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팥 품종별 볶음시간에 따른 팥과 팥차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의 변화

        송석보(Seuk Bo Song),고지연(Jee Yeon Ko),김정인(Jung In Kim),이재생(Jae Saeng Lee),정태욱(Tae Wook Jung),김기영(Ki Young Kim),곽도연(Do Yeon Kwak),오인석(In Seok Oh),우관식(Koan Sik Woo)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dzuki bean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tea depending on the variety and roasting time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The levels of total polyphenol, flavonoids, and tannin contents were 12.72 ㎎ gallic acid equivalent (GAE)/g, 3.01 ㎎ catechin equivalent (CE)/g, and 3.56 ㎎ tannic acid equivalent (TAE)/g, respectively, for the Jeolgangsung-ipat sample roasted for 16 min. The highest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7.81 ㎎ Trolox equivalent (TE)/g in Bulgeun-ipat sample that was roasted for 14 min.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in the hot water-leached liqueur of adzuki bean tea was 26.55 μg GAE/100 mL in Yungum-pat that was roasted for 12 min. The total flavonoids and tannin contents of Whin-ipat and Jeolgangsung-ipat roasted for 10 min were 15.10 μg CE/100 mL and 14.60 μg TAE/100 mL, respectively. The highest DPPH and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hot water-leached liqueur of adzuki bean tea were 488.72 and 728.25 ㎎ TE/100 mL, respectively, in Yungumpat roasted that was for 12 mi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roasted adzuki bean tea has notable antioxidant activity and is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health benefits.

      • KCI등재

        품종에 따른 팥 앙금의 품질 특성

        송석보(Seuk Bo Song),서혜인(Hye In Seo),고지연(Jee Yeon Ko),이재생(Jae Saeng Lee),강종래(Jong Rae Kang),오병근(Byeong Geun Oh),서명철(Myung Chul Seo),윤영남(Young Nam Yoon),곽도연(Do Yeon Kwak),남민희(Min Hee Nam),우관식(Koan Sik W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8

        현재까지 국내에 개발된 팥의 이용성 증진을 위해 다양한 종피색의 팥 품종에 대해 앙금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비교ㆍ분석하였다. 팥 품종별 수분함량은 8.2∼11.1 g/100 g, 조단백질은 15.4∼20.6 g/100 g, 조회분은 3.3∼3.6 g/100 g을 나타내었으며, 칼륨은 칠보팥(CB)과 홍언팥(HE)이 각각 875.1 및 873.1 ㎎/100 g으로, 칼슘은 중부팥(JB)과 금실팥(KS)이 각각 73.6 및 73.2 ㎎/100 g으로, 마그네슘은 연금팥(YK)이 131.4 ㎎/100 g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앙금 수율은 습물중은 188.3∼204.7%, 건물중은 62.1∼66.0%의 범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앙금의 명도는 종피색이 밝은 연금팥(YK)과 금실팥(KS)이 각각 67.0 및 68.0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종피색이 검정색인 칠보팥(CB)이 54.0으로 가장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 적색도(a-value)와 황색도(b-value)는 연금팥(YK)이 각각 6.6 및 12.8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칠보팥(CB)이 각각 3.8 및 5.9로 가장 낮았다. 앙금의 평균입자직경은 중원팥이 121.10 ㎛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중부팥이 100.80 ㎛로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으며, 입도분포는 전체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앙금의 입자는 타원형의 모양을 가지고 있었으며, 세포막과 단백질이 둘러싸서 표면이 거칠게 나타났다. 품종별 팥 앙금의 수분결합력 및 용해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팥 앙금의 호화점도특성 중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및 치반점도는 중부팥(JB)이 각각 3.79, 3.75, 7.33 및 3.54 RVU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났고 칠보팥(CB)이 1.21, 1.17, 2.46 및 1.25 RVU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식품가공에서 팥 앙금의 선택은 관능적으로 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팥 앙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We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dzuki bean sediment according to variety. The moisture, crude protein, and crude ash contents of the various adzuki bean varieties were 8.2~11.1, 15.4~20.6 and 3.3~3.6 g/100 g, respectively. The potassium contents of Chilbo-pat (CB) and Hongeon-pat (HE) were 875.1 and 873.1 ㎎/100 g, respectively. The calcium contents of Jungbu-pat (JB) and Kumsil-pat (KS) were 73.6 and 73.2 ㎎/100 g, respectively. A high level of magnesium (131.4 ㎎/100 g) was found in Yeonkeum-pat (YK). The yields of adzuki bean sediment according to variety were no different either wet (188.3~204.7%) or dry (62.1~66.0%). The L-values on sediment of YK and KS were 67.0 and 68.0, respectively; however, the CB L-value was low at 54.0. A high level of a- (6.6) and b-value (12.8) was found in YK; however, the values for CB were much lower at 3.8 and 5.9,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particle-size distribution, water binding capacity, and solubility of adzuki bean sediment according to variety. High levels of peak (3.79 RVU), trough (3.75 RVU), final (7.33 RVU), and setback viscosity (3.54 RVU) were found in JB. The sensory properties of products in food processing are important, and the variety of adzuki bean sediment should be chosen depending on desired product characteristics.

      • KCI등재

        조 배유 특성별 분말 즉석 죽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고지연,송석보,최명은,우관식,최지명,곽도연,김기영,정태욱,고종철,오인석,Ko, Jee Yeon,Song, Seuk Bo,Choe, Meyong Eun,Woo, Koan Sik,Choi, Ji Myeong,Kwak, Do Yeon,Kim, Ki Yong,Jung, Tae Wook,Ko, Jong Cheol,Oh, In Seok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9 No.4

        영양 및 기능성이 높은 조의 다양한 수요 창출을 위하여 배유 특성이 다른 조를 대상으로 분말 즉석 죽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징 및 조리 특성 등의 품질과 항산화 활성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대상으로 사용한 조 원료곡은 메조 삼다메, 차조 삼다찰을 사용하였고, 물만 부어 바로 섭취할 수 있도록 전분의 호화 후 노화를 막는 가공처리로서 1) 건조곡 볶음, 2) 수침곡 볶음, 3) 찐 후 급속냉동, 4) 팽화처리하고 대조로 5) 원곡을 사용하였다. 재료의 수분 흡착능을 알아보는 WAI는 팽화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원료곡에 따라서는 차조가 높았다. 즉석 죽 가루의 RVA 특성은 메조의 경우, 가공처리 후 전체적으로 점도 및 setback이 저하되어 열과 수분에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차조는 가공 처리된 즉석 죽을 재호화함에 따라 점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즉석 죽 가루에 뜨거운 물에 부었을 때의 점도는 건조곡 볶음가루 죽은 원료곡 가루죽과 점도 차이가 크게 없었고, 메조는 팽화처리, 차조는 찐 후 냉동건조, 수침곡 볶음 및 팽화처리 분말에서 즉석 죽으로 이용하기에 충분한 점성을 지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 함량 및 ABTS 라디컬 소거능은 찐 후 냉동건조를 제외하고는 가공처리에 의해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가공처리 중에는 팽화처리 시 원료곡 폴리페놀 함량 및 ABTS 라디컬 소거능의 1.5배, 1.7배로 가장 증가가 컸다. 배유 특성 및 가공처리별 즉석 죽의 관능검사 결과, 메조 삼다메를 팽화처리한 분말 즉석 죽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뜨거운 물에도 엉김 현상 없이 잘 녹아 가공적성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죽의 점도 및 수분흡착능은 차조 삼다찰이 높았으나, 항산화 활성, 열과 수분에 대한 안정성, 기호도 및 물에 풀었을 때 엉김 현상을 고려할 경우, 메조 삼다메가 더 우수하였으며, 가공처리방법으로는 팽화처리가 모든 항목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capabil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porridge made of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Beauv.) from different varieties with different endosperm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using different methods. The two foxtail millet varieties used in this study were waxy foxtail millet, 'Samdachal', and non-waxy foxtail millet, 'Samdame'. The means of processing food to create instant porridge were dry cereal frying, wet cereal frying, freeze drying after steaming, popping, and no treatment. The WAI (water absorption index) of instant porridge made of waxy foxtail millet was higher than that of non-waxy foxtail millet, and popping created the highest WAI among the treatments tested. Whean we analyzed RVA characteristics of non-waxy foxtail millet instant porridge, peak viscosity and setback values were decreased in all processed foxtail millet instant porridge compared to non-waxy foxtail millet instant porridge. In waxy foxtail instant porridge, the peak and final viscosities of processed treated instant porridge increased. The viscosity just after pouring hot water into the instant porridge was higher in waxy foxtail millet porridge treated by freeze drying after steaming, popping, and wet cereal frying; the viscosity of non-waxy foxtail porridge was increased after popping as compared with the other treatments. The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all processed, treated-instant porridge except for freeze dried porridge after steamingnt. The popping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s (1.5 fold), and ABTS antioxidant activity (1.2 fold), compared to no treatment. Non-waxy foxtail millet porridge produced by popping earned the highest sensory evaluation scores.

      • KCI등재

        발아에 따른 조, 기장, 수수의 화학적 성분 변화

        고지연(Jee Yeon Ko),송석보(Seuk Bo Song),이재생(Jae Saeng Lee),강종래(Jong Rae Kang),서명철(Myung Chul Seo),오병근(Byeong Geun Oh),곽도연(Do Yeon Kwak),남민희(Min Hee Nam),정헌상(Heon Sang Jeong),우관식(Koan Sik W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8

        발아시간에 따른 잡곡류의 싹 길이, 단백질, 식이섬유, GABA,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검토한 결과 싹 길이는 수수가 가장 빠르게 크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장, 조 순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및 총 식이섬유 함량은 발아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단백질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발아 황금조, 청차조, 붉은기장, 노란찰기장, 황금찰수수 및 흰찰수수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각각 6.3, 7.3, 6.2, 5.2, 7.0 및 9.0 g/100 g으로 나타났으며, 96시간 발아시킨 시료는 각각 16.3, 13.9, 9.4, 6.5, 15.9 및 12.5 g/100 g으로 증가하였다.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GABA 함량은 일정시간 동안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발아시간은 조는 24시간(각각 347.4 및 336.5 ㎍/g), 붉은기장은 84시간(347.4 ㎍/g), 노란찰기장은 36시간(344.9 ㎍/g), 황금찰수수는 48시간(410.4 ㎍/g), 흰찰수수는 72시간(444.0 ㎍/g)으로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탄닌 등 항산화성분 함량은 전반적으로 조와 기장 각각 두 품종과 흰찰수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황금찰수수는 초반에 급격히 감소하다가 발아가 진행되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황금찰수수는 무발아 시료 및 96시간 발아시킨 시료에서 각각 201.00 및 137.17 ㎎/g을 보였으며, 흰찰수수는 각각 54.23 및 97.90 ㎎/g으로 나타났다. 황금조 및 붉은기장 무발아 시료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40.29 및 19.81 ㎎ TE/g의 활성을 보였으며, 96시간 발아시료에서 각각 51.96 및 26.17 ㎎ TE/g의 활성을 보였다. 황금찰수수 무발아 시료는 176.03 ㎎ TE/g의 활성을 보였으며, 발아시료는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황금찰수수를 이용한 발아잡곡의 제조는 살수를 하는 공정이 없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고 조, 기장 등의 잡곡은 발아기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양호할 것으로 판단된다.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three cereals,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during germination were determined. The crude protein contents of the three cereal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germination, whereas the contents of total dietary fiber of the three cereals increased during germination. The contents of γ-aminobutyric acid (GABA) of Whanggeum-cho (347.4 ㎍/g), Chongcha-cho (336.5 ㎍/g), Bulgeun-gijang (347.4 ㎍/g), Noranchal-gijang (344.9 ㎍/g), Whanggeumchal-susu (410.4 ㎍/g), and Whinchal-susu (444.0 ㎍/g) increased after 24, 24, 84, 36, 48, and 72 hr of germination, respectively, and then sharply decreased.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flavonoids, and tannin in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Whinchal-susu tended to increase during germination. However,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Whanggeumchal-susu greatly decreased by 48 hr of germination and then considerably increased, whereas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Whanggeumchalsusu greatly decreased during germination. Total tannin content of Whanggeumchal-susu greatly decreased by 36 hr of germination and then slowly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hanggeumchal-susu greatly decreased by 36 hr of germination and then remained constant, whereas those of other cereals did not greatly change during germin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three cereals during germination.

      • SCOPUSKCI등재

        품종별 팥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우관식(Koan Sik Woo),송석보(Seuk Bo Song),고지연(Jee Yeon Ko),서명철(Myung Chul Seo),이재생(Jae Saeng Lee),강종래(Jong Rae Kang),오병근(Byeong Geun Oh),남민희(Min Hee Nam),정헌상(Heon Sang Jeong),이준수(Junsoo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6

        본 연구에서는 품종별 팥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항산화성분으로 총 polyphenol, flavonoid, anthocyanin 및 proanthocyanidin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은 ABTS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품종별 팥의 일반성분과 무기성분의 함량은 품종간에 큰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식이섬유 함량은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특히 칠보팥(14.81%)의 식이섬유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출수율은 태광콩과 대풍콩이 각각 38.70 및 34.61%로 높은 추출수율을 보였으며, 칠보팥, 금실팥 및 밀양8호가 각각 20.76, 20.33 및 20.16%로 비교적 높은 수율을 보였고 중부팥이 13.78%로 가장 낮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품종별 팥 추출물의 총 polyphenol 및 flavonoid 함량은 각각 19.00-34.75 및 12.97-28.95 mg/g으로 대조군보다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밀양6호는 각각 34.75 및 28.95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품종별 팥 추출물의 총 anthocyanin 및 proanthocyanidin 함량은 각각 5.89-23.77 및 1.83-3.29 mg/g으로 나타나 대조군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tocopherol 함량은 5.71-7.66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연금팥이 7.66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ABTS와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밀양6호 추출물이 각각 2.44 및 4.46 mg TEAC/mg extract residue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국내에서 개발된 팥 품종은 높은 항산화성분과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천연항산화제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dzuki beans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ir functional properties and to compare them to Daepung and Taekwang. Proximate compositions and mineral contents of the various adzuki bea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 high level of dietary fiber (14.81%) was found in Chilbopat. The extraction yields of Daepung and Taekwang were 38.70 and 34.61%, respectively; however the yields of the various adzuki beans were lower at 13.78-20.76%.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the various adzuki beans were 19.00-34.75 and 12.97-28.95 mg/g, respectively (Daepung: 14.40 and 3.96 mg/g, Taekwang: 10.7 and 2.61 mg/g). High levels of polyphenols (34.75 mg/g) and flavonoids (28.95 mg/g) were found in Miryang 6. The total anthocyanin and proanthocyanidin contents of the various adzuki beans ranged from 5.89-23.77 and 1.83-3.29 mg/g, respectively. A high level of total tocopherol content (7.66 mg/100 g) was found in Yungum-pat. High levels of ABTS radical (2.44 mg TEAC/ mg extract residue)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4.46 mg TEAC/mg extract residue) were found in Miryang 6.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lso noted between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otable antioxidant activities in various adzuki beans could have significant health benefits.

      • KCI등재

        발아시간에 따른 팥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의 변화

        우관식(Koan Sik Woo),송석보(Seuk Bo Song),고지연(Jee Yeon Ko),이재생(Jae Saeng Lee),정태욱(Tae Wook Jung),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5

        본 연구에서는 나물용 팥으로 새롭게 개발된 팥 신품종 연두채의 나물로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그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발아시간에 따른 싹 및 뿌리의 길이와 나물 수율을 고려해 볼 때 연두채는 120~144시간 발아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발아시간에 따라 수분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단백질은 유의적으로 약간 증가하였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두채의 칼슘, 마그네슘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칼륨, 나트륨, 알루미늄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아시간에 따른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 등 항산화성분의 함량은 발아시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충주팥, 연두채, 다현녹두원료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96, 2.68 및 2.02 mg/g이었고 충주팥과 연두채는 144시간(각각 3.33 및 3.47 mg/g)에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원료곡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충주팥과 연두채가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원료곡의 총 탄닌 함량은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충주팥은 120시간(0.96 mg/g), 연두채는 144시간(0.85 mg/g), 다현녹두는 120시간(1.62 mg/g)에 높은 함량을 보였다. 원료곡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충주팥과 연두채는 대체적으로 감소하고 다현녹두는 증가하였다.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4.57, 6.51 및 2.82 mg TE/g이었고 충주팥과 연두채는 발아 초반에 감소하다가 각각 120 및 72시간 이후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연두채 싹나물은 다현녹두 나물에 비해 항산화성분 및 활성은 약간 낮으나 수율이 높고 탄닌 등 쓴맛 성분이 낮아 싹나물로의 이용성이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yield, antioxidant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dzuki beans according to germination time. Cultivated varieties were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cv. Chungju-pat (CJP), and Yeonduchae (YDC), and Vigna radiata (L.) R. Wilczek cv. Dahyeon (DH). The moisture, crude protein,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s of YDC significantly changed with increasing germination time, whereas potassium, natrium, and aluminium content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Sprout yield,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tannin contents of ethanolic extracts from adzuki and mung bean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germination tim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ungerminated CJP, YDC, and DH were 1.96, 2.68, and 2.02 mg/g, and those of CJP and YDC germinated for 144 h were 3.33 and 3.47 mg/g,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 of adzuki beans substanti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germination time. Total tannin content substanti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germination time, and YDC showed higher contents (0.85 mg/g) sample germinated for 120 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JP and YDC substanti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germination time, whereas that of DH increase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ungerminated CJP, YDC, and DH were 4.57, 6.51, and 2.82 mg/g, respectively, and increased after germination for 72∼120 h.

      • KCI등재
      • KCI등재

        전처리조건에 따른 망초(Erigeron canadensis L.)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우관식(Koan Sik Woo),송석보(Seuk Bo Song),오병근(Byeong Geun Oh),서명철(Myung Chul Seo),고지연(Jee Yeon Ko),이재생(Jae Saeng Lee),강종래(Jong Rae Kang),남민희(Min Hee Nam),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9

        망초의 항산화성분 및 활성 측정을 통하여 대표적인 항산화성분인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탄닌, chlorophyll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에 의한 총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생물상태 망초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탄닌 및 chlorophyll 함량은 각각 63.32, 27.71, 161.19 및 428.85 ㎎/g으로 나타났다. 40℃에서 열풍 건조한 시료의 경우 각각 89.25, 33.44, 210.44 및 229.29 ㎎/g으로 나타났으며, 끓는물에 2분간 데친 후 48시간 40℃에서 열풍 건조한 시료는 각각 115.49, 45.51, 252.54 및 283.07 ㎎/g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생물상태보다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상태 망초 추출물의 전자공여능(EDA, %)의 IC50은 5.5527 ㎎/mL, 총항산화력은 192.78 ㎎ AA eq/g sample로 나타났다. 40℃에서 열풍 건조한 시료의 경우 각각 0.4710 ㎎/mL 및 194.05 ㎎ AA eq/g sample로 나타났으며, 끓는 물에 2분간 데친 후 48시간 40℃에서 열풍 건조한 시료는 각각 0.4135 ㎎/mL 및 242.40 ㎎ AA eq/g sample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생물상태보다 항산화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characteristics of horseweed (Erigeron canadensis L.) recognized with weeds for the application to food industry,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horseweed were measured with total polyphenol, flavonoid, tannin, chlorophyll contes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Total polyphenol, flavonoid, tannin, and chlorophyll content were 63.32, 27.71, 161.19, and 428.85 ㎎/g in the extracts of fresh horseweed (FHE), respectively. The extracts of dry horseweed (DHE) on 40℃ for 48 hr were 89.25, 33.44, 210.44, and 229.29 ㎎/g, and the extracts of dry horseweed after blanching (BDHE) were 115.49, 45.51, 252.54, and 283.07 ㎎/g, respectively. IC50 of EDA (electron donating ability, %) and AEAC (L-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were 5.5527 ㎎/mL and 192.78 ㎎ AA eq/g sample in the FHE, respectively. The DHE were 0.4710 ㎎/mL and 194.05 ㎎ AA eq/g sample, and the BDHE were 0.4135 ㎎/mL and 242.40 ㎎ AA eq/g sample, respectively. Horseweed, where the antioxidant activity is excellent, is thought to be potentially useful with foodstuffs.

      • KCI등재

        품종 및 재배시기에 따른 조와 기장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우관식(Koan Sik Woo),이재생(Jae Saeng Lee),고지연(Jee Yeon Ko),송석보(Seuk Bo Song),서혜인(Hye In Seo),서명철(Myung Chul Seo),오병근(Byeong Geun Oh),곽도연(Do Yeon Kwak),남민희(Min Hee Nam),오인석(In Seok Oh),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3

        조와 기장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재배시기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재배시기를 달리하여 수확된 시료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재배시기에 따른 조와 기장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탄닌 등의 항산화성분의 함량과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품종 및 재배시기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황금조, 청차조, 삼다메 및 경관1호의 경우 만기재배에서, 경관2호는 보통기재배에서, 강해조는 조기와 만기재배에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고 기장의 경우 전체적으로 만기재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황금조와 경관2호는 보통기재배에서, 청차조, 삼다메 및 경관1호는 조기재배에서, 강해조는 만기재배에 높은 함량을 보였고 기장은 만기재배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탄닌 함량은 황금조는 조기재배에서, 청차조, 삼다메 및 강해조는 만기재배에서, 경관2호는 보통기재배에 높은 함량을 보였고 기장은 만기재배에서 조기나 보통기재배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조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황금조, 삼다메 및 강해조는 만기재배에서, 청차조와 경관2호는 보통기재배에서, 경관1호는 조기재배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기장은 전체적으로 만기재배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황금조, 경관1호 및 강해조는 만기재배에서, 청차조, 삼다메 및 경관2호는 보통기재배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기장은 만기재배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항산화성분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한 결과에서 조의 경우 조기재배보다는 보통기 내지 만기재배가 유리할 것으로 보이며, 기장은 만기재배가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cultivation time on the antioxidant contents and activities of foxtail millet and proso millet were determined. The cultivation times were early-season (ES), normal-season (NS), and late-season (LS), and the cultivated varieties were Hwanggeum-cho (HGC), Cheongcha-cho (CCC), Samdamae (SDM), Gyeongkwan 1 (GK 1), Gyeongkwan 2 (GK 2), Ganghae-cho (GHC), Hwanggeum-gijang (HGG), Manhongchal-gijang (MHCG), Byeoruk-gijang (BRG), Norangchal-gijang (NRG), and Whin-gijang (WG). The total polyphenol, flavonoid, tannin content, an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of foxtail millet and proso mille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cultivation variety and time.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of foxtail millet was 29.33 ㎎ of gallic acid equivalent (GAE)/g of sample in GK 1 at LS, whereas that of proso millet was 23.48 ㎎ of GAE/g of sample in BRG at LS. The highest total flavonoid content of foxtail millet was 2.12 ㎎ of catechin equivalent (CE)/g of sample in CCC at ES, whereas that of proso millet was 4.49 ㎎ of CE/g of sample in BRG at LS. The highest total tannin content of foxtail millet was 14.07 ㎎ of tannic acid equivalent (TAE)/g of sample in SDM at LS, whereas that of proso millet was 15.59 ㎎ of TAE/g of sample in BRG at LS.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oxtail millet was 7.71 ㎎ of TE/g of sample in CCC at NS, whereas that of proso millet was 12.66 ㎎ of TE/g of sample in BRG at LS. The highes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oxtail millet was 8.05 ㎎ of TE/g of sample in GK 1 at LS, whereas that of proso millet was 34.46 ㎎ of TE/g of sample in BRG at LS. Generally, HGC, GK 1, and GHC had more beneficial effects at LS than ES or NS, whereas CCC, SDM, and GK 2 had more beneficial effects at NS than ES or LS, and proso millet had more beneficial effects at LS than ES or NS.

      • KCI등재

        조, 기장, 수수를 이용한 식혜의 이화학적 특성

        정미선(Mi Seon Jeong),고지연(Jee Yeon Ko),송석보(Seuk Bo Song),이재생(Jae Saeng Lee),정태욱(Tae Wook Jung),윤영호(Young Ho Yoon),오인석(In Seok Oh),우관식(Koan Sik W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1

        잡곡을 이용한 식혜의 제조 적성을 확인하기 위해 조, 기장, 수수를 이용하여 식혜를 제조하고 제조된 식혜의 이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잡곡 원료의 일반성분은 멥쌀과 찹쌀에 비해 수분 함량은 적지만 회분과 조단백, 조지방 함량은 높았다. 원료곡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동안메가 일품과 백옥찰보다 2배 이상 높았고,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 또한 동안메가 높게 나타났다. 잡곡별로 제조된 식혜의 pH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탁도는 대부분 0.5 이하의 값을 나타낸 반면 동안메는 1.07로 높게 나타났다. 당도는 찹쌀과 멥쌀에 비해 낮았으며 기장, 수수, 조 순으로 나타났다. 명도와 적색도는 동안메가 가장 높았고, 황색도는 노란색을 띠는 삼다메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 식혜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동안메와 삼다메 식혜가 각각 258 및 241 μg GAE/mL로 높게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동안메 식혜가 54.30 μg CE/mL로 높았다. 식혜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동안메가 16.85 mg TE/100 mL로 다른 잡곡류에 비해 2배 이상 높았으며, 백옥찰과 일품쌀에 대해서는 약 10∼15배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동안메가 가장 뛰어났으며 삼다 메가 그 뒤를 이었다. 따라서 잡곡 원료 간의 일반성분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잡곡 원료와 잡곡 식혜에서 동안메로 제조한 식혜가 가장 항산화력 및 radical 소거능이 뛰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잡곡으로 제조한 식혜의 관능평가에서는 삼다메가 일품과 백옥찰에 색과 향에 유사한 선호도를 나타내었기에 동안메를 중심으로 레시피를 보완하여 식혜로 개발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ies of Sikhye(Korean traditional rice beverage) prepared with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The cultivated varieties were Setaria italica Beauv. cv. Samdamae (SDM) and Samdachal (SDC), Panicum miliaceum L. cv. Ibaekchal (IBC), Sorghum bicolor (L.) Moench cv. Nampungchal (NPC), Donganme (DAM), Oryza sativa cv. Ilpum (IP), and Baegokchal (BOC). The brix degrees of SDM, SDC, IBC, NPC, DAM, IP, and BOC Sikhye were 9.53, 8.63, 5.67, 7.57, 6.27, 12.50, and 12.27°Bx,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5.99~6.10) among the groups. The highest turbidity was 1.07 in DAM Sikhye. The L-value, a-value, and b-value were 30.85~41.11, -0.34~2.52, and 2.56~5.67,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SDM, SDC, IBC, NPC, DAM, IP, and BOC Sikhye were 241.52, 213.69, 202.34, 258.25, 193.24, 160.81, and 170.31 μg GAE/mL,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s of Sikhye were 19.21~54.30 μg CE/mL. The highes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16.85±0.39 and 64.75±2.92 mg TE/100 mL in DAM Sikhye, respectively. Finally,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earance, aroma, and taste between the groups, and SDM Sikhye was similar with IP and BO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