with postoperative radiotherapy will be needed, especially for patients with high risk factors such as high FIGO stage, lymphovascular invasion, and high histologic grade.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원발성 폐암에서 혈장 과립구 자극인자의 암표지자로서의 역할과 의의

        송정섭 ( Jung Sub Song ),김소영 ( So Young Kim ),조향정 ( Hyang Jeong Jo ),이강규 ( Kang Kyoo Lee ),신정현 ( Jeong Hyun Shin ),신성남 ( Seong Nam Shin ),김동 ( Dong Kim ),박성훈 ( Seong Hoon Park ),이영진 ( Young Jin Lee ),고창보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9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6 No.6

        연구배경: 폐암은 진단 당시에 완치할 수 있는 확률이 적어 예후가 불량한 종양으로 알려져 있어, 폐암 진행을 예측할 수 있는 암 표지자(tumor marker)의 발굴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폐암에서 아직까지 특이적인 항원이 없고 현재까지 알려진 많은 종양관련 항원들의 민감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발성 폐암 환자에서 혈장 G-CSF를 측정하고 암의 진행 및 예후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원발성 폐암으로 진단된 100명 환자와 건강 검진에서 이상 소견이 없는 127명 정상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정상인에서 혈장 G-CSF 농도는 12.2±3.6 pg/mL (mean±SD), 폐암환자에서는 46.0±38.0 pg/mL였다(p<0.001). 비소세포폐암에서 G-CSF 농도는 유의하게 소세포폐암보다 높았으며(p<0.05), 비소세포 폐암중 대세포 폐암이 가장 높았고, 편평세포암, 선암, 세기관지폐포암 순이었다. G-CSF 농도는 국소형보다는 진행형 비소세포폐암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타 장기로의 전이가 있을 때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다발성 전이에서는 뇌, 부신, 골 전이 순으로 혈청 G-CSF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결론: 혈장 G-CSF 농도는 폐암이 진행한 경우, 특히 타 장기로의 전이가 있을 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진행형 폐암의 추적관찰에 이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Biomarkers for cancer have several potential clinical uses, including the following: early cancer detection, monitoring for recurrence prognostication, and risk stratification. However, no biomarker has been shown to have adequat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Many investigators have tried to validate biomarkers for the early detection and recurrence of lung cancer. To evaluate plasma G-CSF as such a biomarker, protein levels were measured and were found to correlate with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primary lung tumors. Methods: Between December 2006 and May 2008, 100 patients with histologically-validated primary lung cancer were enrolled into this study. To serve as controls, 127 healthy volunteers were enrolled into this study. Plasma G-CSF levels were measured in lung cancer patients using the sandwich ELISA system (R & D inc.) prior to treatment. Results: The mean plasma G-CSF levels were 12.2±0.3 pg/mL and 46.0±3.8 pg/mL (mean±SE) in the normal and in the cancer groups, respectively. In addition, plasma G-CSF levels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early lung cancer than in healthy volunteers (p<.001). Plasma G-CSF levels were higher in patients who were under 65 years old or smokers. Within the cancer group, plasma G-CSF levels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non small cell lung cancer than in patients with small cell lung cancer (p<.05). Overall, plasma G-CSF levels were shown to increase dependent upon the type of lung cancer diagnsosed. In the order from highest to lowest, the levels of plasma G-CSF tended to decrease in the following order: large cell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adenocarcinoma, and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Plasma G-CSF levels tended to be higher in patients with advanced TNM stage than in localized TNM stage (I, II<III, IV). Increased levels were also seen in patients with distant metastasis in the order of bone, adrenal gland involvement. Conclusion: Plasma G-CSF leve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and in especially advanced TNM st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asma G-CSF can be used to support the diagnostic process of lung cancer staging and as an indicator of metastasis.

      • SCOPUSKCI등재

        탄화수소 흡인에 의한 화학성 폐렴 2예

        노동효 ( Dong Hyo Noh ),김학렬 ( Hak Ryul Kim ),조경화 ( Kyung Hwa Cho ),김동 ( Dong Kim ),신성남 ( Seong Nam Shin ),신정현 ( Jeong Hyun Shin ),송정섭 ( Jung Sub Song ),황기은 ( Ki Eun Hwang ),김소영 ( So Young Kim ),김휘정 ( Hwi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9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7 No.2

        Chemical pneumonitis induced by hydrocarbon aspiration is rare in Korea. Kerosene is a petroleum distillate with low viscosity and high volatility. We report two adult cases of chemical pneumonitis caused by the accidental aspiration of kerosene. They were treated successfully with antibiotics and systemic corticosteroids, and recovered without complications.

      • SCOPUSKCI등재

        원발성 폐암에서 LKB1 단백질 발현 소실에 따른 임상 양상 및 조직병리학적 특성

        황기은 ( Ki Eun Hwang ),조향정 ( Hyang Jeong Jo ),이강규 ( Kang Kyoo Lee ),심혁 ( Hyeok Shim ),송정섭 ( Jung Sub Song ),신정현 ( Jeong Hyun Shin ),신성남 ( Seong Nam Shin ),박성훈 ( Seong Hoon Park ),홍경만 ( Kyeong Man Hong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4 No.5

        연구배경: LKB1 (STK11)유전자는 Peutz-Jeghers syndrome에서 생식세포 돌연변이가 있으면 소화기와 폐를 포함한 타 장기의 암 발생 위험도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또한 종양 억제 기능이 있다고도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폐암에서 LKB1 유전자의 생물학적 기능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아, 저자들은 폐암조직에서 LKB1 단백질 발현소실과 임상양상 및 조직병리와의 연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6년 3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원발성 폐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7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파라핀에 포매된 조직을 택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LKB1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고, 정상 기관지 상피세포 세포질에서의 단백질 발현과 비슷한 정도의 발색을 갖는 종양세포가 전체 종양에서 30% 이상인 경우를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LKB1 발현 양성은 40% (31/77)였고, 남성, 흡연, 편평상피암인 경우에 LKB1 발현 음성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종양위치가 중앙부위일수록 LKB1 발현 음성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종양 위치가 말초 부위인 경우 흡연력이 있는 군에서 LKB1 발현 음성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TNM 병기가 진행할수록 LKB1 발현 음성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T2 병기 이상, N 병기가 진행할수록 LKB1 발현 음성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원발성 폐암환자에서 LKB1 발현소실은 성별, 흡연력, 조직병리 형태와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예후인자로서의 의의는 찾지 못했다. 하지만 환자의 숫자가 적어 추후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KB1(STK11) is a serine/threonine kinase that functions as a tumor growth suppressor. The functions of LKB1 in lung cancer are not completely understood. This study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KB1 protein expression and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in lung cancer tissues. Methods: The expression of LKB1 was studied in paraffin-embedded tumor blocks, which were obtained from 77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ery at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The expression of the LKB1 protein was considered positive if the staining intensity in the tumor tissue adjacent to the normal airway epithelium was>30%. Results: The LKB1 expression was positive in 31 (40%) of samples. Loss of LKB1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eing male, smoking history, and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peripheral sites, the loss of LKB1 expression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a smoking history. A loss of LKB1 expression was mo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progression according to TNM staging, particularly more than T2, N progression.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oss of the LKB1 protein and gender, smoking history, and histological type in primary lung cancer. Although LKB1 expression was not found to be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urther studies with a larger cohort of patient`s lung cancer tissue samples will be needed to confirm this. (Tuberc Respir Dis 2008;64:362-368)

      • 흡연에 의한 급성 호산구성 폐렴 2예

        박종빈,김학렬,주현준,유태양,신성남,신정현,송정섭,황기은,김소영,양세훈,정은택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2008 圓光醫科學 Vol.23 No.2

        최근 흡연을 시작한 젊은 성언에서 급성 호산구성 폐렴의 발생에 대한 증례가 보고되고 있다. 급성 호산구성 폐렴은 대개 발열을 동반하기 때문에 초기에는 감염성 폐렴으로 잘못 진단, 치료되는 경우가 많다. 아직 정확한 병태 생리 및 조직학적 소견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병력 청취 및 임상 양상, 방사선 소견의 관찰을 통해 급성 호산구성 폐렴을 의심하고, 진단을 위해 기관지 폐포 세척액 검사를 시행한다면 좀 더 쉽게 진단 내릴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자들은 최근 처음 시작한 흡연에 의해 발생한 급성 호산구성 폐렴을 진단하고,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환자 2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cute eosinophilic pneumonia(AEP) is characterized by acute febrile respiratory illness associated with diffuse pulmonary infiltration and pulmonary eosinophilia. The specific etiology for acute eosinophilic pneumonia is elusive. By some investigators, cigarette smoking is suggested as a causative substance which can cause AEP. In recent, the authors experienced two cases of AEP following cigarette smoking. Both cases had characteristic features including age around 20 years, new onset smoking before occurance of AEP, diffuse infiltration on chest radiography, pulmonary eosinophilia based on bronchoalveolar lavage and acute improvement after steroid therapy. These clinical features are resemble with previous smoking induced AEP case reports. Base on these clinical features, cigarette smoking associated AEP could be diagnosed more eas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