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지리 연구의 주요 원리와 제주 지역 연구에 주는 함의

        손명철(Son Myong Cheol)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7 문화 역사 지리 Vol.29 No.3

        본 연구는 라우텐자흐의 지리적 형태변이론과 메이닉의 지역지리 구성 원리, 그리고 최근 논의되고 있는 신 지역지리와 포스트모던 지리학의 핵심 논지를 토대로 제주 지역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해보려는 것이다. 제주는 한반도 육지부와 떨어진 도서로서 독특한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오랫동안 고유한 생활문화를 형성해온 독자적인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지리적 형태변이론과 지역지리 구성 원리, 신지역지리와 포스트모던 지리학은 모두 제주 지역 연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지만, 특히 이론이 배태된 시·공간 맥락의 차이와 연구지역의 규모의 차 이 등으로 인해 부분적인 한계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seek a way for Jeju Island Studies based on Lautensach’s Geographishe Formenwandel, Meinig’s Basic Principles for Regional Geography and core elements of New Regional Geography and Postmodern Geography. Jeju Island has specific natural environments and unique cultural heritage, far from Korea peninsular. These theory and principles have important implication for Jeju Island studies, but have limits as well.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한 제주의 미래를 위한 장소기반교육 : 생태환경교육과 지역지식을 중심으로

        손명철(Son, Myong-Cheol) 제주학회 2021 濟州島硏究 Vol.56 No.-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제주의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해 지금부터 다양한 장소기반교 육을 실천하자고 제안하려는 것이다. 현재 지구촌은 심각한 기후위기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한반도 남쪽 끝 화산섬 제주는 특히 지구 온난화를 비롯한 기후위기 문제에 취약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대한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대응방안이 모색되고 실천될 필요가 있다. 제주라는 장소, 곧 학습자의 일상 생활 공간에 기반한 생태환경교육을 통해 미래 세대에게 생태적 자아와 생태적 장소감을 함양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지구적 규모의 기후위기에 슬기롭게 대처하고 생태적으로 건강한 삶터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또한 오랫동안 제주의 자연환경에 적응하여 살아오면서 체득하고 전승해 온 제주인들의 지역지식 혹은 토착지식을 발굴하고 이를 학교 교육과정에 포함 하여 가르침으로써, 제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제주인으로서 자긍심을 기르는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propose to practice various place-based education from now on to create a sustainable future of Jeju Island. Currently, the global village is facing a serious climate crisis. Jeju, a small volcanic island located at the southern tip of the Korean Peninsula, is particularly vulnerable to climate crises, including climate warm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and implement a fundamental and long-term countermeasure against this. Through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based on the place called Jeju, that is, the daily living space of learners, we need to help future generations to cultivate their ecological self and ecological sense of place.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wisely cope with the global climate crisis and prepare to create an ecologically healthy living spa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iscover local or indigenous knowledge of Jeju people, which has been acquired and passed on while adapting to the natural environment of Jeju for a long time, and to include it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teach it.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Jeju Island and to nurture self-esteem as a Jeju citizen.

      • KCI등재

        학습자 주도적인 탐구형 세계지리 교과서 모형 탐색 -영국의 고등학교 <World Geography: Case Studies>를 사례로-

        손명철 ( Myong Cheol S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1 No.3

        This study aims to seek for a model of self-directed, inquiry world geography textbook by analyzing the English high school textbook, World Geography: Case Studies. The English World Geography gives body to self-directed, inquiry textbook model through 4 strategies. First, each chapter has a student` role and his major tasks. Second, every learning activities are developed as a scenario. Third, students can learn scientific research method through Key Question 1, 2, 3. Finally, students can study as geographers by studying lots of Resources that reflect a characteristics of geography or geographic structure of knowledge. Therefore, the English World Geography gives a lot of implication to Korean world geography textbook.

      • KCI등재후보

        2002 년도 지역지리학의 발전과 지역개발을 위한 심포지움

        손명철(Myoung Cheol S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0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주로 영어권 국가들에서 논의되고 있는 지역지리 연구의 새로운 논의들을 개략적으로 정리하여 그 윤곽을 소개하려는 것이다. 새로운 지역지리 논의는 지리학자들과 사회이론가들과의 활발한 지적 교류가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신지역지리학을 주창하는 사람들은 공간이 수행하는 역할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공간은 그 속에 온갖 事象(things)을 담고 있는 容器(containers)가 아니다. 그것은 한낱 어떤 존재의 외부환경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존재를 존재이게 하는 본질적 차원이다. 신지역지리학은 크게 네 갈래로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구조화 이론에서 출발하여 시간지리학으로 연결되는 연구 흐름, 공간적 분업론을 기반으로 지역문제에 포괄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연구들, 그리고 세계체제론을 공간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려는 연구들, 마지막으로 탈-후기구조주의 시대에 인간주체를 강조하려는 연구가 그것이다. 그러나 신지역지리 연구는 이론적 논의에 비해 아직 경험적 연구가 많이 축적되지 못한 편이다. 그 이유는 신지역지리 연구이념을 구체적인 경험적 연구로 이어주는 중범위 수준의 개념들이 아직 충분히 개발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new regional geography approaches that have been lively discussed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since 1980s. The discussion of the new regional geography is based on intellectual interchange between geographers and social theorists. The new regional geographers regard a space as a more active thing. A space is not a merely passive container. It is not a outer settings, but a essential dimention of the human being. The new regional geography has been discussed in four perspectives: structuration theory perspective, spatial division of lavour theory perspective, world-systems theory perspective, and post-poststructuralism perspective. The new regional approaches well provide a new direction to regional studies. However, it is so abstracted in concepts for the empirical examinations that it si necessary to introduce a meso-level of concept.

      • KCI등재

        프랑스 지역지리연구의 전개과정

        손명철(Myoung Cheol Son) 한국지역지리학회 199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프랑스에서 지역지리연구가 등장하게 된 시대적 배경과 주요 연구성과, 그리고 2차 대전 이후의 침체과정을 개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우리 국토공간을 연구하는데 하나의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프랑스에서는 1871년 보불전쟁에서의 패배를 계기로 지리학, 특히 지역지리연구가 중요하게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초중등학교 교육에서 지리과목이 중시되고 대학에서는 지리학 강좌가 정식으로 개설되었으며, 특히 해외 식민지 개척을 위한 지역연구가 크게 각광을 받게 되었다. 비달은 지표현상을 분리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기술하는 과학적인 지역연구를 수행하여 소르본느대학을 중심으로 독특한 지역지리학파를 형성하였으며, 이는 브륀느, 갈로와, 마르똔느 등 수많은 지리학자들에 의해 계승·발전되었다. 그러나 2차 대전 이후 프랑스에서의 지역지리연구는 급속히 침체하기 시작하였다. 프랑스에 있어서 지역지리학의 쇠퇴는 곧 지리학 전반의 쇠퇴를 의미하는 것이었는데, 이러한 지리학의 위기는 지리학 자체에 대한 실망에 기인한다기 보다는 프랑스인들의 생활이 현대화되면서 생겨난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Modern geography in France since the end of 19th century was begun with regional geography. France after losing the Franco-Prussian war in 1871 had tried to regain the deteriorated national proudness through the colonial expansion.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in France had encouraged French geographers to engage in detailed small area studies. In particular, after Blache became a faculty at Sorbonne University his idea on integrative rather than selective description on area studies had gained paradigmatic popularity not only in geography but in other disciplines. The regional geography tradition was then firmly established as a science and as an art by Vidalian school until the beginning of Second World War. However, whe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were the dominant science since the 1950s spatial analytic geography has become popular research tradition replacing the previledged regional geography. Nevertheless, geography in France is still acknowledged as an interesting and valuable discipline since regional geography tradition had accumulated rich knowledges on various regions. As regional geograph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and helps to understand various world regions, it should be regenerated as a research tradition which are able to fulfill societal needs accruing nowadays. By doing this, geography can rectify its disciplinary identity which has been disintegrated internally by giving too much emphasis on specialties, and melding into nearby disciplines. Our geography education for the chorography in particular focuses mainly on the listings of simple geographic facts, in this regard. Rather than attracting students` concern and motivation, geography is considered as a subject oriented toward simply memorizing geographic facts. To overcome these problems, regional geography should be discussed openly and popularized in research. Regional geographic methods available and results produced in other countries should be introduced, and critical assessments should be made for selective acknowledgment for nurturing our regional geography.

      • KCI등재

        세계지리 수업에서 여행기를 활용한 정의적 영역의 보완

        손명철(Son, Myong Cheol)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중등학교 세계지리 수업에서 여행기를 활용하여 가치와 태도 같은 정의적 영역을 보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현행 세계지리 교과서의 학습활동은 거의 지식 전달 중심의 인지적 영역의 활동에 편중되어 있다. 이는 일차적으로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이 인지적 영역에 치중되어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여행기는 저자가 직접 해당 지역을 여행하면서 체험하고 관찰하고 느낀 점을 기록한 생생한 현장보고서이며 내러티브 텍스트의 일종이다. 세계지리 수업에서 여행기를 활용함으로써 맥락적 이해를 통해 편견을 감소시키고, 자기 성찰을 통해 내면적 성숙 을 도모하며, 인식의 전환을 통해 통념을 해체하는 등의 정의적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지구상의 평화와 공존, 그리고 협력을 추구하는 세계시민교육의 핵심 가치와도 부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seek for solution to reinforce affective domain in World Geography instruction using travelog.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orld Geography textbooks are given too much emphasis on cognitive domain. This overevaluation is due to the fact that official World Geography curriculum is concentrated in cognitive domain. Second, Travelogs can be effectively used for reinforcing affective domain in World Geography education. They can reinforce the various attitudes and values that students need.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activate discussion on affective domain and graphic skills in geography education.

      • KCI등재

        시나리오 플래닝을 활용한 설계VE 제안의 가치평가 모델 개발

        이환(Lee Hwan-Cheol),현창택(Hyun Chang-Taek),손명진(Son Myung-Jin),지성민(Ji Soung-Min) 대한건축학회 2011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7 No.4

        After the VE analysis method has been applied to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the design VE proposal was carried out to design related to various facilities. In this VE activities, The two key elements to elicit these VE proposals are 'Function' and 'Cost' which are needed in assessing grade of VE's value. However, when it is hard to calculate the money that is connected to existing or improved one, not only owner can't measure the proposals of the VE's value due to it is not available to calculate the quantitative value that is related to the 'Cost' but also it could be an impedimental cause when users make a decision. Therefore, in this study sought a plan what could take out the quantitative figures that is related to the 'Cost' and suggested the way to calculate the 'Cost'. Before developing a model of evaluation value, I has understood the type of suggestion of VE which are difficult to estimate the cost of the first construction and improved 3 scenarios using with the techniques of analyzed classes and scenario planning. And adapted rating step process with the improved scenarios then developed the model of evaluating value. Furthermore, I applied example projects to examine the developed the model of evaluating value's applicability. Plus, I investigated a possibility of applicability on the field through VE experts' interview survey. The model of evaluating value using the developed scenarios in this study gave a direction to calculate the cost that is difficult to calculate. Also I expect that it would be available to perform systematic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지리 수업에서 이어도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장원석(Jang, Wonseok),손명철(Son, Myongcheol) 동북아역사재단 2016 영토해양연구 Vol.12 No.-

        최근 각 국가마다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행동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접 국가들 사이에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영토와 관련된 분쟁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각 국가마다 자국의 안전과 경제적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관리 가능한 공간을 확대하려 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주변도 예외가 아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영유권 분쟁의 한 지점인 이어도가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확인하고, 고등학교 한국지리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어도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과 한국지리 교과서에서의 이어도 기술 방식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이어도 교수-학습 과정안을 3차시에 걸쳐 개발하였다. 현행 한국지리 교과서 분석 결과, 교과서별로 이어도에 대한 내용 분량과 제시 형태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어도 교수-학습 과정안은 강의식 개념학습, 논쟁식 토론학습, 그리고 스토리텔링학습의 3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As of late, many countries have frequently been taking actions to maximize their national interests, causing ceaseless disputes with their neighboring countries. Territorial disputes have especially been arising frequently as each country aims to expand their territory to ensure national security and secure profitable resources and the countries surrounding Korea are no exce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at Ieodo, an island also under territorial dispute, means to Korea and to analyze descriptions about the island in Korean geography textbooks to devise strategies for teaching and learning about Ieodo. Analysis of the current textbooks confirmed that approaches toward the Ieodo issue differ very much between textbook publishers and the amount of contents tends to be insufficient.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eaching-learning plans for high school geography curriculums in Korea using the three different methods of lecturing concepts, holding discussions, and performing storytelling to better impart Ieodo’s identity to stud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