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건의료 교육기관에서 생물테러 관련 교육 현황조사 및 학습목표 개발

        이하경,천병철,이성은,오향순,왕순주,김지희,손장욱,Lee, Ha-Gyung,Chun, Byung-Chul,Yi, Sung-Eun,Oh, Hyang-Soon,Wang, Sun-Ju,Kim, Jee-Hee,Sohn, Jang-Wook 대한예방의학회 2008 예방의학회지 Vol.41 No.4

        Objectives: Bioterrorism (BT) preparedness and response plans are particularly important among healthcare workers who will be among the first involved in the outbreak situ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for BT preparedness and response in health care-related colleges/junior colleges and to develop learning objectives for use in their regular curricula. Methods: We surveyed all medical colleges/schools, colleges/junior colleges that train nurse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or clinical pathologists, and 10% (randomly selected) of them that train general hygienists in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via mail from March to July of 2007. We surveyed 35 experts to determine if there was a consensus of learning objectives among healthcare workers. Results: Only 31.3% of medical colleges/schools and 13.3% of nursing colleges/junior colleges had education programs that included BT preparedness and responses in their curricula. The most common reason given for the lack of BT educational programs was 'There is not much need for education regarding BT preparedness and response in Korea'. None of the colleges/junior colleges that train clinical pathologists, or general hygienists had an education program for BT response. After evaluating the expert opinions, we developed individual learning objectives designed specifically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Conclusions: There were only a few colleges/junior colleges that enforce the requirement to provide education for BT preparedness and response in curricula.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perception of BT preparedness and response to induce the schools to provide such programs.

      • KCI등재후보

        지속성 균혈증 및 진균혈증-위험 인자 및 임상적 중요성

        최원석 ( Won Suk Choi ),서유빈 ( Yu Bin Seo ),조유미 ( Yu Mi Jo ),김정연 ( Jeong Yeon Kim ),기세윤 ( Sae Yoon Kee ),정혜원 ( Hye Won Jeong ),박대원 ( Dae Won Park ),손장욱 ( Jang Wook Sohn ),정희진 ( Hee Jin Choeng ),김민자 ( Min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6

        목적: 지속성 혈류 감염은 사망률과 재원 기간을 증가시킨다는 이전의 보고는 있으나, 이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지속성 균혈증과 진균혈증을 보인 환자들에 대해 위험 인자와 임상적 중요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환자-대조군 연구로 1999년 5월부터 2005년 2월까지 일개 대학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검토하여 지속성 혈류 감염의 정의에 합당한 환자를 선정하였다. 이후 지속성 혈류 감염 환자군의 혈액배양 검사 날짜와 동일한 날짜에 혈액배양 검사가 이루어진 환자 중 당일에만 양성 소견을 보이고 추적 배양검사 결과 음전된 환자를 대조군인 단기 혈류 감염 환자군으로 선택하여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중 혈액배양 검사상 양성 소견을 보인 환자는 총 1,737명이었으며, 이 중 연구군이 된 지속성 환자군은 64명이었고, 대조군인 단기 환자군은 146명이었다. 지속성 혈류 감염을 보인 환자들은 1개월 이내의 항생제 사용력, 원내 감염, 농양, 혼합 균주에 의한 감염, Candida sp., 경험적 항생제가 감수성 검사 결과와 부합하지 않는 경우, 중심 정맥 도관 삽관, 처음 혈액배양 검사 당시 중환자실에 재원한 경우가 많았다. 이 중, 1개월 이내에 항생제 사용력(p=0.033), 원내 감염(p=0.026), 농양(p=0.004), 혼합 균주에 의한 감염(p=0.001)은 다변량 분석상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독립적인 연관성을 보였다. 예후의 비교에 있어서는 지속성 환자군이 단기 환자군에 비해 재원 기간이 길었으나(p=0.01), 사망률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지속성 혈류 감염을 가진 환자들에 대하여 1개월 이내 항생제 사용력, 원내 감염, 농양 존재, 혼합 균주에 의한 감염 여부에 대해 확인해 보아야 하며, 이외에도 원인균이 Candida sp.가 아닌지, 중심 정맥 도관을 가지고 있는지, 경험적 항생제의 선택이 적절하였는지, 처음 혈액배양 검사 당시 중환자실에 재원한 경력이 있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겠다. Background: Persistent bloodstream infection is known to cause high mortality and a prolonged hospital stay. We performed a study examining risk factors an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persistent bacteremia and fungemia. Methods: This was a case-controlled study.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bacteremia or fungemia in one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from May 1999 to February 2005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ith persistent positive blood cultures regardless of antibiotic treatment for more than three days were assigned to the persistent group. Patients with positive blood cultures only on the same calendar days with the persistent group but negative on follow-up were assigned to the short-term group. Results: A total of 64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persistent group, and 146 patients in the short-term group among 1,737 patients with positive blood cultures. The persistent group was associated with previous antibiotic usage within 1 month (p=0.033), nosocomial infection (p=0.026), having an abscess (p=0.008), and infection by mixed organisms (p=0.001), independently. Candida sp. as a causative organism, treatment with inappropriate empirical antibiotics, having a central venous catheter, or ICU care at the time of blood culture was higher in the persistent group as well. The persistent group had a prolonged number of hospital-days (p=0.010),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rtality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Patients with a persistent bloodstream infection should be assessed about previous antibiotic usage within 1 month, nosocomial infection, having an abscess, infection by mixed organisms, Candida sp. as a causative organism, treatment with inappropriate empirical antibiotics, having central venous catheter, or ICU care at the time of blood culture. (Korean J Med 72:647-657, 2007)

      • KCI등재

        증례 : 감염 ; 결핵성 임파선염 환자에서 Rifampin 재투여로 인한 치명적 과민성 반응 1예

        김예지 ( Ye Ji Kim ),임선영 ( Sun Young Yim ),배송이 ( Song I Bae ),안재희 ( Jae Hee Ahn ),장원진 ( Won Gin Chang ),손장욱 ( Jang Wook Sohn ),김민자 ( Min Ja Kim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2 No.1

        저자들은 rifampin에 과민 반응이 있는 환자가 rifampin에 다시 노출된 후, 아나필락시스 및 횡문근 융해증, 급성 신부전, 파종성 혈관내응고증후군이 병별하여 결국 사망에 이르렀던 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44-year-old patient who had been diagnosed with tuberculous Lymphadenopathy came to our hospital with a rash. He began to take antituberculous medications, but the next day, a rash appeared and persisted for one week. When he came to the hospital, he had already stopped the medication by his own decision. We stopped all drugs and reintroduced one drug at a time. After re-administration of rifampin, anaphylactic shock and subsequent acute renal failure and rhabdomyolysis occurred. Intensive care was performed, but the patient died 60 h after the first hypersensitive reaction that occurred due to rifampin. Anaphylaxis and subsequent rhabdomyolysis induced by rifampin is an extremely rare event. It is necessary to initially prescribe low dose rifampin in cases of re-administration. (Korean J Med 2012;82:115-118)

      • KCI등재후보

        증례 : 인간면역부전 바이러스 초감염 3예: 조기 인지의 임상적 중요성

        정성주 ( Sung Joo Jung ),정은석 ( Eun Sun Jung ),김정엽 ( Jeong Yup Kim ),정혜원 ( Hye Won Jeong ),박대원 ( Dae Won Park ),손장욱 ( Jang Wook Sohn ),김민자 ( Min Ja Kim )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

        최근 한국을 포함하여 아시아 지역에서 HIV 감염자 수가 급증함에 따라 HIV 초감염환자의 조기 진단 및 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저자들은 최근에 증상을 수반한 HIV 초감염 환자 3예를 경험하였으며, 이에 HIV 초감염의 다양한 임상양상에 대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며, HIV 초감염의 조기 진단 및 치료의 중요성에 대하여 강조하는 바이다. Primary HIV infection (PHI) is the period from initial infection with HIV to complete seroconversion and can presented in a variety of ways. Persons with symptomatic PHI are highly contagious and play a key role in HIV spread. More than 90% of acute infection go undiagnosed despite more than 50% of cases are symptomatic. As the newly diagnosed HIV infected patients have increased in South Korea recent years, persons with PHI should be included in the targeted public health strategies. We recently experienced three cases of symptomatic PHI; the first case presented with whole body rash and general weakness, the second presented as mononucleosis-like syndrome and aseptic meningitis, and the last showed as only fever and myalgia. We suggest that general practitioners realize the clinical impact of PHI on the spread of HIV and importance of its early detection. (Korean J Med 69:S988-S993, 2005)

      • KCI등재후보

        신생아실 로타바이러스 유행의 역학적 특성과 효과적인 조절 대책에 관한 연구

        장지민,김미정,정혜원,박대원,손장욱,창성,이승은,김민자 대한감염학회 2005 감염과 화학요법 Vol.37 No.6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an outbreak of rotavirus infection in a neonatal unit and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infection control measures implemented. Materials and Methods : We investigated an outbreak of rotavirus infection in a neonatal unit equipped with 4 newborn nursery rooms (NNRs) from Dec. 2002 through May 2003. After performing initial surveillance study in all 11 newborns and 21 staffs for stool rotavirus shedding, we observed the course of the outbreak by assessing week incidence and introducing reinforced control measures. P (VP4) genotypes of rotavirus isolates were determined to investigate the link between NNRs and the pediatric ward. Results : Initial surveillance showed that 2 newborns from NNRs were infected, but none of staffs were infected. Despite initial intervention (70% alcohol based gel for hand hygiene, cohorting of the neonates, and education for staffs), new cases increased up to 9.2 cases per 100 neonate week. Even after further control measures such as using commercialized milk and recruiting new staffs, cases continued to occur with 22.2 cases per 100 neonate week. Finally, a temporary NNR was set up and disinfection of surfaces and equipments from the neonatal unit was performed, after which the outbreak ceased. All rotaviruses isolated during the outbreak from newborns in NNRs were genotype P2A, whereas isolates from the pediatric ward were genotype P1A, P1B, and P3. Conclusions : This study indicates that rotaviral diarrhea is highly transmissible and when outbreak occurs in the neonatal unit, excessive control measures such as the ward closure may be needed. 목적 : 저자들은 신생아실내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유행적 발생을 경험하고 역학적 조사를 통하여 그 감염원을 규명하고 감염전파의 조절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책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2년 12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신생아실내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유행에 대한 역학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행초기 신생아실 재원 환아 11명과 신생아실 근무자 및 출입의료진 21명의 대변 검체를 수집하여 로타바이러스 선별 검사를 시행하였고 감염전파의 조절을 위하여 단계적으로 강화된 중재책을 도입하였으며 주간 발생률을 구하여 중재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소아병동과 신생아실간의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역학적인 연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군 로타바이러스의 VP4 유전형의 분자역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초기 선별검사에서 신생아실 재원환자 11명중 2명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 양성을 보였고 신생아실 근무자 및 출입의료진 21명은 전원 음성 결과를 보였다 로타바이러스의 신생아실내 전파를 막기 위한 1차 중재책으로 신생아실 감염관리 교육 실시 및 70% 알콜 손 소독제 배치, 설사 환아 격리 등의 방법을 도입하였으나 이 기간동안의 주간 발생율은 227-921/100 neonate·week로 유행은 지속되었다. 2차 중재책으로 감염된 환아만을 전담하는 5명의 새로운 간호 인력을 충원하고 액상분유를 도입하였으나 로타바이러스 신환은 발생하었다. 결국, 신생아실 내부환경의 전반적인 소독을 실시하고 신생아실을 50일간의 폐쇄하는 방법이 도입되었고 그 이후 유행은 종결되었다. 한편 로타바이러스의 VP4 유전형분석 결과에서 신생아실 분리 주는 모두 P2A type이었으나 소아병동 분리주들은 P1B, P1A, P3 type이 각각 3명, 2명, 1명으로 비교적 다양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저자들은 신생아실내 로타바이러스 유행시 단계적으로 강화된 중재책을 도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유행이 지속되는 경우에 환경 오염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일정기간 병동을 폐쇄하는 등의 강력한 방법이 필요할 수 있음을 제시하는 바이다.

      • 결핵 환자에서 말초혈액 단핵구로부터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한 결핵균의 검출

        김민자,손장욱,정희진,우흥정,김우주,박승철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4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폐결핵 환자의 말초혈액으로부터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결핵균의 검출율을 조사하고, 연구 대상을 넓혀 속립성 결핵과 폐외결핵에 있어서 검출율과 진단적 유용성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폐결핵 환자 10명, 속립성 결핵 환자 5명을 포함한 폐외결핵 환자 13명, 현성 결핵감염의 증거가 없으면서, 결핵을 앓는 과거력이 없는 건강한 사람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말초혈액 단핵구로부터 Mycobacterium tuberculosis를 검출하기 위하여 IS6110 유전자의 일부분을 증폭하는 PCR을 시행하고, IS6110에 특이한 oligoprobe를 사용한 Southern hybridization을 시행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 23명의 결핵 환자 중 16명에서 PCR 양성을 나타내었다. 폐결핵환자에서는 80% (8/10)에서, 폐외결핵 환자에서는 50% (4/8)에서 양성을 보였으며, 이중 속립성 결핵 환자에서는 100% (5/5)에서 양성을 나타내었다. PCR의 특이도를 보기 위해서 시행한 Southern hybridization결과는 PCR의 결과와 모두 일치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PCR을 이용한 말초혈액 단핵구로부터의 결핵균 검출은 속립성 결핵과 폐결핵뿐만 아니라 조직검사의 위험성이 따르는 폐외결핵에 있어서 간단하며 신속한 보조적인 진단방법으로 사료되며,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 Conventional diagnostic methods of pulmonary tuberculosis, such as acid-fast bacilli staining and culture of sputum, have the disadvantages of low sensitivity and long incubation period, respectively. The diagnosis of extrapulmonary tuberculosis needs invasive procedures. We investigated the value of PCR-based detec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from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for diagnosis of pulmonart or extrapulmonary tuberculosis. Methods : The peripheral blood mononuclcar cells were collected from 23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n=10) and extrapulmonary tuberculosis(n=13), including miliary tuberculosis(n=5), and 10 healthy individuals as negative controls. A pair of primers was used to produce a 314 bp amplification product from the insertion element IS6110, which is specific for M. tuberculosis. PCR products were detected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d southern hybridization using a IS6110 specific oligoprobe. Results : Eight out of ten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nd 9 out of 13 patients with extrapulmonary tuberculosis showed positive results, yielding 73.9%(17/23) positivity on PCR assay. All five patients with miliary tuberculosis were positive. None of the healthy individuals showed positive results. Conclusion : The PCR assay for M. tuberculosis from peripheral blood seems to be useful for diagnosis of tuberculosis, especially miliary tuberculosis. Further studies about the value of the PCR assay in monitoring treatment response are needed.

      • KCI등재후보

        일개 대학병원근무자들에서의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 순응도 관련요인

        정희진,손장욱,최선주,엄중식,우흥정,천병철,김우주,박승철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4

        목적 : 병원근무자에서의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은 병원내에서 인플루엔자 전파를 막기위한 수단으로 적극 권장되고 있으나 매년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하는 병원근무자들은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본 연구는 병원근무자들에서의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첫째, 백신 접종자에서의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계기를 알아보고 둘째, 인플루엔자 백신접종의 장애요인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해결하는데에 목표가 있다. 재료 및 방법 : 서울 1개 대학병원의 병원종사자들을 대상으로 1999년 10월 1개월에 걸쳐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을 하도록 한 후 2000년 3월에 접종군과 비접종군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백신 접종군을 대상으로 백신접종의 동기(que to action), 비접종군을 대상으로는 접종에의 장애요인(barrier) 등을 조사하였다. 이 외에도 양군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에 대한 지식 척도, 인플루엔자 백신으로 기대되는 효과(benefit)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정답률을 조사하였다. 결과 : 1) 설문 조사에 응한 총 수는 309명으로 간호사가 60% 이상이었다. 백신접종군은 평균연령, 평균 근무연수가 비접정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길었으나 성별, 직종별 분포는 양 군간 차이가 없었다. 2)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의 필요성에 대한 지식정도에 있어 접종군의 934%가 그 필요성을 잘 인식하여 비접종군의 779%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예방 접종이 필요한 구체적 이유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접종군 113%, 비접종군 119%에 불과하였다. 3)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을 받은 의료인들의 행동계기는 ‘감염관리실의 홍보’와 ‘주위사람들의 권유’에 의한 경우가 26.9%, 21.6%로 가장 많았고 본인이나 가족, 친구들을 통한 일종의 감지된 위협 때문에 접종한 경우 31명(186%)의 순이었다. 4) 비접종자들에서 예방 접종을 시행치 않은 가장 흔한 이유는 ‘업무에 바쁘고 시간이 없어서’라는 항목이었으며(37.3%) 특히 의사 집단에서는 이러한 이유가 68.8%로서 압도적으로 많았다. 간호사나 기타 직종에 종사하는 직원들의 경우는 자신의 건강에 대한 확신이 30%내외에 달하였고 예방 접종 자체의 효과에 의문을 갖는 경우도 직종에 따라 6.3-29.7%에 달하였다. 결론 : 병원근무자에서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백신 접종의 장애물(효과의 의문,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인플루엔자 백신의 필요성과 효과를 인식시키기 위한 교육과 함께 시간, 공간상의 제약을 배제할 수 있는 접근성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In spite of yearly recalls, influenza immunization rate among healthcare workers (HCWs) remained low in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es of non-compliance against influenza immunization and to analyze the barrier factors for the immunization.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March of 2000 at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We evaluated factors associated with acceptance of influenza vaccination and opinions regarding influenza prevention (knowledge about influenza vaccination efficacy, que to action in vaccinee, perceptible benefit, barrier to vaccination). Results : 309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HCWs were returned. Mean age and mean duration of work in hospital were higher and longer among vaccinee than non-vaccinee. Even though the necessity of influenza vaccination among HCWs were accepted well in vaccinee compared to nonvaccinee, the accurate reasons for vaccination were not quite understood among HCWs regardless of compliance. Vaccine campaign (30.8%) and advise from doctors (24.7%) were important for the promotion of vaccination among vaccinee. However, major reason for non-compliance among nursing staff and was mis-confidence that their bodies' self defense mechanisms would ward off infection (33.5%) and 'too busy to get injection' for doctors (65%).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regular education about perceptible benefits and wrong concerns about influenza vaccination among HCW's and easy accessibility to vaccination were important determinants to improve the influenza vaccination. On-site availability of a vaccination-nurse also proved to be important.

      • 삼차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레지오넬라 폐렴 유행의 분자역학적 연구

        김민자,손장욱,정희진,우흥정,김우주,유세화,박승철,이도현,이창규,한수이,진희정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3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5개월동안 연속적으로 3명의 레지오넬라 원내 폐렴 환자가 발생한 3차 의료기관에서 병원환경의 Legionella 오염도를 조사하고, 환경수에서 분리 동정된 균들과의 환자에서 분리 동정된 균들과의 역학적 연계성을 molecular typing 분석을 통하여 조사함으로써 감염원을 규명하고 더 이상의 전파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방법 : 원내 환경수 20곳을 임으로 선정하여 채취한 환경수를 일부는 여과한 후 BCYE-α 배지에서 배양하고, PCR과, Southern법을 시행하였다. 환경 검체로부터 분리된 레지오넬라 3균주와 분리 동정된 레지오넬라 2균주와 이를 비교하기 위해 Legionella 표준균주 12균주를 포함하여, 각각 HpaI과 EcoRI으로 ribotyping을 실시하였고 그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병원 환경검체의 15%(3/20)에서 레지오넬라균이 배양되었고, PCR 및 Southern hybridization으로는 45% (9/20)에서 균이 검출되었다. Ribotyping 결과 환경수에서 분리 동정된 3균주중 2균주(공조기 및 병실 수도꼭지)가 환자들로부터 분리된 2균주와 동일한 ribotype 양상을 보였고 이들은 표준 균주인 L. pneumophila serogroup 6와 동일한 ribotype 양상을 보였다. 결론 : 병원의 환경수는 L. pneumophila serogroup 6를 포함하여 적어도 2종류의 레지오넬라균에 의해 오염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병원에서 발생한 레지오넬라 원내폐렴은 L. pneumophila serogroup 6에 의한 것이며, 이들 환자 병실의 오염된 수도꼭지가 감염원으로 추정되었다. Background : Because of the ubiquity of Legionella species in aquatic enviroments, molecular epidemiological analysis of Legionella isolates is important in investigation for source of infection and subsequent control of nosocomial legionellosis. In association with an unusual cluster of nosocomial pneumonia with Legionella in a tertiary-care hospital, we performed an environmental surveillance with molecular epidemiological study of Legionella isolates. Methods : We randomly collected 20 samples of environmental and portable water from the hospital where three cases of Legionella pneumonia occurred consecutively during the period 5 months. We detected Legionella from the samples by using both culture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and analyzed Legionella isolates from patients and environmental samples together with 12 reference strains by ribotyping using Hpa I and EcoRI. Results : Legionella was isolated from 3 out of 20(15%) samples by culture, and detected in 9 of 20(45%) by PCR. Ribotyping analysis showed that 2 patients' and 2 environmental isolates from a faucet of the patient's room and an air handling unit shared the same pattern which was also identical to that of Legionella pneumophila serogroup 6, a reference strain. Conclusion : The study showed that the hospital environments were contaminated with at least 2 Legionella species including L. pneumophila serogroup 6, and indicated that an unusual cluster of Legionella pneumonia occurred in the hospital was possibly linked to the contamination of a faucet with L. pneumophila serogroup 6.

      • 성인 지역사회 폐렴의 원인 미생물에 대한 전향적 다기관 연구 : Legionella, Leptospira, Hantaan virus and Orientia tsutsugamushi

        김민자,정희진,손장욱,심희선,박대원,박승철,우준희,강재명,김유겸,신완식,김양리,이환종,김지희 대한감염학회 2001 감염 Vol.33 No.1

        Background : Despite rigorous investigations, the etiology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remains unknown in about 50% of hospitalized patients. The diagnosis of the etiological agent is becoming more challenging and more critical as number of newer pathogens have been recognized in recent years. In the 3-year period prospective study we investigated adult patients with community-acquired pneumonia for Legionella, Leptospira, Hantaan virus and Orientia tsutsugamushi as potential etiologic agents. Methods :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was performed from May 1997 to April 2000. A total of 431 patients with community-acquired pneumonia under the inclusion criteria were examined for specific microbial diagnosis; sputum culture and PCR, and serologic teats including indirect immunofluorescence antibody (IFA) test for Legionella, and hemagglutination tests for Leptosoira, Hantaan virus and O. tsutsugamushi. Etiologic diagnosis wa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review of case record forms and specific laboratory diagnostic criteria. Results :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385 sputum and 283 serum samples were examined. Legionella pneumonia was diagnosed in 2.3% (10/431) of the cases examined : 1.4% cases with PCR-positive (5/367) and 2.1% with positive IFA test (6/283). Leptospirosis and scrub typhus were diagnosed in 0.4% (1/252) and 2.0% (5/252), respectively. All 5 cases with scrub typhus occurred in late fall, and rash or eschar was not found. None of cases was Hantaan virus infection.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Legionella, Leptospira, and O. tsutsugamushi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tiologic diagnosis and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Korean J Infect Dis 32:24∼31, 2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