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적 역동성을 지닌 유아의 사회 세계 탐색을 위한 분석적 관점 제안:

        손은애(Eun ae S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본 이론적 연구는 현재까지 전통 발달심리학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주류의 유아사회성 관련 연구에 대한 대안적인 분석틀로써 바흐친의 언어학을 제안한다. 먼저 유아 사회성과 사회성발달 관련 연구들의 역사적 흐름을 개관하고 현재의 학계가 가진 연구의 방향성, 즉 유아의 주체성과 맥락적 이해에 대한 요구가 있음을 토대로 바흐친의 이론의 적절성을 주장한다. 바흐친의 언어학에서의 기본적인 가정과 개념들—대화성, 혼성, 단일어, 다어성, 시, 소설, 카니발로스크 등을—중심으로 자세히 설명한 후, 이론의 전체적인 개념과 개념들을 적용하여 현 유아교육현장과 연구에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바흐친의 소설이라는 개념의 은유를 통해 다양한 유아들의 사회성과 관계맺음을 반영하고 더욱 촉진하는 유아교육 현장과 학계의 모습을 그리며, 유아교사와 연구자가 유아들의 사회성의 본질인 다양성을 존중할 것을 주장한다. This theoretical paper proposes Bakhtin’s theory of language as an alternative analytic lens for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social worlds to the mainstream academic field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hich has been predominantly relying on developmental psychology. Based on the overview of chronological history of research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development, this study shows the recent needs of exploring children’s social lives through a perspective that values children’s agency and helps contextual understandings. Then, this study provides a thorough explanation of Baktin’s theory of language including such concepts as dialogism, hibridization, unitary language, heteroglossia, poetry, novel, and carnivalosque. Finally, applying Bakhtin’s theory, this study presents the implication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s and research.

      • KCI등재

        Values of Bodily Play in Young Children s Peer Culture: Re-conceptualizi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손은애(Eun ae S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7

        본 연구는 유아들의 또래놀이와 문화 안에서 몸(신체)적인 놀이와 몸(신체)적인 상호작용 이 어떠한 역할과 의미를 갖는지를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그동안 유아사회성과 관련하여 간과되어 왔던 교육학적, 본질적 가치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8개월간의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통해 사회성이 낮다고 여겨지는 만 4세 남아의 자유놀이시간을 집중적으로 참여관찰하였고, 담임교사와의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아가 즐겨하는 몸 적인 놀이와 몸 적인 상호작용이 또래놀이와 문화 안에서 매우 자연스럽고, 성공적이며, 즐거움을 유발하는 사회적 소통방법임을 발견하였다. 또한, 언어로 마음을 표현하기, 언어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언어로 상호작용하기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는 교육현장에 유아들의 몸 적인 놀이와 상호작용을 비롯해 또래와의 놀이와 관계맺음의 다양한 방식들이 가치충돌 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바흐친(1981, 1984)의 단일어(unitary language)와 이어성(Heterolossia)의 개념을 통해 교육현장 내의 이러한 가치들의 동적인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독백적 언어(monologic language)와 카니발로스크(carnivalosque)의 개념으로부터 유아교육에의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s and the meanings of young children s bodily play and bodily interactions in their peer culture. Based on the 8 months of ethnographic study, including participant observations of 4-year-old children s free play time and teacher interviews, this study articulates the values in young children s bodily play and bodily interactions in their social lives, which were very enjoyable and successfully modes of language that naturally elicit peers laughter and resolve any possible conflicts during play. Discussing the emphasis in the dominant discourses of social competence, which is frequently put on children s verbal expressions and interactions, this study depicts the existing conflictive value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regarding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s. Applying Bakhtin s notions of monologic language and carnivalosque, this study calls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heightened appreciation of young children s bodily play, which is deeply associated with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 KCI등재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 인식에 대한 재고: “여자애 같은” 남아들의 또래 유능성에 대한 비판적 문화기술지 연구

        손은애(Son, Eun 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내성적 유아’에 대한 인식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에 주목하고, 실제로 ‘내성적인’ 남아들에게서 문제시 되어지는 사회적 특성들이 또래놀이와 관계 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사회성과 관련된 성규범적 문화신념과 가치들에 대하여 비판적 관점에서 재고해보고자 하였다. 미국 동남부의 한 어린이집 에서의 만4세 유아반의 담임교사와 유아들, 특히 내성적인 이유로 사회성이 부족하 다고 여겨졌던 2명의 남아를 관심유아로 선정하여 2011년 12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참여관찰과 면담을 주 자료수집 방법으로 비판적 문화기술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연구를 통해 ‘내성적인’ 남아들의 “약한 자기주장성”과 “여린 민감성”과 같은 사회적 특성들이 ‘내성적인’ 여아에 비해 더욱 문제시되어지며, 이를 극복하도록 조력하는 담임교사의 교수적인 접근들이 일상에서 종종 이루어짐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또래 와의 놀이에서 ‘내성적인’ 남아들의 이와 같은 특성들은 놀이에서의 갈등을 줄이고, 또래들과의 관계에서 상호간의 어울림과 공존을 조화롭게 생성하고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즉, ‘내성적인’ 남아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함축은 성규범적 문화신념과 가치가 내포된 것으로, 반성적 그리고 비판적인 검토가 요구됨을 제안하 였다. « 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endered aspects of conceptualizi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that is,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nd cultural gender norms and the recognition of you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ultural beliefs and values that are placed on the introverted boy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what social features were concerned regarding introverted boys and how these features actually worked within the children s peer culture. Through this critical ethnography study, the research challenged and critically reconsidered any negative connotations that were attached to the image of introverted boys by the community s cultural beliefs. First,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participant teacher s descriptions on introverted children, two boys and one girl, this study found introverted boys unassertiveness and excessive sensitivity were more likely regarded as problematic than girls. The teacher s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these social characteristics were also frequently observed. Second, despite such negative connotations in society, these features that the introverted boys manifested in peer play were actually very beneficial for the children s relationships. The boys sensitivities and unassertive attitudes were not only helpful for reducing the number of conflicts that can occur during peer play but also indispensible for generating and enhancing harmonies in peer relationships and peaceful peer interactions. This study calls for critical reflection on and reconsideration of our cultural values and beliefs regarding gender-specific types of social competence.

      • KCI등재

        어머니와 보육교사 간의 관계형성에 대한 상호 인식

        임민정(Lim, Min-jung),손은애(Son, Eun-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어머니와 보육교사의 관계형성의 과정에서 상호 간의 경험과 인식을 교차적으로 살펴보면서, 갈등을 유발하는 대립적 요소와 공감을 형성하는 합의점 분석을 통해 협력적 관계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보육교사 관련 프로젝트의 일부로서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8년 7월부터 11월에 걸쳐 보육교사 9명과 어머니 9명의 연구 참여자들과의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정부의 무상보육정책이라는 사회정치적 맥락 안에서 어머니와 보육교사들은 ‘맡겨지는 아이들’에 대한 돌봄과 양육의 역할수행을 두고 서로 다른 기대와 인식을 가졌고, 이는 상호 역할수행에 대한 신념으로 작용하며 관계에서의 갈등 요인이 되었다. 또한, 자녀의 돌봄과 안전을 위임한 어머니의 불안감과 일부 학부모의 과도한 요구 및 사회적 불신과 같은 보육 현실에서의 교사의 스트레스와 소진으로 인해 서로가 스스로 약자로 여기며 갈등과 긴장 관계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어머니와 보육교사들은 ‘믿고 맡길 수 있는’ 신뢰를 형성하고자 서로 노력하였으며, 이는 영유아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공유하고, 서로의 감정과 요구를 수용하는 공감에서 시작되었다.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중심으로 한 협력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어머니와 보육교사 모두에게 서로 간의 신뢰와 공감, 양육에의 공동 책임감이 중요시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utual perceptions of mothers and childcare teachers about the mother-teacher relationship and attemp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cooperative relationship by analyzing the underlying elements that cause conflict and that forms consensus. For this purpos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8 participants, 9 mothers and 9 childcare teachers. As a result, in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the government s free childcare policy, the mothers and the childcare teachers had different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about the roles of caring for and raising children, and this became a factor of conflict in their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mothers considered themselves as inferior to the childcare teachers due to the anxiety about their children whose safety and care were left to the teachers. The childcare teachers also felt inferior to the mothers due to their stress and exhaustion caused by the reality of childcare settings such as the excessive demands of some parents and social distrust. This feeling of inferiority that the mothers and the childcare teachers both had to each other formed conflicts and tensions in their relationships. Nevertheless, both mothers and childcare teachers tried to build up trust between them, which began with empathy formed by sharing affection and care for their children and by accepting each other s feelings and needs. Trust and sympathy between mothers and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sense of shared responsibility for raising children were important for their cooperative relationship.

      • KCI등재

        비용함수를 활용한 표준유아교육비 산출 연구

        엄문영(Eom Moon young),최은영(Choi Eun Young),손은애(Son Eun ae)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7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6 No.4

        본 연구는 전통적인 전문가판단 모형에 의한 표준유아교육비 산출 방식과 다르게 비용함수모형을 적용하여 설립 유형별로 표준유아교육비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기존 방식에 의한 표준유아교육비 규모와 비교·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접근 가능성을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사립유치원별로 결산자료 확보가 가능한 범위에서 가장 최신의 회계연도(2012년~2014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급당, 원아당 표준유아교육비를 공·사립 유치원별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표준유아교육비는 공·사립 유치원의 실제 지출 패턴을 보여주는 3년간의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최적의 추정 효율치를 산출할 수 있는 이원고정효과모형을 통해 산출되었다. 분석 결과, 사립유치원은 2014년 기준으로 기본운영비가 적정 표준유아교육비 대비 96% 수준으로 지출되었으나, 공립유치원의 기본운영비 지출 수준은 적정 표준유아교육비에 61%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공립유치원의 표준교육조건을 원아 32명, 2개 학급으로 설정했을 때, 공립유치원의 표준유아교육비는 원아 1인당 월 53만 5,000원, 사립유치원은 원아 122명, 6개 학급으로 표준교육조건을 설정했을 때, 원아 1인당 월 13만 1,000원으로 산출되었다. 사립유치원의 원아 1인당 월평균 표준유아교육비가 매우 낮게 산출된 이유는 실제 지출 패턴을 바탕으로 사립유치원의 기본운영비를 사후적으로 도출하는 과정에서 인건비에 해당하는 항목을 모두 제외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립유치원에 대한 국가의 인건비 보조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연구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향후 정책적 과제로서 본 연구는 유아교육재정 데이터베이스 구축, 공·사립유치원에 대한 균형적 투자를 통한 표준유아교육비 충족률 제고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the standard cost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education using cost function method with the cost using expert judgement approach as a traditional method. We tried to check the possibility of various approaches in estimating the standard cost level in Kindergarten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settlement of accounts in 2012-2014 was utilized to establish cost function model for calculating the standard cost per kid, class, and kindergarten. Specifically, two-way fixed effect model was chosen for an optimal coeffici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anel data.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2014, private kindergartens had reached 96%, public kindergartens just spent 61% of the standard cost. Based on the standard cost formula, per kid cost of public kindergarten is calculated from 535,000 won considering 2 classes and 32 kids as a standard education criteria, while per kid cost of private kindergarten is calculated from 131,000 won considering 6 classes and 122 kids as a standard education criteria. Private kindergarten s standard cost is a very low level compared with a public kindergarten. This is because personnel expenses as a dependent variable in private kindergarten analysis were excluded from the basic operating expenses in this study.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national finance support on personnel expense, this result should be interpreted cautiously.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stablishment of kindergarten finance databases and prior investments in public kindergartens to raise the security of the standard cost as future task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한글’ 프로젝트를 통한 유아의 읽기 문식성 변화

        박현주, 손은애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1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spect of change in literacy level of preschoolers through project ‘Hangeul’. While the project <Hangeul> was implemented from October 2019 to November 2020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a three-year-old girl and a five-year-old bo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other references during the course of the project, and was analyzed and interpreted through a qualitative method regarding the change in literacy level of the preschooler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project ‘Hangeul’ changed the reading literacy level of the preschoolers. The project ‘Hangeul’ changed the reading behaviour of the preschoolers. Their inner motivation to read was enhanced by experiencing diverse environmental print in their daily surroundings. Also, their ability to read increased from reading a variety of kinds of literature including encyclopedias, comic books, and dictionariy. In conclusion, a positive change in the literacy level, in other words, the reading behaviors of preschoolers could be found through the project ‘Hangeul’.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일상과 놀이의 장면에서 ‘한글’을 주제로 함께 탐색하고 표상하 고 문제를 해결해가는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읽기 문식성 변화가 어떠한지 심층적으 로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9년 10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연구자가 만 3세 여아와 만 5세 남아와 함께 '한글' 프로젝트 활동을 실행 및 전개하면서 Spradley의 12단계 참여관찰과 심층 면접을 통해 일상에서 이루어지는 유아들의 놀이와 상호작용을 깊이 있게 관찰 및 기록 함으로써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유아의 읽기 문식성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은 ‘한글’ 프로젝트를 통하여 일상의 주변 환경에서 다양한 환경 인쇄물을 경 험함으로써 읽기에 대한 내적 동기가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유아의 내적 동기를 따라 백과사 전, 만화책, 국어사전 등 다양한 종류와 장르의 책들을 찾아보며 함께 대화를 나누고, 책 읽기 에 대한 즐거운 경험을 통해 유아의 읽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