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소경희 ( Kyung Hee S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1

        최근 들어 `역량`이라는 용어가 전 사회적인 관심사로 새롭게 부각되면서 역량기반 교육이 교육과정 개혁을 위한 공식 의제로 등장하고 있다. 역량이란 흔히 직업 교육이나 훈련 분야의 논의에서 발견될 수 있는 것으로, 숙달하고자 하는 직무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내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역량이라는 용어를 학교교육과 관련하여 논의할 때, 이러한 제한된 의미의 적용은 학교교육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교육의 본질을 왜곡할 수 있다. 이 글은 최근의 역량기반 교육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역량이 행동주의적이고 편협한 교육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라는 점을 주장하는데 관심이 있다. 이 점을 드러내기 위해 이 글은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원과 그것의 자유교육적 성격을 탐색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학교의 교육과정 설계와 관련하여 전개된 역량기반 교육의 역사적인 흐름과 여러 입장을 검토하고, 그 과정에서 드러난 역량기반 교육의 자유교육적 성격을 논의하였다. Recently, competence-based education is appearing as an official agenda for the national curriculum reform in many countries. However, much confusion exists over the concept of the word competence, as it is currently being used in ordinary educational discourse, policy, and practice. Misuse of the terminology will be able to distort the nature of the education. This study is to explore curricular-historical base and its liberal nature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by taking the holistic conceptualization of competence. In order to obtain this aim, I attempted to review the competence movement and its variations in the historical context. And then I discussed that competence-based education could be a way of renewing our thought about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by exploring its liberal nature.

      • KCI등재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소경희(So, Kyung-Hee),이상은(Lee, Sang-Eun),이정희(Lee, Jeong-Hee),허효인(Heo, Hyo-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2

        학교교육은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는 데 있어서 필요한능력을 제공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학교교육에 대한 역량 담론이 주목을받고 있다. 실제로 이러한 담론은 최근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혁 논의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적용한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떤모습인지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특히, 역량중심 교육과정이 학교에서 어떻게 실행될 수 있으며, 학교교육에 어떤 변화를 요구하는지등에 주목한 연구는 드물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국가 교육과정에 ‘핵심역량’을새롭게 도입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고 있는 뉴질랜드의 사례는 역량중심교육과정의 실천 모습을 탐색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이 글은 뉴질랜드의 교육과정 개혁 사례를 통해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모습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에서 핵심역량을 도입하게 된 배경과 그 내용을 검토하고, 뉴질랜드의 실험학교 사례를 통해 학교에서의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살펴본 뒤, 그 시사점을 논의해 보았다.1) Recently, the discourse on competencies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schooling. This trend results in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reform in many countrie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on practical implementation of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in schools. Especially, there is no serious study in how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could be integrated in existing school curriculum and what kind of changes should be required in that case. Under these conditions, the New Zealand curriculum is supposed to be an appropriate example to explore how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could be implemented in schools. It is because that New Zealand lately introduced ‘key competencies’ in the new curriculum structure and has made efforts to support implementation of key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in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ementation of key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in schools by reviewing recently reformed curriculum of New Zealand. In order to obtain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background of introducing key competencies in the New Zealand curriculum and their contents. Then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implementation of key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through six experimental school cases. Lastly, we discussed some implications of key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 KCI등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소경희 ( Kyung Hee S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7 교육과정연구 Vol.25 No.3

        ``역량``은 본래 직업 훈련이나 교육 분야에서 사용되어 오던 용어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 용어는 학교교육과 관련한 논의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핵심기술``(core skill)이나 ``핵심역량``(key competency) 등 교육계에서 사용하는 역량관련 용어는 이러한 관심을 반영한다. 특히 최근 들어 OECD가 역량의 개념을 우리의 전체적인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규정하면서, 학교교육이 이와 관련한 논의에 무관심할 수 없게 되었다. 이 글은 최근 교육계에서 자주 회자되는 ``역량``이라는 것이 무엇이며, 이것이 학교교육, 특히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탐색해 보는 데에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일반적으로 논의되는 ``역량``의 의미와 성격을 탐색해 보고,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역량이 어떤 의미를 가지며 그와 관련된 쟁점은 무엇인지를 검토한 후, 역량 담론이 교육과정에 함의하는 바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Competency`` has been used in the field of vocational training and education. But recently we can find the terminology easily in the discourse on schooling. Competency-related terminologies such as ``core skill`` and ``core competency`` being used in the world of education reflect this trend. Especially, as the OECD defined the concept of competency as the necessary abil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our whole life, educators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 discourse on competency.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competency is, and what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competency is in the context of schooling. In order to obtain this aim, I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nature of competency. Then, I reviewed the meaning and some issues that the notion of competency gave to the context of schooling. Lastly, I discussed some implications that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entailed for the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학문과 학교교과의 차이: 교육과정개발에의 함의

        소경희 ( Kyung Hee S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3

        이 글은 학교교과의 구성과 관련한 교육과정개발 담론에서 지배적으로 등장하는 두 개의 개념, 즉 학문과 학교교과에 주목하여 이들 간의 차이를 명료히 드러내고, 양 개념 간의 구분이 교육과정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 사용된 교과라는 용어는 관념적인 맥락에서 언급되는 탈가치적인 양상이나 추상으로서의 의미보다는, 구체적인 학교 맥락에서 역동적으로 살아 움직이는 현상의 의미로 고려되며, 교과의 이러한 의미를 좀 더 정확히 드러내기 위해 이 글에서는 ‘학교교과’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연구 목적을 위해 이 글에서는 첫째, 학문과 학교교과 간의 가능한 관계를 제시한다. 둘째, 학교교과가 학문과 구분되어야할 필요성을 학교교과가 다루어지는 학교맥락, 학교교과가 개발되는 과정, 그리고 학교교과에 대한 지식을 중심으로 구축될 교사 전문성 등과 관련해서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학문과 학교교과 간의 구분 논의가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re are two concepts that seem to figure prominently in most theories of curriculum construction: ‘ academic discipline’ and ‘school subject’. However, much discuss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has rarely analyzed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concepts, and has accepted an unproblematized reliance on the academic disciplines as the source of curricular con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discipline and school subject, and to discuss implications that this distinction gives to curriculum development. For research purposes, first, I suggest a range of possibiliti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discipline and its related school subject. And then, I examine the reason that school subjec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academic discipline with reference to three aspect s: educational context,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 conclude with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of the distinction argument between academic discipline and school subject for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범교과적 학습영역 중심의 초등학교 통합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연구

        소경희(So, Kyung Hee),이상은(Lee, Sang Eun),박정열(Park, Jeong Yeol),김지영(Kim, Ji 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4

        최근의 급변하는 사회변화는 종래에 다루어 왔던 교과 이외에 새로운 범주의 학습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범주의 학습은 대개의 경우 여러 교과 간에 걸쳐 학습이 가능한 범교과적 성격의 주제나 능력에 해당하는 것으로, 교과 간 통합학습을 통해서 적절히 다루어질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사회변화 속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범교과적 학습영역을 다루기 위한 교과간 통합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것의 적용 효과를 탐색해 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비교적 교과 간 통합학습이 용이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되, 국가 수준에서 통합 교육과정이 제공되고 있지 않는 3-6학년의 범교과적 학습영역을 지원하기 위한 자료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범교과적 학습영역 중심의 통합학습 자료를 개발하기 위한 과정을 구조화하였다. 둘째, 구조화된 자료 개발 과정에 따라 범교과적 학습영역 중심의 예시적인 통합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통합학습 자료를 초등학교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탐색해 보았다. Recently, rapid social change requires new categories of learning besides existing subject matters. In the majority of cases, these types of learning are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areas, including cross-curricular themes and skills, which can be addressed by integrated learning across several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tegrated learning materials in order for elementary teachers to appropriately teach cross-curricular themes and skills, and examine the effect of its applic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supporting grades 3rd through 6th elementary students for whom an integrated curriculum was not provi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we did the following: First, we structuralized the process to develop integrated learning materials based on cross-curricular learning areas. Second, we developed integrated learning materials focusing on cross-curricular learning areas by way of example. Third, we examined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these developed integrated learn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이 남긴 과제 : 각론 개발의 쟁점 탐색

        소경희 ( Kyung Hee S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1

        이 글은 최근 발표된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이 교과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쟁점과 과제를 탐색하고 논의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학교교육과정이 아닌 국가교육과정에 논의의 초점을 두고, 최근 발표된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의 주요 특징과 이것이 교과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쟁점과 과제를 검토한 뒤, 교과 교육과정에 담겨야 할 교과 내용의 성격을 탐색해 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은 학생의 학습에 대한 수사학적 강조, 강한 교수법적 방향 제시, 국가·사회적 요구에의 민감한 대응 등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에 대한 지나친관심은 교과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각 교과가 다루어야 할 내용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소홀히 할 가능성이 있는 바, 이 문제가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글은 교과 교육과정 개발과제의 하나로서 교과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이 어떤 성격의 것이 되어야 하며, 이것이 어떻게 교과 교육과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and discuss the issues and tasks the recently issued general guideline draft for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ssigns to subject matter curriculum development. To achieve this purpose, the article reviews the major features of the general guideline draft for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issues the features attributed to curriculum development for subject matters and explores the nature of the subject matter content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subject matter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general guideline draft for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rhetorically emphasizes student learning, suggests strong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ensitively responds to demands from the nation and society. However, too much interest in these features could lead to overlooking the discussion of the core knowledge of subject matters in subject matter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reveals this issue should be reviewed in depth. Therefore, this article ends with an exploration of the ‘powerful knowledge’ of subject matter as one of the tasks for subject matter curriculum development, as well as how powerful knowledge could be when realized through subject matter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

        교사학습(teacher Learning) 이해를 위한 이론적 기초 탐색

        소경희 ( Kyung Hee S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3

        교육과정 개혁의 성패는 무엇보다`가르치는 일`(teaching)과 관련한 교사들의 변화 또는 그들의 전문성신장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변화하기 위한 혹은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사 차원의 노력이 수반되어야 궁극적인 교육개혁의 추구가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변화를 위한 교사 차원의 노력은`교사학습`(teacher learning)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교사들은 더 잘 가르치기 위해서 그에 필요한 것들을 끊임없이 배울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 글은 여러 맥락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학습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이해해 보려는 데에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교사학습을 이해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는 세 가지 질문, 즉 교사들이 왜(why), 어떻게(how), 무엇을(what) 학습하는가에 대한 답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교사학습과 관련한 이러한 탐색은 교사들의 지식이 그들의 실천과 어떻게 연계되는지, 교사가 어떻게 학습하며, 그 학습의 내용이나 성격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교사학습을 이론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Educational reform movements around the world are setting ambitious goals for student learning. Many factors contribute to achieving these goals. However, the changes in classroom practices demanded by the reform visions ultimately rely on teachers. Changes of this magnitude require a great deal of learning on the part of teachers. Therefore teachers have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various forms of learning in multiple contexts.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eacher learning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In order to obtain this aim, this study explored three questions which can be the basis of understanding teacher learning: why teachers learn, how teachers learn, and what teachers lear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frame and theorize teacher learning systematically.

      • KCI등재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역량 모델의 가능성 탐색

        소경희(So, Kyung-Hee),강지영(Kang, Ji-Young),한지희(Han, Ji-H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3

        최근 학교교육의 지배적인 패러다임인 지식 전달 중심의 교육을 탈피하는 방안의 하나로 ‘역량’이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교육을 역량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교과와 관련된 역량, 즉 교과 특수(subject-specific) 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발달시키는 교육과정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이미 역량중심으로 교과교육과정을 설계해 온 영국, 독일, 캐나다의 사례를 통해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역량 모델의 가능성을 탐색해본다. 아직까지 역량중심적 교과별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어떠한 실증적 혹은 구체적 연구나 모델이 없는 우리의 상황에서 외국사례에 대한 검토는 시사하는 바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최근 개정된 영국과 독일,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영어 교육과정과 수학 교육과정에서 역량 모델이 어떻게 설계되어 있는지를 검토해보고, 이러한 역량 모델의 특징이 우리나라 교과교육과정 개발에 어떠한 함의를 주는지를 살펴본다. Recently,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s drawn great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knowledge-delivery paradigm prevailing in current school education. This study supposes tha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develop subject-specific competency for the futur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subject-based competency model by examining curriculum documents of England, Germany, and Ontario in Canada which restructured their curriculum based on competency-model. Their examples will be helpful to Korea education since Korea still has had no empirical research and model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model in recently revised curriculum of England, Germany, and Ontario in Canada. The study concludes with discussion of several implications of competency-model used in their curriculum reforms in order to improve Korean national subject curriculum.

      • KCI등재

        미국의 교과교육에 있어서 국가공통 기준 도입 운동의 역사적 맥락과 주요 쟁점

        소경희 ( Kyung Hee S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1

        최근 미국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일부 교과에 대해 국가공통의 기준을 설정하려는 야심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에서 교과교육을 위한 국가 수준의 기준을 개발하려는 노력은 30여년 전에 이미 시작된 것으로, 이러한 노력은 그동안 주 차원에서 추진된 기준 운동에 의해 주춤하다가 최근에 국가공통 기준의 도입으로 더 강력하게 되살아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최근에 도입된 ‘Common Core State Standards’라는 국가공통 기준이 나오게 된 역사적 맥락과, 이 기준을 둘러싼 주요 쟁점을 검토해 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 결과, 기준이 교육과정과는 구별될 필요가 있다는 점, 학문적 성취 중심의 국가공통 기준의 설정이 글로벌 사회에서 필요한 학생들의 창의성이나 재능의 다양성을 억압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한 국가를 지배하는 문화가 그 어떤 노력보다 교육실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 등이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으로, 이 글은 우리의 국가교육과정이 좀 더 ‘기준’으로서의 성격을 가질 필요가 있고, 학문적 성취 이외의 역량 개발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중앙집권적이고 시험위주의 교육 문화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재고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It has been more than thirty years to develop standards for subject matters in American education. However, the effort to develop the standards has been made by each state so far, so that there has been no national standard for each subject matter. Recently, America has pushed to set national standards for several subject matters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context and some issues of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for subject matters recently pushed.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this article reviewed historical context of standard-based reform in American education. Second, it examined current effort to develop and introduc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and some features shown in the effort. Third, it explored some issues raised from introducing the standards.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standards can contribute to schooling reform in some degree. However, it is also disclosed that introducing the standards itself could not guarantee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culture has more powerful influence to the achievement than educational structure does. This article concludes with investigating some implications the result gives to Korea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