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읽기소양 수준에 따른 집단 결정요인 분석: PISA 2018 자료를 중심으로

        손윤희(孫倫嬉),박현정(朴炫貞),박민호(朴民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아시아교육연구 Vol.21 No.1

        이 연구는 학생들의 읽기소양 수준에 따른 집단 분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읽기소양 수준에 따른 집단을 일반집단, 기초수준 이하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하여 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를 탐색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PISA 2018 자료를 이용하여 168개교에 재학 중인 6,630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학생, 학부모, 교사, 학교와 관련된 286개의 변수를 설명 변수로 모형에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기초수준 이하 집단 대비 일반집단으로 분류되는 데 있어 학생과 관련된 변수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읽기전략과 관련된 변수, 읽기 활동에 대한 경험, 빈도 및 인식, PISA 검사 및 조사에 대한 어려움 및 노력 등이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 외에도 개인특성 및 가정배경이 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함으로써 변수들 간의 복잡한 관계를 고려하여 집단분류와 결정 요인간의 비선형적 관계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의 읽기소양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교육적 지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riables that have a major impact on the classifying of groups by reading literacy level. To research the study, the groups were divided to the general group and the below basic literacy level group by reading literacy level and the random forest was used to explore the main variables to classify the group by reading literacy level.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6,630 students in the 168 schools who participated in PISA 2018 and the 286 variables of student, parents, teacher, and school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the variables of student were found to play a major role in classifying students into the general group rather than the below basic literacy level group. Specifically, the group classification was influenced by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various reading strategies, the experiences, frequency and cognition of reading activities, and the difficulty or effort of the PISA testing or survey. Also, other variables related to individual and family backgrounds affected the classification of groups. In addition, by using the random forest, this research confirmed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group classification and affecting variables, taking into account complex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educational supports needed to improve the students’ reading literacy.

      • KCI등재

        청소년기 공동체 의식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박현정(朴炫貞),김전옥(金典屋),손윤희(孫淪嬉)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청소년기 공동체 의식의 종단적 변화 추이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청소년아동패널(Korean Youth and Children Panel Survey)의 중1 코호트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개 연도에 걸쳐 반복 측정된 2,218명의 데이터를 2수준 다층 성장모형(Multilevel Growth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의 공동체 의식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치와 변화율에는 개인차가 존재하였다. 둘째, 공동체 의식의 초기치(중1 시점)는 여학생일수록, 중1 시점의 연간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부모양육 태도가 애정형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변화율에는 여학생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양육태도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시점에서 체험활동시간,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교규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체험활동시간, 교우관계가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공동체 의식의 종단적 변화가 관련 청소년 정책에 가지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longitudinal trend of sense of community in adolescence and the predictors of the change. For the analysis, the middle school cohort data from the Korean Youth and Children Panel Survey was used. The subjects were 2,218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been measured repeatedly over five years from 2010 to 2014 and multi-level growth model was applied.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increased linearly over the years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initial status and the change rate were significant. Second, the initial status increased as the family income increased and as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was positive. The change rate was significant and positive for female students and the good relationship with parent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change rate. Third, at each time point, the influences of the hours of activities in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peer relationship on the sense of community were significant and these relationships changed as the time goes on. The influences of the relationship o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the observation of school regulations were significant at each time point as well, however, these relationships didn’t change over tim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 of the longitudinal trend of sense of community and policy sugges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