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만금 배후 간척농지 퇴수지인 계화조류지의 퇴적물 오염특성 및 대책방안

        송영희 ( Younghee Song ),남귀숙 ( Gui-sook Nam ),이의행 ( Eui-haeng Lee ),황선경 ( Sun-kyung Hwang ),홍대벽 ( Dae-byuk Hong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새만금호의 수질보전을 위해서는 호 내부개발지 뿐만 아니라 새만금호와 인접한 배후지역의 수질오염물질 배출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수질보전대책이 필요한데, 그 연구의 일환으로 2008년에서 2009년까지 3회 조사를 거쳐 퇴적물의 오염특성과 용출특성을 분석하고 대책방안을 강구해보았다. 계화조류지에서 총 20개의 퇴적물 코어샘플과 Grap Sampler를 이용한 9개의 표층시료를 채취하여 물리, 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계화조류지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은 0.33%~4.24% 범위로 나타났고 강열감량은 0.8∼7.2% 범위로 조사시기와 지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조류지 지점 별 As, Cd, Cu, Pb, Zn, Ni의 함유량 분석결과는, 토양오염우려기준과 비교했을 때 모든 항목이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퇴적물의 심도 별 중금속 함유량 분석결과는 Zn이 심도가 깊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 외에는 중금속 함량변화는 없었다. 2009년 9월 조사에서 호내 퇴적물의 T-N 함량 범위는 674.0~2,382.0 mg/kg(평균 1,407.0 mg/kg), T-P의 경우는 335.0~1,806.0 mg/kg (평균 713.0 mg/kg)으로 T-N 함량이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N은 2008년 5월에 비해 3배, T-P는 2배 정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퇴적물 산소요구량(SOD)은 0.96∼1.20g/㎡/day 범위로 조사되었고, 조류지 지점 별로 SOD 값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 같은 SOD의 값은 최대 강 하구의 갯벌, 최소 모래하상, 광물질을 함유한 토양, 일반 저수지나 호소의 퇴적물이 소비하는 산소량과 유사하다. 계화조류지의 퇴적물에 대한 호기성 및 혐기성 용출시험 결과를 종합해보니, 호기성 상태에서 총질소의 용출속도는 계화지구 59~71 mg/㎡/day는 얕은 호소의 퇴적물을 대상으로 호기성 상태에서 측정한 최대 수치보다는 상회하였으나 부영향화 상태의 오염된 호소에서의 용출속도 20.3~215 mg/㎡/day보다는 작았는데 이와 같은 경향은 암모니아 질소(NH<sup>4+</sup>)도 유사하였다. 계화조류지의 퇴적물을 준설했을 경우 영양분과 중금속 함유량이 적고 대부분 토성이 Sandy Loam이나 특이산성토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식물이 식재되어지는 습지 등의 조성 용도보다는 추후 조류지의 호안정비 용도나 새만금 내부개발 공사시 매립용도로 재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농업용저수지의 인공식물섬 설치 면적에 따른 동ㆍ식물 플랑크톤의 군집 변화 특성

        송영희 ( Younghee Song ),엄한용 ( Hanyong Um ),박구성 ( Kusung Park ),박선구 ( Sungoo Park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2008년 8월 12일에서 22일까지 7회에 걸쳐 신구저수지에 인공식물섬의 적정한 면적을 구하기 위하여 메소코즘을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메조코즘의 규격은 격자형의 5개의 메조코즘(1.2*1.2*2.5m)을 제작하고 대조군, 수표면적의 35%에 해당하는 0.5㎡ 크기의 노랑꽃창포를 식재한 이중식재기반인공식물섬, 수표면적의 17.4%에 해당하는 0.25㎡ 크기의 이중식재기반인공식물섬, 수표면적의 8.7%에 해당하는 0.125 ㎡ 크기의 이중식재기반인공식물섬, 수표면적의 4.3%에 해당하는 0.0625 ㎡ 이중식재기반인공식물섬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 경과 일 수 별로 동물 플랑크톤의 종류와 개체수를 파악하여 효과를 검토해 보았다. 메소코즘 중 대조구에서는 원생동물 1종, 윤충류 15종, 지각류 3종, 요각류 3종이 포함되어 총 22종이 출현하였다. 그 중에서 윤충류인 Trichocera marina를 제외하고는 개체수가 6일째 이후부터 크게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메소코즘 중 피복률 35%에 해당하는 실험구에서는 원생동물 2종, 윤충류 16종, 지각류 2종, 요각류 2종이 포함되어 총 22종이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동안 윤충류 3종이 우점하다가 조사 일수가 지날수록 전반적으로 개체수가 줄어들게 된다. 특히, 실험 8일째 원생동물인 Pontigulasia를 제외한 다른 동물플랑크톤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10일째 이후 일부가 다시 보였다. 메소코즘 중 피복률 17.4%에 해당하는 실험구에서는 원생동물 1종, 윤충류 13종, 지각류 3종, 요각류 2종을 포함되어 총 19종이 출현하였다. 메소코즘 중 피복률 8.7%에 해당하는 실험구에서는 원생동물 1종, 윤충류 13종, 지각류 4종, 요각류 1종이 포함되어 총 19종이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윤충류인 Brachionus calyciflorus은 실험 3-5일째까지 개체수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Polyarthra remata는 실험 1일째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메소코즘 중 피복률 4.3%에 해당하는 실험구에서는 원생동물 2종, 윤충류 16종, 지각류 2종, 요각류 2종이 포함되어 총 22종이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윤충류 3종이 실험 3일째까지 늘어나다가 조사일수가 지날수록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실험 8일째 원생동물인 Pontigulasia를 제외한 다른 동물플랑크톤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10일째 이후 일부가 다시 보였다. 식물플랑크톤은 피복률 35%에서 실험 4일째 급격히 세포수가 감소하였고, 그와 더불어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도 동반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피복률 8.7%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이 적정수를 유지하면서 식물플랑크톤을 먹이원으로 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수도 급격히 떨어지지는 않았다. 이와 더불어 DO(용존산소)용도도 다른 시험구에 비해 40% 정도 감소하는 것에 그쳤다. 피복률 35%는 투명도는 크게 높아졌으나, DO가 60% 이상 감소하여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자정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전반적인 경향들을 종합해 보면 피복률 약 8% 정도가 장기적 수질개선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 경안천수계 녹조방지를 위한 천적생물 배양시스템 적용

        송영희 ( Younghee Song ),이의행 ( Eui-haeng Lee ),김미리내 ( Mi Ri Nae Kim ),남귀숙 ( Gui-sook Nam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본 연구는 하천의 녹조 발생등의 수질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녹조제어기술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녹조원인종에 대한 다양한 섭식능을 가진 우수한 천적생물 종주를 확보하여 녹조발생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생태적으로 안전한 생물학적 제어기술을 개발하여 실용화하고자 한다. 현장적용 실험을 위해 녹조현상을 잘 구현하는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도마리 광동교 일원의 경안천 만입부에 천적생물 배양시스템을 설치하였다, 천적생물 배양장치는 일정한 유량의 하천수가 원수조로 유입되어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으로 분리되어 각각 식물플랑크톤 배양조와 동물플랑크톤 배양조로 분배되며, 동물플랑크톤 배양조에서 원수에서 분리된 동물플랑크톤이 식물플랑크톤을 먹이원으로 섭취하며 최대번식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배양장치의 포식성 천적생물 배양용량은 10m3 배양조 2 set로 총 20 m3 규모이며, 천적생물배양장치는 당초 육상형에서 수면부상형으로 변경하여 설치하였으며, 대규모 물탱크를 포함한 배양장치의 총중량이 약25 ton으로 수면 부상시키기 위해 안전율을 고려하여 40 ton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부유체를 설계하였다. 천적생물 배양장치는 크게 양수펌프, 원수분리조, 식물플랑크톤 배양조, 동물플랑크톤배양조, 실내배양조, 방류장치, 부체(바지선)으로 구성되었으며, 동식물플랑크톤의 효과적인 생장을 위해 교반장치, 인공식물섬 등을 부수장치로 추가하였다. 설계 인자는 새만금수역 적녹조대책 현장적용시험의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체류시간은 4일로 하였고 녹조 발생시 일시에 투입할 수 있는 동물플랑크톤 배양액은 20 ㎥으로 하였다. 원수분리조는 동식물플랑크톤이 분리되는 역할을 하며 2단 플랑크톤 분리막이 설치하였고, 80㎛의 막에서는 후단의 부유물질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물질을 걸러주며 후단의 20㎛ 막에서 동물플랑크톤이 분리된다. 식물플랑크톤 배양조는 계열당 4 m3/day의 물이 유입되어 1.5 day동안 체류하며 식물플랑크톤을 고농도로 배양한다. 배양조의 중앙에는 풍력교반기를 대신하여 수중 펌프를 설치하어 배양액을 균질 교반한다. 동물플랑크톤배양조는 8 m3/day의 유량으로 식물플랑크톤배양액과 원수 중 식물플랑크톤을 배제하고 동물플랑크톤이 집적된 여과 전 원수가 유입되며 총용량 20 m3로 녹조발생 시 배양액전량 투입된다. 천적생물 배양장치는 시험가동을 거쳐 현재 세부 조건배양실험과 효과분석 실험 등을 실시하고 있다.

      • KCI등재

        판별분석을 이용한 대학생 지연행동 예측

        송영희(Song, Younghee),이윤주(Lee, Yoonjoo)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어떤 심리적 특성의 대학생들이 지연행동을 하는가를 판별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6개 대학교 752명을 대상으로 지연행동, 비합리적 신념(성취욕구, 편안함 욕구, 자기비하, 타인비하, 승인욕구, 공평성 요구), 목표안정성, 자기조절학습 효능감 수준을 측정하였다. 752명 중 대학생들의 지연행동 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상위 25%이상과 하위 25%이하 집단으로 구분한 결과 지연행동 수준이 높은 대학생이 119명, 지연행동 수준이 낮은 대학생 120명이 선정되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단계적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목표안정성, 자기조절학습 효능감, 승인욕구, 자기비하 수준이 지연행동 수준이 높은 집단과 지연행동 수준이 낮은 집단을 유의하게 판별하였으며, 이들 네 심리적 특성에 의한 판별함수에 의해서 87.6%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차 타당화 검증에서도 목표안정성, 자기조절 효능감, 승인욕구, 자기비하를 예측변인으로 한 판별모형이 지연행동 정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변별했을 때 86.3% 정확하게 분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연행동 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이 목표안정성, 자기조절학습 효능감, 승인욕구, 자기비하에 의해서 판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지연행동 경향성이 높은 고 위험 대학생들과 지연행동 경향성이 낮은 저 위험 대학생들을 변별해낼 수 있는 판별모형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better understand the discriminant functions which differentiate undergraduates at higher risk of procrastination and those undergraduates at lower levels of risk of procrastination. For this purpose, 752 undergraduates from 6 universities completed four measures of procrastination; irrational beliefs, goal stability and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We classified the students into a high and low risk group as the mean +25% and –25% amongst the 752 participants. This yielded 119 undergraduates classified as high and 200 undergraduates classified as low in terms of procrastination. Stepwis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revealed a function containing 4 variables (goal stability,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self-downing and the need for approval), which was found to be 87.6% accurate in classifying the sample into either high or low in terms of procrastina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group at high-risk of procrastination and the group at low-risk of procrastination can be differentiated effectively with the measures of goal stability,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self-downing and the need for approval.

      • KCI등재
      • 농업용저수지의 인공서식처 조성에 따른 동ㆍ식물플랑크톤의 군집 변화 특성

        송영희 ( Younghee Song ),엄한용 ( Hanyong Um ),남귀숙 ( Guisook Nam ),홍대벽 ( Daebyuk Ho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2008년 9월 2일에서 17일까지 신구저수지에 메소코즘을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메조코즘의 규격은 격자형의 4개의 메조코즘(1.2*1.2*2.5m)를 제작하고 대조군, 부유형호안수초대, 부유형그물수초대, 침수인공식물섬 등으로 나누어 다양한 서식처 적용을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고, 실험 일수 별로 동, 식물 플랑크톤의 종류와 개체수를 파악하여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메소코즘 중 대조군에 해당하는 실험구에서는 윤형류 11종, 지각류 3종, 요각류 1종이 포함되어 총 15종이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윤충류인 Trichocera marina, Pompholix complanata, Keratella valga가 우점하다가 조사 일수가 경과 할수록 개체수가 줄어들었다. 반면 지각류와 요각류는 실험 10일째 이후 수가 증가하였다. 부유형호안수초대가 설치된 실험구에서는 원생동물 1종, 윤충류 11종, 지각류 3종, 요각류 1종이 포함되어 총 15종이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동 안 대조구와 같이 윤충류 3종이 우점하다가 조사 일수가 지날 수록 전반적으로 개체수가 줄었다. 특히, 실험 10일째 이후 윤충류의 개체수가 줄어들고, 반면에 지각류의 개체수는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부유형그물수초대가 설치된 실험구에서는 원생동물 1종, 윤형류 11종, 지각류 3종, 요각류 1종을 포함되어 총 15종이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동안 윤충류인 Keratella valga, Trichocera marina, Polyarthra remata, Pompholix complanata가 우점하다가 조사 일수가 지날수록 전반적으로 개체수가 줄어들었다. Pompholix complanata는 실험 15일째 개체수가 다시 급격히 늘어났다. 지각류는 전체적으로 출현빈도가 낮았으며, 실험 10일째 일부 관찰되었다. 메소코즘 중 침수인공식물섬가 설치된 실험구에서는 원생동물 1종, 윤충류 11종, 지각류 3종, 요각류 1종이 포함되어 총 15종이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윤충류인 Keratella valga, Polyarthra remata, Trichocera marina가 우점하다가 조사일수가 경과 할수록 개체수가 줄어들었다. 지각류는 실험기간동안 거의 관찰되지 않다가 실험 10일째부터 Bosmina coregoni와 Bosmina longispina가 출현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서식면에 있어서 부유형호안수초대와 침수인공식물섬이 비교적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식물플랑크톤은 초기 출현종의 80-93.7%가 남조류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남조류이 비중은 실험 종료시 대조군은 97%, 부유형호안수초대는 63.8%, 부유형그물수초대는 98.1%, 침수인공식물섬은 56.2%로 나타났다. 특히나 침수인공식물섬은 총 개체수가 185,794 cells/㎖에서 6,764 cells/㎖ 로 90% 이상 급감하였고 종수에 있어서도 7종으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는 다른 실험구에서 16-18종이 출현하는 것과는 현저히 다른 양상을 보인 것이다. 그 다음으로 부유형호안수초대에서 일부 식물플랑크톤의 제어효과를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인공수초대에 서식하는 동물플랑크톤의 먹이섭식의 영향으로 보여진다.

      • 경안천 하류 수질변화 특성

        이의행 ( Eui-haeng Lee ),송영희 ( Younghee Song ),김미리내 ( Mi Ri Nae Kim ),남귀숙 ( Gui-sook Nam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경안천은 팔당호 유입유량의 약 2.5%만을 차지하지만, 인구와 각종오염원이 밀집되어 있어 유기물 오염 및 부영양화가 심각하다. 특히, 광동교는 경안천의 팔당호 유입부로서 하폭이 넓고 팔당호의 조절에 따라 수위변동이 크지 않아 정체수역의 특성을 보이며, 또한 문헌에 따르면, 경안천 ~ 팔당댐 구간 중 본 연구 지점에서 부영양화의 간접지표로 활용되는 Chl-a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류대발생(녹조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경안천의 수질변화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3지점을 선정하였는데, PD1은 정체구간, PD2는 흐름이 있는 구간, PD3은 하천의 만입부로 나눠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0년 4월부터 월 2회(단 집중강우기인 7, 8월은 월 1회 조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수체 내 유기물 오염지표인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PD1에서 평균 9.7 mg/L로 PD2(평균 7.1 mg/L, 범위: 5.0 ~ 9.0 mg/L) 및 PD3(평균 7.9 mg/L, 범위: 5.0 ~ 10.8 mg/L)에 비해 높은 농도를 보였다. 연구대상지의 Chl-a 평균 농도는 PD1(54.6 mg/m3) > PD3(42.3 mg/m3) > PD2(33.8 mg/m3)의 순으로 나타나 유수구간(PD 2)에 비해 정체구간(PD 1)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때, 연구기간동안 Chl-a 농도는 COD 및 SS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식물플랑크톤의 증감이 수체 내 유기물 농도변화를 유발하였으며, 이들 식물플랑크톤은 VSS(유기성 부유물) 증감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총인(TP)은 PD1(평균 0.096 mg/L), PD2(평균 0.079 mg/L), PD3(평균 0.095 mg/L)로 나타났고, PO4-P의 경우, PD1(평균 0.034 mg/L,), PD2(평균 0.027 mg/L), PD3(평균 0.028 mg/L)로 정체구간에서 높고, 유수구간에서 낮게 나타나 정체구간에서 물질퇴적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천적생물을 이용한 적ㆍ녹조관리 배양시설 운영

        남귀숙 ( Guisook Nam ),송영희 ( Younghee So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폐쇄화된 인공호소에서는 유역으로부터 지속으로 유입되는 질소, 인등의 영양물질 과잉으로 인해 정체수역을 중심으로 심각한 수준의 적조 또는 녹조가 발생한다. 적조 또는 녹조는 공중보건 문제를 일으키며, 동시에 수산ㆍ양식업에도 피해를 준다. 적ㆍ녹조 발생 후 식물플랑크톤 사체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 빈산소 상태로 발전하여 어패류들이 호흡 장애로 폐사한다. 고밀도의 적ㆍ녹 생물세포가 분비하는 점액물질로 인해 해수의 점도가 높아져 어류가 유영하기 힘들어지며, 아가미를 막아 어패류가 질식하기도 한다. 한편 유독성 와편모조류가 적조를 일으킬 때는 어류들의 신경마비 현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현재 이들 적녹조 생물을 생물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적녹조 원인 생물을 선택적으로 포식하는 천적생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수역에서 분리된 천적생물을 실내 대형배양조에서 대량배양한 후 수역으로 이동하여 방류함으로써 적녹조 제어에 효과를 입증한 사례들이 있다. 그러나, 이럴경우 수역에서의 적응성이 떨어져 생존율이 낮아 효과를 기대하는데 장시간이 걸리며, 실내배양, 운반, 살포 등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경제적으로 취약함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폐쇄화된 인공호소의 주요 문제가 되고 있는 적조 또는 녹조의 생물학적 제어를 위해 이들 원인생물을 섭식하는 천적생물로서의 동물플랑크톤을 현장배양하여 수역에 적용한 운영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시설은 전북 부안군 동진면 문포항에 위치하며, 0.6톤의 소형배양조 6개와 항온시설을 가지고 있는 실내배양장치와 6톤의 대형배양조 6개로 구성된 야외 배양조로 구성되어있다. 원수는 최근 인공호소로서 방조제가 체절된 새만금 수역의 물을 양수장치를 통해 양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천적생물은 호소수인 원수를 80um net로 여과하여 집적배양한 1단계시스템과 호소수에서 직접 천적생물을 분리하여 실내배양조에서 순수 배양하여 점차 용량을 확대하여 수역에 바로 방류하는 2단계 시스템으로 구상하였다. 1단계의 경우 수역에 적조 및 녹조생물을 초기에 억제할수 있는 방안이 되며, 2단계의 경우 수역에 적조 또는 녹조가 대량 발생할 경우 즉시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된다. 원수의 식물플랑크톤(적ㆍ녹조원인생물)이 80㎛의 플랑크톤네트를 통과한 후 2개의 식물플랑크톤배양지로 공급되어져 천적생물, 즉 동물플랑크톤의 먹이원으로써 대량 배양되어지며, 2개 식물플랑크톤 배양전 네트에 걸린 대부분의 동물플랑크톤은 식물플랑크톤배양지의 후단에 각 2개씩 연결 설치된 동물플랑크톤배양지로 공급되어져 식물플랑크톤배양지로부터 공급된 먹이원을 이용하여 대량 배양되는 시스템으로 설계가 되었다. 2008년 5월~11월까지 운영한 결과 식물플랑크톤배양지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이 94~15,374 cells/m 로 많은 수가 발견되었고, 반면에 동물플랑크톤은 여과되어져 0~26 inds./ℓ의 개체수가 관찰되어 여과로 인한 동물 플랑크톤의 배제가 잘 이루어졌다, 동물플랑크톤배양지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이 1~ 6,611 cells/㎖ 로 식물플랑크톤배양지인 A, B에 비해 적은 수가 관찰되었고, 동물플랑크톤은 2~260 inds./ℓ로 많은 개체수가 발견되어 뚜렷하게 각각의 배양지가 그 기능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