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절전 행동 증진을 위한 디자인 전략 연구

        신민아(Sin, Min-A),윤재영(Yun, Jae Young) 한국디자인학회 2015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5 No.10

        본 논문은 디자인에서 행동변화이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행동변화연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TTM(Transtheoretical Model)이론을 토대로 절전단계 측정질문지를 개발하여 수용자를 구분하고자 한다. 헬스케어, 간호학, 심리학, 체육학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TTM(Tra nstheoretical Model) 이론은 인간의 행동변화과정을 설명하고, 수용자를 5단계로 구분하여 단계별 상황에 맞는 지침을 제공한다. 이는 절전광고가 행동변화를 목적으로 하는 만큼 행동이론의 접근은 변화되지 않는 문제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찾기 적합하다. 문헌연구에 따르면 단계파악질문지를 통해 수용자를 구분하고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 변화과정을 측정하여 단계별 중재 및 개입전략을 도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절전단계측정을 위하여 문헌연구에서 사용된 단계측정질문지를 취합하여 절전행동 요령에 맞게 개발하였다. 개발된 질문지 검증을 위해 예비조사를 통해 단계를 구분하였으며, 예비조사결과와 시중에 노출된 절전공익광고 유형을 취합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은 예비조사 단계 연구로써 개발된 질문지를 통하여 수용자의 단계를 구분하고, 후속연구계획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 절전 광고/홍보 디자인을 위한 에너지 행동변화 연구

        신민아(Sin, Min-A),윤재영(Yun, Jae Young) 한국디자인학회 2015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5 No.10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behavioral change theory in design and base on the TTM (Transtheoretical Model) theory, which is most commonly used in behavioral change related researches, to provide design strategies strived for energy conservation. TTM (Transtheoretical Model) theory is currently actively applied to practical fields such as nursing, physical education, and psychology and survey questionnaires are applied to distinguish the stages of the target and guidelines appropriate to each stage are provided to induce positive behavioral changes. In order to develop a questionnaire for energy conservation, questionnaires of each field used in previous literature reviews were collected and reviewed. Additionally, investigation process was conducted in accordance to the behavioral know-how required for energy conserva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developed questionnaire, it was possible to measure the stage of the target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changes according to the stages. Furthermore,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gender, and household structure. This study will begin with the preliminary survey and will conduct verification and measurement for many subjects in the future and become developed so that strategies can be provided upon planning of design for energy conservation.

      • KCI등재

        ASMR(자율 감각 쾌감 반응) 광고효과에 관한 융·복합 연구

        신민아(Sin, Min A),윤재영(Yun, Jae Yo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3

        본 연구는 최근 유튜브와 광고 분야에서 두각을 보이는 ASMR 광고 효과를 측정해보고자 시작되었다. ASMR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ASMR의 청각 자극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나 ASMR 광고 제작 시 이를 복합적으로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광고 수신자의 정보처리 유형별(수동적, 감정적, 인지적, 복합적) 효과적인 ASMR 광고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ASMR 광고 사례를 분석하고, 시각과 청각의 절제 정도에 따라 총 3 가지 광고(일반, 시각 절제, 시각/청각절제(ASMR))를 활용하여 광고효과(감정적 반응, 인지적 반응, 광고태도, 제품태도)측정을 이행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적 욕구가 높은 복합적, 감정적 정보 처리자들에게 시각/청각절제 광고(ASMR)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둘째, 인지적 욕구가 높은 인지적 정보 처리자들에겐 시각/청각절제 광고(ASMR) 효과는 미비하였다. 시각이 절제된 광고에 대해서는 각 정보처리 유형자 모두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SMR 광고는 일반 광고에 비하여 시각적(타이포, 배경), 청각적 요소가(대사, 배경음악) 절제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감정적 욕구가 높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SMR 광고의 시각, 청각의 절제는 광고 수신자들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더 쉽게 주목하고 집중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ASMR을 활용한 광고 제작 시 효과적인 전략으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The study was start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ASMR advertisement, which stands out recently in the fields of YouTube and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prior study of ASMR, the effect of stimuli using hearing varies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mplexly understand and apply this when making ASMR advertisement. The study aims to propose an effective ASMR advertisement strategy for each type of information processing(passive, emotional, cognitive, complex) of advertisement viewers. Three types of advertisement(Normal, Limited vision, Limited vision and hearing(ASMR)) were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emotional reaction, cognitive reaction, reaction toward advertisement, reaction toward product). The following are the result and content of the study. First, the advertisement with limited vision and hearing(ASMR) derived a positive effect from complex and emotional viewers with high emotional needs. Second, the advertisement with limited vision and hearing(ASMR) did not work well for cognitive viewers with high cognitive needs. Third, all types of viewers were relatively positive about the advertisement with limited vision. In conclusion, the ASMR advertisement was rated positively by the viewers with high emotional needs, although the visual elements(Typo, Background) and aural elements(Dialogue, Background Music) were more limited than the normal on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moderation of visual and aural elements of ASMR advertisement helps viewers to easily pay attention and focus on provided information. The study result will be used as an effective strategy when making advertisement using ASMR.

      • KCI등재

        직장인들의 에너지 소비 유형 분석과 에너지 피드백 디자인 제안

        신민아(Sin, Min A),윤재영(Yun, Jae Yo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0 No.-

        국내외 전체 에너지 소비율 중 산업용 에너지 소비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연구들은 가정 내 에너지 절약에 집중되어 있다. 직장내 에너지 소비 행동은 가정에서의 에너지 소비행동과 다른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가정 내 에너지 절감에 효과를 보인 전략들을 직장인들에게 동일하게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에게 효과적인 에너지 피드백을 제시하기 위하여 직장내 에너지 절약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분석하고, 에너지 소비 유형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직장 내 에너지 절약 행동은 의식요인(환경중시, 비용중시, 업무중시, 실천중시)과 행동요인(점심/퇴근시간에 개인/공동 물품관리) 그리고 조직요인(조직몰입/동일시, 대인관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요인들의 크기에 따라 직장 내 에너지 소비 유형은 4가지로 구분되었으며, 이들에게 요구되는 에너지 피드백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몰입이 높은 절약형(G1)은 에너지 절약방법 및 효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세분화하여 제시하는 방법이 권장된다. 둘째, 대인관계가 높은 절약 의식형(G2)은 에너지 절약 행동 요령을 제시하고, 절약을 실천할 경우 적절한 보상이 권장된다. 업무집중 낭비형(G3)은 자신의 사용량을 동료들과 공유하고, 비교하는 방법이 권장된다. 비의식 개인물품 낭비형(G4)은 에너지 절약에 대한 메시지를 담은 시각물을 통해 관심을 유도하고, 셀프 모니터링 시스템도입이 권장된다. Despite the high proportion of energy is consumed in industrial area, existing studies about energy conservation are concentrated on saving energy in homes. Because energy consumption behavior in the workplace differs from the energy consumption behavior in the home, strategies which were effective in reducing energy consumption at home are difficult to be applied to workers. In this study, key factors affecting energy conservation behaviors were analyzed and energy con- sumption types were distinguished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energy feedback to workers. As a result, the energy saving behavior in the workplace was found to be affected by conscious factors(considering environment, considering cost, considering action), behavioral factors (managing personal/public objects during lunch time/closing hour), and organizational factors (group immersion/identification, personal rel- ationship).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bove factors, the type of energy consumption in the workplace has been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nd appropriate methods of energy feedback are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about energy conservation methods and effects, and the granular data about the amount of consumed energy should be provided to workers who can be easily immersed in the group. Second, behavioral tips about energy conservation should be provided to workers who have good personal relationships, and proper reward should be also provided when they put energy conservation into practice. Third, Sharing and comparing their energy use with coworkers is encouraged for workers who tend to waste energy when they are focusing on their task. Finally, visual elements with energy saving messages and self- monitoring system should be provided to workers who have no desire to save energy in order to draw their attention.

      • KCI등재

        온라인 음악서비스에 대한 연령별 분석과 서비스디자인 제안

        신민아 ( Sin Min A ),김은미 ( Kim Eun-mi ),안민지 ( An Min-jee ),전재희 ( Jeon Jae-hee ),윤재영 ( Yun Jae-yo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2 No.-

        본 연구는 20대에 편향되어 있는 음악 서비스를 개선하여, 40대와 50대의 잠재적 사용자들을 확보하고, 나아가 각 연령층이 만족할 수 있는 음악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연령별 라이프스타일 및 음악 서비스 사용 행태 분석하고, 심층인터뷰를 통해 음악 서비스에 대한 니즈를 파악하였다. 니즈를 해결하기 위한 연령별 음악 서비스의 제안은 다음과 같다. 10대는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돌 팬덤 문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 온라인 소통 세대로, 가격할인과 팬심을 충족시킬 수 있는 이벤트 및 서비스가 요구된다. 20대는 대중문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 트렌드 민감 세대로, 트렌드를 반영한 파티, 연극, 콘서트 등의 관람 기회를 제공하고, 쇼핑 및 게임과 연계된 가격 할인이 요구된다. 30대는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실속파 세대로,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 또는 장르를 보다 편리하게 추천해주는 기능을 강화하고, 합리적인 가격 제시가 요구된다. 40대는 자녀양육과 가족중심의 실속파 세대로, 음악을 가족과 공유하는 등의 가족 소통 서비스와 친구에게 추천할 경우 특별 혜택을 주는 등의 이벤트가 요구된다. 50대는 TV에 영향을 많이 받는 세대로, 음악보다 영상에 친숙하며, 소통을 중시하므로 이들에게는 음악 서비스 내에 영상 콘텐츠를 강화하여, 음악 서비스 사용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The study suggested music service with which each age group can be satisfied through improving music service that is focusing the twenties and securing potential users of the forties and the fifties.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life style and use pattern for music service each age group and looked into needs for music service through in-depth interview. Suggestions for music service each age group to solve needs are as follows. Teenager as on-line communication generation who are highly affected by idol fantom culture they like requires price deduction, and event and service to satisfy mind of fan. For the twenties as trend-sensitive generation who are affected by popular cul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plan cultural event like party, play, concert etc. to reflect trend and to consider price deduction event connected to shopping and game. For the thirties as practical generation in pursuit of self-satisfaction, function to easily recommend music or genre they like should be enhanced. The forties as practical generation focusing on family and child nurturing require communication service with family like sharing music with family and event of special benefit etc. given when recommending music to friends. For the fifties who are highly affected by TV, they are familiar to image than music and put importance on communication, so it is required to improve access to use of music service and to provide community function by strengthening image contents in music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