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마을농악의 전승구도 변화와 현실 대응 -전남 남해안지역 마을농악을 중심으로-

        송기태 ( Ki Tae S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0

        이 논문은 마을농악의 과거와 현재를 전승구도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검토한 글이다. 마을농악은 20세기 초·중반까지 당대의 주류문화로 기능했으나 차츰비주류의 마이너적인 문화가 되었고, 이제 명맥만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과거의 신명난 굿판은 사그라졌지만, 여전히 마을에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기에 현 단계의 마을농악을 검토하는 차원에서 본 논문을 기술하였다. 논의의 대상 지역은 전남 남해안이다. 전남 남해안은 온전한 형태의 마을농악이 전승되는 곳이고,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생명력을 유지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 주류문화로 기능하던 상황에 비할 수는 없지만, 주민들 스스로 연행자가 되어 제 기능을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관점에서도 논의가 가능하다. 논의의 진행은 마을농악이 주류의 문화로 인식되던 시대의 전승구도와 비주류의 문화가 된 현재의 상황을 주목해가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전통시대의 농악 전승은 당대의 문화로서 누구나 쉽게 즐기는 예능이었다. 그래서 사제관계 등을 형성하지 않고도 ‘어깨너머로 배워서’ 자연스레 몸으로 읽혔던 것으로 파악된다. 특별히 농악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개인적으로 가락을 기록해놓고 외우는 경우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마을에서 농악을 당대의 문화로서 쉽게 즐길 수 있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체계와 격식이 없지는 않았다. 농악대를 지휘해야하는 상쇠는 ‘농구’라는 치배를 두어서 어렸을 때부터 조기교육을 시켰고, 두레조직을 통해 마을문화로서 농악을 교육하기도 하였다. 또한 외부의 특출한 상쇠나 연희자를 초빙하여 마을농악을 세련된 예술로 발달시키기도 하였다. 즉, 농악은 누구나 즐기는 문화이지만, 마을 내에서 체계적인 전승이 가능하도록 구조화되어 있었던 셈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랜 기간 마을 사람들의 연행예술로서 기능해왔던 것이다. 마을농악은 현재 전승의 위기에 처해 있다. 마을민속이 전승될 수 있는 공동체가 해체되고 있고, 농악이 지금시대의 주류문화로서 기능하지 못하는 점에서 두 가지 위기를 동시에 겪고 있다. 마을농악에서는 전승세대의 빈자리를 여성들로 채움으로써 생명력을 연장하고 있다. 또한 공연과 대회, 축제 등에 참가하고, 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새로운 전승력을 창출하고 있다. 마을농악대의 외부활동과 국가적 간섭은 정상적인 농악 전승을 왜곡시키지만, 이러한 활동과 외부의 관심은 마을농악의 문화적 권위를 높이는 쪽으로 작용하고 있다. 마을농악은 더 이상 주류문화의 자리를 지키지 못한다. 이제는 주류문화의 자리를 대중문화에 내어주고 스스로 전통문화로서 자리를 잡고 있다. 마당밟이 과정이나 판굿을 치는 중간에 농악소리가 잦아들면 뽕짝노래가 흘러나온다. 마을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농악도 즐기고 뽕짝도 즐기면서 축제로서 농악판을 즐기고 있다. 농악이 필요한 공간에서는 반드시 절차를 지켜서 연행하지만, 축제적 굿판이 마련되면 뽕짝노래도 부르고 농악도 치면서 스스로의 축제를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한편에서는 마을농악을 존속시키기 위한 노력도 진행하고 있고, 마을농악을 지역농악으로 확장하기도 하며, 지역의 문화적 전통을 복원하고 계승하는 의미에서 단절된 농악을 재생하기도 한다. 결국 마을농악은 현 시대의 주류문화는 아니지만 변화에 적응하면서 현재의 문화로 기능하고, 전승주체들의 노력을 통해 생명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has been prepared after reviewing the past and present of local nongak (a term referring to a traditional folk performance held by farmers throughout Korea) in terms of the changes of transmission of tradition to new generations. A basic precondition for the past and present is whether nongak is a mainstream culture or becoming minor culture on the fringe of society. The target area is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of Jeonnam.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are the places where local nongak is soundly handed down and maintaining its vitality by coping with the chronological changes. Although it can be compared with past nongak which was a part of mainstream culture, it can be discussed from the current perspective because local residents are making efforts to preserve nongak by themselves. A discussion was conducted by focusing on transmission of local nongak of the times when it was recognized as a mainstream culture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considering it as a minor culture. Nongak of the past was a type of entertainment that everyone could easily enjoy.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people could naturally adopt it without establishing a teacher-pupil relationship. It was easy to find people who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nongak and recorded the melodies to help remember them. Although people could easily enjoy the mainstream culture of nongak in the villages, it doesn``t mean that nongak didn``t have its systems and formalities. A ‘sangsoi’ (leading gong-player) who lead the nongak band received early education from a music player called a ‘chibae’ (Also referred to as ``nonggu``) and Korean farmer``s cooperative groups teach people nongak as a part of local culture education. In addition, people tried to develop local nongak to become a more sophisticated art form by inviting outstanding sangsoi or entertainers from the outside. In other words, nongak was not only a culture for everyone but also has its own structure for systematic transmission of tradition to new generations in the villages. This is the reason why nongak could be handed down as a performing art in the villages for a long time. Currently, local nongak is facing danger. Nongak is facing two crises; Local communities, where nongak was supposed to be handed down, are being dismantled and nongak are not able to remain a part of mainstream culture these days. Local nongak is maintaining its vitality by filling vacancies with women. In addition, they are trying to hand down nongak by participating in various shows, contests, and festivals and on the strength of its designation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The external activities of local nongak bands and the governmental interference may distort the normal transmission of nongak, but such activities and external interests improve the cultural status of local nongak. Local nongak is no longer a part of mainstream culture. It conceded to popular culture for having its cultural status remaining to be a part of mainstream culture and is strengthening its position as a tradition culture. In a nongak show, a ‘teuroteu song’ (a combination of Korean musical forms, involving trot, jazz and traditional music) comes out when the sounds of nongak dies away. Local residents often enjoy nongak as a part of festivals for their teuroteu songs. The traditional procedures are followed when formal nongak is necessary, but people sometimes enjoy informal nongak with teuroteu songs to add entertainment value for festivals. Meanwhile, people are trying to preserve local nongak, extend local nongak to regional nongak, and reproduce forgotten nongak for recovering and passing down local cultural traditions. In conclusion, even though local nongak is no longer a part of mainstream culture these days, it has adapted to change, is continuing to act as a part of culture, and maintaining its vitality based on the efforts of successors.

      • KCI등재

        열열화된 PVC 케이블의 부분방전 진단

        송기태,이성일,Song, Ki-Tae,Lee, Sung-Ill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1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4 No.3

        In this thesis, the partial discharge according to applied voltage and variations of cross-sectional area and length of the conductor related to general condition for using cable was measured in order to study degradation diagnosis for 2-Core cable of the PVC insulator used in industrial fields for other safety installations. Also the thermal degradation conditions under various installation circumstances of cables were studied by assuming degradation conditions with each different degradation rate (50%, 67%, 100%) such as variation in degradated temperature, thermal exposure time, normal state, partially degradated state and overall degradated state for thermal degradation diagnosis. The quantity of electric discharge (V-Q) according to applied voltage was measured for measurement of inception voltage and extinction voltage. The quantity of electric discharge and the number of electric discharge (Q-N) were measured with applied voltage kept constantly. In addition, pictures were taken using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o compare the surface of external insulator to degradated state of internal insulator according to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and also compare the surface of external insulator to degradated surface state of internal insulator according exposure time of cables to thermal stress.

      • KCI등재

        결과 심각도 및 리스크 그래프에 기반한 철도 승강장 도어시스템의 안전 무결성 수준 할당

        송기태 ( Ki Tae Song ),이성일 ( Sung Ill Lee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5 한국안전학회지 Vol.30 No.6

        There exists required safety integrity level (SIL) to assure safety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for every electrical / electronics / control equipment or systems with safety related functions. The SIL is allocated from lowest level (level 0) to highest level (level 4). In order to guarantee certain safety level that is internationally acceptable, application of methodology for SIL allocation and demonstration based on related international standards is required. However, application standard differs from every industry in domestic or international for application on mythology for allocation and demonstration of SIL. Application or assessment is not easy since absence on clear criteria or common definition. This research studied not only fundamental concept of SIL required to guarantee safety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for safety related equipment and system, but different types of methodologies for SIL allocation. Specifically, SIL allocation for Platform Screen Door system of railway is studied applying methodology of severity of accidents and risk graph among different methodologies for SIL allocation.

      • KCI등재

        "어획(漁獲)"과 "어경(漁耕)"의 생태문화적 기반과 어업집단의 신화적 형상화 -조기잡이신화와 영등신화를 중심으로-

        송기태 ( Ki Tae Song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2 한국고전연구 Vol.0 No.26

        바다의 문화는 오랫동안 ‘고기를 잡는다’라고 하는 ‘어획(漁獲)’의 측면에 중점이 있었다. 그러다가 근대에 이르러 양식기술이 도입되면서 바다도 육지처럼 경작의 공간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즉, ‘어 경(漁 耕)’의 공간이 된 것이다. 특히 한국의 서해안과 남해안 일대는 해조류와 패류의 양식장으로 빈틈이 없을 정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획과 어 경의 문화적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어로기원신화를 비교하였다. 먼저 바다의 문명사라는 관점에서 ‘어획’과 ‘어 경’을 구분하고, 독자적으로 전승되고 연구되던 조기잡이신화와 영 등신화를 비교하여 어로기원신화의 문명사적 위상과 성격을 규정하려고 했다. 이러한 시도는 그 동안의 문명기원신화를 농경기원신화와 동일시하는 내륙적 시각에서 벗어나려는 의도이기도 하다. 어업문명사적 관점에서 서해안의 조기잡이신화와 제주도의 영 등신화는 ‘어획’과‘어 경’을 대표하는 신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 어업문명의 전환은 근대어업과 양식업이 도입된 100여 년 전에야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까닭에 본고에서는 어로기원신화에 생업현장의 현실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파악했다. 이를 토대로 신화에 내재된 ‘경작하는 바다’에 대한 인식과 형상화에 대해 논의했다. 조기잡이신화는 서해안의 어촌마을과 고기잡이 선원들에게 전하는 신화다. 조선시대 때 임경업이라는 장군이 중국으로 건너가는 길에 식량이 떨어지자 갯벌에 가시나무를 꽂아 조기를 잡게 했다는 이야기이다. 조기잡이신화는 마을의 공동체 제의와 풍어제에서 구송되고 의례적으로 재현된다. 조기잡이신화는 어로기술의 변화에 적응한 형태로 자리 잡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영 등신화는 영등할머니가 바다 건너에서 제주도로 오면서 농작물과 해산물의 씨앗을 뿌려준다는 내용이다. 제주도에서는 해녀들을 중심으로 의례와 신화가 전승되고, 풍어의례에서 바닷가에 씨앗을 뿌리는 행위를 재현하고 있다. 이러한 영 등신화와 그 의례는 농경적 사고의 전이로 추정된다. 해안가의 해조류 채취와 패류채취 과정이 경작관념과 경작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주지만, 영 등신화의 기본 토대는 농경에 있다고 보았다. 제주도의 경우 최근에 들어서 양식어업이 가능해 졌기 때문이다. Culture related to the sea focusses on fishing, and specifically ``fish catching``. With the advent of modern times, however, and the introduction of aquaculture farming techniques, the seas were transformed into cultivation areas in the same manner as on land, in becoming areas of ``agricultural fishing.’ The whole area of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is now farmlands for marine plants and shellfish. In this study, fishery origin myths are compared to understand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fish catching and agricultural fishing. The concepts of ``fish catching`` and ``agricultural fishing’ were first classified from a viewpoint concerning the history of cultivation. The traditionally passed down myth of shell harvesting, and the ``Goddess of the sea`` myth were researched and compared with the standard status of fishery origin myths and the nature of cultivation history. This was a purposeful effort to break out of the civilization origin myth which is equated with the agricultural origin myth.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fishing culture, the west coast shell harvesting myths and Jeju-do`s ``Goddess of the Sea myth`` are classic myths concerning ``fish catching`` and ``agricultural fishing.`` However, the changeover of fishing culture actually began just one hundred years ago,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fishing and aquaculture techniques. Viewing writing from this understanding, the truth concerning thecultural shifts viewed through fishery origin myths was ascertained. On the basis of these myths, an awareness and embodiment of the inherent ``cultivated sea`` was discussed. The myth of shell harvesting is a myth handed down in west coast fishing villages and by fisherman who catch fish. It tells the story of a general named Lim Kyung Up from the Joseon Dynasty who stuck a thorn bush in a mud flat during a journey to China, to try and harvest shellfish after his food had run out. The myth of shellfish harvesting is offered by the village communities, recited in a ritual, and ceremonially reenacted. This myth of shellfish harvesting is understood to have been adjusted to incorporate changes in fishery techniques. The ``Goddess of the Sea`` myth is the story of Grandmother Yeung-Deung who sprinkled crop seeds and shellfish when crossing the sea to Jeju-do. In Jeju-do, the myth and ceremony is passed down to female divers, and the ceremonial habit of sprinkling seeds in the sea is reenacted for big catches. The ``Goddess of the Sea`` myth and attendant ritual is thought to originate from an agricultural shift that spread from person to person. The process of gathering marine plants and shellfish along the shore illustrates the methodology of cultivation and farming, but the original foundation of the ``Goddess of the Sea`` myth reveals its connection to agriculture. This is due to the emergence of an aquaculture industry in Jeju-do in recent times.

      • KCI등재

        Risk Graph에 의해 할당된 SIL에 따른 철도 승강장 도어 시스템의 정량적 Risk 저감 모델

        송기태 ( Ki Tae Song ),이성일 ( Sung Ill Lee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6 한국안전학회지 Vol.31 No.5

        There exists required safety integrity level (SIL) to assure safety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for every electrical / electronics / control equipment or systems with safety related functions. The SIL is allocated from lowest level (level 0) to highest level (level 4). In order to guarantee certain safety level that is internationally acceptable, application of methodology for SIL allocation and demonstration based on related international standards is required. Especially, in case of the SIL allocation method without determining of quantitative tolerable risk, the additional review is needed to check whether it is suitable or not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quantitative risk reduction model based on the safety integrity allocation results of railway platform screen door system using Risk Graph method has been examined in order to review the suitability of quantitative risk reduction according to allocated safety integrity level.

      • KCI등재후보

        마을굿에서 풍물굿의 제의수행과 구조 -전남 완도지역을 중심으로-

        송기태 ( Ki Tae Song ) 남도민속학회 2008 남도민속연구 Vol.17 No.-

        본 연구는 제의수행으로서의 풍물굿을 주목한 것이다. 논의 대상은 완도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완도지역은 마을굿의 전승이 왕성한 지역이다. 군 전체가 섬으로 이루어져있고 사람이 사는 섬에서는 대부분 풍물굿이 전승되고 있다. 따라서 마을굿으로서 왕성하게 연행되는 풍물굿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제의적 위상을 갖춘 대포수의 역할, 군사적 의미와 절걸립의 영향을 받은 ‘군고, 금고, 군기’ 등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어서 흥미로운 지역이다. 이 논문은 이렇듯 왕성하게 전승되는 마을의 풍물굿을 자세히 파악함으로써 마을굿에서 연행되는 풍물굿을 좀 더 깊이있게 들여다보는 계기가 되었다고 본다. 논의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굿의 제의는 제의공간과 신격의 성격에 따라 상위신격과 하위신격에 대한 제의로 구분할 수 있다. 풍물굿과 유교식 제사가 결합될 경우 유교식 제사는 상위신격에 대한 제사에 결합되는 형태를 취한다. 이것은 조선시대 국가이데올로기인 유교문화가 관철되어가는 과정에서 ‘제’가 ‘굿’에 표면적으로 수용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교식 제사와 풍물굿의 결합은 ‘풍물굿+유교식 제사, 유교식 제사+풍물굿, 풍물굿·유교식 제사’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유교식 제사의 제의주체는 제관이고, 풍물굿의 제의주체는 전반적으로 풍물패지만 그 속에서 대포수, 창부, 상쇠등이 중심이 된다. 둘째, 마을굿의 제의수행으로 연행되는 풍물굿 가락은 기본 구성이라고 할 수 있는 핵심적 가락이 존재한다. 그리고 가락의 기본 구성은 대상 신격의 성격과 현재적 기능에 따라 축소되기도 하고 확장되기도 한다. 각각의 연행 공간에서 표출되는 제의적 연행은 ‘정화와 청신-오신-송신과 액막이’라는 구조 속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풍물굿이 언뜻 보면 순서 없이 나열된 것처럼 보이지만, 가락과 행위, 사설 등이 구조적으로 결합되면서 제의를 구체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풍물굿이 결합된 마을굿은 유교식 제사가 결합되었다고 해도, 각각 별도의 제의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논의 대상 마을의 당굿과 제굿을 맞이굿으로서 청신(請神)으로 본다면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행하는 각종 열두당산굿과 마당밟이는 오신(娛神)과 축원에 해당한다. 그리고 판굿은 오인(娛人)과 송신(送神)의 과정으로 파악할 수 있다. 판굿의 마지막 과정인 대포수의 처형은 액막이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will focus on Pungmul Gut (things-exorcism) as a ritual performance. The primary location of study is Wando area. Wando is an area of flourishing village-exorcism. The entire area consists of various islands within them traditions of Pungmul Gut are practiced within most of the islands. Accordingly you can find flourishing Pungmul Gut (things-exorcism) as village-exorcism in Wando. Especially Wando is an interesting area considering its role of great artillerists with dignified rituals and using terms like Gungo (military drum), Geumgo(command drum), Gungi(military instrument), etc. which were affected by Jeolgulip and have military significance. This study has become a chance to take a thorough look into Pungmul Gut which is performed in village-exorcism through grasping flourishing Pungmul gut. Brief explanation of this study is given below. First of all, village-exorcism can be divided into rituals for “higher rank God” and “lower rank God”, separately practiced rituals rooted in different locations to different types of Gods. Confucian rituals assume the form of linked rituals for higher rank God when Pungmul Gut combines with Confucian rituals. This phenomenon appeared in the process of Confucianism which ostensibly was accepted by people during the time when Confucianism was becoming the established religion in Joseon Dynasty. The combination between Confucian rituals and Pungmul Gut consists of ‘Pungmul Gut along with Confucian rituals’, ‘Confucian ritual along with with Pungmul Gut’ and ‘equal combination of Pungmul Gut and Confucian ritual’. The main performer in Confucian rituals is a public officiate and Pungmul Gut is generally a group musicians with things, but there are great artillerist, clowns and a conductor who are the main performers. Second, Pungmul Gut as a part of village-exorcism performance has a main rhythm which is a basic composition. Also basic composition of rhythm could be extended and shrunk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God and their capacity. The ritual performance which has seen each performance has a structure of ‘purification & greeting exorcism(Cheongshin) - God amusing(Oshin) - God parting(Songshin) & preventing misfortune’ in common. Pungmul Gut looks disordered but has a rhythm and passage, praying, narration combined together and it gives a shape to the ritual. Third, village-exorcism combined with Pungmul Gut keeps its unique structure even if it is combined with Confucian rituals. Dang Gut is a God greeting as a greeting- exorcism; on the contrary Dangsan Gut, performed by walking around the town, and Madangbalbi are God amusing and praying. On the other hand, Pan Gut is people amusing and God parting. A sacrificial execution of a great artillerist which is the last stage can be understood as a preventing misfortun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풍물굿 예능의 소통과 원형 창출 -진도 소포리 풍물굿을 대상으로-

        송기태 ( Ki Tae Song ) 남도민속학회 2011 남도민속연구 Vol.23 No.-

        본 논문에서는 진도 소포리 풍물굿을 대상으로 예능의 소통과 마을풍물굿의 원형창출에 대해 논의했다. 소포리는 과거 진도의 입출항과 인접한 지역에 입지하여 문화소통지로 기능했고, 노래방이나 금고계 등을 조직하여 적극적으로 문화를 향유하려고 노력했다. 또한 염막의 노동공동체에 기반을 두고 걸궁활동을 왕성하게 했던 문화마을이었다. 소포리의 풍물굿은 민속예능 교류의 다양한 층을 파악할 수 있는 사례로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소포리 사람들은 과거 염업을 주업으로 하면서 풍물 걸궁활동을 왕성하게 했다. 특히 소포리 사람들이 걸궁활동을 할 정도의 예능을 갖추는 데는 여러 형태의 전문연희패로부터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절걸립패로부터 전해진 것으로 추정되는 걸궁문서가 존재하고, 남사당패의 채상모가 토착화 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더불어 시야를 넓혀서 살펴보면 진도 신청농악과 남사당패, 신청농악과 소포리 걸군농악, 소포리 걸궁문서와 해남 대흥사의 절걸궁 문서의 관계들을 읽을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마을풍물굿과 전문연희패가 서로 소통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전통시대 풍물굿 생태계의 실체였다. 그런데 다양한 전문연희패와 영향관계에 있던 소포리 사람들은 그러한 관계에 대해서 알지 못하거나 관련성을 부정한다. 여러 가지 영향중에서 군사적 관련성을 강조하는 ‘乞軍’의 성격만을 취사선택하여 전승하고 있는데, 그 중심에 걸궁문서가 존재한다. 결국 걸궁문서를 통해 소포리 풍물굿의 원형을 찾으려 하고, 마을풍물굿을 ‘걸군’으로 원형화하기 위해 걸궁문서를 활용한다. This paper discussed the communication of entertainment and the creation of original forms of Maeul-Pungmul-gut for Jindo Sopori Pungmul-gut. Sopori is located near the port of Jindo in the past which enables to play the role as the cultural communication area and tried to enjoy the culture actively by organizing various cultural groups. In addition, Sopori had the salt industry that makes the salt as the main work and conducted Pungmul by going around the islands and villages of other areas. Pungmul-gut of Sopori has a feature as the case that we can identify various social hierachy of traditional folk entertainment exchange. Sopori people, engaged in the salt industry as the main work in the past, arranged the pungmulpae and went around other villages. The reason that Sopori people could carry on the entertainment activity by arranging the pungmulpae and going around other villages, is because they have communicated with professional entertainment group and accepted their entertainment. Regarding to this, the entertainment document of the entertainment group who acted to prepare the templ remodeling money was communicated to Sopori and thus the entertainment of Namsadangpae was settled and handed down. Looking at this with wide view, Sopori pungmul-gut forms the network overlapping with various professional entertainment groups. Through this network, it seems that Maeul-punngmul-gut and professional entertainment groups communicated each other. We can say this is a part of ecology of pungmul-gut in the past traditional age. However, Sopori people who were influenced from various professional entertainment groups don``t know such relation or deny the relationship. Among various influences, they chose only the name and personality which emphasizes military relation and passed down and in the center, the entertainment document exists.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they are looking for the original forms of Sopori pungmul-gut through the entertainment document.

      • KCI등재

        도깨비신앙의 양가성과 의례의 상대성 고찰

        송기태 ( Ki-tae Song ) 남도민속학회 2011 남도민속연구 Vol.22 No.-

        본 연구에서는 민간신앙 속에 나타난 도깨비의 다양한 면모를 양가성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했다. 기준에 따라서 도깨비는 여러 형태로 분화가 가능하지만, 크게 ‘섬김’과‘물리침’의 대상으로 집약시킬 수 있다. 대표적으로 해안지역의 바다 관련 의례에서는 풍어를 기원하는 대상으로 등장하고, 그 외의 상황에서는 물리쳐야 할 대상으로 등장한다. 같은 도깨비임에도 불구하고 상황이나 지역에 따라서 성격이 극명하게 달라진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양가성과 그에 따른 의례의 상대성에 주목했다. 도깨비신앙의 양가성과 상대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깨비가 공통적으로 상징하는 ‘불’에 대해 주목했다. 불의 ‘열’과 ‘빛’ 두 가지 속성을 주목하여 도깨비신앙이 상징하는 ‘불’의 두 속성을 파악했다. 도깨비가 ‘물리침의 대상’으로 인식될 때는 ‘열’의 속성으로 등장하고, ‘섬김의 대상’으로 인식될 때는 ‘빛’의 속성으로 등장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도깨비의 양가적 속성을 성과 속의 접촉이라는 것과 연관 지어 해석했다. 도깨비는 기본적으로 성(聖)의 존재이기 때문에 속(俗)과 결부되기 위해서는 의례를 매개로 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인간에 빙의하거나 질병을 옮길 때는 탈이 나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러한 비정상적인 상황을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해 도깨비를 떼어내는 분리의례로서 행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풍어신의 형태로 나타날 때는 특별히 마찰을 일으키는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의례를 통해 도깨비를 불러들이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런데 이러한 도깨비신앙의 양가성과 의례의 상대성은 현실적인 문제와 결부되어 각각의 속성이 고착화된 것으로 보인다. 산간지역에서는 불의 위험성이 강조되고, 해안의 바다의례에서는 고기잡이에서의 불의 유용성이 강조되었다고 본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mbivalence and relativity of Tokkaebi (Korean traditional goblin) shown in the folk belief of Korea. In popular belief, Tokkaebi is considered both a bad ghost to be expelled as well as being respected as the subject of richness. Following this paradigm, Tokkaebi can appear as the god of smallpox or of fire, as well as a bountiful catch of fish. For clear differences that the Tokkaebi belief has, various cases are investigated. Existing studies have mainly put emphasis on diversity or regional differences in the popular belief, but this study is built on the two simplified ideas of ‘serving’ and ‘rejecting’ for various rituals. To further examine the issues of ambivalence and relativity of the Tokkaebi belief, ‘fire’, which is generally symbolized for Tokkaebi, is researched alongside with ‘heat’ and ‘light’, two main attributes of fire. being In the context of this, Tokkaebi comes out as ‘heat’ when people recognize Tokkaebi as ‘something to repel’ while the appearance of ‘light’ is considered the ‘object to be served’. The ambivalent attributes of Tokkaebi are studied, based on the notion that the ambivalence is a contact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Tokkaebi is essentially a sacred one and thus needs a ritual for being combined with the profane. In that regard, when it unexpectedly possesses a man or spreads diseasesamong people, people have a tendency of thinking that the subject possessed by Tokkaebi becomes ill. As a result, a specific ritual to recover a normal situation is required. When Tokkaebi appears as the god which helps fishermen get a big catch of fish, rituals play the role of inviting Tokkaebi. But this Tokkaebi religion is different whether rituals related to the sea are done in the coastal areas or not. In that sense, it is judged that regional differences shown in the ambivalence of the Tokkaebi religion may be a choice of a sort of eco-environmentalism. It seems that mountainous territory tends to emphasize the danger of fire whereas the usefulness of fire is stressed for the rituals of fishing in the coastal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