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면도 평가를 활용한 동영상으로부터 정면 얼굴 영상 생성의 개선

        손성준(Seong Jun Son),정호기(Ho Gi Jung) 대한전자공학회 2022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Surveillance cameras are installed in high positions to reduce blind spots and unintended contact or damage. For this reason, it is hard to obtain frontal face images from surveillance scene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improve the previous study’s frontal face image generation based on Pix2Pix using frontal score evaluation.

      • KCI등재

        동아시아 근대번역문학사 시론 -1930년대까지의 소설을 중심으로

        손성준 ( Seong Jun Son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5

        동아시아 문학사를 서술하기 위해서는 한국·중국·일본 등의 개별 문학사를 일련의 연속적 흐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틀이나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외적 준거가 요구된다. 그것이 가능할 때 비교의 거점이 생기고 자국 문학사의 자명한 명제들에도 물음표를 던질 수 있다. 이 글은 그것을 위한 시론적 작업으로서 서구 근대문학에 대한 동아시아 각국의 번역 양상을 비교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통계에 입각한 소설 번역의 양적 추이와 시기별 경향성의 분석을 통해 과연 ‘동아시아적 현상’이라 할 만한 것이 실재하는지를 검토하였으며, 동시에 한·중·일 각각의 특수한 지점들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1930년대까지의 소설 번역 양상을 볼 때, ‘동아시아적’이라 할 만한 현상으로는 프랑스 및 러시아소설의 강세와 단편 양식의 유행 등을 지적할 수 있다. 여기서 러시아소설에 대한 동아시아 3국의 번역 양상은 각국의 편차를 드러내는 유용한 지표다. 특히 한국과 중국의 사례는 흥미로운 대조를 이룬다. 한국에서 러시아소설의 번역은 1920년대 중반 이후 내리막을 걷고, 1930년대로 가면 아예 번역되지 않는 연도까지 등장하는 상황이 펼쳐진다. 반면 중국의 경우, 오히려 1920년대 중반에 러시아소설의 전성기가 시작되며 이후 1940년대에 이르기까지도 지속적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구가한다. 중국의 이러한 러시아문학 중심성, 특히 1930년대 이후의 압도적 상황은 러시아문학을 모델로 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대두 및 마르크스주의 문예이론의 득세가 그 직접적 배경이 되겠지만, 5.4시기까지 축적되어 온 19세기 러시아문학의 소개와 위상 제고라는 간접적 배경도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1920년대 전반까지 일본을 경유한 러시아문학의 영향이 컸던 한국의 경우는, 이후의 식민지 검열과 사상 탄압 속에서 러시아문학의 소개에 제동이 걸리게 된다. 제국이든 식민지든 러시아문학 자체가 불온한 것으로 규정되긴 마찬가지였으나, 검열의 잣대는 식민지에 보다 엄중했다. 이렇듯, 동아시아라는 틀을 대입하면 각국 문학사의 중첩과 분절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를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특정 현상에 대한 해석을 일국의 요인으로 환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사각(死角) 속의 지점까지 간취해낼 수 있다. 이러한 발견에 이르는 것이 동아시아 근대번역문학사 연구의 학술적 의의다.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East Asian literature requires a framework for grasping the individual history of Korea, China and Japan as a series of continuous flow, or external criteria that can be applied to them in common. When this is possible, a base for comparison comes into being, and self-evident propositions of domestic literature history can also be questioned. This writing is preliminary work therefor, and compared the aspects of the translation of Western modern literature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Specifically, it reviewed whether there actually existed what may be called ``East Asian phenomena,`` by analyzing the quantitative transition of novel translation on the basis of statistics and the tendency of novel translation by period; and tried to reveal the respective special points of Korea, China, and Japan. To look into the aspects of novel translation up to the 1930s, emphasis on French and Russian novels and the popularity of short-story style may be pointed out as what may be called ``East Asian`` phenomena. Here, the aspect of translating Russian novels in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is a useful indicator that reveals differences among the countries. Particularly, the instances of Korea and China provide an interesting contrast. The translation of Russian novels in Korea went downhill after the mid 1920s, and even a year when no Russian novel was translated appeared in the 1930s. On the other hand, in China, the heydays of Russian novels started in the mid 1920s, and enjoyed a steep upward trend even up to the 1940s. Such a Russian literature-centeredness in China, particularly, the overwhelming prevalence of Russian literature after the 1930s, has as its direct background, the appearance of socialist realism modeled on Russian literature and the predominance of Marxist literary theories; however, the indirect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and raised status of the 19th-century Russian literature accumulated up to the May Fourth Movement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Korea, which was much influenced by Russian literature via Japan until the early 1920s, later colonial censorship and ideological suppression put the brakes on the introduction of Russian literature. It was the same with the empire and the colony in that Russian literature itself was defined as dangerous; however, the standard of censorship was more severe in the colony. Like this, if the framework of East Asia is used,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more objectively from where overlapping and segmentation betwee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three countries stemmed, and to detect areas in blind spots, not being limited to reducing the explanation of a specific phenomenon to political or social factors in one country. The study of the history of East Asian modern translated literature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reaches such discove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