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중첩증에서 비수술적 정복의 실패 위험인자

        고광민,송영우,제보경,한재준,우찬욱,최병민,이정화,Ko, Kwang-Min,Song, Young-Wooh,Je, Bo-Kyung,Han, Jae-Joon,Woo, Chan-Wook,Choi, Byung-Min,Lee, Jung-Hwa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8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1 No.2

        목 적: 장중첩증의 일차적인 치료로 사용되는 비수술적 관장 정복은 장천공, 쇼크 그리고 복막염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과 불필요한 스트레스 및 과도한 방사선 노출의 위험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리한 비수술적 정복의 시도를 피하기 위하여 장중첩증 환자의 임상 양상 및 검사 소견 중 비수술적 정복 실패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고려대학교 의료원 안산병원에서 1998년 3월에서 2006년 7월까지 장중첩증으로 진단되어 치료받았던 환자 314명 중 비수술적 정복이 시도되었던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수술적 정복의 성공 군과 실패군으로 나누어 성별, 연령, 임상증상 및 이학적 소견 그리고 증상의 시작에서 비수술적 정복술을 시도하기까지의 시간과 비수술적 정복 실패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비수술적 정복 실패 군의 경우 성공 군에 비해 연령이 어렸고(12.3${\pm}$17.2개월 vs 18.0${\pm}$15.8개월, p=0.03), 정복 시도까지의 시간 경과가 길었으며(33.6${\pm}$29.0시간 vs 21.5${\pm}$20.3시간, p<0.01), 구토, 기면은 많았음(p<0.01)에 비해 복통이나 보챔은 적었다(p<0.01). 이러한 인자들의 다중회귀분석에서 비수술적 정복 실패와 연관된 인자는 6개월 미만 연령(odds ratio: 2.5, 95% confidence interval: 1.2~5.2, p=0.01), 24시간 경과(odds ratio: 2.1, 95% confidence interval: 1.2~4.2, p=0.03), 혈변(odds ratio: 4.8, 95% confidence interval: 1.9~12.2, p<0.01), 기면(odds ratio: 3.4, 95% confidence interval: 1.1~10.4, p=0.04), 복통 또는 보챔(odds ratio: 0.2, 95% confidence interval: 0.1~0.4, p<0.01)이었다. 결 론: 장중첩증에서 6개월 미만 어린 연령, 혈변이나 기면의 소견, 증상 시작 24시간이 경과된 경우 비수술적 정복 실패의 가능성이 많으므로 이러한 사항을 충분히 고려하여 시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겠다. Purpose: Intussusceptions are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intestinal obstruction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lthough it is easily treated by non-operative reduction using barium, water or air, this treatment is very stressful for young patients and may cause bowel perforation, peritonitis and shock.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failure of non-operative reduction, to identify a group of children that would benefit from the procedure and those who would not.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intussusception who were treated at the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Ansan hospital from March 1998 to July 2006. Three hundred fourteen children with intussusception were identified. Among them, non-operative reductions were performed in three hundred. Clinical and radiological variabl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failure or success of the non-operative reduction. Results: Non-operative reductions were successful in 243 (81%) and failed in 57 (19%). The group that had failed procedures had a younger age (12.3${\pm}$17.2 months vs. 18.0${\pm}$15.8 months, p=0.03), longer symptom duration before reduction (33.6${\pm}$29.0 hr vs. 21.5${\pm}$20.3 hr, p<0.01), more vomiting and lethargy (p<0.01), but less abdominal pain and irritability (p<0.01), compared with the group that had a successful procedu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failure of non-operative reductions were a younger age, less than 6 months of age (odds ratio: 2.5, 95% confidence interval: 1.2~5.2, p=0.01), duration of symptoms, longer than 24 hrs before reduction (odds ratio: 2.1, 95% confidence interval: 1.2~4.2, p=0.03), bloody stool (odds ratio: 4.8, 95% confidence interval: 1.9~12.2, p<0.01), lethargy (odds ratio: 3.4, 95% confidence interval: 1.1~10.4, p=0.04), and abdominal pain or irritability (odds ratio: 0.2, 95% confidence interval: 0.1~0.4, p<0.01). Conclusion: For children with intussusception, an age younger than 6 months, and duration of symptoms more than 24 hrs before reduction, as well as the presence of bloody stools, lethargy and abdominal pain or irritability were variables associated with failure of a non-operative reduction. Knowledge of these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in making clinical decision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 KCI등재

        임상 ; 적절한 산전 관리를 받지 않은 임산부와 신생아의 주산기 합병증

        최병민 ( Byung Min Choi ),송영우 ( Young Wooh Song ),신정희 ( Jeong Hee Shin ),윤영선 ( Young Sun Yoon ),정현철 ( Hyun Chul Jeong ),임형은 ( Hyung Eun Yim ),이정화 ( Jung Hwa Lee ),김해중 ( Hai Joong Kim ),홍영숙 ( Young Sook H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4

        목적: 산전 관리는 임산부와 신생아의 건강 증진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우리 나라의 사회 경제적 여건이 개선 되면서 대부분의 임부가 산전 관리를 받고 있지만 아직도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는 적절한 산전 관리를 받지 않은 임산부와 신생아가 있으나 이들에 대한 국내의 보고는 없는 실정이어서 이들의 주산기 합병증에 대하여 조 사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부속 안산 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및 신생아실에 입원한 신 생아의 어머니 중 산전 관리를 3회 이하로 받은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분석하였다. 대상 임산부는 106명, 대상 신생아는 107명으로 재태 연령이 부정확한 경우는 새로운 발라드 법을 이용하여 재 태 기간을 추정하였다. 이들에 대하여 임산부의 분만력과 주산기 합병증을 조사하였고 신생아의 인구역학적 특징과 주산기 합병증, 선천성 기형 및 사망률을 조사하였으며 본원 의료 사회사업팀에서 연계한 의료 지원에 대 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대상 임산부는 2004년도에 12명이었고 2005년도에 14명, 2006년도에 9명, 2007년도에 15명, 2008 년도에 28명, 2009년도에 28명으로 최근에 적절히 산전 관리를 받지 못하는 임산부와 신생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임산부의 주산기 합병증으로는 조산이 35명(33.0%), 빈혈 20명(22.9%), 조기 양막 파수 15 명(17.2%), 융모양막염 14명(16%), 태반 조기 박리 6명(6.8%), 다발성 질벽 열상 6명(6.8%), 전자간증 4명 (4.5%)이 있었다. 신생아의 주산기 합병증으로 미숙아가 44명(41.1%)이었으며 이중 재태 기간 28주 미만의 미 숙아는 7명(6.5%)이었다. 저체중 출생아는 44명(41.1%)으로 극소 저체중 출생아 17명(15.8%),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 7명(6.5%)이었다. 대상 신생아 중 재태 연령 34주 미만의 미숙아 26명에 대하여 같은 기간 동안 적절히 산전 관리를 받았던 임산부에게서 출생한 재태 연령 34주 미만의 미숙아 52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이들의 주산기 합병증에 대하여 비교한 결과, 적절한 산전 관리를 받았던 임산부에게서 태어난 미숙아에 비해 대상 미 숙아들의 호흡곤란 증후군의 발생이 더 많았고(P =0.044), 부당 경량아가 더 많이 태어났으며(P =0.038), 3단계 이상의 뇌출혈 또한 유의하게 더 많이 발생하였다(P =0.040). 또한 선천성 기형아와 사망아의 비율도 높았으며 특히 전전뇌증(holoprosencephaly)이나 Beare-Stevenson 증후군과 같이 생존율이 매우 낮은 기형아의 출생 도 있었다. 대상 환아 중 37명(34.5%)이 입양 기관으로 이송되었고, 1명은 아동보호시설로 퇴원하였으며, 13명 (12.1%)은 보호자의 경제적 사정으로 보건소, 재단, 교우회, 시청 등에서 진료비 지원을 받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적절한 산전 관리를 받지 않는 경우 임산부와 신생아의 주산기 합병증의 이환율이 증가하고 임산부의 사회경제적인 여건으로 인하여 사회적 부담도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저소득층 및 미 성년자와 같은 소외 계층으로 국가에서 운영하는 보건소의 무료 산전 관리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지 못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야간 및 주말에도 산전 관리 진료를 운영하는 등의 실질적인 국가 정책의 활성화와 소외 계층 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홍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Objective: With improvement in the social and economic states of Korea, most of the pregnancies have been appropriately examined but there are a few mothers and newborns who have not received proper prenatal ca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bstetrical and neonatal complications resulting from inadequate prenatal care.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07 neonates who had received prenatal care lesser than 3 visits and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of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9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Obstetrical complications, neonatal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neonatal complications were analyzed. We compared neonatal complications of the inadequate prenatal care group and those of the adequate prenatal care group lesser than 34 weeks` gestational age neonates. Results: In obstetrical complications, there were twenty women with anemia, fifteen cases with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nd fourteen chorioamnionitis. In neonatal complications, there were forth-four premature infants, and forty-four low birth weight infant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small for gestational age, severe intraventricular hemorrhage were more common in the inadequate prenatal care group than the adequate prenatal care group. Thirty-seven infants (34.5%) were sent to the adoption agency. Fifty infants (46.6%) received medical expense support by the social service. Conclusions: Obstetrical and neonatal complications and social burden were increasing when the pregnancies had not received adequate prenatal care. To reduce perinatal complications of mothers and neonates in low socioeconomic classes, practical nation`s policies and social supports for adequate prenatal care should b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