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관점에서 제안된 초등 과학 영역의 모바일 앱 콘텐츠 유형 및 주제

        소효정(Hyo-Jeong So),윤혜경(Hye-Gyoung Yoon),최형신(Hyungshi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3

        본 연구는 모바일 앱의 활용을 통해 기존에 팽배한 디지털 교과서나 인터넷 강의 위주의 모바일 학습의 형태와는 다른 새로운 학습 기회의 창출이 가능함에 주목하고,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속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모바일 앱 콘텐츠의 유형 및 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서책형 및 디지털 교과서의 양식에 대해 느끼는 장점과 단점, 모바일 학습의 장점과 단점, 모바일 앱 개발에 적합하다고 인식하는 주제에 대한 데이터를 개별 면담 형식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특정 단원이나 주제로 콘텐츠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수평적 활용’보다는 활동중심의 앱을 개발하여 ‘수직적 활용’을 유도하는 것이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교육적 어포던스의 개념에서 볼 때 도출된 아이디어의 대부분이 멀티미디어 접근 위주였으며, 협동적 상호작용과 위치 인식 기능 등 모바일 기기만의 어포던스를 적극 활용한 아이디어는 많이 도출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향후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속에서 모바일 학습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개발뿐만 아니라, 직접적 탐구활동과 모바일화를 반대되는 개념으로 보는 교사들의 인식론을 극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Given the potential of mobile applications to create new learning opportunities beyond the prevalent use of digital textbooks and Internet lectures, this study aims to derive types and themes of mobile application content that can be effectively integrated with the school curricula. Twenty prim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at examines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printed and digital textbooks’ modality,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obile learning, and the themes relevant to develop mobile applications.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ctivity-centered applications for vertical use rather than theme-centered applications for horizontal use. In addition, while most ideas derived from teachers center on multimedia access, there was lack of ideas that leverage the affordances of mobile devices for collaborative interaction and location-awareness. Lastly, to promote the diffusion of mobile learning in school environment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overcome teachers’ epistemology that perceives mobilization against inquiry activities.

      • KCI등재

        마이크로 러닝 연구동향 분석 및 시사점 도출

        소효정(So, Hyo-Jeong),이혜란(Lee, Hyera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0 No.-

        본 연구는 마이크로 러닝에 대한 문헌의 체계적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해외 문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Microlearning(마이크로 러닝),’ ‘Bite-sized learning(바이트사이즈 러닝)’. ‘마이크로 콘텐츠(microcontent)’를 주제어로 문헌을 검색하였다. 검색결과 지난 15년간(2003-2017년) 출판된 74편(저널 14편, 학회발표 35편, 매거진 19편, 기타 6편)의 문헌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문헌은 1단계 기본정보 분류기준으로 발행 연도, 대상 학습자, 출판형태, 연구방법론의 유형(실증연구, 개발연구, 이론연구, 의견제시)에 대해 분석하였고, 2단계에서는 문헌의 연구방법 유형에 따라 세부정보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발행 연도 관련해서 2016년 발행된 문헌이 20%(15건)으로 가장 많았고 최근 3년간 문헌의 수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마이크로 러닝 연구의 학습자는 전 생애 관점의 일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문헌이 4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기업 소속 직원을 대상으로 한 문헌이 39%로 높았다. 셋째, 출판형태 측면에서는 학회에서 발표된 문헌의 비율이 47%(35건)이 가장 높았으며, 저널에 발표된 논문의 수가 19%(14건)로 가장 적었다. 넷째,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이론 연구의 문헌 수가 27편으로 가장 많고, 실증연구의 수가 13편으로 가장적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향후 마이크로러닝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연구 및 효과적 설계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마이크로 러닝의 설계 및 후속연구 주제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n microlearning based on the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To this end, we searched the relevant literature with the keywords ‘microlearning’, ‘bite-sized learning’ and ‘microcontent’ through the databases. We identified 74 articles (14 in journals, 35 in conference proceedings, 19 in magazines and 6 in others) that have been published for the last 15 years(2003-2017). The identified literatur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first level coding categories, including the year of publication, learner backgrounds, the type of publication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and then according to the second level coding categories constructed for each type of methodological approach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15 articles (20%) were published in 2016, which is the highest proportion across the years, and the voluem of literature was high in the recent three years. Second, regarding the learners’ background, 43% of the articles were based on the general types of learners from the lifelong perspective, followed by 39% of articles that targeted industry employees and adult learners. Third, regarding the publication type, the proportion of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s is the highest at 47%, while there was relatively little literature published in journals. Fourth, regarding the methodological approaches, while the number of theoretical articles is 27, the number of empirical articles is 13.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more research on the efficacy of micro learning is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 some implications on the design of microlearning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체화된 인지의 관점에서 과학관 제스처 기반 전시물의 관람객 상호작용 분석

        소효정(So, Hyo-Jeong),이지향(Lee, Ji Hyang),오승재(Oh, Seung Ja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5 No.-

        본 연구는 체화된 인지의 관점에서 과학관 방문객들이 다양한 유형의 체감형 인터랙티브 전시물과 상호작용하는 패턴의 분석을 통해 제스처 기반 전시물의 효과성 및 향후 전시물 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관에 설치된 네 개의 제스처 기반 전시물과 관람객이 상호작용하는 패턴을 측정하였다. 더불어 관람객이 제스처 기반 전시물에 대해 느끼는 관점을 알아보기 위해 총 14 그룹의 관람객과 반 구조화된 형식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스처 기반 전시물 설계의 실제 및 장단점을 분석하기 위해 네 명의 전문가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관람객이 제스처 기반 전시물과 상호작용함에 있어 평균적으로 총 관람 시간이 짧고, 몰입도가 높은 관람자 수가 많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문가와 관람객 모두 현재 과학관의 제스처 기반 전시물은 신기함에 집중된 경향이 있으며, 체험과 학습사이의 연계성에 대해서는 명확한 인식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제시하는 제스처 기반 전시물 설계 시 고려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람객의 초기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전시물의 사용성과 목적성이 설계 초기 단계에서부터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초기 참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제스처 기반 전시물이 흥미를 위한 단순한 상호작용이 아닌 지적인 호기심을 자극하는 형태로 변모해야 한다. 셋째, 체화인지 관점에서 특정 제스처가 의미하는 메타포가 학습에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를 고려하여 설계에 반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향후 제스처 기반 전시물이 관람객간의 대화와 탐구를 통한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적응성을 가진 설계를 지향해야 함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visitors in science centers interact with gesture-based exhibits from embodied cognition perspectives. Four gesture-based exhibits in two science cente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In addition, we interviewed a total of 14 visitor groups to examine how they perceived the property of gesture-based exhibit. We also interviewed four experts to further examine the benefit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gesture-based exhibits in science center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total amount of interaction time between visitors and gesture-based exhibits was not high overall, implying that there was little of visitors’ immersive engagement. Both experts and visitors expressed that the current gesture-based exhibits tend to highlight the novelty effect but little obvious impacts linking gestures and learning. Drawing from the key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design considerations for gesture-based exhibits. First, to increate visitor’s initial engagement, the purpose and usability of gesture-based exhibits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initial phase of design. Second, to promote meaningful interaction, it is important to sustain visitors’ initial engagement. For that, gesture-based exhibits should be transformed to promote intellectual curiosity beyond simple interaction. Third, from embodied cognition perspectives, exhibits design should reflect how the mappings between specific gestures and metaphors affect learning processes.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gesture-based exhibits should be designed toward promoting interaction among visitors and adaptive inquiry.

      • KCI등재

        Learning about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Hyo-Jeong So(소효정),Xujuan Zhang,Esther T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본 연구는 아시아 학생들이 협동적 지식 책무성의 기술과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해당 문제 해결을 위한 협동적 지식 형성 워크숍의 설계부터 실행 및 평가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실천적 사례로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싱가포르의 미래학교 중 하나인 중학교의 13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학생들은 협동적 지식형성에 대한 명시적수업뿐만 아니라, 아이디어 카드, 지식의 벽, 기회적 그룹 형성, 성찰적 발표 등의 물리적구조적 조건이 배치된 워크숍에 참여하였다. 평가를 위해서 학생들은 워크숍후에 협동학습태도에 관한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한 특정 그룹의 협동학습 과정에 대한 담화분석도 실 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이 워크숍에서 경험한 협동적 학습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룹 담화분석에서는 지식형성 담화의 특성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학생들은 여전히 팀워크 과정에 관해 더 많은 안내를 필요로 하였고, 특히 협동적 지식형성 과정에서 단시간에 합의에 이르려고 하는 경향이 문제점으로 발견되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design, enactment and evaluation of a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CKB) workshop, designed to resolve the prevalent problem that Asian students tend to lack the necessary skills and appreciation for collective cognitive responsibilit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Secondary one(13-year-old) students in one of the future schools in Singapore.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KB workshop that was designed with the material and structural conditions (i.e., idea cards, knowledge wall, opportunistic grouping, reflective presentation) coupled with explicit instruction to help them learn about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skills. For evaluation,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perception survey about collaborative learning attitudes after the workshop. W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discourse data of one selected group’s discussion.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students showed overall positive perception about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s in the workshop and the indicators of knowledge building discourse moves in the group discussion. However, the students still needed more guidance in the process of teamwork, particularly in consensus building due to the tendency to reach a quick consensu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동영상 기반 학습에서 부정정서 조절을 위한 인비디오(in-video) 퀴즈 설계 및 효과성 검증

        김은영 ( Eunyoung Kim ),소효정 ( Hyo-jeong So )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동영상 기반 학습 중 학습자가 경험하는 부정정서(혼란함/좌절감/지루함)를 적시에 조절하기 위해 인지적 피드백의 한 유형으로 ‘인비디오 퀴즈(in-video quiz)’를 설계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퀴즈 제공방식에 따른 부정정서 조절 여부를 검증하고자 성인 학습자 30명을 고정시점 피드백, 정서기반 시점 피드백, 무(無)피드백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정서구술 기법 및 FACS(Facial Action Coding System) 표정 분석을 토대로 학습자의 정서상태를 분석하였으며, 학습만족도와 사후 성취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정시점 및 정서기반 시점 피드백 집단에서 지루함이 감소하였다. 둘째, 정서기반 시점 피드백 집단에서 집중상태 지표인 ‘온태스크(on-task)’가 증가하였다. 셋째, 학습성과는 학습 만족도가 정서기반 시점 피드백 집단이 무피드백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사후성취도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인비디오 퀴즈가 지루함의 부정정서 조절에 효과가 있으며 학습이탈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동영상 기반 학습에서 부정정서 조절을 위한 적응형 피드백 메커니즘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examine the effect of in-video quizzes to timely regulate negative emotions(confusion/frustration/boredom) experienced by learners during video-based learning. In particula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iming of presenting feedback,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with 30 adult learners by dividing them into three groups: fixed-timing feedback, emotion-based timing feedback, and no-feedback.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emote-aloud study and FACS(Facial Action Coding System) analysis to analyze learners’ affective states and on-task,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feedback presentations on learner satisfaction and post-achievement. First, boredom was reduced in the fixed-timing and emotion-based timing feedback groups. Second, ‘on-task’, an indicator of concentration status, increased in the emotion-based timing feedback group. Third, in terms of learning performance, the emotional-based feedback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learner satisfaction than the no-feedback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groups for the post-achievement scores. Overall, this indicates that in-video quizzes effectively regulate learners’ boredom and off-task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we draw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 adaptive feedback mechanism to regulate negative emotions in video-based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ICT 및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활용 실제 분석: 디지털 교수학습 자료를 중심으로

        박은혜 ( Park Eunhye ),소효정 ( So Hyo-jeo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9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ICT 도구들이 도입되고 있는 환경적 변화에 주목하여, 특수학급 교사들의 ICT를 활용한 디지털 교수학습 자료 활용의 실제와 특수학급 교사들의 디지털 교수학습 자료 공유를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 활용 및 참여 현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국의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도구는 기본사항, ICT 활용 현황, 디지털 교수학습 자료의 수정,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참여로 네 가지 영역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응답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특수학급 교사들이 디지털 교수학습 자료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학습의 보충 자료 및 교재의 수준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수학습 자료 수정 시 ICT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효율적인 정보를 제시하고 학생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목적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참여의 경우, 특수학급 교사가 현재 참여하고 있는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가 다양하기 보다는 특정 커뮤니티에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특수학급 교사들이 커뮤니티에서 자원의 제공자 보다는 수요자의 역할을 취하는 경우가 많으며, 교수-학습 상황에 맞게 수정 및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자료에 대한 필요성이 높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학급 교사들의 ICT 기기와 디지털 교수학습 자료 활용의 다양화 및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확산을 위한 지원과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Purpose: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hanges that various ICT tools have been introduced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special education classroom teachers` ICT utilization on digital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and to analyze the status of their participation in online teacher communities. Method: The study conducted the online survey with 162 special education classroom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questionnaire included four areas: basic information, ICT utilization, modification of digital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and participation in online teacher communiti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method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teachers tend to use digital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as supplementary materials rather than using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ICT is often used as a tool to modif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order to present information effectively and to induce student participation. Regarding participation in online teacher communities, it was found that special education classroom teachers participated in a limited type of communities and tend to take a role of the content consumer rather than a provider of resources. The study also found the needs for digital resources that special education classroom teachers could easily modify and adapt to fit into their lesson contex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d some implications concerning how to promote the wide use of ICT-supported digital resources and online communities of practices for special education classroom teachers.

      • KCI등재

        IPTV기반의 증강현실 활용 신체활동이 유아의 학습몰입, 기본운동능력 및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최지은(Choi, Ji-Eun),소효정(So Hyo-Jeo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IPTV기반의 증강현실(AR) 콘텐츠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학습몰입, 기본운동능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만 4, 5세의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IPTV 기반 AR 신체활동을 총 10회 실시하였다. 학습몰입은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한 집단 간 비교, 기본운동능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은 사전 및 사후검사 차이에 대한 t검정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에서 학습몰입도가 높게 나타났고, 하위영역에서도 통제감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기본운동능력의 경우 실험집단은 이동운동능력과 비이동운동능력 모두에서 사후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신체적 자아개념의 경우 실험집단에서만 사전-사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 동안 모바일 기기 및 정적인 교육 콘텐츠 위주였던 AR 연구에서 나아가, IPTV를 기반으로 신체활동 중심 AR 콘텐츠의 교육적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에서 IPTV, 증강현실 등 신기술 매체 활용 수업 개발에 대한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PTV augmented reality (AR) physical activity on children s learning flow, basic motor ability, and physical self-concepts. A total of 10 IPTV-based AR Taekwondo training sessions were conducted for 30 children aged 4 and 5 years. Among the collected data, learning flow was compared between groups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basic motor ability and physical self-concept were analyzed with t-test for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flow was high in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IPTV AR,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all sub-domains except for the sense of control. Second, in the case of basic motor 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 post-test scores in both motor and non-motor abilities. Third, in the case of the physical self-concept, the pre-post differe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IPTV-based AR contents about physical activities, going beyond the existing AR research that has focused on mobile devices and static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classes using emerging technologies such as IPTV and augmented re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COVID-19 상황 원격강의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실재감과 학습성과 관계 탐색

        박효성 ( Hyosung Park ),소효정 ( Hyo-jeong S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일반대학에서 코로나19의 대응차원으로 이루어진 원격강의에 대해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실재감(인지적, 감성적, 사회적)과 학습성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구체적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이 원격강의에서 인식한 학습실재감(인지적, 감성적, 사회적)은 학습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가?, (2) 학생들이 원격강의에서 인식한 학습실재감(인지적, 감성적, 사회적)은 학습지속의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가?, (3) 원격강의 유형(실시간, 비실시간, 혼합)에 따라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실재감(인지적, 감성적, 사회적)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해 2020학년도 1학기에 원격강의를 경험한 일반대학 학부생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실재감의 요인 중 인지적 실재감과 감성적 실재감은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유의하게 예측하나,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실재감은 원격강의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혼합과 비실시간 유형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외부적 요인의 대응적 차원으로 일반대학에서 긴박하게 이루어진 원격강의 환경이라는 특수성에 주목하여 학습자의 학습실재감과 학습성과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원격강의 유형별로 학습실재감의 차이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resence (cognitive, emotional, social) and learning performanc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for distance lectures in response to the Corona 19 pandemic in general universitie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verif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es the sense of learning presence (cognitive, emotional, social) perceived by students in distance lectures significantly predict learning satisfaction?; (2) Does the sense of learning presence (cognitive, emotional, social) perceived by students in distance lectures significantly predict their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3)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sense of learning presence (cognitive, emotional, social) perceived by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tance lectures (synchronous, asynchronous, mixed)?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15 undergraduate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who experienced distance lectur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The results indicate that cognitive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among the factors of learning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ing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but social presence did not predict learning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pres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distance lectures, and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xed and asynchronous typ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s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performance by paying attention to the peculiarity of the remote learning environment, which is urgently designed in general universities as a response to the external factor of Corona 19, and verifies the difference in learning presence by distance lecture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