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 모형 연구- 부모, 교사, 학생 특성의 영향 -

        손원숙 ( Won Sook Sohn ),정혜승 ( Hey Seung Chung ),정현선 ( Hyeon Seon Jeong ),김정자 ( Jeong Ja Kim ),민병곤 ( Byeong Gon Mi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국어교육 Vol.0 No.14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home, teacher and student factors with primary school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tudent attitudes toward literacy between home or teacher factors and out-of-school liter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06 students sampled from 1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 and I province. We hypothesized a structural model in that perceived family members’ literacy activities, their conversation about students’ literacy activities, and teacher’s instruction such as teacher’s positive feedbacks about students’ reading or writing influence students’ attitudes toward literacy and in turn, students’ attitudes toward literacy influence their out-of-school litera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ome and students’ facto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chool happiness in either direct or indirect ways, while the teacher factor had on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in terms of students’ attitudes.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students’ attitudes toward literacy were relatively stronger than the direct effects between home or teacher factors and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Finall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ome, teacher and student factors can contribute to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regardless of students’ grade, or gender. Finally, it was discussed that future work is needed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r improvement of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 KCI등재

        교사의 내ㆍ외적 요인과 교실평가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 싱가포르 및 핀란드 비교

        손원숙(Won sook Sohn),신이나(Yi na Shin),배주현(Joo hyun Bae),박정(Chung Par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실평가 활동과 이에 영향을 주는 교사의 내ㆍ외적 요인과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것으로, TIMSS 2011의 한국과 성취도 상위국에 해당하는 싱가포르와 핀란드의 중학교 수학교사 자료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모형에서는 학교와 가정에서의 학습의 가교역할을 하는 숙제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 및 활용정도로써 교실평가 활동을 측정하였고, 교사의 외적특성에 해당하는 학교풍토, 수업 개선을 위한 동료교사와의 교류정도, 교수자신감 및 수업에 대한 학생참여유도 정도를 사용하였다. 선행연구 및 이론적 근거에 기반하여 이들 요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모형을 설정하고, 다집단 SEM 모형을 통하여 국가 간 구조적 관계의 동등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3개 국가 공통적으로 학교풍토는 교수자신감과 동료교사교류에 정적인 효과를, 동료교사교류는 수업참여유도를 강화하여, 교사의 교실평가 활동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동료교사교류가 교수자신감에 미치는 정적인 효과는 한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모형에서 파악된 3개 국가의 차이는 수업참여유도가 교실평가에 미치는 효과와 모형의 설명력에서 나타났는데, 이들은 핀란드에서 가장 높았고, 싱가포르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로부터 교사의 수업 및 평가 활동 간의 연계성에 대한 시사점 및 교실평가의 보다 종합적인 영향요인 탐색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school climate(SC), confidence in teaching math(CTM), collaboration to improve teaching(CIT), instruction to engage students in learning(IES) and assessment practice. This study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comparing Korea with Singapore and Finland in term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lassroom assessment and its related variables using TIMSS 2011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 had the direct effects on the CTM and CIT, and also the indirect effects on teachers' assessment practices through the three variables such as CIT, CTM and IES. However, the direct path from CIT to CT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Singapore and Finland, and thus all their indirect effects in terms of the CTM variable were not ei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All the direct path coefficients among the variables in the model were statistically equivalent across the three countries, whil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ath from IES and classroom assessment practice. This path coefficient was the highest in Finland and also the variance explained by the model for Finland was the larg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bout the importance of alignment of instruction with classroom assessment, and also the role of assessment practices in math classroom for Korea, Singapore and Finland. Finally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초·중학교 교실평가 실제와 학생의 정의 및 인지적 성취 간의 관계 : TIMSS 2011 한국, 싱가포르 및 핀란드

        손원숙,신이나,배주현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lassroom assessment practices and fourth- and eighth-graders' math achievement, math confidence, and enjoyment by comparing Korea, Singapore and Finland using TIMSS 2011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 affe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math confidence and enjoyment are partially related to math achievement across the three countries and two grades(4th and 8th). However, teachers' classroom assessment practices are related to student math achievement differently across the three countries and the two grades. Also the role of classroom assessment suggested by Brookhart's model(Brookhart, 1997) was not fully supported that almost all practices didn't interact with student affective characteristics among the three countries. The comparative study provided a description of the unique role of assessment practices in math achievement for Korea, Singapore and Finl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학교 교사의 교실평가 실제와 학생의 정의 및 인지적 성취 간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TIMSS 2011의 성취도 상위국가에 해당하는 한국, 싱가포르 및 핀란드의 초4 및 중2 수학교사 및 학생 자료를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국가별로 교사 수준의 수학 성취도 분산은 초4와 중2 모두 싱가포르에서 가장 컸고, 초4에서는 한국, 중2에서는 핀란드에서 가장 작게 나타났다. 둘째, 수학교사의 평가실제는 학생의 수학성취도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직접 효과를 미쳤고, 또한 평가실제와 수학흥미 및 자신감과의 혼합 효과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초4의 경우에는 숙제 빈도 및 피드백 제공방식에 따라서 국가별로 차별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평가유형별로는 3개국 모두에서 외부평가에 중점을 두는 교사일수록, 해당 학생의 수학성취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중2의 경우에는 숙제 및 평가 빈도는 한국을 제외하고, 학생의 수학성취도와 정적 또는 부적 효과를 보였고, 숙제피드백 및 평가문항의 유형이 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교실평가 실제 현황에 대한 진단의 필요성과 추후 학생들의 학습 개선을 위한 교실평가의 정책 제언을 추가하였다.

      • KCI등재

        학교 향상도 유형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교 특성 분석

        손원숙,김경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교육관련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특례법 시행령’에 의하여 2011년에 첫 공시된 ‘학교 향상도’ 지수에 기반하여,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력향상 유형을 탐색하고, 각 유형별 학교 특성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고2 자료가 사용되었고, 학력향상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국어, 영어, 및 수학 등 3개 교과의 학교 향상도 지표, 해당 학교의 ‘기초수급대상자 비율’ 및 ‘성취도’를 고려하였다. 먼저 학교를 유형화하기 위한 방법론으로는 잠재 프로파일 분석이 적용되었고, 도출된 학교 유형별 특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학교 교육의 외적인 특성과 학생 특성을 포함한 내적인 특성 등으로 구분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력향상 유형은 향상도 크기 면에서 가장 높은 집단부터 가장 낮은 집단 등 총 5가지로 구분되었고, 최고 향상도를 보인 학교유형은 가장 낮은 학교 SES 수준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적인 성취도와 가장 높은 학력향상의 특징이 나타났다. 또한, 학교 향상도 유형별 학교 특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교 교육의 외적인 특성 중에서 설립유형, 시 · 도교육청 및 지역규모 변인, 내적인 특성 중에서는 ‘학력향상 중점학교’ 시행 여부 및 학습부진지도유형, 교사 풍토 등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파악된 학력향상 유형별 학교 특성을 토대로 ‘효과적인 학교’가 되기 위한 학교의 노력 및 학교별 맞춤형 지원 정책 방안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추가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characteristics, such as school context, student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school practice, and school progress based on their achievement. Data of general high school collected from NAEA 2011 were used,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utilized to explore types of schools with different profiles in terms of School Progress Indexes for Korean, Math and English subjects.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five profiles of school progress representing differences in their school progress level, school SES, and achievement level. The type of schools with the highest degree of school progress showed average level of achievement despite of the lowest level of school SES. The schoo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rofiles of school progress were found as school funding type, school district, and region size, which measured aspects of school context. Also the schoo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chool practice such as the educational policy called ‘performance-focused school’, types of programs for low performers, and teacher climate also affected the degree of school progress. Finally the necessity of education policy considering individual school characteristics and the further search for school characteristics making a difference for effective school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용 평가인식 척도 타당화 및 지각된 피드백 환경과 평가전문성과의 관계 분석

        손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1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중등 예비교사용 평가인식 척도를 타당화 하고, 교실평가의 목적 및 특성에 대한 우리나라 중등 예비교사의 인식, 지각된 피드백 환경과 평가전문성과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뉴질랜드에서 개발된 평가인식 척도(Teachers’ Conceptions of Assessment; TCoA)(Brown, 2006)가 활용되었고, 연구대상은 D와 K지역에 소재한 세 개의 국공립·사립 대학교에 재학 중인 총 564명의 예비교사이다. 척도 타당화를 위해 척도 번안 및 내용 타당도 분석을 진행하였고,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과 다차원적으로 구성된 평가인식 척도 문항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점검하기 위하여 다차원 Rasch 분석(Adams & Wilson, 1996)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K-TCoA 척도는 학교 및 학생 책무성, 향상, 타당 및 부적절성 인식으로 구성된 5요인 모형으로 타당화되었다. 또한 다차원 Rasch 모형에 기반한 문항분석 결과, 문항의 적합도 및 신뢰도 수준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으로 예비교사가 지닌 교실평가에 대한 인식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실평가가 부적절하다는 인식에는 대체로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자신이 경험한 피드백을 신뢰하고 가치가 높다고 지각할 경우 보다 긍정적인 평가인식을 가지며, 부정적인 평가인식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향상 인식만이 지각된 피드백 환경과 평가전문성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정책의 실행 및 예비교사의 평가교육 모형 개발에서 평가인식의 중요성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Teachers’ Conceptions of Assessment(TCoA) inventory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lso it was explored how the assessment environment and assessment literacy are related to the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assessment. TCoA(Brown, 2006),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New Zealand teachers, uses 27 items, spread equally across nine factors, which are organized into four major, interrelated conceptions of assessment. A 27 item TCoA was completed by 564 prospective teachers attending to three different teachers’ college located in D & K region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onsistently revealed a five-factor model where the validity factor was added to the Brown’s original model and also the six items were excluded on the basis of the judgemental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Also Rasch analysis provided further evidence of the psychometric quality of Korean version of TCoA in terms of dimensionality, the response scale effectiveness, and item fit statistics. Second, on average, prospective teachers agreed with the improvement/validity and the school/student accountability conceptions, while rejecting the view that assessment is irrelevant. Third, the supportive feedback environment perceived by prospective teachers reinforced their positive conceptions of assessment while it made the negative ones weaken. Also, their improvement conceptions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dback environment and their assessment literacy. Implications for the use of the K-TCoA for policy implementation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discussed.

      • KCI등재

        여고생이 지각한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의 매개효과

        손원숙,배주현 한국여성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perceived mothers' or teachers' autonomy support,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with academic achievement.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y between perceived mothers' or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8 female students(10th graders) sampled from one high school located in S city.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compared three research models hypothesi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autonomy sup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intrinsic or extrinsic motivation in either positive or negative ways, while teachers' autonomy sup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ly on students' ex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to students' learning strategy. Second,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learning strategy in that their intrinsic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s while their extrinsic motivation had negative effects. Third, mothers' autonomy suppor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by both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On the other h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by both ex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or only by learning strategy. The size of indirect effects related to students' extrinsic motivation wa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ir intrinsic motivation.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students's motivation and strategy in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general achievement model including non-cognitive achievement in addition to cognitive achievement was discussed.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 잠재프로파일 분석 : 피드백 경험과 성취목표와의 관계

        손원숙(Sohn Won Sook),이빛나,박정(park ch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9 교육평가연구 Vol.32 No.2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유형을 분석하고, 이들의 피드백 경험과 성취목표와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평가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Brown(2011)이 개발한 평가인식 척도(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 SCoA-VI)를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으로는 D와 K지역에 소재한 3개 대학교에서 교직이수 중인 362명을 선정하였다. 평가인식의 다차원적인 하위요인 속성 및 이들 간 독립적인 특성을 고려하여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 유형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은 크게 긍정인식형(43.1%), 평균형(44.5%) 및 부정인식형(12.4%)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형성적 피드백, 지각된 피드백 유용성 및 피드백 활용 정도 로 측정된 피드백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그리고 접근지향적 성취목표를 가진 중등 예비교사일수록 긍정인식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주도적인 학습자의 특징 중 하나인 피드백 활용 요인은 평가인식의 세 유형 모두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로부터 제공받은 피드백을 스스로 활용하려고 노력한 경험이 많은 학생일수록 긍정인식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평가정책의 실행 및 예비교사의 평가교육 모형 개발에서 평가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tterns of prospective teachers’ conceptions of classroom assessment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feedback experi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he feedback experience was measured by three constructs such as formative feedback, perceived utility of feedback, and use of feedback. Specifically, the Korean version of 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SCoA-VI)(Brown, 2011) inventory was completed by 362 prospective teachers attending to three different teachers’ colleges located in D or K region of Korea. The latent profile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four facets of conceptions of classroom assessment(Social/Affective, External, Improvement, and Irrelev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ree latent profiles such as ‘positive(43.1%)’, ‘average(44.5%)’, and ‘negative(12.4%)’ types were differentiated. Also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feedback experience and mastery or performance approach fo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ere more related to the positive type rather than the average or negative type. Especially the use of feedback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active learners’s characteristic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o differentiate the three latent profiles consistently. Finally implications for the use of the K-SCoA inventory for policy implementation and the importance of conceptions of assessment for prospective teacher education for assessment are discussed.

      • KCI등재

        다수준 배경변인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PISA 2003~2006 결과를 중심으로

        손원숙 ( Won Sook Soh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9 중등교육연구 Vol.57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도에 미치는 배경변인들의 영향력을 탐색하여, 향후 성취도 향상을 위한 학교 환경을 구축하고 교육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PISA 2006 과학 및 PISA 2003 수학 자료를 사용하였고, 자료의 위계적 성격에 적절한 2수준 다층분석모형(Raudenbush, et al., 2004)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에는 교과와 관련된 정의적인 태도 변인과 수업 관련 변인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고, 특히 학생이 속한 학교의 사회경제적 배경 변인이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의 효과는 수학 또는 과학 즉 교과별로 다소 차별적이었다. 마지막으로 PISA 연구 결과를 통해서 얻은 우리나라 학교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on students` literacy in mathematics and science, with the available PISA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data. This goal was approached by analyzing the possible relationships of the context indicators on different levels(student and school level), with mathematical and scientific literacy. For this, the PISA 2003 and 2006 data from Korea were explored. Multi-level statistical models were used for the estimation of the parameters by means of the software HLM, version 6.0(Raudenbush, et al., 2004). It turns out that some school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school SES are closely related to students` achievement. However a limited number of school variables seem to be related to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students` motivation or self-related belief factor is an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in Korea. In all, this study and its findings reveal that student achievement is affected by a highly complex combination of factors.

      • KCI등재

        확인적 잠재계층 요인분석을 활용한 응답편파모형 탐색

        손원숙(Won 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평정형 응답척도를 사용한 심리측정에서 체계적인 오차의 유발 요인으로 고려되는 응답편파(response bias) 효과를 측정 및 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확인적 잠재계층 요인분석(confirmatory latent-class factor analysis: LCFA)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TIMSS 2011의 8학년 학생 설문 중 수학 및 과학 가치 10개 문항의 응답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응답편파인 묵인반응(ARS) 및 극단반응(ERS) 양식를 탐색하기 위하여, Moors(2003)에 의해 제안된 응답편파모형을 수정한 6개의 LCFA 모형을 설정하고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응답편파요인의 유무 및 요인의 개수 등에 따른 대안모형 중 최적의 모형으로는 ARS와 ERS 및 2개의 가치모형이 포함된 4요인 LCFA 모형이 선정되었다. 즉, 수학 및 과학 가치 측정에 있어서 응답편파의 효과가 확인되었고, 이는 양적지수에 기반한 ARS 및 ERS 지표와의 타당화 및 모형의 모수치 등을 통하여 타당화 되었다. 또한 국가(한국, 싱가포르 및 미국) 변인을 투입하여, 집단 간 차이를 탐색한 결과, 수학 및 과학가치의 내용요인 뿐 아니라 ARS와 ERS의 응답편파 요인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 차이가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집단 간 평균 비교 및 변인 간 인과적인 모형을 활용한 사회과학 연구 결과의 타당성 제고를 위하여, 응답편파의 측정 및 통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또한 LCFA 모형의 추가적인 적용 및 보다 정교화된 응답편파의 탐색방안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Many empirical studies confirmed that response biases can seriously distort psychological measurement such as attitudes or personality scales and subsequent causal models. This study would apply a confirmatory latent-class factor analysis(LCFA) as one of the statistical methods for detection of and correction for response biases such as acquiescence response style(ARS) and extreme response style(ERS). The response bias model originally proposed by Moors(2003), which had several advantages especially for dealing with both substantive and response bias factors, was modified for this study. Using data of three countries(Korea, Singapore and US) from TIMSS 2011, response biases such as ARS and ERS in answering Likert-type questions on math and science value were explored. Several LCFA models in terms of the number of factors or including response bias factors were compared and the 4-factor model as a best fitting model was finally selected. The model specifications of the selected model with two substantive and two response bias factors are analyzed and interpreted. Also, the effects of county group on math/science value and response bias factors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a strong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response bias(ARS and ERS) and three countries differed not only in their math/science value but also in ARS and ERS.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detecting and controlling for response bias in psychological measurement.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학교 향상도에 근거한 학교유형 분류 및 특성 탐색

        손원숙(Wonsook Sohn),김경희(Kyunghee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연도별 학업성취도 향상 정도에 따라서 학교를 분류하고, 유형별 학교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개인 중심적 접근법(person-centered approach)에 해당하는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고등학교의 모집단 내에 존재하는 이질적인 하위 집단을 도출하고, 관련변인의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9-201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가 사용되었고, 학교를 유형화하기 위하여 사용된 군집변인은 총 5개이다. 즉, 2009-2010년 고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의 학생수준 반복측정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된 1) 국어, 2) 영어, 3) 수학의 교과별 향상도 지수, 학교의 사전 여건을 나타내는 변인인 4) 2009년 성취도 및 5) 사회경제적 지위 지표 등이다. 또한 도출된 잠재 프로파일의 특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학교의 배경변인, 교원, 교육과정 운영 및 학교 풍토 변인들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일반 고등학교는 총 5개의 잠재 집단으로 분류되었는데, 특징적인 것은 학교의 사전 여건에 상관없이 학교의 향상도 양상은 다양하게 도출되었다. 학교의 향상도가 높은 집단들은 주로 대도시에 위치하고 사립학교의 비율이 높았고, 상대적으로 ‘전담교사 배치’ 및 ‘학생에게 개별학습자료 제공’등 학습부진 지도 노력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학교 간 학력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적 제언과 더불어서 개별 학교의 고유한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개인-중심적 접근기법의 유용성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used a classic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 person-centered approach, to identify groups of schools who had similar profiles for the indexes of School Progress Index(SPI) for the Korean, Math, and English subjects, their previous achievement levels, and their Socio-economic Status(SES) Index. Also this study related these LPA groups to a diverse set of correlates such as school personnel, curriculum, and climates. The 2009-2010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high school data were used and the analysis unit was the school level.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criterion and a priori predictions, we identified 5 LPA groups representing a combination of profile level(high vs. low overall school status or SPI) and profile shape(school status vs SPI). Results showed that the latent groups with high SPI tended to be located in the large city, and their school type is mainly private government-dependent schools. Also the schools with high SPI profiles made relatively much efforts in helping the low performing students, such as ‘assignment of tutors for low performing students’ and ‘providing individual learning materials’. In this study, we showcased a LPA technique, which could be used for such a purpose as clustering schools based on SPIs, and illustrated many of the advantages associated with its use.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achievement gap between school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