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일부 한국여대생의 로마진단기준에 의한 변비 실태조사 및 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요인

        정수진(Jung Su-Jin),채수완(Chae Soo-Wan),손희숙(Sohn Hee-Sook),김숙배(Kim Sook-Bae),노정옥(Rho Jeong-Ok),백상호(Baik Sang-Ho),강명희(Kang Myung-Hee),김건희(Kim Gun-Hee),김미현(Kim Mi-Hyun),김현숙(Kim Hyun-Sook),박은주(Park Eun-Ju),허영 韓國營養學會 201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부 여대생 978명 대상으로 로마진단기준에 의한 변비 실태를 조사하고 변비증상을 가진 자와 정상배변 습관을 가진자들의 생활습관 배변상태 월경불편감 의생활 주거생활 식습관 및 식이섭취실태 등을 조사하여 변비와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를 영양교육 자료의 기초를 삼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인구비례에 근거한 전국 5개지역 소재 (서울/경기 경상 충청 전라 강원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978명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6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1.6세로 로마기준 II에 의한 변비실태 조사는 정상배변군과 변비군 각각 714명 (73.0%)과 264명 (27.0%)로 나타나 변비유병률은 27.0%로 나타났다. 2) 변비군에서 체중 (p < 0.05)과 체질량지수 (p < 0.05)는 정상배변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비만도가 높을수록 변비발생 (p < 0.01)과 배변장애요인수 (p < 0.01)가 높았다. 3) 변비군의 경우 기능성대장질환 (p < 0.001)과 과민성대장질환 (p < 0.001) 치질 (p < 0.01)발생률과 대변모양이 비정상적 (p < 0.05)비율이 정상배변군보다 더 높게 나타나 배변상태와 변비여부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속쓰림증과 상복부 통증증상은 정상배변군에서 변비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p < 0.001). 4) 배변상태에 이상이 있고 변비가 있을 때 월경불편감을 느끼는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5) 의류 (속옷류) 착용 시 인체에 나타나는 불편한 증상은 정상배변군보다 변비군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았고 의류착용시 편안함이 높을수록 변비 (p < 0.01) 배변장애요인수 (p < 0.01) 기능성대장질환 (p < 0.01) 과민성대장질환 (p < 0.01) 및 월경불편감 (p < 0.01)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6) 조사대상자의 평상시 식사의 규칙성 조사결과 변비군에서 아침식사가 불규칙적인 경우는 30.3% (p < 0.05) 점심식사와 저녁식사의 불규칙적인 경우는 각각 33.3% (p < 0.05)와 30.8% (p < 0.05)로 나타나 정상배변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규칙적인 식사를 할수록 변비증세 (p < 0.01) 배변장애요인수 (p < 0.01) 기능성대장질환 (p < 0.01) 월경불편감 (p < 0.01) 음주률 (p < 0.01) 및 외식률 (p < 0.05)이 낮았다. 7) 식품군다양성점수 (DDS)는 정상배변군에서 4.22점인 반면 변비군에서는 4.12점보다 더 높게 나타나 (p < 0.05) 변비군의 경우 식사의 다양성이 낮았다. 8) 조사대상자의 주생활 요인 인자와 변비여부와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9) 변비상태와 건강관련 항목과의 관련성을 조사결과 변비가 있을수록 배변장애요인수 (p < 0.01),기능성대장질환 (p < 0.01) 과민성대장증후군 (p < 0.01) 및 월경불편감(p < 0.01)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여대생들의 변비 증세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식생활습관의 정정과 함께 규칙적인 하루 3끼 식습관유지가 중요하고 식품 선택 시 다양하게 골고루 규칙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류 착용 시 편안한 옷차림을 유지하고 속옷착용 시에도 편안하고 쾌적함을 유지를 통해 신체증후에 나타는 증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변비 개선에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가임기 성인여성 변비 예방을 위한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 및 개선 할 수 있는 실생활 교육지침과 기초자료 제공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status of constipation. In total 978 female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among constipation and life style clothing patterns housing patterns dietary habits and dietary intake in a constipation symptom group and a normal group. The actual constipation rate based on the Rome II criteria was 27.0% (n = 264). Body weight (p < 0.05) and body mass index (p < 0.05) in the constip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 incidence of functional bowel disease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in the constip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 discomfort of wearing underwea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stipation group than that in the normal group. The constipation group reveal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irregular dietary habits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 dietary diversity score of the normal group was 4.22 (p < 0.05)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stipation group (4.12).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tyle factors was observed.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female students to correct their dietary habits maintain food intake of three times per day and select diverse food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female students to wear comfortable clothing to lessen symptoms and improve constipation rates.

      • KCI등재

        백련초 분말 첨가 배추김치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

        이영숙 ( Young Sook Lee ),손희숙 ( Hee Sook Sohn ),노정옥 ( Jeong Ok Rho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1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7 No.3

        The effects of Backryeoncho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addition (0, 0.4, 0.8, and 1.2%) on the pH, titratable acidity, lactic acid contents, microbial contents,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of cabbage Kimchi, stored at 10℃ for 36 days were studied to establish an optimum recipe. Upon addition of Backryeoncho powder, pH was higher than that of Kimchi without powder after 36 days of fermentation. The titratable acidity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Backryeoncho powder, and 0.4% powder added Kimchi showed the slowest changing level.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degree of salinity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owder from 2.52 to 2.19 to 2.10. The a value was higher in Kimchi with added Backryeoncho powder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control Kimchi. The cutting force and compression force were higher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and especially addition of 0.4% powder showed the highest value of hardness. The addition of powder slowed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samples.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overall taste, 0.4% addition of powder improved the quality of Kimchi. Therefore, addition of 0.4% Backryeoncho powder apears to be an acceptable approach to enhance the quality of Kimchi without reducing acceptability.

      • KCI등재

        복분자를 첨가한 초콜릿의 최적 배합비

        유옥경,김민아,노정옥,손희숙,차연수,Yu, Ok-Kyeong,Kim, Min-A,Rho, Jeong-Ok,Sohn, Hee-Sook,Cha, Youn-S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9

        복분자 진액, 분말, 향(농축액)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최적의 복분자초콜릿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복분자초콜릿의 당도는 복분자 진액 함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을 뿐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경도는 복분자 진액 30 g, 분말 10 g, 향 0.3 g을 첨가한 시료 C가 가장 높았고 복분자 진액 60 g, 향 0.3 g 첨가한 시료 A가 가장 낮은 경도를 보여 복분자 진액 첨가함량이 낮을수록, 복분자 분말 첨가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색도는 복분자 진액 첨가량이 증가하고 복분자 분말 양이 감소할수록 명도가 증가하는 반면, 복분자 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적색도와 황색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진한 보랏빛으로 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복분자 진액 30 g, 복분자 분말 5 g, 복분자 향 0.3 g을 첨가하여 제조한 시료 D가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3.87{\pm}0.99)$, 향 관능평가에서는 복분자 농축액(향) 함유비율이 높은 시료 D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색도의 경우 시료 D가 복분자 고유의 색이 잘 나타나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적색도가 낮고 명도가 높은 연보라색의 시료 A(복분자 진액 60 g, 분말 무첨가)가 유의적으로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경도에서는 수분함량이 높고, 낮은 경도를 보이는 시료 A의 선호도가 높았다. 이상과 같이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크초콜릿 530 g, 화이트초콜릿 300 g, 휘핑크림 130 g, 카카오버터 40 g, 복분자 진액 30 g, 복분자 분말 5 g, 복분자 향 0.3 g을 첨가한 시료 D가 복분자 고유의 향미와 색, 부드러운 질감을 느낄 수 있어 복분자초콜릿의 최적 레시피로써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optimal mixing condition of Rubus coreanus extracts, Rubus coreanus powder, and Rubus coreanus flavor for preparation of the Bokbunja chocol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Bokbunja chocolate were analyzed and evaluated. The sugar concentration of the Bokbunja chocolate ha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addition of Rubus coreanus extracts de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hardness was increased with the decreasing Rubus coreanus extracts and increasing Rubus coreanus powder. The L (lightness)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Rubus coreanus extracts and decreasing Rubus coreanus powder, whereas a (redness) and b (yellowness) values increased by Rubus coreanus powder addition. The optimum mixing condition for the Bokbunja chocolate was decided by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ensory flavor, color, sweetness,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Bokbunja chocolate which was added Rubus coreanus extracts 30 g, Rubus coreanus powder 5 g, Rubus coreanus flavor 0.3 g obtained the best score overal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딥러닝을 이용한 용융 풀 이미지 기반 용입 예측에 관한 연구

        백대현,문형순,박상후 대한용접·접합학회 2021 대한용접학회 특별강연 및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Vol.2021 No.5

        TIG를 이용한 후육 배관의 초층 (Root pass) 용접은 용접 품질 전체를 결정 짓는 매우 핵심적인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초층용접부의 용접 품질은 용입 (Weld penetration)과 용입에 영향을 받는 이면 비드 (Back bead)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초층용접의 자동화에서는 전류, 전압과 같은 용접변수의 제어를 이용하여 용입과 이면 비드 형상을 제어함으로써 적정 용접 품질을 제어하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나, 매우 다양한 용접 환경에 적용하기 적합하지 않으며 공정 중 피드백 제어 (Feedback control)의 부재로 인하여 외부 요인에 의한 용접 품질 변화와 같은 문제에 대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기존 수동 배관 용접에서 작업자는 용접부 전면부에 생성되는 용융 풀을 관찰함으로써 용입 상태를 예측하고 제어하였으며, 이는 용융 풀의 형성과 용입 및 이면 비드의 형상이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를 기반으로 용융 풀의 시각적 모니터링 및 영상처리, 최근에는 딥러닝을 활용하여 용융 풀 형상 측정에 관한 연구 역시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용접환경이나 조건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용융 풀을 추출하고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용융 풀 형상의 추출을 위하여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Semantic segmentation 방법을 적용하여 용융 풀 형상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용융 풀 형상으로부터 길이, 폭, 넓이와 같은 다양한 형상정보를 이용한 데이터셋을 구성하고, 딥러닝 구조를 통해 용융 풀 형상정보로부터 용입의 정량적 예측이 가능한 용입 예측 모델 (Penetration prediction model)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실시간 용입 예측 및 피드백 제어를 통한 용입 형상 제어 알고리즘 개발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