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기희생적 리더십 :개념적 정의 재조명 및 통합 연구모형 제시 1)

        손승연,노명화,윤석화,Seung Yeon Son,Myong Hwa Roh,Seokhwa Yun 대한리더십학회 2012 리더십연구 Vol.3 No.3

        급변하는 경영환경으로 인한 불확실성 , 불안정성이 증대되는 오늘날 그 어느 때보 다도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몰입이 중요해지고 있다 . 그에 따라 구성원들의 이런 헌신과 희생을 독려하는 효과적인 리더십이 요구되고 있는데 ,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그런 새로운 리더십 패러다임에 부응하는 리더십 중 하나이다 . 본 연구는 점차 많은 연구관심이 제기되는 자기희생적 리더십 연구의 체계적 수행을 위해 다음의 3 가지 사항을 중점 적으로 다룸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토대를 공고히 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첫째 , 수동적 형태 중심의 현존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개념적 정의에 적극적 형태의 자기희생을 보완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인 정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 보완된 개념적 정의는 향후 실증연구를 위한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둘째 , 긍정적인 영향 뿐 아니라 부정적 결과까지 초래하는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다양한 결과와 유형을 고찰 함으로써 긍정적 영향력에 치중된 선행연구의 관점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 이를 통해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 접근이 다양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 셋째 ,기존 연구에서 발견된 것들을 의미 있게 묶어주며 향후 연구를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는 자기희생적 리더십 통합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 이 통합 모형은 자기희생적 리 더십 역학관계에 대한 보다 큰 그림을 그리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아울러 논문의 말미에는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에 대하여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 In today’s fast-paced business environment, organizations rely more on employees’ voluntary participations and dedications. Following this trend, researchers have been investigated effective leadership to motivate subordinates’ dedications and self-sacrifices. Among these leaderships, SSL is regarded as an inspirational and exemplary behavior. In the present article, we focus on three topics to help theoretic foundation reinforced for future researches relating to SSL. First, we attempt to present more comprehensive conceptual definition of SSL that encompass active types of self-sacrifice. The improved definition complements existing definition that concentrates on passive form of self-sacrifice. Second, we consider the dark side of SSL as well as positive consequences. By doing so, we try enlarge the research perspective that have placed too much emphasis on desirable outcome of SSL. In the same vein, we suggest various SSL patterns to result in positive and/or negative effects on leader, employees, and/or organization. Finally, integrated research model of SSL is proposed. This model can play a role to integrate previous findings and act as a guide to help researchers take his or her course for future studies. Even though this paper has not a few limitations, it has also theoretical significances in that it might contribute to complete big picture of SSL.

      • KCI등재

        자기희생적 리더십: 리더의 자기희생 시점 차이가 구성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손승연(Son, Seung Yeon),정승찬(Jeong, Seung Chan),김진호(Kim, Jin-Ho) 한국인사관리학회 2013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사람이 이득과 손실에 부여하는 주관적 가치가 다르다는 것을 흥미롭게 설명한 프로스펙트 이론에 착안하여, 리더의 자기희생 시차(현재희생 vs. 미래희생)가 구성원의 반응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 차별적 효과가 조직의 불확실성 및 리더의 능력에 대한 인식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hoi & Mai-Dalton(1998)의 자기희생적 리더십 연구모형을 토대로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참가자들은 리더의 미래희생보다 현재희생을 더 큰 희생으로 인식하였으며, 현재희생을 보이는 리더에게 더 높은 카리스마적 정통성을 부여하고, 더 강한 호혜적 행동의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희생시점의 차별적 효과는 조직 불확실성이 높을 때, 리더의 능력이 낮게 인식될 때 더 명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자기희생적 리더십 이론과 행동 경제학 분야의 프로스펙트 이론을 접목하는 다학문적 접근방식을 취하여 자기희생의 유무에 초점을 둔 선행연구의 관점을 시차로 확장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조직 불확실성 및 리더 능력의 조절효과를 밝힘으로써 리더의 자기희생이 어느 시점에서 이루어질 때 더욱 효과적인가에 대한 이해의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한계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필요한 향후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Even though previous researches have contributed to SS-related knowledge accumulation, there are still many areas unknown to us. According to prospect theory(Kahneman & Tversky, 1979), It is likely that loss of a anticipated future outcome may not seem as real a loss to an observers as the loss of something already held(assuming equal value) and consequently the impact on observers may be reduced. This logic provides good foundation for SS research concerning time gap. In the present research, we specifically focused on how time gap of leader’s SS(i.e., present sacrifice vs. future sacrifice) influence the followers’ response(i.e., charismatic legitimacy, intention of reciprocity behavior). In addition, we studied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uncertainty and leader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gap of SS and followers’ responses. Scenario experiment using Choi & Mai-Dalton(1999)’s research model supported all hypotheses. We found that leader who exhibited present sacrifice was perceived more self-sacrificing. Followers attributed more charismatic legitimacy to leader showing present sacrifice than future one and intended more to reciprocate such a present sacrifice. These time gap effects of SSL were stronger when organizational uncertainty was high than low and leader’s competence was low than high. The centr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bring time gap concept of SS in current research view which has focused on SS versus non SS. In doing so, we took interdisciplinary approach combining SSL theory and prospect theory. Also, this study verified when the time gap of SS shows remarkable effect on followers’ response.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신이식 후 Cyclosporine 복용 중 발생한 제 1형 신세뇨관산증 1예

        손승연 ( Seung Yeon Son ),이영기 ( Young Ki Lee ),유하나 ( Ha Na Yoo ),정다혜 ( Da Hye Jung ),모인호 ( In Ho Moh ),김희준 ( Hee Jun Kim ),정성웅 ( Sung Woong Jung ),나동길 ( Dong Kil Na ),정창수 ( Su Chung Chang ),이승민 ( Seung M 대한신장학회 2011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30 No.2

        Cyclosporine is an immunosuppressive agent that plays an important therapeutic role for organ transplantation. However, complications due to type 1 renal tubular acidosis, albeit rare, have been reported. We experienced a case of severe metabolic acidosis associated with cyclosporine administration after renal transplantation. A 54-year old man was hospitalized for seizure, confusion and weakness. He demonstrated severe metabolic acidosis and hypokalemia.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was started and sodium bicarbonate was administered to correct the acidosis and the dosage of cyclosporine was reduced. Thereafter, the cyclosporine level in whole blood decreased gradually, and the metabolic acidosis improved.

      • KCI등재후보

        다양한 큐보좀을 이용한 레틴알의 안정화 연구

        손승연(Seung-Yeon Son),강유진(Yu-Jin Kang),박영아(Young-Ah Park),지홍근(Hong-Geun Ji)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1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1 No.3

        Cubosomes are a type of nanoparticles composed of specific amphiphilic lipids, such as monoolein, a biological component. Cubosomes can carry water-soluble and fat-soluble substances as well as amphoteric substances. Cubosomes have very small particle sizes due to their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having continuous double aqueous channels in the form of cubes in aqueous solution. Because of this, it can improve the delivery capacity of nutrients and drugs to control the release of molecules. It also has an high biological affinity with the cell membrane of skin cell, allowing it to easily penetrate into the intercellular space. In order to find concentrated conditions for stably forming cubosomes using particle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cubosomes, three polymers were used as emulsifier.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ntents of polymer, manufactured 6 kinds of cubosomes to compare. Retinal, an active ingredient, is difficult to stabilize in cosmetics due to light, heat or oxidative stress. It was applied by using the most stable concentration among the six cubosomes. The structure of the formed cubosome was observ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of cubosomes and cubosomes included retinal collected formation are well created. Rheology, dispersion stability analysis and long-term analysis by light and heat show that cubosomes included retinal remain stable. In addition, through the transdermal absorption test, cubosomes included retinal release retinal in a short time and the result value shows that the transdermal absorption rate is high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study, here can proved to see that cubosomes are able to trap destabilizing substances as retinal. As it can capture other active ingredients such as whitening,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agent as well as retinal, it has the potential to be widely used as a new carrier in the cosmetic field.

      • KCI등재

        동료들의 사회적 태만, 직무만족, 셀프 리더십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손승연(Son, Seung Yeon),노명화(Roh, Myong Hwa) 한국인사관리학회 201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6 No.4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조직은 그 어느 때보다도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헌신에 의존하고 있다. 그에 따라 외부적 통제에 의해서가 아닌 스스로 자신을 이끄는 셀프 리더십은 이런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리더십 패러다임으로 적지 않은 관심을 받아왔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셀프 리더십 행동으로 인한 결과와 성과에 초점을 두어, 개인 및 조직에 유익한 셀프 리더십을 억제 또는 증진시키는 선행요인을 찾는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런 한계 속에서 셀프 리더십의 선행요인 일부를 확인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조직 생활을 함께 하는 동료들의 부정적 행동이 조직 내 다른 구성원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두었다. 즉, 동료들의 사회적 태만과 구성원의 셀프 리더십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동료들의 사회적 태만이 구성원의 셀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구성원의 직무만족 여부가 이들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점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인 구성원이 동료들의 사회적 태만을 높게 인식할수록 자신의 셀프 리더십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관계에서 구성원의 직무만족이 부분매개 기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셀프 리더십이 개인의 특성, 상사의 리더십에 기인한다는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타 구성원이 보여주는 행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구성원의 셀프 리더십을 독려하려는 조직은 이를 직접적으로 증진시키는 다양한 조치들에 부가하여 멤버들의 사회적 태만을 근절하는 노력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실무적인 함의도 제시한다. 둘째, 직무만족이 동료들의 사회적 태만의 부정적 영향력 과정에 개입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멤버들의 셀프 리더십을 증진시키기 위해 고심하는 조직으로 하여금 직무에 대한 구성원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이는데 보다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또한 동료들의 사회적 태만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차단해야 함도 경고하고 있다. 아울러 말미에는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oday’s fast-paced, high-tech, and global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 organizations rely more on employees’ voluntary participations and dedications. Following this trend, effective leaderships to motivate subordinates' commitment have been receiving lots of attention. Self-leadership, a process through which people influence themselves to achieve the self-direction and self-motivation necessary to perform, is regarded as one of the new approaches of leadership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Although prior researches explicitly have investigated the outcomes of self-leadership, empirical examinations of the antecedents of self-leadership were lacking. In the research reported here, we tried to fill this gap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coworkers' social loafing on subordinate's self-leadership.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mediating role of focal employee's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workers' social loafing and self-leadership.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workers' social loafing was negatively related to focal employee's self-leadership, as expected. Also, we found that employee's job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coworkers' social loafing on self-leadership. In summary, all hypotheses were supported. This article makes several contributions to literature and practice. Fist, our findings suggested that coworkers' social loafing results in another member's low self-leadership. Therefore, organizations must institute zero-tolerance policies that make clear that social loafers will be dealt with harshly. Second, this results revealed job satisfaction functions as a underlying mechanism in the coworker's social loafing-focal employee's self-leadership relationship. This helps enlarge our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process of coworkers' social loafing on self-leadership. In the last section of paper,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기희생적 리더십 : 선행요인으로서 상사의 원만성과 조직정치지각

        손승연(Seung Yeon Son),김석영(Seckyoung Loretta Kim) 대한리더십학회 2016 리더십연구 Vol.7 No.4

        리더의 자기희생이 효과적인 리더십 행동 중 하나라는 것에는 학자나 일반인들이나 모두 공감하는 듯하다. 이런 사회적 통념 및 학문적 공감이 토대가 되어 1990대 후반부터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들이 등장하였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다양한 인식, 태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되었다. 하지만 기존연구들은 선제적 관점에서 무엇이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히지 못했다. 그에 따라 연구관점의 불균형이라는 약점과 자기희생적 리더십 역학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제한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런 기존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자기희생적 리더십 선행요인 중 일부를 발굴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사의 원만성과 조직정치지각이 구성원이 지각하는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살펴보았다. 제조업체 기업 종사자 상사-구성원 255쌍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만성이 높은 상사일수록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더 많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사가 자신의 조직이 정치적이라고 지각할수록 구성원들은 자신의 상사가 덜 희생적이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상호작용효과 검증 결과, 조직정치지각이 낮은 경우보다 높을 때 원만성과 자기희생적 리더십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자기희생적 리더십 선행요인 중 일부를 밝힘으로써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연구관점을 확장하고 있다. 이는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결과에만 초점을 둔 선행연구의 관점 불균형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상사의 성격특성 특히 원만성이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리더 선발 시 여전히 성격특성에 대한 고려가 유용하다는 것과 특히 원만성이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주로 구성원 수준에서 다루어온 조직정치지각의 부정적 효과가 상사수준의 리더십에도 여전히 부정적이라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조직에 유익한 상사의 바람직한 리더십을 이끌어 내려면 조직이 어떤 업무환경 조성에 주력해야 하는지를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특성활성화 이론을 이용하여 원만성과 조직정치지각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자기희생적 리더십이 보다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를 통해 리더 선발 과정에서 무엇을 고려해야 할지와 그런 행동을 유도하도록 조직이 무엇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주는 것이다. 아울러 연구의 말미에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하였다. Prior empirical research in self-sacrificial leadership has examined the effects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Scholars have demonstrated that self-sacrificial leader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 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role and extra-role behaviors. However, there is a paucity of research investigating the antecedents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Recognizing this issue, this study selected a leader s trait of agreeableness and his or he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s predictors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In particular, the study hypothesiz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greeablenes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an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More importantly, this study developed and te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a lead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reeablenes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based on trait-activation theor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upervisor-subordinate dyads in Korean firms by postal mails or direct visits. All of the items except demographics (age, gender, position and tenure) were measured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strongly disagree to 7=strongly agree). A total of 255 matched dyadic data was used for our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for testing our hypothese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greeablenes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an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exhibite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a leader’s agreeableness on self-sacrificial leadership is strengthened when the lead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is high than when it is low. This research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antecedents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Our findings suggested that a leader s agreeableness and his/he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edicting his or her self-sacrificial leadership. Furthermore, our results applied a trait-activation theory and demonstrated when leader exhibited self-sacrificial leadership. Our results exhibited that fair and low political work environments may compensate for the negative effects of low agreeableness on self-sacrificial leadership. Based on our result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상호작용 공정성과 과업성과

        손승연(Seung Yeon Son),박희태(Heetae Park),윤석화(Seokhwa Yu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인사조직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구성원이 사회적 맥락 속에서 대인관계, 특히 상사의 태도 및 행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분배 및 절차 공정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관심이 제한적이었던 상호작용 공정성에 초점을 두고 조직 효과성의 핵심인 구성원의 과업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선행연구들의 공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는 상호작용 공정성과 구성원의 과업성과 간에 내재된 메커니즘의 일부를 밝히고자 하였다. 총 255쌍의 상사-구성원 자료를 토대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분배 및 절차 공정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구성원이 측정한 상사의 상호작용 공정성은 상사가 측정한 구성원의 과업성과와 유의한 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상사의 상호작용 공정성은 리더인정 및 심리적 계약 이행을 통해 구성원의 과업성과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구관심이 저조하였던 상호작용 공정성에 초점을 두고 과업성과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는 것과, 상호작용 공정성이 리더다운 리더로 인식되는 효과적인 방법이자, 상사 개인의 문제뿐 아니라 조직에 대한 평가 및 인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시사점이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Researchers studying the concept of justice in the workplace have linked fair treatment to a number of beneficial employee attitudes and behaviors. Some of those studies have focused on distributive justice, which reflects the perceived fairness of decision outcomes. Other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procedural justice which is the perceived fairnes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Still other researchers have focused on interactional justice, which means the quality of the interpersonal treatment people receive when procedures are implemented. When compared to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has “day-in day-out” significance that the other justice dimensions may not possess. That is, whereas the concept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re somewhat bounded as relatively infrequent types of exchanges, interactional justice can be judged in virtually any encounter between supervisors and subordinates. Therefore, employee’s reactions, such as task performance, are expected to be more directly influenced by interactional justice. Despite the theoretical implication and practical importance of interactional justice in organizational settings, scholars have devot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the interactional justice-task performanc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existing organizational research on interactional justice and task performance, mostly conducted in the West, has showed relatively mixed results, with some studies demonstrating a significant relationship and others failing to support the linkage. One possible interpretation of the unclear relationship is that from a cultural standpoint, westerners concentrate more on the rules and procedures of the organization (Cohen-Charash & Spector, 2001), and so are less sensitive to supervisor-related justice. In contrast, Asians emphasiz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spect for authority, and dependence on superiors (Tripathi, 1990), and are, therefore, more sensitive to interactional justice. In other word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task performance in an Asian context could yield informative results to both add to and explain the body of existing literature. In particular, researchers still do not adequately understand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interactional justice affects an employee’s task performance due to the mixed results found in the existing literature. According to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contract literature, leader endorsement and psychological contract fulfillmen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task performance. Based on that premise, for this study we developed and empirically tested the following hypotheses: H1: Interactional justice is positively related to task performance. H2: Leader endorse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task performance. H3: Psychological contract fulfill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task performance. Separate employee and supervisor surveys were conducted on 360 employee-supervisor dyads from several Korean organizations in Seoul and the Chungcheong area. Employee surveys assessed organizational justice, leader endorsement, and psychological contract fulfillment, while supervisor surveys evaluated task performance. In the employee sample, 74% were men and the average age was 34.7 years (SD = 5.9). Around 51% of the respondents had at least a bachelor’s degree and their average tenure was 6.5 years (SD = 5.3). In the supervisor sample, 93% were men and the average age was 44.3 years (SD = 5.5). Approximately 53% of the respondents had at least a bachelor’s degree and their average tenure was 12.4 years (SD = 7.3). In the data analysis, several demographic variables were controlled for in order to rule out alternative explanations for the findings, and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were used as contro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조직동일시가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승훈 ( Seung Hun Jang ),노명화 ( Myung Hwa Roh ),안상철 ( Ang Chul An ),손승연 ( Seung Yeon Son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4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조직에서 구성원들의 조직동일시가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직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지식공유행동은 세 가지 하위요인(서면기여, 조직내 의사소통, 구성원 상호작용) 각각에 대한 주 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동일시가 지식공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지식공유행동의 하부요인 별로 차이가 있었다. 조직동일시의 서면기여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반면, 조직 내 의사소통과 구성원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조직동일시와 지식공유행동의 관계에 있어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의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이론적으로는 조직동일시 개념의 모태가 되는 사회정체성 이론과 조직정체성에 대해 살펴보고 조직에서 구성원의 지식공유의 딜레마를 완화할 수 있는 요인을 집단참여모델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둘째, 국내연구에서는 드물게 최근에 개발된 지식공유행동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국내표본을 통해 살펴보고, 기존 측정도구보다 다차원화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셋째, 조직성과에 많은 잠재적인 영향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연구가 제한되었던 조직동일시와 지식공유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직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실증하였다. 또한 실무적 시사점으로 지식공유의 하위변인 중 조직 내 의사소통과 구성원 상호작용과는 다르게 서면기여는 조직동일시와 유의한 관계가 증명되지 않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조직 내에서 지식공유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조직동일시와 같은 구성원의 심리적인 과정에 대한 관심과 함께 지식관리 시스템의 구축, 적절한 보상체계가 갖추어 져야 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fluences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n employees’ knowledge sharing behavior which is composed of written contributi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and personal interactions. And also this study ha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occupational self-efficacy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The samples are obtained from pilots who are serving in ROK Air Force fighter squadrons and analyzed by using AMOS and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and personal interactions. However,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does not impact on written contribution. Second, occupational self-efficacy acts as a complete mediator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and as a partial mediator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personal interactions. The last part of this study summarizes all the results and provides the contribution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