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靑銅器時代 農耕聚落의 文化的 特性

        申相孝 ( Sin Sang-hyo ) 국립중앙박물관 2011 고고학지 Vol.17 No.-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수적 요소인 의식주, 이 가운데 住는 가족 및 사회와의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인간의 생활행위를 반영하고 있다. 시원적인 주거형식은 인류의 가장 원시적인 생활양식에서부터 나타나며 대체로 동굴주거에서 竪穴式住居로 발전되어 가는 과정을 거친다. 이처럼 인간이 안정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장소에 집을 짓고 머물러야 하는데 인류가 최초로 만든 살림집은 움집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움집은 신석기시대에 축조되기 시작하며 청동기시대가 되면서 다양한 살림집으로 보편화된다. 청동기시대 초기에는 5동 내외의 군집을 이루다 중기가 되면 여러 기능을 가지는 도시적 성격이 강한 대규모의 취락이 등장한다. 대규모 집단취락으로의 전환은 소단위의 군집이 여러 개 모여 취락을 형성하면서 주거영역과 경작영역, 그리고 무덤영역 등 영역 분할이 이루어지는 松菊里文化段階라고 할 수 있다. 이 단계에는 경계, 구획, 방어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環濠와 地上 建物址, 그리고 聚落內 貯藏竪穴이 새로 등장하여 취락을 구성하는 하나의 시설물이 된다. 즉 취락내의 시설물 배치에 있어 일정한 계획성을 가지고 주거영역과 무덤영역을 다른 공간에 배치하며 인접하더라도 도랑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에서 각종 행위를 위한 광장 등 공공의 장소가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정주성 취락이 발달해가면서 농경사회 즉 취락사회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분쟁을 해소하고 결속과 통합을 다지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계기가 되었다. In the everyday lives of human beings, housing is an essential feature of family life in particular. 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households and community groups, and reflects the social relationship of the occupants. Generally, the residence pattern of humankind developed from cave dwellings into subterranean housing. People had to establish settlements in one place in order to live a more stable life. It is said that pit dwellings were the first type of housing built by humans. People started building pit houses during the Neolithic Era, and diverse types of subterranean houses appeared during the Bronze Age. During the early Bronze Age, five or six houses would form into a cluster. Larger settlements appeared next, forming into towns with various functions during the mid-Bronze Age. The transition to large villages occurred when small groups of houses were gathered together, with different areas forming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such as residential zones, cultivation zones and cemeteries, during the Songguk-ri Culture Stage. In this stage, ditches dug around villages (used as a boundary or for defense purposes), overground buildings, and storage pits appeared as essential facilities of a settlement. Facilities were set up within a village according to a plan, with residential zones separated from cemeteries. If a cemetery had to be placed close to a residential zone, a ditch was dug to divide them into separate areas. Public places such as plazas were built for various activities. During the development of a settlement, such zoni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n agricultural community in conjunction with the need to resolve disputes and encourage solidarity among its member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