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질환자의 우울에 대한 연구: 자기효능감 및 가족강인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송자경 ( Ja Kyung So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27 No.-

        우울은 다양한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경험하는 간질환자의 대표적인 정서문제로서 본 연구는 간질환자의 우울에 대한 자기효능감, 가족강인성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소재한 5개 간질환자 치료기관을 이용하는 간질환자 70명이었다.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특성에 따른 연구변인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간질환자의 우울과 자기효능감과 가족강인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관관계 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질환자들의 삶의 어려움은 미래 삶 걱정이 가장 높은 평균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질환자의 우울은 연령, 종교, 결혼상태, 그리고 가족 중 대화상대 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자기효능감은 학력, 소득, 그리고 가족 중 대화상대자 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가족강인성은 학력, 가족 수, 가족 수, 가족 중 대화상대 수, 그리고 유병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셋째, 간질환자의 우울은 자기효능감 및 가족강인성과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적인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간질환자의 자기효능감 및 가족강인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령, 학력, 종교, 소득, 가족 수, 발작형태, 발작빈도, 유병기간 등을 통제변인으로 두고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가족강인성은 모두 우울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Among people with epilepsy, mental health problem is common, with an elevated rate of major depression. This study explored how self-efficacy and family hardiness among individuals with epilepsy relate to depression. A structured questionaire was administrated to 70 individuals with epilepsy aged between 20-65years and having epilepsy for more than 1 year`s duration,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most serious problem of epilepsy was the worry about future life. Depression of epilepsy differed when they were compared in terms of age, religion, marital status,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sharing communication. It also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on, self-efficacy and family hardiness. Using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lf-efficacy and family hardiness among adult epilepsy had an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The controlled variables were age, income, educational experiences, seizure type, seizure frequency, and duration of illness. In conclusion, positive self efficacy and family hardiness are important predictors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epilepsy.

      • KCI등재
      • KCI등재

        자기효능감과 가족요인이 성인 간질환자의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송자경 ( Ja Kyung So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가족복지학 Vol.24 No.-

        간질은 만성 신경계 질환으로, 간질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약물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며, 간질을 일으킬만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생활 속에서 관리해 나가야 하는 자기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에 사용한 개념적 틀은 Bandura(1986)의 인간의 행동을 결정짓는 것은 개인의 내적, 환경적, 그리고 행동적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한다는 상호작용(triadic reciprocality) 이론이다. 본 연구는 간질환자의 자기관리를 설명하는 내적변인에 자기효능감, 환경 변인으로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을 주요 연구변인으로 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연구결과,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가족통정감 및 가족강인성보다 간질환자의 자기관리를 보다 잘 예측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가족요인들이 함께 투입된 모델의 변량은 자기효능감이 단독으로 투입된 경우의 변량보다 간질환자의 자기관리를 보다 더 의미 있게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간질환자의 자기관리에 있어 자기효능감의 중요한 역할과 함께 가족요인의 의미 있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간질환자의 자기관리에 있어 자기효능감의 강화와 함께 내적, 환경적, 행동적 변인들과의 관계에 대한 보다 정교한 검증과 분석으로 자기관리가 충실히 수행되는 상황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Epilepsy is a chronic condition; individuals with epilepsy must learn various skills and techniques to control the frequency of their seizures, including taking medications on a regular basis, avoiding situations that cause seizures, and managing st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 efficacy and family factors effecting self management of individuals with epilepsy. A total of 70 adults with epilepsy visiting the Epilepsy Center and Rose Club were recruited. The framework from Bandera`s (1986) "triadic reciprocality" theory. Self efficacy represented an internal personal factor, family coherence and family hardiness represented an environmental factor, and self-management of epilepsy represented the behavior factor.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lf-efficacy was demonstrated to be a greater predictor of self-management for adults with epilepsy than family coherence and family hardiness. For further study, there is a need for more refined testing and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environmental, and behavioral factors to evaluate the conditions under which self-management is enhanced.

      • KCI등재후보
      • 휴대용 GPS의 정확도 표현 지도 제작

        양현동(Hyeon-Dong Yang),김정수(Jung-Su Kim),문현석(Hyun-Suk Moon),기선(Ki-Sun Song),송자경(Ja-Kyung Song),권재현(Jay-Hyoun Kwo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6

        본 연구에서는 현재 생활 속 위치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각종 GPS 단말기들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휴대용 GPS의 주어진 사양과 성능 및 정확도의 검증을 수행하여 보았다. 도심지역과 산악지역을 RTK 방식으로 측정한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3종의 휴대용 GPS 단말기를 통해 측정한 위치좌표를 비교한 후 각 단말기의 위치별 정확도를 통계적 분석 후 지도상에 범례를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그 결과, 도심지역의 경우는 주위의 건물에 의해 정확도에 영항을 많이 받았으며 산악 지역의 경우에는 수목이 우거진 정도에 따라 정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정확도를 지도로 표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확도에 따른 휴대용 GPS의 활용방안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도 시각 장애인 네비게이션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중년기 여성 당뇨병 환자의 자기관리

        송자경,장수미,최정숙,김연수,정춘희 대한당뇨병학회 2002 임상당뇨병 Vol.3 No.1

        연구배경 : 중년기 여성 당뇨병 환자의 자기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자기관리능력에 대한 기초자료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 당뇨병 환자의 자기관리 역량정도를 연구하기 위해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문제해결 능력, 그리고 당뇨병관리의 자기책임의 4부문으로 개념화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내분비내과 외래를 치료받기 위해 방문한 40~60세사이의 중년기여성 당뇨병 환자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중년기 여성 당뇨병 환자의 자기관리의 역량은 4.0만점 기준 평균이 2.81이었다. 자기관리역량을 구성하는 하위개념으로, 자기효능감 2.93, 사회적지지 2.54, 문제해결능력 2.56, 당뇨병관리의 자기책임 3.22의 각각 평균값으로 나타났다 (1점: 항상 그렇지 않다, 2점: 때때로 그렇지 않다, 3점: 때때로 그렇다, 4점: 항상 그렇다). 이것은 중간정도의 자기관리역량이었다. 당뇨병 환자들은 당뇨병관리의 자기책임을 인식하지만 실제적으로 자기관리를 실행해 나가는데는 능력의 한계와 어려움이 있다. 환자들이 희망하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는 이미 경험한 프로그램내용보다 스트레스 관리, 심리적 어려움, 문제해결, 자신감향상, 가족의 지지 등 다양한 심리 사회적 욕구가 반영된 교육프로그램을 원하였다. 결론 : 중년기 여성 당뇨병 환자들의 자기관리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자기효능감 증진, 가족 및 사회적 지지의 획득, 문제해결능력 강화, 그리고 당뇨병관리의 자기책임 인식과 동시에 이를 주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ceived level of empowerment of self management in middle aged women with diabetes in order to develop a self management of empowerment education program for diabetes. Method: To study self management of empowerment for diabetes, we classified four concepts such as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problem solving and recognized responsibility, which were the components of empowerment. The subjects were 37 middle aged (40~60) women with diabetes who came to be treated their diseases at the endocrinology out patient clinic in a medical center at Wonju City. Results: This study found a low level of empowerment of self management in middle aged women with diabetes. The mean scores for empowerment of self management were 2.81. The sub-concept of empowerment for self efficacy was 2.93, social support, 2.54, problem solving, 2.56, and recognized responsibility of self management, 3.22 (1.0: usually not, 2.0: sometimes not, 3.0: sometimes, 4.0: usua lly). Generally, the results suggest that middle aged women with diabetes have the moderate level of empowerment in self management. Patients with diabetes recognize the responsibility of self control in diabetes, but have difficulties and stresses in managing diabetes. The patients with diabetes presented psycho-social needs which are real programs needed for treating their diabetes such as stress management,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family support, etc . Conclusion: It is needed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o enhance self efficacy, structure family and social support, exercise problem solving for middle aged women with diabetes and obtain subjective responsibility in the performance of self management with diabetes.

      • 중년기 여성 당뇨병환자의 자기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장수미,최정숙,김연수,송자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1 No.-

        당뇨병은 조절은 가능하지만 완치되지 않는 만성 질환으로, 약물요법,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자기관리가 필요한 병이다. 당뇨병은 자기관리가 잘 이루어진다면 정상인과 같은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이점을 갖지만, 평생동안 혈당 조절을 계속해야한다는 자기관리에 대한 부담으로 다른 어떤 만성질환보다 삶을 위축시킬 가능성이 크다. 특히, 중년기여성에게 있어 당뇨병은 중년기의 발달 단계적 특성으로 인한 어려움과 함께 당뇨병에 대한 자기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오는 문제를 동시에 갖게 해 효과적인 당뇨병 자기관리를 더욱 어렵게 한다. 현재 임상현장에서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개입은 연령, 성별과 무관한 정보제공중심의 교육적 접근이 전부인 실정으로, 중년기 여성 당뇨병환자의 상황과 욕구를 반영하는 프로그램이 개발·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중년기 여성 당뇨병환자의 욕구를 반영하고 스스로가 당뇨병을 잘 관리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함께 지속적인 동기화률 통해 적절한 혈당관리와 건강한 삶을 누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복지적 개입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개발 을 위하여 문헌고찰과 일 중합병원의 중년기 여성 당뇨병환자 대상 욕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강화(empowerment), 즉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 문제해결 능력, 당뇨관리 의사결정 책임 강화를 프로그램 개발의 구성요소로 하여 사회복지사에 의해 실시되는 중년기 여성 당뇨병환자의 자기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Diabetes is a controllable but incurable chronic disease that needs constant self management of the blood sugar level through medications, diet and exercise. If managed properly diabetics can live a normal life but the burden of having to manage one's blood sugar level for life can restrict their daily living. Especially, midlife diabetic women have to deal with the problems of self management of diabetes along with the problems pertain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midlife. In the current clinical setting, intervention is limited to providing educational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patient's age or sex and there are no program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midlife diabetic women. So, the development of a social welfare interventional program that targets on maintaining an adequate blood sugar level and pursuing a healthy life through continuous motivations and self confidence is necessary. The authors reviewed the literature and performed a need assessment study, and based on this, developed a self management program for midlife diabetic women using empowerment, or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problem solving ability, enhancement of decision-making responsibilities in diabetes management as the constructs of program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