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참여정부의 국가보안법 정책변동실패 사례분석: 옹호연합 및 정책갈등의 결합모형의 적용

        손화정 ( Hwa Jung Sohn ) 한국행정학회 2011 韓國行政學報 Vol.4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Sabatier & Weible(2007)의 옹호연합모형의 일부 구성요소와 Quirk(1989)의 정책갈등모형을 결합하여 헌정역사상 국보법의 실질적 정책변동의 가능성이 가장 높았던 참여정부에서조차 정책변동이 실패된 원인을 미시적 및 거시적 측면에서 규명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미시적 측면에서는 국보법 폐지찬성의 상위옹호연합 내 완전폐지의 하위옹호연합의 상대적 높은 위상과 적극적 의견개진성향의 특성으로 인하여, 거시적 측면에서는 2004년에 국가보안법폐지찬성의 상위옹호연합에게 재원이었던 의회권력과 시민단체의 활동이라는 외적변수가 2005년부터는 더 이상 이들 옹호연합의 재원으로 작용하지 못하여, 끝내 정책변동이 발생하지 못하였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도출하면서 무엇보다도 기존 옹호연합모형의 이론적 측면에서 제한되어 논의되어 왔고, 실천적 측면에서도 대부분 간과된 채 분석되어 왔던 하위옹호연합의 특성과 상호작용을 일정부분 규명함으로써, 정책분석에 있어서 상위뿐만 아니라, 하위옹호연합에 관한 논의의 중요성을 사례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macro and micro factors involved in the failure of policy change for the National Security Law under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in Korea, To do this, the policy conflict framework was integrated with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This study found that macro factors included reduction in short-term external resources, such as the power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activity of civic groups between 2004 and 2005 for the upper advocacy coalition in favor of abolishment of the law. This study found that micro factors included highly political power and the use of a vigorous and persuasive approach by the sub-advocacy coalition in favor of the complete abolishment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This study contributes to knowledge in the field by disclosing the importa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advocacy coalitions in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 concept that has not been theoretically well developed.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무기계약직 노동조합 대응방안 연구

        김대욱 ( Kim Dae-wook ),손화정 ( Sohn Hwa-ju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0 地方行政硏究 Vol.34 No.1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로 인해 지방자치단체 무기계약직 및 노동조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 노사분쟁과 그로 인한 소요비용도 상당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응이 지방자치단체의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무기계약직의 개념과 특성, 노동조합 및 노사분쟁의 현황을 조사하고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상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방자치단체에는 상당수의 무기계약직 노동조합이 설치되어 있고 그로 인한 노사분쟁과 소요비용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상황을 분석해 보면 업무담당자들의 전문성 부족, 협약의 원만성 부족, 관련 정보의 제한적 공유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가 제안하는 단기적 대응방안은 담당자의 전문성 제고, 상위정부의 노조협상 지원이며, 중장기적 대응방안은 공무직 정식직제화 방안이다. As a result of the regularization of non-regular workers, the number of indefinite-term contract workers and labor unions in local governments is increasing rapidly, resulting in labor disputes and the expenses required. Therefore, the response to this problem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for local governments. To prepare countermeasures against this proble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local governments' indefinite-term contract worker labor unions and labor disputes and analyzed the response status of local governments. The survey found that local governments have a considerable number of indefinite-term contract workers labor unions resulting in a significant amount of labor disputes and related costs. However, the analysis of the local governments' response to the situation reveals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expertise of the officials in charge of affairs, the lack of seamless of the agreement, and the limited sharing of relevant information. The short-term countermeasures proposed by this study to resolve thes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expertise of those in charge. Second, higher governments need to support the negotiation process with indefinite-term contract worker labor unions. The mid- to long-term countermeasure is to create official positions for indefinite-term contract workers.

      • KCI등재

        지방행정체제 개편: 발상의 전환

        유재원 ( Jae Won Yoo ),손화정 ( Hwa Jung Sohn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0 地方行政硏究 Vol.24 No.4

        이 연구는 자치계층을 조정하고 자치단체를 통합하는 것과 같이 지방자치의 외형적 골격을 변화시키는 것으로는 지방행정체제 개편을 통해 달성하려는 목표인 자치단체의 효율성과 성과를 높이지 못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구조적 접근에 대한 대안으로 지방재정 시스템을 의존재정 구조에서 벗어나 독립채산제로 변화시키고, 지방자치의 운영원리를 계층제 방식에서 시장 방식으로 전환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발상의 전환은 지방자치의 운영원리의 변화를 통해 지방정부의 체질 및 정책기조를 분배와 소비지향적인 성향에서 생산과 성장지향적인 성향으로 바꾸지 않고는 지방정부의 효율성과 경쟁력 향상을 구현할 수 없다는 믿음에 기초하고 있다. 이 연구는 성장-생산-효율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지방정부의 정책기조를 변화시키기 위해 지방교부세에 의존하는 지방재정 시스템을 소득세와 법인세의 공유세화를 통해 독립채산제의 형태로 변화시키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This article proposes a new idea for making local governments work better. The authors assert that the best way to strengthen the effectiveness and competitiveness of local governments is to shape the policy baseline of local governments in such a way that they have a stronger policy preference for economic growth and production. Currently, local governments are strongly geared towards the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end of policy priorities continuum. This article is premised upon an understanding that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local governments alone, which is not accompanying a change in the policy baseline, falls far short of upgrading local governments` performance. For directing policy priorities of local government into growth and production end, it is suggested that local finance system is to be transformed into self-financing system from a current one, which is highly dependent upon central subsidies. And for leading local governments to be financially self-dependent, the authors propose that central government needs to reduce local allocation tax given to local governments and in its stead allow national income and corporate taxes to be shared by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평화시대 지방자치단체 남북한 교류의 방향 : 동서독 및 남북한 과거 교류경험의 비교를 통한 교훈을 바탕으로

        김대욱 ( Kim Dae-wook ),손화정 ( Sohn Hwa-ju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9 地方行政硏究 Vol.33 No.3

        이 연구는 남북한 평화시대를 맞이한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의 발전방향을 과거 동서독과 남북한 교류의 경험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지방국제교류론, 기능주의, 공공외교론을 검토하고 비교분석의 요소를 도출하였다. 지방행정체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 교류내용, 교류성과평가가 그 항목들이며 동서독과 남북한을 각각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동서독과 남북한의 과거 교류경험은 공통점과 차이점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각각을 통해 앞으로의 교류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요약하면 우리의 경우 지방자치의 수준이 덜 성숙하고, 중앙정부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크고, 교류내용이 한정적이며, 교류성과가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님이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 구분 및 강화, 교류내용의 다각화, 북한 주민을 대상으로 한 사업확대 등과 같은 발전방향을 제안하였고, 그 과정에서 행정안전부와의 협조 강화, 접경지역 사업의 우선적 추진을 추가적 검토과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inter-Korean exchanges in local governments facing the era of peace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st experiences of East-West Germany and South-North exchanges. To this end, the government first reviewed theory of international exchange of local governments, functionalism, and public diplomacy, and derived elements of comparative analysis. These items included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the role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contents of exchanges and the evaluation of exchange performance. Comparatively analyzed, the past experiences of exchanges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and the two Koreas exist in common and different ways, so we drew suggestions and lessons on future exchanges through each. In summary, it was suggested that in our case, the level of local autonomy is less mature, the role of central government is relatively large, the contents of exchanges are limited, and the exchange performance is not satisfactory. Development directions such as division and reinforcement of role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diversification of exchange contents, and expansion of projects targeting North Koreans were proposed. And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promoting projects in the border area as additional review tasks are discussed.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신규공무원 교육훈련 전이효과 영향요인 분석

        이승모 ( Lee Seung Mo ),손화정 ( Sohn Hwa Ju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6 地方行政硏究 Vol.30 No.4

        최근 지방자치단체 신규공무원의 채용이 폭발적으로 확대되면서 신규자 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현실에서는 신규자 교육과정의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관련 연구 또한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 신규공무원 기본교육훈련의 전이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에 대한 신규공무원의 기대 중에서 지식과 능력측면은 업무 전이효과에, 가치와 관계 측면은 태도 전이효과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설계에 있어서 교과목과 수요자 요구반영은 모든 전이효과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교육환경 및 시설은 태도 전이효과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강사는 유의미하지 않은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규자 속성에서 7·8급 승진이후 신분을 가진 참가자와 수료이후 기간은 업무 전이효과에, 행정직군은 태도 전이효과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이효과에 대한 영향력의 크기는 전체적으로 교육과정 설계요인, 기대 요인, 신규자 속성 요인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특히, 업무 및 태도 전이효과 공히 수요반영 인식 변수의 영향력 크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로 전이효과 개념의 다차원성 확인, 전이효과 영향요인으로서 기대요인의 내용적구체화 및 신규공무원으로서의 개인적 속성 변수 고려 필요, 구체적인 사전 수요조사와 적정 교육시기 준수, 교육기대와 직렬 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과정 설계 등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recruitment of new public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s has expanded explosively and the importance of training for them has increased. Nevertheless, various problems have been raised in this training and related research is a lso very l imited. The purpose of this s tudy is to c lar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transfer of training of new public officials and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pectation of knowledge-ability of new public officials was a positive factor for job transfer of training and expectation of value-relationship was positive factors for attitude transfer of training. Second, acceptance of customer needs and satisfaction with training content are positive factors for all types of transfer of train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are only positive factors for attitude transfer, and teacher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7·8th grade promoters and the post-training periods were negative factor for job transfer. And the general administration service was negative factor for attitude transfer. Fourth,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on the transfer of training is reported in the order of training design, expecta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ew public official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ultidimensionality of transfer was identified. Second,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contents of expectation an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new public officials as influential factors. Third, it is required to conduct demand-surveys and to adhere to appropriate training timing. Fourth, customized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the expectation and position of the particip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