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정신간호학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의 정신장애에 대한 인식

        손수경 ( Son Sukyung ),박은영 ( Park Eunyoung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20 정신간호학회지 Vol.29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mental disorders in psychiatric clinical nursing.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used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to understand the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on mental disorders. There were 12 Korean nursing student participants who had completed 90 hours of clinical practice in psychiatric nursing over 10 days.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induc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findings consisted of four themes and ten subthemes. The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classified mental disorders as being “dangerous”, “abnormal”, “not concerned”, and “not much different from other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nursing instructors and on-site staff, including psychiatric nurses, need to understand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of mental disorders in their first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The understanding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 towards mental disorders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interaction with the nursing students and supporting them through clinical teaching and guidance.

      • KCI등재

        데이터 기반 교육 질 관리 체제 수립을 위한 인식 및 요구조사 : W대학을 중심으로

        손수경(Son, Sookyoung),홍수진(Hong, Sujin),이선경(Lee, Sunkyu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기반 교육 질 관리 체제 수립을 위해 대학 구성원 및 전문가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대학 내 구성원의 요구도를 분석하여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W대학 교직원과 데이터 기반 교육 질 관리 실무를 담당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순위응답분석, 중요도-수행도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W대학 구성원과 전문가들은 ‘대학 구성원의 이해, 협조 및 참여’를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부서 목표 설정’과 ‘데이터 분석 결과 공유플랫폼 마련’의 우선순위에서는 차이를 나타냈다. 대학 구성원의 과업별 요구도를 분석하여, 시스템 구축,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연구, 적용/환류, 정책연구 측면에서 과업의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집중영역 및 중요도, 수행도가 모두 높은 유지영역의 과업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데이터 기반 교육 질 관리의 성공적인 활동이 대학 경쟁력 강화에 필수적임을 인식하고 질 관리 활동을 내실 있게 수행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by conducting a perception survey on university members and experts to establish a data-driven educational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analyzing the needs of university members. To this end, a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on 157 faculty members of W University and 6 experts who were in charge of data-driven quality management practice, and ranking response analysis,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d correspondence sample t-test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analysis, W University members and experts recognized understanding,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of university members as important, and indicated differences in priorities in setting department s goals and preparing a platform for data analysis results sharing .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eds through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data-driven quality management task for members of W University, the tasks in the concentration area with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and the maintenance area with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derived in terms of system constructio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research, application and feedback, and policy researc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ecognizing that successful activities of data-driven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are essential to strengthening university competitiveness, and suggesting a direction for performing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in a substantial way.

      • 실외 환경에서 도로정보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

        손수경(Soo-Kyung Son),이동훈(Dong-Hoon Lee),양광웅(Gwang-Woong Yang),박종환(Jong-Hwan Park),이호길(Ho-Gil Lee) 대한전기학회 2009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논문집 Vol.2009 No.10

        We developed a navigation system for an autonomous mobile robot that uses landmark information on the road in ould∞r environment. A vision system of the robot draws out lane points and the robot's position is estimated using Monte Carlo Localization Algorithm on the global map which including the road information. The path that the robot follows on the road is generated by Thinning algorithm. The navigation system was established that makes the robot drives to destination following the path on the lane in this paper, and proved by an experiment on read road in outdoor environment.

      • KCI등재

        학교 학습활동과 교우관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손수경(Son, Sookyoung),이현정(Lee, Hyunjung),홍세희(Hong, Se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학교 학습활동 및 교우관계가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에 질적으로 달라지는지 확인하고, 학습활동과 교우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종단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할함수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만족도, 학습활동, 교우관계의 각 변인별로 변화 양상을 검토한 결과, 초등학교 6학년 시점을 기준으로 그 전(초4∼초6)과 후(초6∼중3)의 기울기를 다르게 추정하는 분할함수 잠재성장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는 초등학교 시기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다가 중학교 시기에는 점차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활동은 두 시기 모두에서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교 시기보다 초등학교 시기에서 그 감소율이 다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우관계는 두 시기 모두에서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교 시기보다 초등학교 시기에서 그 증가율이 다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의 검증 결과, 초기치 간 관계에서는 초 4시점의 학습활동이 높고 교우관계가 원만할수록 같은 시기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율 간의 관계에서는 같은 교급 내에서 학습활동의 감소가 작은 학생일수록 그리고 교우관계가 더 크게 증가하는 학생일수록 같은 시기의 삶의 만족도의 감소 추세가 둔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교급 간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학교에서의 학습활동과 교우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종단적으로 유의하게 존재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the effects of learning activities and friendships upon school on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years. A piecewise latent growth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ifferent patterns of change patterns the two school-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the patterns of change in learning activities, friendships, and life satisfaction, piecewise latent growth modeling was found to be an appropriate methodology in that change patterns were estimated differently for the former period (elementary school 4th grade∼6th grade) and the later period (elementary school 6th grade∼middle school 3rd grade). Second, higher levels in learning activities and friendships on the par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led to a higher satisfaction levels in the same grade. Third, increases in learning activities and/or in friendships in each school-period influenced an increase in life satisfaction levels generally. Findings from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learning activities and friendships had longitudinal effects upon the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과의 관계에서 성취정서의 매개효과 검증

        손수경(Soo Kyoung Son),도승이(Seung Lee D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2

        본 연구의 목표는 성취정서의 통제-가치 평가 이론(Pekrun, 2006)이 제안한 지각된 환경적 요인과 학습수행 간에 성취정서가 매개한다는 경로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지각된 성취목표와 성취정서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 간의 관계에서 중학생이 경험한 개별 성취정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개별 성취정서는 수업상황과 수업 외 학습(공부)상황으로 구분하고 각 상황별로 즐거움, 자부심, 화, 불안, 수치심, 절망감의 6개의 성취정서가 포함되었다. 전국 5개 중학교에서 552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 모형의 분석 결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성취목표는 중학생의 성취정서를 매개로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유의하게 예측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두 번째로, 중학생이 지각한부모와 교사의 성취목표는 중학생의 개별 성취정서를 유의하게 예측할 것이라는 가설 역시 지지되었다. 세부적으로, 지각된 숙달목표는 즐거움을 정적으로, 화(anger)를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지각된 수행접근목표는 자부심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지각된 수행회피목표는 불안, 절망감, 수치심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가 논의되었다. Based on a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s Control-Value theory suggested by Pekrun(2006),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emo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ceiv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f their parents and teachers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has been investigated. Achievement emotions used in this study are six different emotions, such as enjoyment, pride, anger, anxiety, shame, and hopelessness, and the setting that achievement emotions are experienced are class and study setting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552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from five different schools in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emo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ceiv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f their parents and teachers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has been supported. Also, The hypotheses on the relations between students` perceiv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f their parents and teachers and students` achievement emotions have been supported. In other words, first, students` perceived mastery goal positively predicted their enjoyment and negatively predicted their anger. Second, students` perceived performance-approach goal positively predicted their pride. Third, students` perceived performance-avoidance goal positively predicted their anxiety, hopelessness, and sham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유방암환자의 통증과 우울의 관계

        한영인,한정인,손수경,Han, Yeong-In,Han, Jeong-In,Son, Su-Gyeong 한국호스피스협회 2005 호스피스 학술지 Vol.5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and pain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ethod :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17 breast cancer patients who were admitted at K University hospital in Busan, from January 4, to January 31, 2003 using questionnaire method. Their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depression scale developed by Zung(1965) and translated by Song(1977) and pain was measured using the Revised Melzack Pain Scale developed by Melzack(1975). The data were analysed by the SPSS WIN 11.0 PC program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total depression score were 48±7.89 in 20(lowest)-to-80(highest) scoring system. The analysis of the depress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showed correlation at Age(F=5.81, p=.000), Education level (F=7.48, p=.000), Insurance for cancer(t=6.94, p=.010), Period after Dx(F=6.85, p=.001), Duration of pain experience(F=9.74, p=.000), Surgical method(F=3.87, p=.005), Stage(F=10.31, p=.000), and Lesion site(F=20.63, p=.000).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total pain score were .48± .40 in 0(lowest)-to-4(highest) scoring system. The analysis of the pai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showed differentiation at Education level(F=3.75, p=.007), Income per mouth(F=3.77, p=.010), Period after Dx(F=3.77, p=.002), Duration of pain experience(F=5.48, p=.000), Stage(F=10.39, p=.000), and Lesion site(F=8.10, p=.000).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ain(r=.37, p=.000) and between depression and discomfort(r=.37, p=.000). Conclusion : Patients with breast cancer experiencing depression and pain. Increase in depressio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 in pain and discomfort. Nurses must provide patients with nursing care about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and interventions to deal with pain control and prevent discomfort.

      • KCI등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학교 학습활동 및 교우관계 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이현정(Lee, Hyunjung),손수경(Son, Sookyoung),홍세희(Hong, See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과 학교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인 학교 학습활동, 교우관계와의 양방(nonrecursive) 관계를 확인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초4 패널 자료의 1차년도~6차년도 (초4-중3)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세 변인 간의 관계성에 남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만족도, 학습활동, 교우관계의 각 개념은 초등학교 4학년에서부터 중학교 3학년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측정 동일성이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만족도와 교우관계, 학습활동과 교우관계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전 시점의 삶의 만족도는 다음 시점의 교우관계에, 이전 시점의 교우관계는 다음 시점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전 시점의 학습활동은 다음 시점의 교우관계에, 이전 시점의 교우관계는 다음 시점의 학습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전 시점의 학교 학습활동은 다음 시점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전 시점의 삶의 만족도는 다음 시점의 학습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세 변인 간의 관계성은 남녀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non-recursiv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school life activities and friendship.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applied, using the dataset taken from the 1st to 6<SUP>th</SUP> year of the 4<SUP>th</SUP>-panel data of the KCYPS. Multiple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three variabl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onstructs of life satisfaction, learning activity, and peer relationship satisfied the measurement invariance with time from the 4<SUP>th</SUP> to the 9<SUP>th</SUP> grades.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 was found to have a reciprocal effect.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ctivity and peer relationship also showed a reciprocal effect. Specifically, the life satisfaction experienced previous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riendships created later and vice versa. The learning activities experienced in the past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ater friendships and vice versa. Third, previous learning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ater life satisfaction in one direction only, not in reciprocal way. Finally, according to our multi-group analysis, no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constructs during the period under consideration.

      • KCI등재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 대한 다변량 메타분석

        이현정(Lee, Hyunjung),손수경(Son, Sookyung),장유나(Jang, Yoona),홍세희(Hong, Se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다차원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효과크기를 종합함에 있어 완벽주의의 하위요소 간 상호의존성을 고려한 다변량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연구특성 변인에 따른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에게 엄격한 기준을 설정하는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을 보이는 학습자일수록 학업지연행동의 경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미 있는 타인의 기준과 기대를 충족시켜야 한다고 믿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업지연행동의 경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요한 타인에게 완벽주의적인 기대를 하고 타인의 수행에 대한 엄격한 평가를 하는 타인지향 완벽주의는 학업지연행동과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간 효과크기는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특성 변인(표본 수, 출판유형, 연구대상, 학업지연행동 검사 종류)이 효과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는 표본 수가 커질수록 부적인 효과크기가 완화되었고, 출판유형이 학술지인 경우, 학업지연행동 검사 종류가 Aitken의 검사일 때 부적인 효과크기가 강화되었다. 타인지향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는 출판유형이 학술지인 경우 부적인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고, 연구대상이 아동 · 청소년일 때 부적인 효과크기가 완화되었다. 또한,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는 표본 수가 커질수록 정적인 효과크기가 강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단변량 메타분석 방법론에서 더 나아가 다변량 메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효과크기를 종합하였으며, 자료를 연구특성에 따라 분리하지 않고 연구간 이질성을 설명하기 위한 연구특성 변인을 메타회귀분석모형에 포함하여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업지연행동을 중재하기 위한 상담과 교육적 개입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synthesize the effect size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research characteristics. To achieve these goals, multivariate meta-analysis considering the interdependence between the sub-factors of perfectionism was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self-oriented perfectionism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whil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ly, the effect sizes across studies were heterogeneou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type of publication, school level, type of academic procrastination scale) moderated the effect size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reduced as samples size increased, but increased when a publication type was a journal and the Aitken procrastination scale was us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creased when a publication type was a journal, but reduced when the school level was adolescen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creased as the sample size increased. These findings and their possible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