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17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주재선(Jae-seon Joo),김영란(Young-ran Kim),송치선(Chi-seon Song),한진영(Jin-Young Han),송창균(Chang-kyoon Son),차지영(Chi-young Cha),이진숙(Jin-sook Lee),임연규(Yeon-gyu L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Changes in demographic and family structures that Korean society faces have a great impact not only on women’s lives but also on the lives of all members of the society. As these changes, epitomized by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are taking place rapidly, understanding these changes is a prerequisite for establishing various policies, including family or welfare policies. In particular, such changes are closely interrelated with diverse areas of liv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in sustainable and accurate manners women’s economic activity, decision-making methods and relationships in the family, social and cultural awareness and practices. This will enable the government to formulate and provide more proper policies. Data on women’s overall lives should be built in the form of longitudinal survey according to their life cycles rather than cross-sectional survey in order to identify exactly the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women’s policies. Because cross-sectional surveys cannot control the unobservable heterogeneity of changes in women’s lives, they cannot accurately estimate the impact of the variables of interest and thus have limitations when establishing and assessing women’s policies.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KWDI) has conducted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KLoWF) since 2006. The KLoWF is a national panel survey to capture changes in women’s lives, family structure, and jobs in order to accurately identify women’s characteristics and build a related database. Longitudinal survey data on changes in women’s lives have already been built partially in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urvey and other surveys, but most of these surveys are limited in performing a meaningful analysis of women’s sub-groups because they either failed to consider gender characteristics or lacked the number of women’s cases. Furthermore, the surveys have difficulty providing multi-faceted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changes in women’s lives because they are not equipped with optimized survey tools to analyze women’s complicated lives.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has been condu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longitudinal surveys. The KLoWF is designed to attain the following goals. The first goal i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of women’s increased economic activity and family-work reconciliation. The second goal is to examine empirically the living world of women and to predict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families in Korean society. The third goal is to provide rudimentary data throughout the overall process of policy-making on women and families by tracking a broad range of changes in important current social issues of Korean society, including low fertility, aging, child care, work-family reconciliation, and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Beginning its first-wave survey of 9,997 women between full ages 19 and 64 in 9,068 households in 2007, the KLoWF conducted its second-wave survey in 2008, the third-wave survey in 2010, the fourth-wave survey in 2012, fifth?wave survey in 2014, and completed the sixth-wave survey as of 2017. Also, by adding a new panel of 2,049 households in the sixth-wave survey, the KLoWF secured cross-sectional representation of the panel and prepared for panel retention and management for the coming decade as well. Based on its necessity, the 2017 research was conducted to achieve policy goals and promote the usage of research. Main contents of the research include: first, it completed an actual inspection of the sixth-wave main survey (second round) and additional surveys, and analyzed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sixth-wave panel. Second, it carried out various in-depth studies to develop women’s policies by holding academic symposiums for experts regarding the first- to sixth-wave survey data. 제1부 여성가족패널 개관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저출산·고령사회’로 요약되는 이 변화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빠른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해 가족정책 혹은 복지정책 등 다양한 정책 수립 시 이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함. 더욱이 여성정책의 주요 이슈는 여성의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나타남에 따라, 여성의 경제활동과 관련된 문제는 노동시장 관련 요인들뿐만이 아니라 가족구조, 가족 내 의사결정 구조 및 관계, 사회 및 문화적인 의식과 관습 등 노동시장 밖의 요인의 변화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함. ○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이러한 여성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구축하기 위해 2006년부터 여성의 삶과 가족의 구조, 일자리 등의 변화실태를 파악하는 전국 규모의 패널조사인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를 실시하고 있음. 여성가족패널조사는 2007년도에 전국 9,068가구 내 만 19세부터 만 64세 여성 9,997명을 표본으로 시작하여 2017년 6차 웨이브 조사를 완료함. 또한 6차 웨이브 조사는 신규패널 2,049가구를 추가함으로써 횡단면 대표성 확보와 더불어 향후 10년간의 패널 유지 및 관리를 대비함. ○ 2017년 연구는 정책적 목적과 연구적 활용도를 제고하고자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함. 첫째, 6차 웨이브 본조사(2차)와 부가조사의 실사를 완료하고 6차 웨이브 패널의 기초특성을 분석하며, 둘째 1∼6차 웨이브 패널에 대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학술심포지움을 개최하여 여성정책개발을 위한 다양한 심층연구를 실시함. 그리고 셋째, 패널의 대표성과 품질향상을 위해 패널추가를 실시하고, 넷째, 패널관리와 7차 웨이브 조사를 위해 중간 필드워크(interim fieldwork) 조사를 실시함. 다섯째, 사용자 중심의 편리성을 강화하기 위해 1∼6차 웨이브 데이터 구조를 통일하고 다양한 데이터 셋(data set)을 형성하며, 여섯째, 여성가족패널조사의 특성을 홍보하기 위해 여성가족브리프를 발간(연 2회)하고 국·영문 홈페이지 관리, 패널포럼 개최 등 주요 사업을 실시함. 2. 연구내용 및 방법 ○ 첫째, 6차 웨이브 본조사를 완료함. 6차 웨이브 조사는 9,606가구의 여성 적격가구원 12,285명과 6차 웨이브 조사 분가가구 및 분가가구의 적격가구원을 대상으로 조사함. ○ 둘째, 1∼6차 웨이브 조사 자료를 국내외 전문가를 대상으로 공개하고 2017년 여성가족패널조사 학술심포지움을 개최함. 2017년 학술심포지움은 한국사회학회와 공동으로 주최하여 개최되었으며, 여성가족패널조사의 품질 진단과 정책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됨. ○ 셋째, 6차 웨이브 조사결과에 대한 기초분석을 실시함. ○ 넷째, 1∼6차 웨이브 자료를 이용하여 심층연구를 실시함. 심층연구는 최근 이슈를 여성가족패널조사로 분석하여 정책적 함의를 이끌어 냄. ○ 다섯째, 패널의 피로도 증가로 인해 원표본의 이탈이 높아짐에 따라, 표본의 대표성을 강화하고 향후 10년 조사를 대비하기 위해 패널 보완을 실시함. ○ 여섯째, 표본추가에 따른 모수추정 및 가중치 부여 방안을 연구함. ○ 마지막으로 국문 및 영문 홈페이지의 개선, 각종 지침서 영문화, 여성가족패널 브리프 발간, 여성가족패널포럼 운영 등을 통해 여성가족패널의 이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와 편의성을 제공하고 연구자의 패널 분석 역량을 강화함. 3. 2017년도 연구추진 개요 □ 2017년 연구추진 현황 ○ 2017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워크숍 개최 ○ 성과보고회 및 착수보고회 개최 ○ 6차 웨이브 본조사 및 신규추가표본 조사 완료 ○ 6차 웨이브 본조사 및 신규추가표본 조사 데이터 클리닝 실시 ○ 사용자 중심의 데이터 셋 구성 및 1∼6차 웨이브 데이터 구조 일치 작업 ○ 2017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중간보고회 개최 ○ 패널포럼 개최 ○ 여성가족패널 브리프 발간 ○ 국문 및 영문 홈페이지 리뉴얼 및 운영 ○ 2017년 여성가족패널조사 방법론 교육 워크숍 개최 ○ 2017년 중간 필드워크 ○ 2017년 통계청 정기 품질진단 수행 ○ 2017년 여성가족패널조사 학술심포지움 개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