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evel Set Method를 이용한 그레인 Burn-back 연구

        손지현(Jihyun Sohn),장진성(Jinsung Jang),오석환(Seokhwan Oh),노태성(Taeseong Roh) 한국추진공학회 2014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5

        고체로켓의 성능은 내탄도 해석을 통해 예측이 가능하며, 내탄도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추진제의 형상과 관련된 그레인의 연소표면적 값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레인의 연소표면적 산출을 위해 Level Set Method를 적용한 Numerical Method를 이용하였다. Numerical Scheme을 유도하기 위한 Level Set Equation과 수학적 관계식을 정리하였다. 연소표면적 변화와 관련된 Perimeter 값을 산출하였고, 산출된 Perimeter 값은 Analytical Method로부터 산출된 값과 비교하였다. The change value in the burning surface of the grain is required for performance analysis of the solid rocket. In this study, the numerical method with the level set method has been used for the code development to calculate the burning surface. Level set equations and mathematical equations have been organized for the derivation of the numerical schemes. The perimeter change associated with the burning surface change has been calculated and compared to result of the analytical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 창의성 연구의 관점과 접근 방안

        손지현(Jihyun Soh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美術敎育論叢 Vol.25 No.2

        본 연구는 창의성 연구 문헌 분석과 미술교육에서 다뤄진 창의성 연구를 기초로 창의성 연구의 개념, 내용,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창의성 연구의 범주를 토대로 미술교육의 창의성 연구를 사고력으로서, 과정으로서, 산물로서, 통합적 접근의 4가지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미술교육에서 창의성 연구의 관점을 바탕으로 미술적 창의성과 관련된 사고력을 설명하고 미술 활동 과정에서의 창의적 자아표현, 미술적 성장, 작가를 모델로 한 창의적 사고 모델 등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창의적 산물인 학생 작품에서 창의성의 질적 특성을 분류한 아이스너의 창의성 유형학(typology)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시각문화와 창의경제의 중요성이 요구되는 현대에 창의성을 개인적, 선천적 특성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재개념화가 필요함을 들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approach to creativity in art education through critical analysis of concepts related to creativity and art education that can be developed to cultivate students’ creativity. Recently there are increasing notions about creativity in art education due to the reformation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reconceptualize definitions of creativity due to the changes of field of art education to integrate concepts of visual culture and global creative economies. It is advocated that research and practice in art education can develop cognitive, productional aspects through artistic process. Topics discussed in this article, related to reconsidering creativity in Postmodern times include history of creativity research, creative thinking, artistic creativity, creativity typology, and education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creativity in sociocultural context.

      • KCI등재

        브렌트 윌슨의 미술교육 사상과 시각문화 연구

        손지현(Jihyun Sohn)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3

          현대 미술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브렌트 윌슨(Brent Wilson)의 미술교육사상의 철학적 기반, 시각적 텍스트로서의 미술교육과 아동화 연구, 시각문화 연구와 시사점으로 나누어 살펴보겠다. 윌슨은 광범위한 인문학적 지식과 철학적 관심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을 바탕으로 시각적 텍스트로서의 미술교육과 아동화 연구에 문화적 영향을 중시한다. 그는 DBAE가 학생들의 삶과 관심의 문제를 담는데 한계가 있다고 보고 현대미술과 대중매체를 포함하는 리좀(rhizome)과 같은 무수히 많은 기호학적 연결고리로 연결된 시각문화 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현대 미술교육을 전망하였다.   Brent Wilson"s study on child"s art helps frame the recent shift toward visual culture as a revisioned movement. He presented the innovative view of how children learn to draw and the cultural influences of their choices. This article describes his research and its sources. Theories, philosophies, intellectual climate are the first classification to help art educational research. Wilson draws upon postmodern theories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Wilson continued to challenge art education field with research about popular culture and their influences on child art. He explored the role of popular culture in contemporary society while problematizing developmental theories including Lowenfeld prevalent in the field in 1970s. Wilson argued that art education should enable students to interpret and create artworks in term of solving problems in their life. His cross-cultural research on Japanese young people"s manga, dojinshi, and comic market provides a set of tools toward critical pedagogy to help students to investigate the intertextual site in visual culture outside schooling. A review placed his major writing in the context of art education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art education.

      • KCI등재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체험’에 관한 논의

        손지현(Sohn, Jihyun),이민정(Lee, Min-J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美術敎育論叢 Vol.26 No.2

        본 연구는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체험’에 관한 논의를 통해 미술 교육에서 미적 체험의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개정 교육과정의 ‘체험’이라는 용어가 갖는 의미와 문제점을 미술 교육과 미학의 연구들을 토대로 제시하였다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내용 체계의 변경이유와 쟁점을 기준으로 체험 영역의 구성 요소와 체계를 분석하였다. 체험’의 기원 이 된 미적 체험 (aesthetic experience) 에 대한 미술 교육에서의 개념과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적 체험의 방향을 4가지로 들었다. 1) 미술 교육에서 철학적 기초로서,2) 미적 문해력, 시각적 문해력 및 비판적 사고로서, 3) 통합적 교육의 접근으로서, 그리고 4) 학생의 정체성, 행복, 배려 등 인성의 측면에서 미적 체험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적 체험 영역의 내용 구성과 교수 • 학습의 실천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central issues of the area of experience. in 2009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Based on the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 which is the name of area before changing to the name of area. experience.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s of the area of experience and discusses the direction for art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explore the problems of the term with the meaning of experience and problems of the categorization of it. Also we analyze the justification of the change from the term aesthetic experience to experience. the changes in a system of contents. the structural elements of the area of experience. and the validity of its revis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and the educational values of aesthetic experience in art education and curriculum. Through this analysis, we suggest four directions of aesthetic experience in art education: 1) the philosophical basis in art education. 2) as aesthetic literacy. visual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3) as interdisciplinary and integrity 4) identity. happiness. care and personality. Based on this discussion. this study attempts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and practice of the area. aesthetic experience in art education.

      • KCI등재

        미국 NAEP 미술 평가에 대한 고찰과 시사점

        손지현(Jihyun Soh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주도의 절대 평가인 미국의 국가 교육 성취도 평가(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 Progress: NAEP)중 미술 평가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국가수준의 미술과 성취도 검사를 위한 기초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미국의 NAEP은 1969년 창립되었으며 미술 교과의 평가는 최근 1997년과 2008년에 실시되었다. 1997년과 2008년의 NAEP 미술 평가의 배경과 역사, 평가 체제와 관련된 용어,평가 예시 문항의 분석과 채점기준과 평가결과의 논의를 토대로 미술교육에 끼친 영향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NAEP 미술 평가의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의 국가 주도의 미 술과 성취도 검사의 필요성과 실시를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The 2008 NAEP arts assessment in U.S. measured students' knowledge and skills in the arts by asking students to observe, describe, analyze, and evaluate existing works of visual art and to create original works of visual art. This study introduces the arts assessment principles, framework, assessment design process, scoring students' work in the arts, reporting arts results, comparisons between 1997 and 200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results of 1997 and 2008 NAEP arts assessment and to suggest implication for Korea art educational context. The process of developing assessment design, scoring guides, supervising the assessment procedure in middle schools for the tests is explained. 2008 NAEP arts results inform the public the status of educational progress in public and private schools. The researcher explains the context of the assesment as detailed as possible by providing examples of achievement levels in visual arts. Recent 2009 national curriculum reform by Korean department of Education is to cause art educators to worry about the exclusion of teaching and assessing visual arts in schools systems. Due to the intense concerns of assessment results for university admissions in Korea, students, educators and parents are very interested in the focus on assessment of reading, writing, mathematics, and Englis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literature of NAEP and to suggest the possible large scale assessment for Korean students as 2008 NAEP arts have impact on the field of art education.

      • KCI등재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오해와 미술 교육적 의미

        손지현(Jihyun Sohn) 한국미술교육학회 2008 美術敎育論叢 Vol.22 No.1

          본고는 미국 미술교육에서 보이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관심과 도입과정에서의 몇가지 오해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우리 미술교육에 주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시각문화 미술교육이란 미술교육의 양적 확대라는 내용의 측면뿐 아니라 접근방식의 변화를 의미한다. 둘째로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작품 활동을 배제하고 이미지 읽기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문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작품 활동으로 이어지게 함으로써 미술교육의 핵심적인 부분을 계속적으로 심화 확대해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대중문화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미술작품과 그가 위치해있는 문화적 컨텍스트를 살펴보고 학생들의 삶의 핵심적 문제를 살펴본다. 자라나는 학생들의 문화를 통해 정체성 문제를 다룸으로써 흥미꺼리나 일시적 관심사가 아닌 문화적 인식을 통한 자신의 탐구를 가능하게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some misunderstanding of visul culture studie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in U.S. The author proposes the ways to understand meanings of visual culture studies and pedagogical approaches to art education. First of all.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s not just about contents but approaches. Secon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does not exclude students" artistic production from the field of art education but reconsiders students" artistic production. Students artistic production should be considered as the ways of understanding their cultures. The authors argues for the continuation of students" art making as well as socio-cultural analysis of images. Finally,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cludes artworks as well as images of popular culture. Art educato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examine cultural context surrounding artworks and artifacts. In doing so, students could connect essential problems of their lifes to big ideas of artifacts. Students could explore their identity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meanings in their everyday visual experiences.

      • KCI등재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은유의 활용에 관한 연구

        손지현(Sohn, Jihyu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1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창의성을 신장을 위해 은유를 활용한 미술 작품 해석의 과정과 결과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은유의 개념을 다양한 관점에서 고찰하고 작품의 감상활동에서 은유적으로 사고하여 창의적으로 작품의 의미를 해석하는 교수 전략을 도출한다. 연구 참여자인 예비교사는 문제해결의 대상인 작품이 되어보는 1) 개인적 유추. 2) 은유적 맵핑 (metaphoric mapping)을 통해 작풍에 대한 감정 이입과 상상력을 발휘하고 작품의 의미를 독창적으로 구성할 수 있었다. 작품에 대한 맥락적 검토를 기초로 학생 스스로 작품에 대해 해석하여 글쓰기 과정에서는 3) 주제 적 통일성이 필요하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미술교육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해 은 유를 인지도구로 보는 관점을 도입하여 미술 제작 및 감상 교육에 은유를 활용하여 학생 개인의 내연을 통찰하여 미술적 창의성을 길러야 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and result of utilizing metaphor for interpreting artworks by preservice art teachers. Based on the concept of metaphor. which is concept of linguistics. philosophy and cognitive studies. the author identifies metaphor as a way of instructional strategy for constructing meaning by seeing one thing in terms of another. Metaphors can help students to make connection with artworks and other experience. Metaphors make sense out of experience in that they construct that have coherent structure. highlighting some things and hiding others. Personal analogy can be used for entering a work. stepping into it. identifying with various aspects of it. and thinking metaphoricall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rote from inside a portrait by becoming an person. object. and making links to self and artworks. Selecting works as metaphors for one's life helps a viewer find sensitively with empathy. Metaphorical mapping can help students to go beyond literal or denotative meaning of artworks. In order to respond to metaphorically. students need strategy that de-emphasize literal-analytical thought such as clustering. Students can write words or phrases elicited by the artworks and draw circles around the words or phrases. Through the analysis of students' writing. clustering and interview data. the researcher offers a pedagogical considerations that involves creative thinking: developing meaning with sensitivity and imagination by personal analogy, interpreting metaphorically utilizing clustering, and constructing an creative interpretation with thematic unity from contextual knowledge.

      • Analytical Method를 이용한 고체 추진제 그레인의 Burn-back 연구

        손지현(Jihyun Sohn),장진성(Jinsung Jang),오석환(Seokhwan Oh),김진관(Jinkwan Kim),노태성(Taeseong Roh) 한국추진공학회 2013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2

        고체 추진기관의 성능은 내탄도 해석을 통해 예측이 가능하며, 내탄도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추진제의 형상변수와 관련된 그레인의 연소표면적 값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레인의 연소표면적을 산출하는 Burn-back 해석코드 개발을 위해 Analytical Method를 적용하였다. 그레인의 초기 형상에 따라 Analytical Method를 적용하기 위한 기하학적 변수를 선정하였고, 연소 과정에서의 그레인 형상 변화에 대해 정리하였다. 연소표면적의 변화와 관련된 Port Area와 Perimeter의 값을 산출하였고, 산출된 Perimeter 값을 Numerical Method로 부터 산출된 값과 비교하여 해석코드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The value of change in the burning surface of the grain is required for performance analysis of the solid rocket propulsion system. In this study, the analytical method has been used for the code development to calculate the burning surface. Geometric parameters for application of the analytical method have been selected according to the initial configuration. Configuration change of the grain with combustion has been organized. Change of the port area and perimeter associated with change in the burning surface has been calculated. The developed code has been verified by comparison of results of the numerica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